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아이피
![](/images/thumb/5/55/%EC%A0%95%EC%A2%85%EA%B5%AC_%EC%A0%A0%EC%95%84%EC%9D%B4%ED%94%BC_%EB%8C%80%ED%91%9C.png/200px-%EC%A0%95%EC%A2%85%EA%B5%AC_%EC%A0%A0%EC%95%84%EC%9D%B4%ED%94%BC_%EB%8C%80%ED%91%9C.png)
젠아이피(GenIP)는 인공지능(AI) 모델로 변리사 업무 혁신을 지원하는 기업이다. 서울대학교 학내 스타트업으로 2023년 8월 설립됐다. 젠아이피는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특허 명세서 작성, 선행기술 검색 등 변리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 변리사들의 피드백을 적극 반영해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회사이다. 이 회사는 뛰어난 기술력과 국내 시장 맞춤형 서비스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대표는 정종구이다.
개요[편집]
젠아이피는 인공지능(AI) 모델로 변리사 업무 혁신을 지원하는 기업이다. 젠아이피는 변리사 100명을 대상으로 한 Gen-D 서비스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2024년 5월 마무리했다.
그간 특허출원 업무에서는 고비용 저효율 이슈가 꾸준히 거론되어왔다. 고학력 인재들이 과도한 노동시간을 투입해 특허출원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초래되는 높은 비용과 낮은 생산성이 이유다. ㈜젠아이피는 아이디어를 특허로 이어주는 원패스 서비스로 특허출원 업계가 품어온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자체 언어모델 구축 및 서비스 개발 기술력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변리사의 업무효율을 제고함으로써 가치 있는 아이디어들이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젠아이피가 자체개발 엔진을 통해 개발한 솔루션을 활용하면 신기술 아이디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특허명세서 초안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2023년 12월부터 천여 명의 변리사들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게 됐다. 법인 설립 이후 3개월여 만에 매출이 나오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 셈이다.
이렇듯 시장에서 그 경쟁력을 인정받은 젠아이피는 특허청과 한국특허정보원이 주관한 '2023년 지식재산 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에서 수상한 후 막대한 양의 특허 데이터를 무상으로 확보하면서 시작되었다. 곧이어 신용보증기금의 NEST 프로그램에 선정된 후 액셀러레이터 프라이머로부터 투자를 유치하였고, 서울대학교가 주최한 Venture Builder 시즌 2 데모데이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후 벤처기업 인증과 산업재산권 4건 등록,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도약의 기반을 마련해 갔다. 특허청 또한 세계 최초로 초거대 AI를 활용한 특허심사시스템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는 소식을 알리며 젠아이피가 내건 방향성에 궤를 같이 하고 있다. 특허행정 전반에 대한 AI 활용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시작으로 심사·심판 및 고객서비스·데이터 구축 등 각 분야에 AI 기술을 본격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전문 분야에 AI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특허심사의 품질을 높인다는 포부다. 젠아이피는 특허청의 정책방향에 적극 동참하며 한국특허정보원과 함께 특허 생태계의 DX를 선도하고자 정진하고 있다.
젠아이피는 자체 AI 모델도 개발 중이다. 젠아이피는 2024년 2월 광주시와 업무협약을 통해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A100 8장을 확보, 이를 토대로 현재 개발 중인 모델이 GPT 3.5 정도 성능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고객사의 온프레미스 수요를 고려해 자체 경량화 거대언어모델(sLLM)을 개발, 2024년 6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배경[편집]
정종구 대표가 2022년 8월 대규모 인공지능 언어모델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3개월여가 흐른 11월 30일에 ChatGPT가 출시됐다. 박사과정에서 연구했던 분야가 서비스로 구체화되어 나타난 것이 너무나도 신기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다보니 다양한 영역에 접목할 수 있겠다는 확신으로 솔루션 개발에 뛰어들었다.
