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판정패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판정패(判定敗)는 스포츠 경기, 특히 격투 스포츠에서 경기 시간이 종료된 후 심판이 점수와 평가에 의해 패배로 결정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경기 중에 KO(녹다운)나 기권 없이 모든 라운드를 마친 뒤 승자가 가려질 때 발생한다.

개요[편집]

판정패(判定敗)는 스포츠 경기에서 명확한 패배(예: KO, TKO, 서브미션, 한 판 승)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심판들의 채점에 의해 승패가 결정될 때 패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격투 스포츠(복싱, MMA, 유도, 태권도 등) 및 채점 방식이 있는 스포츠(피겨스케이팅, 체조 등)에서 사용되며, 심판들의 점수나 평가 기준에 의해 승자가 정해지는 경기에서 패배한 선수를 지칭할 때 쓰인다. 심판의 주관성, 홈 어드밴티지, 오심 등의 문제로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비디오 판독, 자동화 기술, 중립 심판 배정 등의 방식이 도입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

판정패가 적용되는 스포츠 종목[편집]

격투 스포츠
  • KO(넉아웃) 또는 TKO(테크니컬 넉아웃) 없이 경기가 종료되면, 심판 점수(10점 채점 방식)로 승패가 결정된다.
  • 심판들이 점수를 매긴 후, 점수가 낮은 선수가 판정패를 당한다.
  • 판정 방식
  • 만장일치 판정패 (UD, Unanimous Decision Loss) – 모든 심판이 상대에게 승리를 준다.
  • 다수결 판정패 (MD, Majority Decision Loss) – 2명의 심판이 상대에게 승리를 주고, 1명은 무승부 판정을 내린다.
  • 스플릿 판정패 (SD, Split Decision Loss) – 2명의 심판이 상대를 승자로, 1명의 심판이 본인을 승자로 판정한다.
  • KO, TKO, 서브미션 없이 경기 종료 시, 심판 채점(10점 채점 방식)에 의해 판정승과 판정패가 갈린다.
  • 판정 기준: 유효 타격, 테이크다운, 그래플링, 경기 컨트롤.
  • UFC, 벨라토르, 원챔피언십 등 주요 격투 단체에서 판정패가 자주 발생한다.
  • 복싱과 유사한 방식으로, KO 없이 종료되면 심판 점수로 승패가 결정된다.
  • 주먹뿐만 아니라 킥, 무릎, 팔꿈치 등의 기술적 우위를 평가하여 판정이 내려진다.
  • 경기가 끝났을 때 점수가 동점이거나 승패가 불분명할 경우, 심판들의 공격성, 기술 정확도, 주도권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 판정 기준: 득점, 공격 적극성, 유효한 기술 사용.
  • 한 판(완벽한 메치기, 조르기, 굳히기) 없이 경기 종료 시, 심판들이 점수를 평가하여 판정패가 결정된다.
  • 경기의 주도권, 적극적인 공격 여부 등을 평가하여 채점한다.
심판 채점 기반 스포츠
  • 피겨스케이팅 (Figure Skating)
  • 연기 후 심판들의 채점(기술 점수 + 예술 점수)을 통해 승패가 결정된다.
  • 점수가 낮은 선수가 판정패와 같은 결과를 겪게 된다.
  • 점프, 균형, 착지 등의 수행 점수를 심판들이 평가하며, 점수가 낮은 선수는 판정패에 해당하는 결과를 받는다.
  • 심판들이 다이빙의 자세, 회전, 입수 각도 등을 채점하며, 점수가 낮으면 판정패와 같은 결과를 맞이한다.
일부 판정 요소가 있는 스포츠
  • 테크니컬 폴(완전한 승리) 없이 경기 종료 시, 심판들의 점수를 기준으로 판정승과 판정패가 결정된다.
  • 경기 종료 시 동점일 경우, 우선권(Priority Rule)을 부여하여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판정패는 심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기 때문에, 판정 논란이 자주 발생하는 스포츠이기도 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비디오 판독, 자동 채점 시스템, 중립 심판 배정 등이 도입되고 있다.

