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韓國電力公社,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는 대한민국의 전력공급을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이다. 간략히 한전이라고 부른다.
개요
연혁
- 1898년 1월 한성전기회사 설립
- 1961년 공포된 한국전력주식회사법에 따라 조선전업(주)·남선전기(주)·경성전기(주)를 통합한 한국전력(주) 설립
- 1964년 제한 송전을 전면 해제
- 1978년 고리원자력발전소(1호)를 준공
- 1979년 청평수력발전소(1호기)
- 1980년 울릉도내연발전소를 준공
- 1981년 1월 한국전력주식회사 해산 등기 및 한국전력공사 설립 등기
- 1982년 1월 1일 한국전력공사 발족
- 1989년 정부 전액출자에서 주식회사 형태로 전환
- 1994년 뉴욕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
- 2001년 4월 발전부문을 한국남동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한국수력원자력(주)의 6개 자회사로 분리
- 2011년 1월 화력발전 5개의 양수발전 사업을 분할하여 한국수력원자력(주)로 합병
- 2014년 12월 본사를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혁신도시로 이전
국내사업
송배전 사업
한국전력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세계 최고수준의 고품질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신뢰도 높은 송배전 계통 구축과 기술개발로 고품질 전력을 공급한다.
송변전 사업
- 송변전 건설 및 운영 : 대한민국은 지정학적으로 전력계통이 고립되어 일본, 중국 등 주변국과 전력 수출입이 불가능한 상황이며, 전기의 생산은 주로 남동부 지역에, 소비는 수도권 지역에 편중됨으로써 장거리 전력수송을 위한 송전망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은 전국을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다중환상망(Multi-loop) 형식의 신뢰도 높은 송변전계통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도심을 지나가는 지중 송전설비는 감시제어시스템을 설치하여 안전하게 운전하고 있으며,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높은 효율의 송전망을 운영하고 있다. 향후에도 고품질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겠다는 목표로 345kV 송전선로와 154kV 송전선로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기존 송전망에 1990년부터 단계적으로 미래 기간망인 765kV 대전력 송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2017년에는 345kV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신설사업 등 169개 사업을 적기 준공하였으며, 기존 송전망의 손실감소와 설비 이용 효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최신기술(FACTS, TCSC 등)을 확대 적용하고 있다. 진도-제주간 HVDC(초고압 직류송전) 해저케이블과 변환소 건설도 완료하여 현재 운전 중에 있다. 또한, 765kV 송전선로의 안정도 향상과 중부지역 발전력 융통을 위한 북당진-고덕간 500kV급 HVDC 사업과 육지-제주간 전력계통 연계 강화를 위한 #3HVDC 건설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대형고장 예방을 위하여 도심지 지하 다회선 전력구 내 케이블 감시시스템을 설치, 운영 중이며 154kV 선로용 피뢰기 설치 등 설비보강과 변전소 종합 예방진단 시스템 구축, 송전선로 GPS 좌표를 활용한 자율비행 드론, 변전소 설비점검용 로봇 등의 개발을 추진하는 등 전력공급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방면에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765kV 송변전 설비 : 한국전력은 전력수요의 중심지인 수도권 지역과 대단위 발전단지 간의 심화된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국토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765kV 송전전압 격상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당진화력 발전소~신서산~신안성 변전소 간 175.9km 선로 및 신태백~신가평 변전소 간 154.9km 선로가 준공되어 운전되고 있으며 이어 2006년 4월 울진원자력 발전소~신태백 변전소 간 46.5km 송전선로도 765kV 설비로 준공되었다. 또한, 신안성변전소와 신가평변전소 간 765kV 1회선 송전선로(75km)도 건설하여 2010년 4월 운영에 들어갔으며, 신고리발전소와 북경남변전소 간 2회선 송전선로(91km)를 추가로 건설하여 운영 중에 있다. 이들 선로는 수도권과 영남권의 계통전압 향상 및 수급여건 개선에 큰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대용량 발전소의 생산전력을 효과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765kV 송전방식의 경우 345kV에 비해 수송 능력은 약 3.4배 크며, 동일 전력수송 시 부지면적은 53% 정도로 줄어들고, 송전손실을 1/7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765kV 격상사업은 각종 신기술 및 신공법 적용으로 국내 시공업체와 기자재 업체의 기술 수준을 향상하고,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배전 사업
