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룽장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도)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헤이룽장성'''(黑龙江省 , {{발음|黑龙江省}}) | + | {{동아시아 위치 지도}} |
+ | [[파일:중국.png|썸네일|300픽셀|'''중국 위치''']] | ||
+ | [[파일:헤이룽장성 위치.png|썸네일|300픽셀|'''헤이룽장성 위치''']] | ||
+ | |||
+ | '''헤이룽장성'''(黑龙江省 , {{발음|黑龙江省}})또는 흑룡강성은 [[중국]] 동북부에 위치하였으며 성도는 [[하얼빈]](哈尔滨, {{발음|哈尔滨}})이다. 동쪽은 [[러시아]]아와 접하고 서쪽은 [[네이멍구자치구]], 남쪽은 [[지린성]]과 접하여 있다. 중국에서 가장 북쪽과 동쪽에 위치한 성급 행정구이다. | ||
== 개요 == | == 개요 == | ||
+ | 헤이룽장성의 면적은 473,000km²이며 인구는 38,312,224명이다. 인구는 [[북한]]보다 많고 면적은 [[한반도]]의 2배가 조금 넘는다. 약칭은 헤이(黑hēi), 간혹 룽(龙lóng)이라고도 쓴다. '헤이룽장'이라는 이름은 이 성과 러시아의 경계를 흐르는 아무르강의 중국어 이름인 헤이룽장에서 유래했다. | ||
+ | |||
+ | 행정구역은 12개 [[지급시]](地級市)와 19개 [[현급시]](县級市), 46개 [[현 (행정구역)|현]], 1개 [[자치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석기시대부터 고대 인류가 거주하였으나 과거에 '북대황(北大荒)'이라 불리며 전면적 개발이 늦게 이루어진 편이다. 1895년 청나라 조정에서 금지령을 풀어 개간을 허락하고 관내에 이주민을 안치함으로써 이른바 실변(实边) 정책을 추진하였고, 여기에 러시아와 일본 세력이 들어와 도로를 건설하고 개간을 하면서 인구가 1887년 30여만 명에서 1945년에는 4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 ||
+ | |||
+ | 건국 이후 대대적 변경 개발사업이 전개되어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다. 주민 구성은 한족(汉族)·만주족(满州族)·조선족(朝鲜族)·몽골족(蒙古族)·후이족(回族)·다우르족(达斡尔族)·시보족(锡伯族)·허저족(赫哲族)·오로촌족(鄂伦春族)·에벤키족(鄂温克族)·키르기스족(柯尔克孜族) 등 49개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수민족의 비율은 5.02%이다. 이 가운데 허저족은 총인구의 88.2%가, 오로촌족은 총인구의 51.9%가 헤이룽장성에 거주하며, 수렵과 삼림 부가산업 등에 능하다.<ref>〈[https://namu.wiki/w/%ED%97%A4%EC%9D%B4%EB%A3%BD%EC%9E%A5%EC%84%B1 헤이룽장성]〉, 《나무위키》</ref><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2886&cid=40942&categoryId=40018 헤이룽장성]〉,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
+ | == 자연환경 == | ||
+ | 지형의 약 절반 정도가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는 [[산악]], [[구릉]] 지대이다. 지세는 북부와 중부 및 남부는 높고, 서부는 낮다. | ||
+ | |||
+ | 지형은 4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① 쑹넌 [[평원]]:헤이룽장성 중서부 지역으로 둥베이 [[평원]]의 북쪽에 속하며, 해발 150~200m이다. 지세가 파도처럼 기복이 심하고, 저지대가 많다. ② 싼장 평원:헤이룽장성 동부의 헤이룽강·쑹화강·우수리강 등 3개 강 사이의 삼각지대로 지세가 낮고 평평하다. 해발 80m 정도이며 푸진 주변과 그 동쪽의 넓은 면적이 [[늪]]과 저습 지대를 이룬다. ③ 둥난 산악지역:장광차이링·라오예링·완다 [[산지]]를 포함하며, 해발 500~1000m이다. 다투 딩쯔는 해발 1690m로 헤이룽장성의 최고봉이다. ④ 싱안 산악지역:중부의 샤오싱안링과 북부의 다싱안링 동쪽 [[언덕]] 그리고 이와 연결된 이러후리산을 포함하며, 해발 800~1000m이다. 핑딩산은 해발 1429m로 샤오싱안링산맥의 최고봉이며, 우다롄츠에는 1720년 분화된 화산용암 석해(石海)가 있다. | ||
+ | |||