정 대표는 주변의 변리사, 개발자 동료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며 새로운 아이템을 모색했다. 특허출원시스템은 그 과정에서 발견한 새로운 시장이었다. 특히 5명의 변리사 및 변호사와 5명의 개발자 등 각 그룹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는 팀은 특허, 법률, AI 개발 측면에서 전문성을 두루 갖추어 내부화 하고 있어 개발과정에서 얻는 시너지가 높다. 정 대표는 젠아이피의 서비스는 IT 관련 기술력뿐 아니라 법률 도메인, 특허 도메인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라며, 운이 좋게도 IT와 법률, 특허라는 세 가지 영역의 전문성을 갖춘 팀을 꾸릴 수 있었다.
젠아이피는 이러한 맨파워를 앞세워 서비스를 구체화해갔다. 하지만 생성 AI의 파급력은 인정하나 투자를 결정하기엔 너무 이르다는 피드백이 많았다. 정 대표는 투자자들을 설득하는 동시에 서비스를 개선해가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돌아봤다. 젠아이피의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마켓핏을 찾는 과정 또한 녹록치 않았다. 정 대표는 100여 명의 변리사들을 직접 만나 서비스를 설명하며 시장을 넓혀갔다. 그 과정에서 인공지능 언어모델에 대한 기대와 우려, 개선점 등 너무나도 소중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솔루션의 보완점 또한 이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허출원 시 제출해야 하는 도면 작성이 아직까지 현존하는 기술로는 불가능하기에 향후 이러한 한계를 충족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간다는 계획이다.
주요 인물[편집]
- 정종구 젠아이피(GenIP) 대표
정종구 젠아이피 대표는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을 졸업했다. 이후 서울대 로스쿨에서 교육지원실장으로 지내면서 2022년 8월 AI 언어모델 관련 주제로 박사 논문을 작성했다. 챗GPT가 세상에 나오기 3달 전이었다.
그는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법무법인 로고스의 파트너 변호사가 됐다. 특허 출원팀을 운영하며 변호사들과 특허 출원 업무를 해왔다. 그러다 생성 AI를 활용한 특허명세서 작성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2023년 4월부터는 팀을 꾸려 창업을 준비했다.
젠아이피는 그로부터 2달 뒤 특허청 및 한국특허정보원 주관 '2023년 지식재산 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에서 수상, 500테라바이트(TB)의 국내외 지식재산 데이터를 지원받았다. 이를 생성 AI에 학습시켜 서비스 품질을 대폭 상승시킨 후 경쟁력을 인정받아, 지난해 8월 시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현재는 법무법인(유)로고스의 파트너 변호사로 활동하는 동시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에서 강의하고 있다.
- 대표적인 연구
그는 개인정보보호와 인공지능 규제 영역에의 전문성을 갖춘 신진 연구자이자 실무가로 알려져 있다. '인공지능 언어모델에 대한 규범적 연구-일반 대화형 챗봇에 대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시대의 개인정보 개념에 대한 연구', '블록체인 활용방안에 대한 규범적 고찰' 등이 그의 대표적인 연구이다.
주요 서비스[편집]
젠아이피의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Gen-D와 Gen-S가 있다. 두 서비스는 각각 특허 명세서 작성과 선행기술 검색에 특화된 AI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외 특허 출원 및 검색 과정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Gen-D는 증가하는 특허 출원 수요와 변리사 부족 현상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특허 명세서 작성 지원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AI 기반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명세서 작성 과정을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Gen-D[편집]
'Gen-D'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 생성형 AI로 특허 출원·등록에 필요한 특허명세서 초안 작성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해당 업무 수행에 2~5일 걸리던 것을 10분으로 단축한다.
특허 명세서의 핵심은 '청구항'이다. 특허는 '독점권을 부여받는 범위'에 해당하는 청구항만큼만 보호받기 때문이다.