한국전력공사에서는 '한국전력공사 - 스마트 에너지 크리에이터(KEPCO - A Smart Energy Creator)’라는 회사 비전 아래 지속적인 전력사용량 증가에 상응하는 배전설비 확충과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완벽한 품질의 전력공급을 위한 신뢰도 향상 등 배전사업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0년 8월말 기준 배전선로 긍장은 약 52만c-Km, 지지물은 989만기, 공급능력을 나타내는 변압기는 237만대에 달하는 방대한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고장 및 재해 발생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도심지 이외의 개소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태풍, 염·진해 등 자연재해에 의한 고장발생 예방뿐 아니라 도시미관 개선에도 유리한 지중배전설비의 건설은 크게 신도시 등 대규모 단지개발사업자의 요청에 의하여 처음부터 지중으로 건설하는 지중 신규사업과 기존의 가공배전선로를 지중으로 매설하는 지중화 사업 두 가지 형태로 점점 확대되고 있다. 1975년 9월 서울 사대문 내 주요 간선도로변에 복잡하게 시설되어 있는 가공전선 정비 필요성 제기에 따라 지중화 사업계획을 수립한 이후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미관 개선을 위한 전력설비의 지중화 요구 및 빌딩의 고층화와 인텔리전트 빌딩의 확산 등으로 도심지 부하가 고밀도화 함에 따라 지중화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한편 최근 지중 배전설비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다수의 지중배전용 개폐기, 변압기와 같은 지상기기를 보도 등에 설치함으로써 인접 주민의 민원 및 보행자의 통행불편 등 미관을 저해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수전용량별 전기설비 설치공간을 확보토록 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 시행토록 하며 도시 미관의 획기적 개선 및 쾌적한 환경조성과 보행자 편의 증진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직도
지역 본부
- 서울지역본부
- 남서울지역본부
- 인천지역본부
- 경기북부지역본부
- 경기지역본부
- 강원지역본부
- 충북지역본부
-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 전북지역본부
- 광주전남지역본부
- 대구지역본부
- 경북지역본부
- 부산울산지역본부
- 경남지역본부
- 제주지역본부
해외 지사
- 북경지사
- 뉴욕지사
- 리야드지사
- 동경지사
- 하노이지사
- 요하네스버그지사
- 런던지사
자회사
- 한국수력원자력(주)
- 한국남동발전(주)
- 한국중부발전(주)
- 한국서부발전(주)
- 한국남부발전(주)
- 한국동서발전(주)
- 한전KPS(주)
- 한전산업개발(주)
- 한전원자력연료(주)
- 한전KDN(주)
- 한국전력기술(주)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images/b/bf/%EA%B2%80%EC%88%98%EC%9A%94%EC%B2%AD.png) 이 한국전력공사 문서는 공공기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단체 : 공공기관 □■⊕, 대학교, 협회, 법무법인, 블록체인 지원기관
|
|
한국 중앙행정기관
|
가정법원 • 감사원 • 검찰청 • 경찰청 • 고등법원 • 고용노동부 • 공정거래위원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관세청 • 교육부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국가기록원 • 국가보훈처 • 국가안보실 • 국가안전보장회의 • 국가인권위원회 • 국가정보원 • 국무조정실 • 국무회의 • 국민경제자문회의 • 국민권익위원회 • 국민안전처 • 국방부 • 국세심판원 • 국세청 • 국토교통부 • 국회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국회도서관 •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국회 운영위원회 • 국회 재난안전대책특별위원회 • 국회 정무위원회 • 금융감독원 • 금융결제원 • 금융위원회 • 기상청 • 기획재정부 • 농림축산식품부 • 대법원 • 대통령경호처 • 대통령비서실 •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 미래창조과학부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 방송통신위원회 • 방위사업청 • 법무부 • 법원 • 법제처 • 병무청 • 보건복지부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 산림청 • 산업통상자원부 • 새만금개발청 • 소방청 • 식품의약품안전처 • 여성가족부 • 외교부 • 원자력안전위원회 • 육군교육사령부 • 인사혁신처 • 조달청 • 중소벤처기업부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지방법원 • 청와대 • 통계청 • 통일부 • 특허법원 • 특허청 • 해양수산부 • 행정법원 • 행정안전부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헌법재판소 • 환경부
|
|
한국 지방자치단체
|
강원도청 • 경기도청 • 경상남도청 • 경상북도청 • 광주광역시청 • 대구광역시청 • 대전광역시청 • 부산광역시청 • 서울특별시청 • 울산광역시청 • 인천광역시청 • 전라남도청 • 전라북도청 • 제주특별자치도청 • 충청남도청 • 충청북도청
|
|
서울시 지방자치단체
|
강남구청 • 강동구청 • 강북구청 • 강서구청 • 관악구청 • 광진구청 • 구로구청 • 금천구청 • 노원구청 • 도봉구청 • 동대문구청 • 동작구청 • 마포구청 • 서대문구청 • 서울특별시의회 • 서초구청 • 성동구청 • 성북구청 • 송파구청 • 양천구청 • 영등포구청 • 용산구청 • 은평구청 • 종로구청 • 중구청 • 중랑구청
|
|
한국 공공기관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국가기술표준원 • 국가보안기술연구소 • 국민연금공단 • 국방과학연구소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금융보안원 • 기술신용보증기금 • 나로우주센터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대한석탄공사 • 도로교통공단 • 부산경제진흥원 • 부산테크노파크 • 서울관광재단(STO) • 서울교통공사 • 서울산업진흥원 • 서울의료원 •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 서울창업허브 • 소프트웨어공제조합 • 신용보증기금 • 우정사업본부 • 전력연구원 •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 정부정보화협의회 • 제주산학융합원 •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중앙전파관리소 • 창업진흥원 • 충남테크노파크 • 충청북도지식산업진흥원 • 치안정책연구소 • 코트라(KOTRA) • 한국가스공사 • 한국가스안전공사 • 한국간편결제진흥원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한국관광공사 • 한국교통안전공단 • 한국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한국기계연구원 • 한국남부발전㈜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Kdata) • 한국데이터산업협회(KODIA) • 한국도로공사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 한국법제연구원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한국산업인력공단 •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 • 한국생산성본부(KPC) • 한국석유공사 • 한국에너지공단 • 한국예탁결제원(KSD)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한국저작권위원회(KCC) • 한국전력공사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 한국조폐공사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 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 • 한국철도공사 •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 • 한국투자공사(KIC)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중국 공공기관
|
국무원 • 상하이고급인민법원 • 선전시인민정부 • 중국공업정보화부 • 중국과학원 • 중국국가데이터센터 • 중국상무부 • 중국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중국소비자협회 • 홍콩 증권선물위원회 • 홍콩사이언스파크
|
|
일본 공공기관
|
일본 금융청
|
|
미국 공공기관
|
국제외교위원회 • 금융범죄단속네트워크 • 뉴욕 금융감독청 • 미국 국가안보국 •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 미국 국방부 • 미국 국토안보부 • 미국 상무부 •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 미국 연방수사국 • 미국 재무부 • 미국 중앙정보국(CIA)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 미국 환경보호청(EPA) • 질병통제예방센터 • 트레이드 커미셔너 서비스
