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길기트 발티스탄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파키스탄 위치

길기트 발티스탄(우르두어: گلگت - بلتستان, Gilgit-Baltistan)은 스카르두와 창체의 발티스탄 2개 지역, 디아메르와 아스토르의 기저르, 길기트 및 다이메르 2개의 지역의 길기트 지역으로 3개의 지역에 6개의 구역으로 구성된 파키스탄의 자치 지역을 말한다. 예전 이름은 북부 연방 통치 지역(우르두어: شمالی علاقے)이었다. [1][2]

개요[편집]

길기트 발티스탄의 면적은 72,496㎢이며 인구는 1,492,924명(2022년)이다. 길기트 발티스탄은 파키스탄령 카슈미르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이다. 북서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의 와한 회랑,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신장 위구르 자치구, 남동쪽으로는 인도의 지배 하에 있는 잠무카슈미르주와 국경을 접한다. 또한 파키스탄 국내에서는 동남쪽으로는 파키스탄아자드 카슈미르 지역과 서쪽으로는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 지역과 경계를 가진다. 주요 정치적 중심지는 길기트(주도), 스카루드, 칠라스이다.

지역은 스카르두와 장체, 카르망, 시갈이 속해 있는 발티스탄 지역과 디아메르와 아스토르, 길저르, 훈자 그리고 길기트 및 나가르로 이루어진 길기트 지역으로 나뉜다. 총 2개의 지역에 10개의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환경[편집]

카라코람산맥 영역의 중심과 서부 히말라야산맥을 이루고 있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들이 여럿 존재한다. 북쪽에는 파미르고원이 있으며 서부에는 힌두쿠시 계곡이 자리잡고 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인 K2와 낭가파르바트, 가셔브룸 1봉, 브로드피크, 무즈타그 타월, 가셔브룸 2봉이 이 지역에 속해 있다.

길기트발티스탄의 기후는 지역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다. 길기트, 칠라스와 같은 지역은 여름에 낮에는 매우 덥고 밤에도 그다지 춥지 않다. 아스토르, 카플루, 야신, 훈자, 나가르 계곡은 여름에도 기온이 낮다.[3]

역사[편집]

399년과 414년 사이에 중국 불교 순례자 팩시안이 길깃발티스탄을 방문했다. 6세기에 소마나 팔롤라(더 위대한 길기트-칠라스)는 알려지지 않은 왕에 의해 통치되었다. 627년과 645년 사이에 중국 불교 순례자 현장은 인도를 순례하기 위해 이 지역을 여행했다.

600년대 중반, 길기트는 서투르크 카간국이 이 지역에서 당나라 군사작전으로 함락된 후 중국의 종주권 하에 들어갔다. 서기 600년대 후반, 부상한 티베트 제국은 중국으로부터 이 지역의 지배권을 빼앗았다. 그러나 우마이야드 칼리프국과 아바스 왕조 칼리프국의 영향력 확대에 직면하자 티베트인들은 이슬람 칼리프국들과 동맹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 이 지역은 700년대 중반까지 중국과 티베트, 그리고 각각의 속국들과 경쟁했다. 길깃의 통치자들은 당나라와 동맹을 맺었고, 그들의 도움으로 아랍인들을 제지했다.

721-722년 티베트 군대는 길깃이나 브루자(야신 계곡)를 점령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중국 기록에 따르면 소팔로라의 왕은 모칭망(chinese慶網)이었다. 티베트인에 대한 군사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당나라 법원을 방문했었다. 723년에서 728년 사이에 한국의 불교 순례자 혜초가 이곳을 지나갔다. 747년 조선족 사령관 가오셴지가 이끄는 중국군은 리틀팔로라를 탈환했다. 대팔로라는 이후 753년 펑창칭( chang長慶) 군정 통치하에 중국군에 의해 함락되었다. 그러나 755년 안루산의 반란으로 당나라 군대는 철수하여 중앙아시아나 길기트발티스탄 주변 지역에서 더 이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었다. 지역의 지배는 티베트 제국에 맡겨졌다.그들은 그 지역을 브루자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오늘날 사용되는 민족 이름인 "부루쇼"와 일치하는 지명이다. 티베트의 이 지역에 대한 지배는 서기 800년대 후반까지 지속되었다. 7세기에 조로아스터교를 믿는 투르크 부족들이 길기트에 도착하여 길기트에 트라한 왕조를 세웠다.