Gen-D는 이용자가 발명신고서 기타 발명 아이디어를 넣으면 2분 안에 청구항을 만들어낸다. 또 청구항 커스터마이징 기능이 있어 각각의 청구항을 입맛대로 프롬프팅해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특허 출원은 어떤 발명에 대해 우선적으로 독점권을 받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작은 실수도 있어선 안 된다. 변리사는 Gen-D로 특허명세서 초안을 작성해 업무를 효율화하고 최종 검수만 하면 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도면 인식 및 설명 자동 생성, AI 기반 키워드 추출 및 선행기술 검색식 자동 생성, 타 명세서 청구항 참조 및 자유 편집 기능 등이 있다. 도면 인식 기능은 AI가 도면을 분석하여 이를 설명하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기능으로, 도면에 대한 설명 작성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AI 기반 키워드 추출 및 선행기술 검색식 자동 생성 기능은 특허 명세서 작성 시 필수적인 선행기술 조사를 AI가 자동으로 도와주는 기능으로, 키워드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합한 검색식을 생성해준다. 타 명세서 청구항 참조 및 자유 편집 기능을 통해 기존 명세서의 청구항을 참고해 새로운 명세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텍스트를 편집하거나 원하는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Gen-D의 가장 큰 강점은 국내 특허 명세서 작성 기준에 맞춘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500TB에 달하는 국내외 지식 재산 데이터를 확보해 AI 학습에 활용하고 있으며, 특허청 및 특허정보원의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실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베타 테스트를 통해 실무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UI/UX를 설계하여 변리사들의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 특허 출원 건수는 약 24만 건(2023년 기준)에 달하며, 해외 특허 출원 건수는 340만 건을 넘어서고 있다. 이에 대응해 Gen-D는 B2B SaaS(Software as a Service) 모델을 채택하여 특허 사무소 및 법인을 대상으로 월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명세서 작성 횟수에 따라 추가 결제가 가능한 옵션도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IP5 국가(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명세서를 동시에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할 예정이다.
Gen-S[편집]
Gen-S는 특허 선행기술 검색 시스템의 복잡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AI 기반 검색 서비스다. 특히,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다 정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긴 문장 및 PDF 문서 기반 검색 기능, AI 기반 검색 대상 자동 확장 기능, 특허 명세서 간 유사도 분석 기능 등이 있다. 긴 문장 및 PDF 문서 기반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긴 문장이나 PDF 문서를 입력하면, AI가 이를 분석해 관련된 선행기술을 자동으로 검색해주는 기능이다. AI 기반 검색 대상 자동 확장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대상의 범위를 설정하면, AI가 이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검색식을 확장하여 포괄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특허 명세서 간 유사도 분석 기능은 여러 특허 명세서 간의 유사도를 분석해, 관련성 높은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Gen-S는 기존 검색 시스템과 비교해 높은 정확도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며, 특히 검색식 자동 생성 및 확장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데이터 경량화와 자체 DB 구축을 통해 가격 경쟁력도 확보했다. Gen-S는 특허 선행기술 검색이 필요한 일반 기업 및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하며, 방대한 내부 문서 관리를 필요로 하는 대기업, 국가기관, 연구소 등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B2C(Business to Customer) 모델로 운영되며, 변리사, 변호사, 기업, 연구자, 일반인 등 다양한 개별 사용자를 대상으로 월 구독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에는 상표 검색 기능을 추가하고 요금제를 세분화할 예정이다.
참고자료[편집]
- 젠아이피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gen-ip.com
- 현대인 기자, 〈특허 출원 돕는 AI 서비스 늘어난다〉, 《전자신문》, 2024-07-29
- 현대인 기자, 〈우리가 AX 주역〈16〉젠아이피, AI 모델로 변리사 업무 혁신〉, Kollo, 2024-05-13
- 박소여 기자, 〈특허출원 서비스의 새로운 혁신, 업무효율과 생산성 증대를 위한 ㈜젠아이피의 독보적인 AI 솔루션〉, 《월간인물》, 2023-12-04
- 〈젠아이피 - 'AI기반 특허 작성기' 지식재산 산업 바꿀까?〉, 《비엘티》, 2024-08-26
- 박규찬 기자, 〈젠아이피 “국내 최초 특허 출원에 생성형 AI 솔루션 제공”〉, 《더월드》, 2024-06-26
- 현대인 기자, 〈AI 특허 스타트업 젠아이피, 특허관리 기업 이지피앤피와 맞손〉, 《전자신문》, 2024-12-18
같이 보기[편집]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인물사진 수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