|
|
유럽 공공기관
|
국가두마 • 독일연방경제에너지부 • 리투아니아 재무부 • 바핀 • 비즈니스 프랑스 • 에프엠에이 리히텐슈타인 • 영국 국민건강보험 • 유럽의회 • 유엔 유럽경제위원회 • 카탈루냐 열린정부 컨소시엄 • 핀마(FINMA)
|
|
기타 지역 공공기관
|
국립전자컴퓨터기술센터 • 버뮤다 통화감독청(BMA) • 싱가포르 관광청 • 싱가포르 전시 컨벤션 뷰로 • 오픈서트허브 • 우즈베키스탄 국가지질광물자원위원회 • 우즈베키스탄 프로젝트 관리청(NAPM) • 주한 러시아 무역대표부
|
|
국제기구
|
WFP 이노베이션 액셀러레이터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국제원자력기구(IAEA) • 글로벌주거환경포럼(GFHS) •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TAFT) • 나토(NATO) • 미주기구(OAS) • 세계무역기구(WTO) • 아세안 • 아시아생산성기구(APO) • 유네스코(UNESCO) • 유럽연합(EU) • 유럽위원회(EC) • 유엔 • 유엔무역개발협의회(UNCTAD) •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한국 자동차, 독일 자동차, 유럽 자동차, 미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일본 자동차,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자동차 관리,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충전
|
고속충전 • 과방전 • 과충전 • 교류충전 • 급속 • 급속충전 • 도전 • 동시충전 • 무선충전 • 방전 • 선로 • 수소충전 • 순차충전 • 완속 • 완속충전 • 완전충전(완충) • 완전방전(완방) • 저속충전 • 직류충전 • 초고속충전 • 초급속충전 • 충방전 • 충전 • 충전상태 • 충전시간 • 트립
|
|
충전기
|
AC3상 • AC단상 • AC충전기 • DC충전기 • DC콤보 • DC콤보1 • DC콤보2 • J1772 어댑터 • 개인용 충전기 • 결합충전(CSS) • 계량기 • 고속충전기 • 공용충전기 • 과금형 콘센트 • 급속충전기 • 낙스(NACS) • 데스티네이션 차저 • 로봇충전기 • 무선충전기 • 무인충전기 • 미콘 • 방전건 • 벽걸이 충전기 • 분산형 충전기 • 비공용충전기 • 비상용 충전기 • 소켓 • 솔라루프 • 수소충전기 • 슈퍼차저 • 스탠드 릴형 충전기 • 스탠드형 충전기 • 어댑터 • 온보드차저 • 완속충전기 • 월차저 • 이동형 충전기 • 이브이라인 • 인렛 • 저속충전기 • 전기계량기 • 전기자동차 충전기 • 전용충전기 • 점프스타터 • 차데모(CHAdeMO) • 차지콘 • 초급속충전기 • 충전건 • 충전구 • 충전기 • 충전기 어댑터 • 충전요금 • 충전카드 • 충전케이블 • 충전포트 • 충전플러그 • 커넥터 • 콘센트 • 하이차저 • 휴대형 충전기
|
|
충전소
|
H 무빙 스테이션 • 급속충전소 • 수소충전소 • 완속충전소 • 전기충전소 • 초급속충전소 • 충전소 • 캐노피
|
|
충전 서비스
|
나이스차저 • 모두의충전 • 아이파킹 • 알차저 • 에스에스차저 • 이밥(eBAB) • 이볼트 • 이온 • 이브이라운지 • 이브이인프라 • 이브이플러그 • 이비랑 • 이피트 • 일렉베리 • 조이이브이 • 지차저 • 충전국밥 • 케이차저 • 켑코플러그 • 한화모티브 • 해피차저 • 헬로플러그인 • 휴맥스차저
|
|
한국 충전기 회사
|
남부산전㈜ • 남부솔루션㈜ • 대영채비㈜ • ㈜대유플러스 • ㈜레드이엔지 • ㈜매니지온 • ㈜맥플러스 • ㈜모던텍 • 모트렉스이브이㈜ • 보타리에너지㈜ • ㈜삼성이브이씨 • ㈜새누 • ㈜설악에너텍 • 성민기업 • ㈜소프트베리 • ㈜스마트포트테크놀로지 • ㈜스칼라데이터 • ㈜스타코프 • ㈜스필 • ㈜씨어스 • 아우토크립트㈜ • ㈜애플망고 • ㈜에바 • ㈜에버온 • ㈜에스이피 • 에스케이브로드밴드㈜ • 에스케이시그넷㈜ • 에스트래픽㈜ • 에이치엘비생명과학㈜ • 에이치엘비일렉㈜ • 엘에스이링크㈜ • ㈜엘지헬로비전 • 와이더블유모바일㈜ • 옴니시스템㈜ • ㈜이노케이텍 • ㈜이엔 • ㈜이엔에이치에너지 • 이엔테크놀로지㈜ • ㈜이지차저 • ㈜이카플러그 • ㈜인피니티웍스 •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 조이이브이 • ㈜종하아이앤씨 • 중앙제어㈜ • 지에스에너지㈜ • 지에스칼텍스㈜ • ㈜지엔텔 • 지에스커넥트㈜ • ㈜차지비 • ㈜차지인 • ㈜참빛이브이씨 • 코하이젠㈜ • ㈜클린일렉스 • ㈜타디스테크놀로지 • ㈜티비유 • ㈜티엘컴퍼니 • ㈜파워큐브코리아 • 파킹클라우드㈜ • ㈜펌프킨 • ㈜플러그링크 • 하이넷(수소에너지네트워크㈜) •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 •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 한국전력공사 • 한국전자금융㈜ • ㈜한국충전연합 • 한국컴퓨터㈜ • 한국홈충전기렌탈㈜ • 한화솔루션㈜ • 홈앤서비스㈜ • ㈜휴맥스이브이
|
|
글로벌 충전기 회사
|
ABB • RWE • 과사달 • 국가전망 • 도쿄전력㈜ • 로열더치쉘 • 만마고분 • 베바스토 • 브리티시페트롤리엄 • 비티씨파워 • 성성충전 • 솔라엣지 • 아이오니티 • 에파섹 • 이브이고(EV고) • 일렉트리파이 아메리카 • 지멘스 • 차지포인트 • 특래전 • 특예덕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