+ | 북단이 한온대 습윤 계절풍기후인 것을 제외하고 그밖의 넓은 지역은 온대 습윤 계절풍기후에 속한다. 9월 중순을 전후로 겨울이 시작된다. 1월 평균기온은 -18℃이며, 북서쪽으로 갈수록 -30℃까지 내려간다. 7월 평균 기온은 18~22℃이며, 하얼빈·치치하얼 일대는 22℃ 정도이다. 기온의 연교차가 35℃ 이상에 이른다. | ||
− | + | 무상기간(無霜期間)은 5월 초에서 6월 초부터 시작되어 3~5개월 정도 지속된다. 일평균기온은 0℃ 이상인 날이 180~200일, 10℃ 이상인 날이 120~140일 정도이다. 모허강은 최저기온 -40℃ 이하의 혹한을 기록한 날이 최고 35.1일이다. | |
− | |||
− | |||
− | |||
− | |||
− | |||
− | + | 연강 수량은 450~600㎜이며, 여름 강수량이 연 강수량의 60%에 이른다. 치치하얼과 하얼빈을 일직선으로 한 광대한 둥베이 지역은 가을 강수량이 연강수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생장기의 농업용수 수요치는 대체로 균형을 이루지만, 치치하얼과 하얼빈 일대는 200㎜ 정도 부족하다. 주요 재해성 기후로는 싱안링산맥의 겨울철 혹한을 들 수 있다. | |
− | |||
− | + | [[하천]]은 서부의 몇몇 내류하천과 남동부의 쑤이펀강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헤이룽강 수계에 속한다. 헤이룽강은 성내에 흐르는 길이가 3420㎞이고 유량(流量)은 황허강의 5배에 달하며, 결빙기가 6개월 정도 지속되는 아시아의 대하(大河) 가운데 하나이다. | |
− | [[ | + | 쑹화강은 헤이룽강의 최대 지류로 총 길이 2309㎞, 성내에 흐르는 길이 939㎞이다. 둥베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하천]]으로, 발원지는 [[백두산]] 천지(天池)이며, 싼차강에 이르러 넌장강과 합류한다. 결빙기는 약 5개월이다. |
− | + | 쑹넌 평원과 싼장 평원의 지하수는 지하 0.1~2m 정도이며, '파오쯔'라고 부르는 크고 작은 호수가 많이 있다. 싼장 평원에 물이 고여서 만들어진 넓은 저지대 호수의 배수 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증발현상이 미미하거나 물이 스며들지 않는 점토층으로 인하여 물이 고여 늪지대가 형성되었다. 비교적 큰 호수로는 [[중국]]과 [[러시아]]의 접경지역에 있는 싱카이호로 총면적 4380㎢이다. 이밖에 징보호와 우다롄츠는 모두 고대 [[화산]] 용암류로 형성된 화산호이며, 면적은 각각 95㎢와 19㎢이다. | |
== 역사 == | == 역사 == | ||
+ | 헤이룽장성 지역의 역사적인 기록은 빈약하다. 진대부터 숙신, 예맥, 동호의 삼대 민족계통이 살아오고 있었다. 숙신은 한대의 읍루이며 위진 시대에는 물길, 수당시대에는 말갈, 송대에는 여진이라고 불렸으며 청대에는 만주라고 칭하였다. | ||
− | + | 헤이룽장성 일대에서 처음으로 일어선 국가는 예맥 계통의 부여이다. 고구려는 부여로부터 갈라져 나왔다. 헤이룽장성의 동부는 발해가 7세기부터 10세기까지 지배했었다. 그 후 여진족의 금 왕조가 회령부(지금의 하얼빈시 아청구 바이청) 지역에서 발흥하여 중국 북부를 지배했었다. | |
− | + | 원대에는 개원로(開元路), 수달달로(水達達路)가 설치되어 랴오양행성(遼陽行省)에 속하게 되었다. | |
− | + | 명대에는 노아간도사(奴兒干都司)가 여진족들을 간접적으로 지배했었다. | |
+ | 청나라 초기에는 영고탑앙방장경(寧古塔昻邦章京)이 설치되었다가 후에 현재의 지린성으로 옮긴 후 지린장군으로 개칭한다. 1683년 (강희 22년) 새로 헤이룽장 장군이 증설되어 헤이룽장성 유역의 광재한 지역을 관할하였다. 그 범위는 북쪽으로 스타노보이 산맥에까지 이르렀다. 동북 지방은 한족이 이주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 ||
+ | 그러나 1858년과 1860년에 청 정부가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사이의 땅을 포기하고 러시아에게로 넘기게 되면서 헤이룽장성은 현재의 북동쪽 경계를 가지게 되었다. 동시에 한족에 대한 동북 지역의 봉금령이 풀리면서 한족들이 대거 이주하기 시작하여 이미 20세기 초반에는 한족 인구가 주가 되게 되었다. 1932년에는 헤이룽장성이 일제의 괴뢰정부인 만주국의 한 부분이 되기도 했다. 1945년 일제의 패망 이후 소련 군대가 동북지방에 들어와서 거의 대부분의 통제권을 중국의 공산주의자들에게 주게 된다. 헤이룽장성은 처음으로 중국인 공산주의자들에 의하여 완전히 통치되는 지역이 된다. 동북지역으로부터 공산주의자들은 국공 내전을 실행할 준비를 하게 된다. | ||
+ | |||
