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닉토넷"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닉토넷 ==
+
[[파일:니콜라이 파쿨린.jpg|썸네일|200픽셀|'''[[니콜라이 파쿨린]]'''(Nikolay Pakulin) 박사]]
  
== '''닉토넷 (NiktoNet™ 개요:''' ==
+
'''닉토넷'''(NiktoNet™)은 "1 블록 확정"이라는 [[완결성]]을 가지고 있는 [[블록체인]] [[메인넷]]이다. 개발자는 러시아의 [[니콜라이 파쿨린]](Nikolay Pakulin) 박사이다.
  
 +
== 개요 ==
 +
* 블록체인 메인넷 명칭 : 닉토넷(NiktoNet™)
 +
* 개발 완료일 : 2022년 12월
 +
* 프로그래밍 언어 : [[고 (프로그래밍 언어)|고]](Go), [[코스모스 SDK]](Cosmos SDK)
 +
* 운영체제 : [[리눅스]], [[윈도우]], [[맥OS]], [[POSIX]], [[Raspbian]]
 +
* 웹사이트 : https://niktonet.com/
  
● 개발 완료일 2022년 12월
+
닉토넷(NiktoNet™)은 3세대 레이어 1 블록체인 [[메인넷]]으로 다양한 [[디앱]]들이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수준의 [[속도]]와 [[처리량]]을 제공하는 메인넷이다. 닉토넷은 "1 블록 확정"이라는 [[완결성]]을 갖고 있다. [[완결성]]은 [[보안]]의 문제뿐만 아니라 [[암호화폐]]를 실제 사용하여 [[상용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닉토넷은 퍼블릭뿐만 아니라 프라이빗 형태로도 제공 가능하여, 운영 상황에 맞게 메인넷을 가장 이상적으로 [[커스터마이징]]하여 제공 가능하다.
  
● 프로그래밍 언어 Go, Cosmos SDK
+
== 소개 ==
 +
2020년부터 러시아 천재 개발자인 [[니콜라이 파쿨린]](Nikolay Pakulin) 박사가 레이어 1 블록체인 메인넷인 닉토넷(NiktoNet™)의 개발을 시작하여, Hessegg를 통해 2022년 12월에 개발 완료하였다. 닉토넷은 "기존 블록체인의 한계점 극복"이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개발이 되었으며, '성능' 부분으로는 2초 미만의 빠른 속도로 [[커피]]를 구입할 때 [[결제]]가 [[완료]]되기까지 수십 초 혹은 몇 분씩 기다릴 필요 없이, [[비자카드]] 수준으로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아울러 더 진보된 자체 합의 엔진을 사용하여 전송 속도 또한 50% 이상 향상시켰다. '통제력' 부분으로는 각자 기업이 처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통제력을 가질 수 있게 설계되었으며, 특히 Private으로 도입하여 운영자가 [[트랜잭션]]을 통제하고 [[도난]]이나 실수 발생 시 해결 가능하게 하였다. '확장성' 면에서는 기존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의 한계점인 개발 언어, [[오라클 문제]] 등을 보완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된 [[유니 컨트랙트]](Uni Contract™)의 도입으로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 운영 체제: 리눅스, 윈도우, macOS, POSIX, Raspbian
+
== PBFT+ 합의 알고리즘 ==
 +
닉토넷(NiktoNet™)의 [[PBFT+ 합의 알고리즘]]은 [[텐더민트]](Tendermint)의 [[PBFT 합의 알고리즘]]의 장점인 [[유연성]]과 [[신뢰성]]뿐만 아니라 합의 과정 시간을 50% 이상 단축한 가장 진보된 [[합의 알고리즘]]이다.
  
