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창더시

위키원
(常德市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후난성 위치

창더시(중국어: 常德市 cháng dé shì)는 중국 후난성 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창더시의 면적은 18,177㎢이며 인구는 5,279,102명(2020년)이다. 동쪽은 화룽현(华容县, 화용현), 난현(南县, 남현), 위안장시(沅江市, 원강시), 남쪽은 타오장현(桃江县, 도강현), 안화현(安化县), 서쪽은 위안링현(沅陵县, 원릉현), 츠리현(慈利县, 자리현), 쌍즈현(桑植县, 상식현), 북쪽은 후베이성(湖北省)의 허펑현(鹤峰县, 학봉현), 쑹쯔시(松滋市, 송자시)·궁안현(公安县, 공안현), 스서우시(石首市, 석수시) 등의 현 및 시와 접하고 있다.

시 인민 정부는 우링구(武陵区, 무릉구)에 소재하며 성회 창사시(长沙市, 장사시)로부터 189㎞ 거리에 위치한다. 행정구획은 우링구(武陵区, 무릉구), 딩청구(鼎城区, 정성구)의 2개 시할구(市辖区), 진스시(津市市, 진시시)의 1개 현급시, 안샹현(安乡县, 안향현), 한서우현(汉寿县, 한수현), 리현(澧县, 례현), 린리현(临澧县, 임례현), 타오위안현(桃源县, 도원현), 스먼현(石门县, 석문현)의 6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창사에서 서북쪽으로 190km 떨어진, 장강의 지류인 위안장(沅江)이 둥팅호로 흘러들어가는 곳에 위치한, 인구 580만 명의 도시이다. 수운 교통을 통해 우한, 창사, 등과의 교류가 잦으며, 면직 및 기계 공업이 발달되어 있다. 한나라 ~ 수나라 대까지는 무릉(武陵)이라 불렸다. 도시에는 예나 지금이나 소수민족이 다수 거주하며, 초나라(춘추전국) 때의 비석과 당나라 때의 사원이 남아있다.

창더는 둥팅호(洞庭湖) 서안(西岸), 위안장(沅江)을 끼고 있는 후난성 북부의 대도시이다. 춘추전국시대 때 초나라의 검중(黔中) 지역으로서 전략적, 경제적 요충지로 각광받았고 진나라 시기에 임원현(臨沅縣)이 설치되었고 후한 시기 때 무릉군(武陵郡)으로 승격했다. 이후 당나라 때 낭주(朗州), 송나라 때 정주(鼎州)로 불렸고 남송 이후 창더라고 불렸다. 창더는 위안장 유역의 물자 집산중심지이며 교통중심지다.

교육기관에 125개 과학연구소와 초·중고등학교 3,660개가 있다. 문화재에 당(唐)의 고찰 협산사(夾山寺), 도화원(桃花源), 초(楚)의 비석 등이 있다.[3][4]

자연환경[편집]

창더시는 서북부가 무릉산계에 속해 있으며, 대부분 중·저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중부에는 붉은 바위 언덕이 주로 분포하고 있다. 상덕시 지형은 대체로 "3분의 1은 언덕과 구릉지, 2.5분의 1은 산지, 4.5분의 1은 평원과 수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지 면적은 677.61만 묘로, 시 전체 토지 면적의 24.8%를 차지하며, 평원은 978.98만 묘로 35.9%, 수면은 220.76만 묘로 8.1%, 구릉지는 853만 묘로 31.2%에 해당한다. 현재 단층 융기 산지(예: 태양산)와 침식 잔여 섬형 호형 산지(예: 태부산)가 있으며, 동부는 원수 및 예수 하류와 동정호 평원 지역에 위치해 있다. 서남부는 설봉산의 여맥으로 이루어진 중산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남북이 높고 중간이 낮은 두 산이 하나의 함몰 지형을 감싼 기본 지형 윤곽을 이룬다.