+ | 공산당의 지배가 시작되면서 헤이룽장성은 치치하얼을 성도로 하여 현재의 서부 지역만을 차지하게 되었다. 나머지 지역은 하얼빈을 성도로 하는 쑹장 성이 통치를 하였다. 1954년에 두 지역이 합쳐지면서 현재의 헤이룽장성을 이루게 되었다. 문화 대혁명 시기 동안 헤이룽장성은 네이멍구 자치구의 후룬베이얼 맹을 흡수하여 팽창하였으나 복귀되었다. | ||
+ | |||
+ | 1959년 다칭 유전이 개발되면서 전국 최대의 생산을 자랑하기도 했으나, 근래에 생산량이 급감하였다. | ||
+ | |||
+ | == 산업 == | ||
+ | 광활한 중국에서도 토지자원의 대성(大省)으로 꼽힌다. 경작지와 개간 가능한 황무지의 면적이 넓어서 1인당 평균 경작지 면적이 0.4ha에 이른다. '북대황(北大荒)'이라 부르는 광대한 평원지대는 흑토가 비옥하여 농경지로 개간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 ||
+ | |||
+ | 삼림 면적은 전국의 13.6%를 차지하며, [[삼림]] 지역 점유율이 높은 편으로 35.6%이다. 활립목의 저장량은 15억㎡가 넘으며, 갈대의 저장량도 전국에서 선두권이다. 주요 수종으로는 홍송과 낙엽송 등이 있다. 야생자원으로는 진귀한 약재인 인삼·가시오가피·용담초·녹용·웅담 등이 있으며, 족제비가죽·잣·원숭이머리버섯·흑목이·야생시호 등도 있다. 에너지자원의 대성(大省)으로서 석유·천연가스·석탄 매장량이 모두 풍부하며, 사금광·흑연·대리석·형석광 등의 매장량은 전국에서 상위권이다. | ||
+ | |||
+ | 농업 [[경작지]]는 전국의 9.5%를 차지하는데, 이 가운데 절반 가까운 [[경작지]]가 1950년대 이후에 개발되었으며, 밭농사가 90%를 차지한다. 100여 곳에 이르는 국영농장의 경작지가 전국 개간 시스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농업 기계화가 발달하여 기계 경작 면적이 전체 경작지 면적의 3분의 2를 차지하며, 농업 총 생산액이 전국에서 중간 순위이다. 이 가운데 재배업이 66%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삼림업이 3%, 목축업이 28%, 어업이 3%를 차지한다. | ||
+ | |||
+ | 주요 식량작물은 옥수수·밀·벼이며, 콩·감자의 생산량은 모두 전국에서 1위이다. 경제 작물로는 사탕무·아마·해바라기의 생산량이 전국적으로 확연한 우세를 보인다. 임업과 삼림 부가상품의 생산성도 높다. 또 목축업의 생산기지로서 낙농업은 전국적으로 우세가 뚜렷하며, 젖소 사육량과 우유 생산량이 모두 전국 1위이다. 헤이룽강과 쑹화강, 우수리강과 싱카이호 등지는 민물어업 생산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 | |||
+ | 특산품은 삼림 생산품이 특히 풍부하다. 싱안 삼림지역의 홍송잣은 피부를 젊게 하는 효능이 있고, 개암나무의 열매는 감미로운 맛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밖에 야생시호·까막까치밥나무·버섯과 한방 약초도 특산품으로 알려져 있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된 고사리는 성 전체의 산나물 총 수출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그리고 일본인들에게 '산 속의 진미'라고 불리는 고비나물도 있다. 버섯은 원숭이 머리버섯·개암버섯·송이버섯 등을 비롯하여 60여 종이 생산된다. | ||
+ | |||
+ | 진귀한 약재로는 인삼·녹용·가시오가피·방풍·하스마(蛤士蟆)기름 등이 있다. 부정고본(扶正固本)의 효험이 있는 가시오가피는 주로 둥베이 지역에서 생산되는데, 헤이룽장성의 생산품이 특히 뛰어나다. 동물모피로는 긴목족제비가죽과 스라소니가죽, 수달가죽 등이 뛰어난 품질로 수요가 많다. | ||
+ | |||
+ | 그밖의 농업 특산품으로는 둥베이의 반가는털양, 헤이룽강의 하바이 돼지, 빈의 백닭, 빈베이의 젖염소 그리고 헤이룽강과 우수리강에서 나는 육질이 부드럽고 알의 영양이 풍부한 연어 등이 있다. 음식 특산품으로는 하얼빈의 유럽식 소시지와 바게트, 술맛 나는 초콜릿 등이 있다. 또 안다[安达]의 분유와 치즈, 타이양다오맥주, 우다롄츠의 광천수 등도 널리 알려진 특산품이다. | ||
+ | |||
+ | 20세기 초부터 [[일본]]과 [[러시아]]의 식민세력이 삼림과 탄광에 대한 약탈적 개발을 자행하였다. 새로운 [[중국]]이 건설된 뒤로는 국가 공업건설의 중점지역이 되었으며, 삼림·화학·식품 등을 위주로 한 다양한 공업 시스템이 형성되었다. 공업 총 생산액이 농공업 총 생산액의 77%를 차지하며, [[경공업]]과 [[중공업]]의 비율은 1 대 3이다. | ||
+ | |||