● 웹사이트: https://niktonet.com/
+
===PBFT & PBFT+의 차별점===
 +
* 노드간 메시지 전달 방식 변경: 합의 과정은 Tendermint (PBFT)와 동일하나 전달 방식을 Gossip 프로토콜에서 Direct Sending 프로토콜로 변경
 +
* [[텐더민트]](Tendermint) (PBFT) 합의 엔진: [[가십 프로토콜]](Gossip Protocol)을 사용하여 주변 [[노드]]들에게만 메시지를 보내 노드와 노드 사이의 메시지 전송이 Multi Hops가 발생
 +
* 닉토넷(NiktoNet™) PBFT+ 합의 엔진: Direct Sending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ingle Hop으로 모든 [[노드]]들에게 일괄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텐더민트t의 PBFT 합의 알고리즘 대비 합의완료 시간을 50% 이상 단축하였다.
  
‘NiktoNet™’은 3세대 Layer 1 블록체인 메인넷으로 다양한 디앱들이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수준의 속도와 처리량을 제공하는 메인넷이다. ‘NiktoNet™’은 1 블록 확정이라는 완결성을 갖고 있음. 완결성은 보안의 문제뿐만 아니라 암호화폐를 실제 사용하여 상용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NiktoNet™’은 Public뿐만 아니라 Private 형태로도 제공 가능하여, 운영상황에 맞게 메인넷을 가장 이상적으로 커스터마이징하여 제공 가능하다.
+
== 유니 컨트랙트 ==
 +
[[유니 컨트랙트]](Uni Contract™)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과 달리 [[개발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실행파일]]이 블록체인 외부에서(off-chain) 실행된다.
  
== '''소개''' ==
+
*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에 보내는 요청만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 기록하고 실제 처리는 블록체인 외부에서 실행하여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 가능
 +
* 어플리케이션은 블록체인 외부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요청의 복잡성, 컴퓨팅 성능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제한을 받지 않음
 +
* [[GPU]] 기반 [[클러스터]]만큼 강력하고 초당 수천개의 요청의 처리, 타이머 및 타임아웃 사용, 웹서비스 연결을 넘어 Smart Contract가 할 수 없는 다른 모든 작업을 수행 가능하도록 설계
 +
* 닉토넷에서 자체 개발한 Uni Contract™을 탑재하여 Smart Contract의 확장성 한계(개발언어, 오라클 이슈 등) 극복
  
 +
== 개발자 ==
 +
===니콜라이 파쿨린 박사===
 +
* 성명 : [[니콜라이 파쿨린]](Nikolay Pakulin)
 +
* 현 헤세그 (Hessegg) CTO
 +
* 전 팍스데이터테크 (Pax Datatech) CTO
 +
* 전 러시아 국립과학아카데미 (ISPRAS) 부소장
 +
* 러시아 국립과학아카데미 (ISPRAS) 컴퓨터공학 박사 (Formal Method)
 +
* 모스크바 물리공과 대학교 (MIPT) 소프트웨어 공학, 응용수학, 시스템 프로그래밍 석사
  