14세기에 페르시아와 중앙아시아의 수피 이슬람 설교자들이 발티스탄에 이슬람을 도입했다.그들 중 유명한 사람은 미르 세이이드 알리 하마다니로, 그는 같은 세기에 터키 타르칸 통치자를 통해 이슬람이 들어온 길기트 지역에 있을 때 카슈미르를 통과했다. 길기트 발티스탄은 많은 지방 통치자들에 의해 통치되었고, 그 중 스카르두의 막폰 왕조와 훈자의 라자 왕조는 유명했다. 스카르두의 막폰은 치트랄, 라다크와 함께 길깃발티스탄을 통일했고, 특히 무굴 궁정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던 알리 셰르 칸 안찬의 시대에 그러했다. 이후 안찬은 발티스탄의 대중 문학에 큰 영향을 끼쳤지만, 발티스탄에서는 "미조스", "맨에테르"라는 별명으로 여전히 어두운 인물처럼 살아있다. 마지막 막폰 라자 아흐메드 샤는 1811년에서 1840년 사이에 발티스탄 전역을 통치했다. 길깃, 치트랄, 훈자 지역은 이미 막폰족으로부터 독립한 상태였다.

쉬리바다트가 멸망하기 전, 시나족은 길깃다르디스탄에서 이주하여 드라스 및 카르망 지역에 정착했다. 이들 다르드족의 후손은 오늘날에도 볼 수 있으며, 오늘날까지 다르드 문화와 시나어를 유지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1839년 11월, 굴라브 싱에게 충성을 다한 도그라 사령관 조라와르 싱은 발티스탄에 대한 그의 캠페인을 시작했다. 1840년까지 그는 스카르두를 정복했고 통치자 아흐마드 샤를 잡았다.아흐마드 샤는 그 후 조라와르 싱의 서부 티베트 공습에 동행해야 했다.한편, 바그환 싱은 스카르두의 행정관으로 임명되었다. 이듬해 론두의 알리 칸, 시가르의 하이다르 칸, 카플루의 다울라트 알리 칸이 발티스탄의 도그라족에 대항하는 봉기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스카르두의 도그라족 사령관 바그환 싱을 생포했다.

1842년 카르타크쇼 출신의 알리 셰르 칸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도그라 사령관 와시르 라흐팟이 발티스탄을 두 번째로 정복했다. 도그라스에 대항한 봉기의 지도자 중 한 명인 시가르 출신의 하이다르 칸은 감옥에 갇혔고 감금되어 죽었다.고숀은 발티스탄의 행정관(타나다르)으로 임명되었고 1860년까지 길기트발티스탄의 전 지역이 시크족과 도그라족에 속했다.

제1차 영국-시크 전쟁에서 시크교도들이 패배한 후, 이 지역은 1846년 이래로 도그라족의 통치 하에 남아있던 잠무와 카슈미르 왕자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길기트 주민들은 카슈미르와 인종적으로 다르다고 인식하고 카슈미르 국가에 의해 통치되는 것을 싫어했다. 이 지역은 1947년 11월 1일까지 영국에게 임시로 임대된 상태로 남아있었다.