+ | [[중공업]] 중에서는 채굴과 원재료 공업의 비중이 65% 이상을 차지하며 안정적이다. 석유공업과 삼림공업은 전국 1위, 석탄공업은 전국 2위이다. 전국의 유전 가운데 1위인 다칭유전을 비롯하여 지시·허강·솽야산·치타이허 등 4개의 탄광을 보유하고 있다. | ||
+ | |||
+ | 푸라얼지의 야련(冶炼) 설비와 중형기계, 하얼빈의 발전설비(보일러·가스터빈·화력발전 등 3대 발전소 포함)를 핵심으로 하는 기계공업은 성 전체 공업 생산액의 22%를 차지한다. 특히 하얼빈에서 생산되는 발전설비는 전국 총 생산의 3분의 1이 넘는다. | ||
+ | |||
+ | 이 밖에 베어링·측정기·절삭공구 등 국가중점 전문공장과 중국 최대의 아마 방직공장이 있다. 치치하얼의 합금주철과 [[자동차]] [[공업]], 이춘의 삼림공업, 다칭의 유전과 석유공업, 무단장의 화학공업, 자무쓰의 제지공업도 모두 매우 발달하였다. 유제품 생산량은 전국 총 생산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 ||
+ | |||
+ | == 교통 == | ||
+ | 국제교통 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철도]]의 운행거리는 5503㎞로 징하·빈쑤이·빈저우·빈베이·하자·무자·핑치·퉁랑 등 20여 지선이 있다. 이 지선들은 하얼빈과 치치하얼의 양 철도국에 속하며, 성내의 3분의 2에 해당되는 시현(市县)으로 연결된다. 쑤이펀강에는 대외적으로 개방된 철로 국경출입구가 있다. | ||
+ | |||
+ | [[도로]]의 길이는 6만 3046㎞이며, 퉁장~싼야,쑤이펀강~만저우리, 징하 등 9개 국도가 있다. 하얼빈~다칭, 하얼빈~창춘~[[베이징]], 하얼빈~쑤이펀강, 쑤이펀강~퉁장 등 고등급의 고속도로도 개통되었다. | ||
+ | |||
+ | 내하의 항로 길이는 5057㎞이며, 북부 지역의 성들 가운데 가장 길다. 헤이룽강과 쑹화강의 항로 길이는 각각 1890㎞와 928㎞이며, 모두 대형 기선이 운항할 수 있다. 그리고 헤이룽강을 모허강·후마·헤이허·쉰커·자인·자오싱·푸위안 부두가 있고, 쑹화강을 따라 하얼빈·자오위안·퉁허·사허·자무쓰·푸진·퉁장 등의 부두가 있다. 우수리강은 후터우 아래로 400㎞, 넌장강[嫩江]은 치치하얼 아래로 395㎞이며, 모두 대형 기선이 운항할 수 있다. 통항 기간은 4월에서 11월까지이다. | ||
+ | |||
+ | 하얼빈의 옌자강 국제공항에는 [[베이징]]·[[상하이]]·[[광저우]]·[[시안]] 등의 [[도시]]로 연결되는 항공노선이 있으며, [[러시아]]의 하바롭스크까지 연결되는 국제선도 운항된다. 치치하얼에도 베이징과 헤이허로 연결되는 항로가 있다. 파이프라인 운송량은 철도 다음으로 많으며, 다칭에서 친황다오와 베이징으로 연결되는 파이프라인이 구축되어 있다. | ||
+ | |||
+ | == 관광 == | ||
+ | 산악과 하천이 백조의 형상을 하여 한폭의 그림같은 경관을 이룬다. 국가중점보호문화재도 14곳이나 된다. | ||
+ | |||
+ | 하얼빈은 여름에는 피서지로, 겨울에는 빙상 레포츠와 설국 풍경의 명소로 잘 알려져 있으며, 쑹화강 타이양섬의 아름다운 풍경이 관광객들을 사로잡는다. 부근에 있는 아청의 상경회녕부(上京会宁府) 유적지는 금(金) 나라가 중도(中都:지금의 베이징)로 천도하기 이전의 도읍지였다. 하얼빈 북동쪽에 있는 이춘[伊春]·톄리[铁力] 일대에는 삼림공원과 수렵장이 있다. | ||
+ | |||
+ | 헤이룽장성 남동부에 있는 닝안의 징보호는 국가지정 명승풍경지역으로, 20m 높이에서 떨어지는 댜오수이러우 [[폭포]]의 기세가 웅장하다. 부근에 발해의 도읍지였던 상경용천부(上京龙泉府) 궁전의 유적지가 있으며, 고대의 화산구 안에 형성된 지하삼림과 용암동굴이 기이한 경관을 이룬다. | ||
+ | |||
+ | 치치하얼의 명승지로는 시내에 다청사와 이슬람 사원이 있으며, 시 남동쪽에 있는 자룽자연보호구역은 '선학(仙鹤)의 [[고향]]'이라 불린다. 우다롄츠도 국가지정 명승풍경지역의 하나로서 14좌의 화산추와 용암석해로 유명하며, 그 특이한 지형으로 인하여 '화산박물관'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
+ | |||
+ | == 행정구역 == | ||
+ | [[파일:헤이룽장성 행정구역.png|썸네일|300픽셀|'''헤이룽장성 행정구역''']] | ||
+ | |||
+ | 지급시: | ||
+ | * 하얼빈(哈尔滨) | ||
+ | * 치치하얼(齐齐哈尔) | ||
+ | * 무단장(牡丹江) | ||
+ | * 자무쓰(佳木斯) | ||
+ | * 다칭(大庆) | ||
+ | * 지시(鸡西) | ||
+ | * 솽야산(双鸭山) | ||
+ | * 이춘(伊春) | ||
+ | * 치타이허(七台河) | ||
