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한국전력공사

위키원
leejia1222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8월 1일 (월) 17:4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국전력공사(韓國電力公社, KEPCO)
한국전력공사(韓國電力公社, KEPCO)

한국전력공사(韓國電力公社,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는 대한민국의 전력공급을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이다. 간략히 한전이라고 부른다.

개요

연혁

  • 1898년 1월 한성전기회사 설립
  • 1961년 공포된 한국전력주식회사법에 따라 조선전업(주)·남선전기(주)·경성전기(주)를 통합한 한국전력(주) 설립
  • 1964년 제한 송전을 전면 해제
  • 1978년 고리원자력발전소(1호)를 준공
  • 1979년 청평수력발전소(1호기)
  • 1980년 울릉도내연발전소를 준공
  • 1981년 1월 한국전력주식회사 해산 등기 및 한국전력공사 설립 등기
  • 1982년 1월 1일 한국전력공사 발족
  • 1989년 정부 전액출자에서 주식회사 형태로 전환
  • 1994년 뉴욕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
  • 2001년 4월 발전부문을 한국남동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한국수력원자력(주)의 6개 자회사로 분리
  • 2011년 1월 화력발전 5개의 양수발전 사업을 분할하여 한국수력원자력(주)로 합병
  • 2014년 12월 본사를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혁신도시로 이전

국내사업

송배전 사업

한국전력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세계 최고수준의 고품질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신뢰도 높은 송배전 계통 구축과 기술개발로 고품질 전력을 공급한다.

송변전 사업

  • 송변전 건설 및 운영 : 대한민국은 지정학적으로 전력계통이 고립되어 일본, 중국 등 주변국과 전력 수출입이 불가능한 상황이며, 전기의 생산은 주로 남동부 지역에, 소비는 수도권 지역에 편중됨으로써 장거리 전력수송을 위한 송전망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은 전국을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다중환상망(Multi-loop) 형식의 신뢰도 높은 송변전계통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도심을 지나가는 지중 송전설비는 감시제어시스템을 설치하여 안전하게 운전하고 있으며,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높은 효율의 송전망을 운영하고 있다. 향후에도 고품질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겠다는 목표로 345kV 송전선로와 154kV 송전선로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기존 송전망에 1990년부터 단계적으로 미래 기간망인 765kV 대전력 송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2017년에는 345kV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신설사업 등 169개 사업을 적기 준공하였으며, 기존 송전망의 손실감소와 설비 이용 효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최신기술(FACTS, TCSC 등)을 확대 적용하고 있다. 진도-제주간 HVDC(초고압 직류송전) 해저케이블과 변환소 건설도 완료하여 현재 운전 중에 있다. 또한, 765kV 송전선로의 안정도 향상과 중부지역 발전력 융통을 위한 북당진-고덕간 500kV급 HVDC 사업과 육지-제주간 전력계통 연계 강화를 위한 #3HVDC 건설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대형고장 예방을 위하여 도심지 지하 다회선 전력구 내 케이블 감시시스템을 설치, 운영 중이며 154kV 선로용 피뢰기 설치 등 설비보강과 변전소 종합 예방진단 시스템 구축, 송전선로 GPS 좌표를 활용한 자율비행 드론, 변전소 설비점검용 로봇 등의 개발을 추진하는 등 전력공급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방면에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765kV 송변전 설비 : 한국전력은 전력수요의 중심지인 수도권 지역과 대단위 발전단지 간의 심화된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국토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765kV 송전전압 격상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당진화력 발전소~신서산~신안성 변전소 간 175.9km 선로 및 신태백~신가평 변전소 간 154.9km 선로가 준공되어 운전되고 있으며 이어 2006년 4월 울진원자력 발전소~신태백 변전소 간 46.5km 송전선로도 765kV 설비로 준공되었다. 또한, 신안성변전소와 신가평변전소 간 765kV 1회선 송전선로(75km)도 건설하여 2010년 4월 운영에 들어갔으며, 신고리발전소와 북경남변전소 간 2회선 송전선로(91km)를 추가로 건설하여 운영 중에 있다. 이들 선로는 수도권과 영남권의 계통전압 향상 및 수급여건 개선에 큰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대용량 발전소의 생산전력을 효과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765kV 송전방식의 경우 345kV에 비해 수송 능력은 약 3.4배 크며, 동일 전력수송 시 부지면적은 53% 정도로 줄어들고, 송전손실을 1/7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765kV 격상사업은 각종 신기술 및 신공법 적용으로 국내 시공업체와 기자재 업체의 기술 수준을 향상하고,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배전 사업

한국전력공사에서는 '한국전력공사 - 스마트 에너지 크리에이터(KEPCO - A Smart Energy Creator)’라는 회사 비전 아래 지속적인 전력사용량 증가에 상응하는 배전설비 확충과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완벽한 품질의 전력공급을 위한 신뢰도 향상 등 배전사업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0년 8월말 기준 배전선로 긍장은 약 52만c-Km, 지지물은 989만기, 공급능력을 나타내는 변압기는 237만대에 달하는 방대한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고장 및 재해 발생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도심지 이외의 개소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태풍, 염·진해 등 자연재해에 의한 고장발생 예방뿐 아니라 도시미관 개선에도 유리한 지중배전설비의 건설은 크게 신도시 등 대규모 단지개발사업자의 요청에 의하여 처음부터 지중으로 건설하는 지중 신규사업과 기존의 가공배전선로를 지중으로 매설하는 지중화 사업 두 가지 형태로 점점 확대되고 있다. 1975년 9월 서울 사대문 내 주요 간선도로변에 복잡하게 시설되어 있는 가공전선 정비 필요성 제기에 따라 지중화 사업계획을 수립한 이후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미관 개선을 위한 전력설비의 지중화 요구 및 빌딩의 고층화와 인텔리전트 빌딩의 확산 등으로 도심지 부하가 고밀도화 함에 따라 지중화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한편 최근 지중 배전설비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다수의 지중배전용 개폐기, 변압기와 같은 지상기기를 보도 등에 설치함으로써 인접 주민의 민원 및 보행자의 통행불편 등 미관을 저해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수전용량별 전기설비 설치공간을 확보토록 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 시행토록 하며 도시 미관의 획기적 개선 및 쾌적한 환경조성과 보행자 편의 증진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직도

한국전력공사 조직도
 

지역 본부

  • 서울지역본부
  • 남서울지역본부
  • 인천지역본부
  • 경기북부지역본부
  • 경기지역본부
  • 강원지역본부
  • 충북지역본부
  •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 전북지역본부
  • 광주전남지역본부
  • 대구지역본부
  • 경북지역본부
  • 부산울산지역본부
  • 경남지역본부
  • 제주지역본부

해외 지사

  • 북경지사
  • 뉴욕지사
  • 리야드지사
  • 동경지사
  • 하노이지사
  • 요하네스버그지사
  • 런던지사

자회사

  • 한국수력원자력(주)
  • 한국남동발전(주)
  • 한국중부발전(주)
  • 한국서부발전(주)
  • 한국남부발전(주)
  • 한국동서발전(주)
  • 한전KPS(주)
  • 한전산업개발(주)
  • 한전원자력연료(주)
  • 한전KDN(주)
  • 한국전력기술(주)

각주

  1. 김종갑(1951)〉, 《나무위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한국전력공사 문서는 공공기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