1990년대 후반, 알-지하드 트러스트의 대통령은 파키스탄 대법원에 길기트-발티스탄의 법적 지위를 결정해 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1999년 5월 28일 판결에서 법원은 파키스탄 정부에 길기트발티스탄 국민에게 평등한 권리를 제공하도록 지시하고 6개월의 시간을 주었다.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정부는 지방으로 권력을 이양하기 위한 몇 가지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몇몇 정책권에서는 파키스탄 정부가 길기트발티스탄의 정치적, 종파적 분열이 심하고 카슈미르 지역과 역사적 연관성 때문에 법원의 판결에 따를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돼 파키스탄 정부가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수년간 다양한 개혁안에도 불구하고 상황은 근본적으로 변하지 않았다. 한편, 길기트-발티스탄에서의 대중의 분노는 놀라울 정도로 커졌다. 시민의 권리와 민주주의의 부재를 항의하는 저명한 안티고니스트 단체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파키스탄 정부는 길기트-발티스탄에 지방 지위를 부여하는 것에 대해 논의해왔다. 길기트-발티스탄은 2008년부터 대표되지 않은 국가 및 국민기구의 회원국이 되어 왔다. 2009년 개혁은 이 지역의 자기 정체성을 강화했지만 파키스탄 내에서 이 지역의 헌법적 지위를 해결하지는 못했다.

2010년 뉴스 보도에 따르면 길기트-발티스탄 사람들은 파키스탄에 별도의 5번째 주로 합병되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2015년 현재 아자드 카슈미르 지도자들은 길기트-발티스탄을 파키스탄에 통합하기 위한 어떤 조치에도 반대했다.길기트 발티스탄 사람들은 아자드 카슈미르와의 통합을 반대해왔다. 파키스탄 시민권과 그들의 지역에 대한 헌법적 지위를 원한다.

2016년, 이 나라의 헌법상 처음으로 길기트-발티스탄의 이름이 거론되었다.

파키스탄은 2020년 9월 길기트발티스탄의 위상을 본격적인 지방으로 격상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편집]

길기트 발티스탄을 대표하는 민족은 다르드어군에 속하는 여러 언어를 쓰는 민족들(쉬나인, 코와르인, 와키인, 코히스탄인, 아슈쿤인), 훈자 마을 주민으로 유명한 부루쇼인, 티베트계 무슬림 발티인이 있다. 언어도 마찬가지로 파키스탄의 공용어인 영어와 우르두어, 지역 언어인 발티어, 신나어, 부루샤스키어 등을 쓴다. 주도의 이름이기도 한 이름은 길기트는 옆을 흐르는 길기트 강에서 따 왔으며 발티스탄은 발티족과 땅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접미사인 -스탄을 합친 것으로 발티족의 땅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파키스탄에서 가장 시아파 인구 비중이 높은 곳으로 12이맘파는 39.85%, 수니파 이슬람은 30.05%, 특이하게도 소수 종파 이스마일파가 무려 24%나 된다. 인구 밀도가 희박한 지역이다보니 소수 종파에 대한 박해가 거의 없어서 가능한 현상이다.

K2 산[편집]

K2는 에베레스트산(초모룽마 산)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8,611m)으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의 경계(인도 측에 따르면 파키스탄 점령 카슈미르지역)에 있는 카라코람산맥에 위치하고 있다.

K2란 이름은 1856년 영국의 헨리 고드윈오스틴이 이끄는 조사단이 카라코람산맥(karakoram mountains)의 두 번째 봉우리로 측량한데서 연유하는 기호로 붙인 것으로 다른 봉우리도 K1, K3, K4, K5로 불리다가 나중에 각각 마셔브룸산, 브로드피크산, 가셔브룸 2봉, 가셔브룸 1봉으로 명명되었다.

K2는 에베레스트산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산이지만, 등반은 더욱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1902년 영국의 오스카 에컨스타인과 앨리스터 크롤리가 최초로 등반을 시도하여 5차례 도전하였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그 후로 52년이나 지난 1954년 7월 31일에야 아르디토 데시오가 이끄는 이탈리아 등정대 중 아킬레 콤파뇨니와 리노 라체델리가 최초로 등정에 성공하였다. 두 번째 등정은 23년 후인 1977년 요시자와 이치로가 이끈 일본 원정대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무려 1,500명이 넘는 짐꾼들이 동원되기도 하였다. [4]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길기트발티스탄〉, 《위키백과》
  2. 길기트 발티스탄〉, 《나무위키》
  3. 길기트발티스탄〉, 《요다위키》
  4. K2〉,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남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남아시아 국가
인도 도시
남아시아 도시
남아시아 지리
남아시아 문화
남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길기트 발티스탄 문서는 아시아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