+ | * 허강(鹤岗) | ||
+ | * 헤이허(黑河) | ||
+ | |||
+ | 지구(地区): | ||
+ | * 다싱안링(大兴安岭) | ||
+ | |||
+ | == 지도 == | ||
+ | {{헤이룽장성 행정 지도|800}} | ||
+ | {{지도|헤이룽장성}} | ||
+ | {{다단2 | ||
+ | |{{송화강 행정 지도}} | ||
+ | |{{중국 동북지구 행정 지도}} | ||
+ | }} | ||
+ | {{다단2 | ||
+ | |{{중국 지역 지도}} | ||
+ | |{{중국 행정 지도}} | ||
+ | }} | ||
+ | |||
+ | == 동영상 == | ||
+ | <youtube>CEz5tWt-K9Y</youtube> | ||
+ | <youtube>-ENEvUBxo9E</youtube> | ||
+ | |||
+ | {{각주}} | ||
+ | |||
+ | == 참고자료 == | ||
+ | *〈[https://ko.wikipedia.org/wiki/%ED%97%88%EB%B2%A0%EC%9D%B4%EC%84%B1 허헤이룽장성]〉, 《위키백과》 | ||
+ | *〈[https://namu.wiki/w/%ED%97%A4%EC%9D%B4%EB%A3%BD%EC%9E%A5%EC%84%B1 헤이룽장성]〉, 《나무위키》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2886&cid=40942&categoryId=40018 헤이룽장성]〉, 《네이버 지식백과》 | ||
+ | * 〈[https://baike.baidu.com/item/%E9%BB%91%E9%BE%99%E6%B1%9F/7351?fromtitle=%E9%BB%91%E9%BE%99%E6%B1%9F%E7%9C%81&fromid=129397&fr=aladdin#5 黑龙江]〉, 《百度百科》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 | * [[중국]] | ||
+ | * [[하얼빈]] | ||
+ | * [[러시아]] | ||
+ | * [[네이멍구자치구]] | ||
+ | * [[지린성]] | ||
* [[하얼빈]] | * [[하얼빈]] | ||
+ | * [[치치하얼]] | ||
+ | * [[무단장]] | ||
− | {{ | + | {{중국 행정구역|검토 필요}} |
2024년 3월 3일 (일) 03:03 기준 최신판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헤이룽장성(黑龙江省 , hēi lóng jiāng shěng)또는 흑룡강성은 중국 동북부에 위치하였으며 성도는 하얼빈(哈尔滨, hā ěr bīn)이다. 동쪽은 러시아아와 접하고 서쪽은 네이멍구자치구, 남쪽은 지린성과 접하여 있다. 중국에서 가장 북쪽과 동쪽에 위치한 성급 행정구이다.
개요[편집]
헤이룽장성의 면적은 473,000km²이며 인구는 38,312,224명이다. 인구는 북한보다 많고 면적은 한반도의 2배가 조금 넘는다. 약칭은 헤이(黑hēi), 간혹 룽(龙lóng)이라고도 쓴다. '헤이룽장'이라는 이름은 이 성과 러시아의 경계를 흐르는 아무르강의 중국어 이름인 헤이룽장에서 유래했다.
행정구역은 12개 지급시(地級市)와 19개 현급시(县級市), 46개 현, 1개 자치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석기시대부터 고대 인류가 거주하였으나 과거에 '북대황(北大荒)'이라 불리며 전면적 개발이 늦게 이루어진 편이다. 1895년 청나라 조정에서 금지령을 풀어 개간을 허락하고 관내에 이주민을 안치함으로써 이른바 실변(实边) 정책을 추진하였고, 여기에 러시아와 일본 세력이 들어와 도로를 건설하고 개간을 하면서 인구가 1887년 30여만 명에서 1945년에는 4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건국 이후 대대적 변경 개발사업이 전개되어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다. 주민 구성은 한족(汉族)·만주족(满州族)·조선족(朝鲜族)·몽골족(蒙古族)·후이족(回族)·다우르족(达斡尔族)·시보족(锡伯族)·허저족(赫哲族)·오로촌족(鄂伦春族)·에벤키족(鄂温克族)·키르기스족(柯尔克孜族) 등 49개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수민족의 비율은 5.02%이다. 이 가운데 허저족은 총인구의 88.2%가, 오로촌족은 총인구의 51.9%가 헤이룽장성에 거주하며, 수렵과 삼림 부가산업 등에 능하다.[1][2]
자연환경[편집]
지형의 약 절반 정도가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는 산악, 구릉 지대이다. 지세는 북부와 중부 및 남부는 높고, 서부는 낮다.