판정패를 당한 유명 사례[편집]

복싱 (Boxing) 판정패 사례
  • 매니 파퀴아오 vs 티모시 브래들리 (2012년 6월 9일)
  • 결과: 티모시 브래들리 스플릿 판정승(SD)
  • 논란: 많은 전문가들이 매니 파퀴아오가 우세했다고 평가했지만, 심판 판정으로 브래들리가 승리하였다. 심판 2명은 브래들리를 승자로 채점(115-113), 1명은 파퀴아오 승리(115-113). "도둑맞은 경기(Robbery)"라 불리며 큰 논란이 되었고, 이후 파퀴아오가 재대결에서 승리하였다.
  • 겐나디 골로프킨(GGG) vs 카넬로 알바레스 1차전 (2017년 9월 16일)
  • 결과: 무승부 판정 (골로프킨 판정패 논란)
  • 논란: 경기 내내 골로프킨이 더 적극적으로 공격했고, 많은 전문가들은 골로프킨이 승리했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심판 애들레이드 버드는 118-110으로 카넬로 승리를 채점하며 논란이 발생했다. 이후 2차전에서는 카넬로가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지만, 여전히 논란이 많았던 경기였다.
  • 로이 존스 주니어 vs 박시훈 (1988년 서울 올림픽)
  • 결과: 박시훈 판정승 (3-2 판정)
  • 논란: 미국의 로이 존스 주니어가 경기 내내 압도적인 공격을 했음에도 한국의 박시훈이 판정승을 거둔다. 경기 후 IOC는 심판 부정 판정 가능성을 인정했으며, 심판 3명이 징계를 받았다. 하지만 결과는 번복되지 않았고, 로이 존스는 이후 프로로 전향해 전설적인 선수로 성장했다.
MMA (종합격투기) 판정패 사례
  • 마우리시오 "쇼군" 후아 vs 리요토 마치다 (UFC 104, 2009년)
  • 결과: 리요토 마치다 만장일치 판정승 (UD)
  • 논란: 쇼군 후아가 더 많은 유효타를 기록하며 경기를 지배했음에도 판정패를 받았다. UFC 팬들조차도 쇼군이 이겼다고 생각했으며, UFC 대표 다나 화이트도 "이건 판정 실수"라고 인정했다. 이후 열린 재대결(UFC 113)에서 쇼군이 KO 승리하며 논란을 잠재웠다.
  • 알렉산더 볼카노프스키 vs 맥스 할러웨이 (UFC 251, 2020년)
  • 결과: 볼카노프스키 스플릿 판정승 (SD)
  • 논란: 맥스 할러웨이가 초반 라운드에서 더 많은 유효타를 기록하고 경기를 주도했지만, 판정에서 패배했다. 팬들과 전문가들은 할러웨이가 이겼다고 평가했으며, UFC 대표 다나 화이트도 판정에 불만을 표출하였다. 이후 3차전(UFC 276)에서 볼카노프스키가 확실한 승리를 거두며 논란이 일부 해소되기도 했다.
  • 조니 헨드릭스 vs 조르주 생피에르 (UFC 167, 2013년)
  • 결과: 생피에르 스플릿 판정승 (SD)
  • 논란: 조니 헨드릭스가 더 많은 유효타를 기록하고 경기에서 우세했지만, 생피에르가 판정승을 거두었다. UFC 역사상 가장 논란이 된 판정 중 하나로, 많은 팬들은 "헨드릭스가 도둑맞았다"고 주장했다. 경기 후 생피에르는 타이틀을 반납하고 은퇴, 헨드릭스는 타이틀을 재도전해 챔피언에 등극했다.
심판 채점 스포츠 (피겨, 체조, 유도 등) 판정패 사례
  • 김연아 vs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2014년 소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 결과: 소트니코바 금메달, 김연아 은메달 (판정 논란)
  • 논란: 김연아는 완벽한 연기(노미스, 높은 기술 점수, 예술성)를 선보였지만, 소트니코바가 의외의 높은 점수를 받았다. 러시아 심판과 심판진의 편향성이 의심되었으며, 국제적으로도 논란이 크게 일어났다. 하지만 결과는 번복되지 않았고, 김연아는 피겨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았던 판정패 사례로 남았다.
  • 신아람 vs 브리타 하이데만 (2012년 런던 올림픽 펜싱 여자 에페)
  • 결과: 신아람 논란의 판정패
  • 논란: 경기 종료 직전 시간 조작 논란이 발생하며, 신아람이 부당하게 패배한다. 올림픽 역사상 가장 불공정한 판정 사례 중 하나로 남았으며, 국제적으로 논란이 확산되었다. 이후 국제펜싱연맹(FIE)에서 사과했지만, 결과는 번복되지 않았다.
판정패 논란은 계속된다

판정패는 스포츠에서 불가피한 요소이지만, 심판의 주관성, 홈 어드밴티지, 부정 판정 등의 문제로 논란이 많다.

  • 격투 스포츠에서는 심판 채점 방식의 불투명성이 문제로 지적된다.
  • 피겨스케이팅, 체조 등에서는 국가별 심판 편향성이 논란이 된다.
  • 최근에는 비디오 판독(VAR), 자동 채점 시스템 등의 도입으로 판정 논란을 줄이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동영상[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판정패 문서는 스포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