창더시 지형은 먼 고대 무릉 운동 이래로 여러 차례 지구조 운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고대 말기에는 시 경계가 광활한 고해대였고, 갈리돈 운동의 영향을 받아 무릉산 지역이 장남 고육의 상승과 함께 해수가 물러났다. 이때 상덕, 임리, 석문 등의 지역이 육지로 변모하였다. 인도차이나 운동은 이 지역에서 해수가 모두 물러나면서 해양 퇴적의 역사가 사실상 끝났다. 연산 운동은 이 지역의 지형 골격을 구축하였으며, 현재 지형과 유사한 윤곽을 형성하였다. 신구조 운동은 지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서부 지역이 계속 상승하면서 침식 작용이 강해져 구조적 지형이 형성되었다. 중부 상도 및 도자 분지의 상승은 미약하거나 안정적이어서 강한 퇴적과 약한 침식, 박리를 초래하였고, 이를 통해 하천 지형이 형성되었다. 동부 지역은 간헐적으로 침강하였으며, 호수 퇴적이 주로 발생하였고 인위적 요소의 영향을 받아 호수 퇴적과 인위적, 생물적 지형이 형성되었다.

창더시의 전체 지세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지형 유형은 중산지대, 중저산지 또는 산원, 저산지대, 침식 박리 언덕지대, 구릉지, 하천 퇴적 평원 및 호수 퇴적 평원이 순서대로 펼쳐져 있다. 상덕시에는 해발 800미터 이상의 산봉우리가 515개 있으며, 그 중 해발 1000미터 이상의 산봉우리는 43개이고, 가장 높은 산은 호병산으로 해발 2098.7미터이다.

창더시는 아열대 습윤 계절풍 기후에 속해 있다. 기후는 따뜻하고, 사계절이 뚜렷하며, 봄과 가을은 짧고 여름과 겨울은 길다. 열량이 풍부하고 강수량도 많다. 봄철에는 기온이 변덕스럽고 여름에는 매우 더우며, 가을에는 비가 자주 내리고, 겨울은 매우 춥다. 상덕시의 연평균 기온은 16.7℃이며, 연 강수량은 1200~1900mm에 이른다. 무상일수는 272일로, 쌀, 목화, 기름작물 등이 자라기에 적합하다. 지형의 영향을 받아 기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서부 산악지대는 동부보다 약간 낮으며, 석문 동산농장의 연평균 기온은 9.2℃인 반면, 석문 등 예수 강곡지대의 연평균 기온은 16.8℃이다. 중부 구릉지대에서는 태부산과 태양산이 맞서 북쪽으로 열린 부채꼴 모양의 분지를 이루어, 림리와 도원 일대가 겨울철에 한랭한 공기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 평원지대에서는 안상현의 연 강수량이 1500mm 이상이다.

원강(沅江) 또는 원수(沅水)는 중남성(湖南省)의 두 번째로 큰 하천이다. 남북 두 갈래로 나뉘며, 남쪽은 용두강(龙头江)으로, 귀주성(贵州省) 두운의 운무산(云雾山)에서 발원하고, 북쪽은 중안강(重安江)으로, 귀주성 마강현(麻江县) 평월(平月) 일대의 대산(大山)에서 발원한다. 두 갈래가 합류하여 청수강(清水江)으로 불리며, 룬산(銮山)에서 호남성 지강현(芷江县)으로 들어가 동쪽으로 흐르다 진성(黔城)에서 우수(潕水)와 합류한 후 원강(沅江)이라 불린다. 원강은 회동(会同), 홍강(洪江), 중방(中方), 연포(溆浦), 진계(辰溪), 노계(泸溪), 원릉(沅陵), 도원(桃源), 상덕 등 여러 현과 시를 지나 상덕 덕산(德山)에서 동정호(洞庭湖)로 흘러간다. 원강의 총 길이는 1033km이며, 그중 호남성을 지나는 구간은 568km이다. 유역 면적은 89163제곱킬로미터로, 그중 51066제곱킬로미터가 호남성에 속하며, 다년간의 평균 유량은 393.3억 입방미터에 달한다.

예수(澧水)는 호남성의 4대 하천 중 하나로, 예수의 본류는 북부, 중부, 남부 세 갈래로 나뉘며, 그중 북부 갈래가 주류이다. 북부 갈래는 호남성 상식현(桑植县) 삼목계(杉木界)에서 발원하고, 중부 갈래는 호북성(湖北省) 학봉현(鹤峰县) 중영진(中营镇)에서 발원하며, 남부 갈래는 호남성 영순현(永顺县) 용가채(龙家寨)에서 발원한다. 세 갈래는 상식현 남차(南岔)에서 합류하여 동쪽으로 흐른다. 예수는 흐르는 동안 룽수이(溇水), 세수이(渫水), 다오수이(道水), 천수이(涔水) 등의 지류와 합류한 후, 진시시(津市市) 소도구(小渡口)에서 동정호로 흘러 들어간다. 본류의 총 길이는 388km이며, 유역 면적은 18496제곱킬로미터로, 그중 15505제곱킬로미터가 호남성에 속하며, 다년간의 평균 유량은 131.2억 입방미터이다.[5]