지형은 4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① 쑹넌 평원:헤이룽장성 중서부 지역으로 둥베이 평원의 북쪽에 속하며, 해발 150~200m이다. 지세가 파도처럼 기복이 심하고, 저지대가 많다. ② 싼장 평원:헤이룽장성 동부의 헤이룽강·쑹화강·우수리강 등 3개 강 사이의 삼각지대로 지세가 낮고 평평하다. 해발 80m 정도이며 푸진 주변과 그 동쪽의 넓은 면적이 늪과 저습 지대를 이룬다. ③ 둥난 산악지역:장광차이링·라오예링·완다 산지를 포함하며, 해발 500~1000m이다. 다투 딩쯔는 해발 1690m로 헤이룽장성의 최고봉이다. ④ 싱안 산악지역:중부의 샤오싱안링과 북부의 다싱안링 동쪽 언덕 그리고 이와 연결된 이러후리산을 포함하며, 해발 800~1000m이다. 핑딩산은 해발 1429m로 샤오싱안링산맥의 최고봉이며, 우다롄츠에는 1720년 분화된 화산용암 석해(石海)가 있다.
북단이 한온대 습윤 계절풍기후인 것을 제외하고 그밖의 넓은 지역은 온대 습윤 계절풍기후에 속한다. 9월 중순을 전후로 겨울이 시작된다. 1월 평균기온은 -18℃이며, 북서쪽으로 갈수록 -30℃까지 내려간다. 7월 평균 기온은 18~22℃이며, 하얼빈·치치하얼 일대는 22℃ 정도이다. 기온의 연교차가 35℃ 이상에 이른다.
무상기간(無霜期間)은 5월 초에서 6월 초부터 시작되어 3~5개월 정도 지속된다. 일평균기온은 0℃ 이상인 날이 180~200일, 10℃ 이상인 날이 120~140일 정도이다. 모허강은 최저기온 -40℃ 이하의 혹한을 기록한 날이 최고 35.1일이다.
연강 수량은 450~600㎜이며, 여름 강수량이 연 강수량의 60%에 이른다. 치치하얼과 하얼빈을 일직선으로 한 광대한 둥베이 지역은 가을 강수량이 연강수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생장기의 농업용수 수요치는 대체로 균형을 이루지만, 치치하얼과 하얼빈 일대는 200㎜ 정도 부족하다. 주요 재해성 기후로는 싱안링산맥의 겨울철 혹한을 들 수 있다.
하천은 서부의 몇몇 내류하천과 남동부의 쑤이펀강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헤이룽강 수계에 속한다. 헤이룽강은 성내에 흐르는 길이가 3420㎞이고 유량(流量)은 황허강의 5배에 달하며, 결빙기가 6개월 정도 지속되는 아시아의 대하(大河) 가운데 하나이다.
쑹화강은 헤이룽강의 최대 지류로 총 길이 2309㎞, 성내에 흐르는 길이 939㎞이다. 둥베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하천으로, 발원지는 백두산 천지(天池)이며, 싼차강에 이르러 넌장강과 합류한다. 결빙기는 약 5개월이다.
쑹넌 평원과 싼장 평원의 지하수는 지하 0.1~2m 정도이며, '파오쯔'라고 부르는 크고 작은 호수가 많이 있다. 싼장 평원에 물이 고여서 만들어진 넓은 저지대 호수의 배수 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증발현상이 미미하거나 물이 스며들지 않는 점토층으로 인하여 물이 고여 늪지대가 형성되었다. 비교적 큰 호수로는 중국과 러시아의 접경지역에 있는 싱카이호로 총면적 4380㎢이다. 이밖에 징보호와 우다롄츠는 모두 고대 화산 용암류로 형성된 화산호이며, 면적은 각각 95㎢와 19㎢이다.
역사[편집]
헤이룽장성 지역의 역사적인 기록은 빈약하다. 진대부터 숙신, 예맥, 동호의 삼대 민족계통이 살아오고 있었다. 숙신은 한대의 읍루이며 위진 시대에는 물길, 수당시대에는 말갈, 송대에는 여진이라고 불렸으며 청대에는 만주라고 칭하였다.
헤이룽장성 일대에서 처음으로 일어선 국가는 예맥 계통의 부여이다. 고구려는 부여로부터 갈라져 나왔다. 헤이룽장성의 동부는 발해가 7세기부터 10세기까지 지배했었다. 그 후 여진족의 금 왕조가 회령부(지금의 하얼빈시 아청구 바이청) 지역에서 발흥하여 중국 북부를 지배했었다.
원대에는 개원로(開元路), 수달달로(水達達路)가 설치되어 랴오양행성(遼陽行省)에 속하게 되었다.
명대에는 노아간도사(奴兒干都司)가 여진족들을 간접적으로 지배했었다.
청나라 초기에는 영고탑앙방장경(寧古塔昻邦章京)이 설치되었다가 후에 현재의 지린성으로 옮긴 후 지린장군으로 개칭한다. 1683년 (강희 22년) 새로 헤이룽장 장군이 증설되어 헤이룽장성 유역의 광재한 지역을 관할하였다. 그 범위는 북쪽으로 스타노보이 산맥에까지 이르렀다. 동북 지방은 한족이 이주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1858년과 1860년에 청 정부가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사이의 땅을 포기하고 러시아에게로 넘기게 되면서 헤이룽장성은 현재의 북동쪽 경계를 가지게 되었다. 동시에 한족에 대한 동북 지역의 봉금령이 풀리면서 한족들이 대거 이주하기 시작하여 이미 20세기 초반에는 한족 인구가 주가 되게 되었다. 1932년에는 헤이룽장성이 일제의 괴뢰정부인 만주국의 한 부분이 되기도 했다. 1945년 일제의 패망 이후 소련 군대가 동북지방에 들어와서 거의 대부분의 통제권을 중국의 공산주의자들에게 주게 된다. 헤이룽장성은 처음으로 중국인 공산주의자들에 의하여 완전히 통치되는 지역이 된다. 동북지역으로부터 공산주의자들은 국공 내전을 실행할 준비를 하게 된다.
공산당의 지배가 시작되면서 헤이룽장성은 치치하얼을 성도로 하여 현재의 서부 지역만을 차지하게 되었다. 나머지 지역은 하얼빈을 성도로 하는 쑹장 성이 통치를 하였다. 1954년에 두 지역이 합쳐지면서 현재의 헤이룽장성을 이루게 되었다. 문화 대혁명 시기 동안 헤이룽장성은 네이멍구 자치구의 후룬베이얼 맹을 흡수하여 팽창하였으나 복귀되었다.
1959년 다칭 유전이 개발되면서 전국 최대의 생산을 자랑하기도 했으나, 근래에 생산량이 급감하였다.
산업[편집]
광활한 중국에서도 토지자원의 대성(大省)으로 꼽힌다. 경작지와 개간 가능한 황무지의 면적이 넓어서 1인당 평균 경작지 면적이 0.4ha에 이른다. '북대황(北大荒)'이라 부르는 광대한 평원지대는 흑토가 비옥하여 농경지로 개간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삼림 면적은 전국의 13.6%를 차지하며, 삼림 지역 점유율이 높은 편으로 35.6%이다. 활립목의 저장량은 15억㎡가 넘으며, 갈대의 저장량도 전국에서 선두권이다. 주요 수종으로는 홍송과 낙엽송 등이 있다. 야생자원으로는 진귀한 약재인 인삼·가시오가피·용담초·녹용·웅담 등이 있으며, 족제비가죽·잣·원숭이머리버섯·흑목이·야생시호 등도 있다. 에너지자원의 대성(大省)으로서 석유·천연가스·석탄 매장량이 모두 풍부하며, 사금광·흑연·대리석·형석광 등의 매장량은 전국에서 상위권이다.
농업 경작지는 전국의 9.5%를 차지하는데, 이 가운데 절반 가까운 경작지가 1950년대 이후에 개발되었으며, 밭농사가 90%를 차지한다. 100여 곳에 이르는 국영농장의 경작지가 전국 개간 시스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농업 기계화가 발달하여 기계 경작 면적이 전체 경작지 면적의 3분의 2를 차지하며, 농업 총 생산액이 전국에서 중간 순위이다. 이 가운데 재배업이 66%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삼림업이 3%, 목축업이 28%, 어업이 3%를 차지한다.
주요 식량작물은 옥수수·밀·벼이며, 콩·감자의 생산량은 모두 전국에서 1위이다. 경제 작물로는 사탕무·아마·해바라기의 생산량이 전국적으로 확연한 우세를 보인다. 임업과 삼림 부가상품의 생산성도 높다. 또 목축업의 생산기지로서 낙농업은 전국적으로 우세가 뚜렷하며, 젖소 사육량과 우유 생산량이 모두 전국 1위이다. 헤이룽강과 쑹화강, 우수리강과 싱카이호 등지는 민물어업 생산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산품은 삼림 생산품이 특히 풍부하다. 싱안 삼림지역의 홍송잣은 피부를 젊게 하는 효능이 있고, 개암나무의 열매는 감미로운 맛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밖에 야생시호·까막까치밥나무·버섯과 한방 약초도 특산품으로 알려져 있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된 고사리는 성 전체의 산나물 총 수출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그리고 일본인들에게 '산 속의 진미'라고 불리는 고비나물도 있다. 버섯은 원숭이 머리버섯·개암버섯·송이버섯 등을 비롯하여 60여 종이 생산된다.
진귀한 약재로는 인삼·녹용·가시오가피·방풍·하스마(蛤士蟆)기름 등이 있다. 부정고본(扶正固本)의 효험이 있는 가시오가피는 주로 둥베이 지역에서 생산되는데, 헤이룽장성의 생산품이 특히 뛰어나다. 동물모피로는 긴목족제비가죽과 스라소니가죽, 수달가죽 등이 뛰어난 품질로 수요가 많다.
그밖의 농업 특산품으로는 둥베이의 반가는털양, 헤이룽강의 하바이 돼지, 빈의 백닭, 빈베이의 젖염소 그리고 헤이룽강과 우수리강에서 나는 육질이 부드럽고 알의 영양이 풍부한 연어 등이 있다. 음식 특산품으로는 하얼빈의 유럽식 소시지와 바게트, 술맛 나는 초콜릿 등이 있다. 또 안다[安达]의 분유와 치즈, 타이양다오맥주, 우다롄츠의 광천수 등도 널리 알려진 특산품이다.
20세기 초부터 일본과 러시아의 식민세력이 삼림과 탄광에 대한 약탈적 개발을 자행하였다. 새로운 중국이 건설된 뒤로는 국가 공업건설의 중점지역이 되었으며, 삼림·화학·식품 등을 위주로 한 다양한 공업 시스템이 형성되었다. 공업 총 생산액이 농공업 총 생산액의 77%를 차지하며, 경공업과 중공업의 비율은 1 대 3이다.