역사[편집]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존재하며, 신석기시대 유적인 펑터우산 유적(彭头山遗址), 안샹-탕자 유적(安乡汤家遗址), 안샹-화청강 유적(安乡划城岗遗址) 등도 내부에 존재한다. 또한 상나라 시기 유적도 내부에서 출토되어 상나라의 영토였거나 그게 아니더라도 상나라의 영향 하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창더의 별명인 무릉(武陵)은 한나라 대에 붙인 명칭으로, 과거 검중군(黔中郡) 산하였던 창더시 지역을 무릉군(武陵郡)으로 개편하면서 붙인 이름이다. 남북조시대 유송 때 무릉군은 영주(郢州) 관할이 되었다가 양나라 때 무릉군에 무주(武州)가 설치되었으며, 진나라 때 원주(沅州)로 개칭되었다. 수나라 때 명칭은 낭주(朗州)로 대업 연간에 잠시 무릉군으로 돌아왔으나 당나라 때 다시 낭주가 되었고 742년부터 758년까지 다시 무릉군으로 돌아왔다가 낭주로 변경되어 이 명칭이 1012년까지 이어졌다. 1012년부터 1165년까지의 명칭은 정주(鼎州)였다.

창더라는 명칭은 송나라 효종이 창더시 권역에 상덕부(常德府)를 설치하면서 붙인 이름으로, 시경에 나오는 구절인 유상덕이립무사(有常德以立武事)에서 따왔으며, 1172년에 다시 정주로 환원되었다. 원나라 때 상덕로(常德路)가 되었고 명나라 때 예양부(澧阳府)로 개칭되었으며, 옹정제 때 상덕부로 다시 환원하고 중화민국 시대에 창더현으로 개칭된다.

19세기 후반에 창더는 원강 분지의 번영하는 상업 중심지이자 농업 시장의 중심이 되었다. 많은 중국 기업들과 함께 1905년에 외국과의 무역이 개방되면서 많은 외국 기업들이 쌀, 면화, 동유, 목재를 구매하기 위해 창더에 지사를 두었다. 창더의 경제적인 영향력은 구이저우성 북부와 후베이성 남서부, 쓰촨성의 남동부 일부까지 미쳤다. 도시의 상인들은 후난 성 북서부 경제의 대부분을 통제했고 20세기 초에 창사에 이어 후난 성 제2의 도시가 되었다.

1943년의 창더 전투에서 국민당 군대는 쓰촨 성으로 침입하려는 일본군을 막으려 하였다. 그러나 일본군은 생화학무기를 사용하여 그들의 시도를 좌절시켰다. 하바롭스크 전범 재판에서 이르면 1941~1942년에 이 지역이 오염되어 선 페스트 등이 발생했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비록 1949년에 공산주의자들이 집권한 이래 창더의 상업적 우위가 사라지기는 했지만 도시는 여전히 교역의 중심지로 인구의 대부분이 상업과 운송업에 종사한다. 1998년에 지급시로 승격된다.

산업[편집]

창더는 행정 중심지이자 동유, 곡물, 면화, 약초의 저장과 선적 중심지이다. 제조업은 요업, 공작 기계, 방직, 피혁, 식품 가공업을 포함한다. 곡물, 기름, 면화와 기타 상품들은 중간 크기의 배에 실어져 웨양, 창사, 한커우로 보내진다. 목재는 뗏목으로 엮어져 둥팅 호를 거쳐 창 강에 띄워 보내진다. 1949년 이후로 도시는 지역 생산품인 목재, 가죽 등을 기초로 한 경공업이 발달해있다.

교통[편집]

관내에 창더역(常德站)이 존재하고 스창철도(石长铁路), 첸창철도(黔常铁路)가 지나간다. 그리고 현재 고속철도인 창이창고속철도(常益长高速铁路)가 건설중에 있다.

항공 교통의 경우, 창더 타오화위안 공항(常德桃花源机场)이 있으며, 국내선 전용이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창더시〉, 《위키백과》
  2. 창더시〉,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창더시〉,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창더〉, 《네이버 지식백과》
  5. 常德市〉,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창더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