중공업 중에서는 채굴과 원재료 공업의 비중이 65% 이상을 차지하며 안정적이다. 석유공업과 삼림공업은 전국 1위, 석탄공업은 전국 2위이다. 전국의 유전 가운데 1위인 다칭유전을 비롯하여 지시·허강·솽야산·치타이허 등 4개의 탄광을 보유하고 있다.
푸라얼지의 야련(冶炼) 설비와 중형기계, 하얼빈의 발전설비(보일러·가스터빈·화력발전 등 3대 발전소 포함)를 핵심으로 하는 기계공업은 성 전체 공업 생산액의 22%를 차지한다. 특히 하얼빈에서 생산되는 발전설비는 전국 총 생산의 3분의 1이 넘는다.
이 밖에 베어링·측정기·절삭공구 등 국가중점 전문공장과 중국 최대의 아마 방직공장이 있다. 치치하얼의 합금주철과 자동차 공업, 이춘의 삼림공업, 다칭의 유전과 석유공업, 무단장의 화학공업, 자무쓰의 제지공업도 모두 매우 발달하였다. 유제품 생산량은 전국 총 생산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교통[편집]
국제교통 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철도의 운행거리는 5503㎞로 징하·빈쑤이·빈저우·빈베이·하자·무자·핑치·퉁랑 등 20여 지선이 있다. 이 지선들은 하얼빈과 치치하얼의 양 철도국에 속하며, 성내의 3분의 2에 해당되는 시현(市县)으로 연결된다. 쑤이펀강에는 대외적으로 개방된 철로 국경출입구가 있다.
도로의 길이는 6만 3046㎞이며, 퉁장~싼야,쑤이펀강~만저우리, 징하 등 9개 국도가 있다. 하얼빈~다칭, 하얼빈~창춘~베이징, 하얼빈~쑤이펀강, 쑤이펀강~퉁장 등 고등급의 고속도로도 개통되었다.
내하의 항로 길이는 5057㎞이며, 북부 지역의 성들 가운데 가장 길다. 헤이룽강과 쑹화강의 항로 길이는 각각 1890㎞와 928㎞이며, 모두 대형 기선이 운항할 수 있다. 그리고 헤이룽강을 모허강·후마·헤이허·쉰커·자인·자오싱·푸위안 부두가 있고, 쑹화강을 따라 하얼빈·자오위안·퉁허·사허·자무쓰·푸진·퉁장 등의 부두가 있다. 우수리강은 후터우 아래로 400㎞, 넌장강[嫩江]은 치치하얼 아래로 395㎞이며, 모두 대형 기선이 운항할 수 있다. 통항 기간은 4월에서 11월까지이다.
하얼빈의 옌자강 국제공항에는 베이징·상하이·광저우·시안 등의 도시로 연결되는 항공노선이 있으며, 러시아의 하바롭스크까지 연결되는 국제선도 운항된다. 치치하얼에도 베이징과 헤이허로 연결되는 항로가 있다. 파이프라인 운송량은 철도 다음으로 많으며, 다칭에서 친황다오와 베이징으로 연결되는 파이프라인이 구축되어 있다.
관광[편집]
산악과 하천이 백조의 형상을 하여 한폭의 그림같은 경관을 이룬다. 국가중점보호문화재도 14곳이나 된다.
하얼빈은 여름에는 피서지로, 겨울에는 빙상 레포츠와 설국 풍경의 명소로 잘 알려져 있으며, 쑹화강 타이양섬의 아름다운 풍경이 관광객들을 사로잡는다. 부근에 있는 아청의 상경회녕부(上京会宁府) 유적지는 금(金) 나라가 중도(中都:지금의 베이징)로 천도하기 이전의 도읍지였다. 하얼빈 북동쪽에 있는 이춘[伊春]·톄리[铁力] 일대에는 삼림공원과 수렵장이 있다.
헤이룽장성 남동부에 있는 닝안의 징보호는 국가지정 명승풍경지역으로, 20m 높이에서 떨어지는 댜오수이러우 폭포의 기세가 웅장하다. 부근에 발해의 도읍지였던 상경용천부(上京龙泉府) 궁전의 유적지가 있으며, 고대의 화산구 안에 형성된 지하삼림과 용암동굴이 기이한 경관을 이룬다.
치치하얼의 명승지로는 시내에 다청사와 이슬람 사원이 있으며, 시 남동쪽에 있는 자룽자연보호구역은 '선학(仙鹤)의 고향'이라 불린다. 우다롄츠도 국가지정 명승풍경지역의 하나로서 14좌의 화산추와 용암석해로 유명하며, 그 특이한 지형으로 인하여 '화산박물관'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행정구역[편집]
지급시:
- 하얼빈(哈尔滨)
- 치치하얼(齐齐哈尔)
- 무단장(牡丹江)
- 자무쓰(佳木斯)
- 다칭(大庆)
- 지시(鸡西)
- 솽야산(双鸭山)
- 이춘(伊春)
- 치타이허(七台河)
- 허강(鹤岗)
- 헤이허(黑河)
지구(地区):
- 다싱안링(大兴安岭)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