2020년부터 러시아 천재 개발자인 Nikolay Pakulin 박사가 Layer 1 블록체인 메인넷인 NiktoNet™의 개발을 시작하여, Hessegg를 통해 2022년 12월에 개발 완료하였다. NiktoNet™은 ‘기존 블록체인의 한계점 극복’이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개발이 되었으며, ‘성능’ 부분으로는 2초미만의 빠른 속도로 커피를 구입할 때 결제가 완료되기까지 수십 초 혹은 몇 분씩 기다릴 필요 없이 비자 카드 수준으로 할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아울러 더 진보된 자체 합의엔진을 사용하여 전송속도 또한 50%이상 향상시켰다. ‘통제력’ 부분으로는 각자 기업이 처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통제력을 가질 수 있게 설계되었으며, 특히 Private으로 도입하여 운영자가 트랜잭션을 통제하고 도난이나 실수 발생시 해결 가능하게 함. ‘확장성’ 면에서는 기존 Smart Contract의 한계점 (개발 언어, 오라클 이슈 등)을 보완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된 Simple Contract™의 도입으로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
== 관련 보도 ==
 +
* “니콜라이 파쿨린 헤세그 CTO, 헤세그, 블록체인 생태계 퀄컴으로 만들겠다” – Tokenpost (최희우 기자) 2022.12.26
 +
* “닉토넷 개발사 헤세그, 서울투자청 'CORE 100' 지정” – 글로벌 이코노믹 (이원용 기자) 2022.11.02
 +
* 헤세그 "블록체인 대중화, 프라이빗 메인넷이 해답" – ZDNET Korea (김윤희 기자) 2022.10.12
 +
* “헤세그-넥스터, 블록체인 메인넷 ‘닉토넷’ 공급계약 체결∙∙∙본격 상용화↑” – Startup Today (김지민 기자) 2022.09.07
 +
* “닉토넷 생태계 키운다··· 헤세그, 돋움과 블록체인·NFT 사업 협력” – 글로벌경제신문 (천선우 기자) 2022.09.01
 +
* “[인터뷰] 블록체인 스타트업 '헤세그' 니콜라이 파쿨린 CTO...메인넷 '닉토넷' 독자개발” – 글로벌경제신문 (류원근 기자) 2022.05.23
 +
* “해세그, 닉토넷 내놨다” – 이코노믹 리뷰 (최진홍 기자) 2022.05.03
 +
* “블록체인 스타트업 헤세그, 블록체인 메인넷 '닉토넷' 개발 완료” – The Guru (최영희 기자) 2022.05.03
 +
* “블록체인 테크기업 ‘헤세그’최적화된 토큰증권(STO) 솔루션 STONDARD™ 출시” – 매일경제 (조광현 기자) 2023.03.24
 +
* “Blockchain tech firm 'Hessegg’ launches STONDARD™, optimized Securities Token Solution” – Korea IT Times (Paul Lee 기자) 2023.03.24
 +
* “Blockchain IT company Hessegg's new technology "Uni Contract"”- Benzinga (Evertise Financial) 2023.08.11
  
 +
== 같이 보기 ==
 +
* [[헤세그]]
 +
* [[니콜라이 파쿨린]]
 +
* [[PBFT+ 합의 알고리즘]]
 +
* [[유니 컨트랙트]]
  
== '''PBFT+ 합의 알고리즘''' ==
+
{{로고 필요}}
 
+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NiktoNet™의 PBFT+ 합의 알고리즘은 Tendermint의 PBFT 합의 알고리즘의 장점인 유연성과 신뢰성뿐만 아니라 합의 과정 시간을 50%이상 단축한 가장 진보된 합의 알고리즘이다.
 
 
 
● PBFT & PBFT+의 차별점
 
 
 
- 노드간 메시지 전달 방식 변경: 합의 과정은 Tendermint (PBFT)와 동일하나 전달 방식을 Gossip 프로토콜에서 Direct Sending 프로토콜로 변경
 
 
 
- Tendermint (PBFT) 합의 엔진: Goss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주변 노드들에게만 메시지를 보내 노드와 노드 사이의 메시지 전송이 Multi Hops가 발생
 
 
 
- NiktoNet™ (PBFT+) 합의 엔진: Direct Sending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ingle Hop으로 모든 노드들에게 일괄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Tendermint의 PBFT 합의 알고리즘 대비 합의완료 시간을 50% 이상 단축
 
 
 
 
 
 
 
== '''Simple Contract™''' ==
 
 
 
● Simple Contract™는 Smart Contract와 달리 개발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실행파일이 블록체인 외부에서 (off-chain) 실행
 
 
 
●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에 보내는 요청만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 기록하고 실제 처리는 블록체인 외부에서 실행하여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 가능
 
 
 
● 어플리케이션은 블록체인 외부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요청의 복잡성, 컴퓨팅 성능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제한을 받지 않음
 
 
 
● GPU 기반 클러스터만큼 강력하고 초당 수천개의 요청의 처리, 타이머 및 타임아웃 사용, 웹서비스 연결을 넘어 Smart Contract가 할 수 없는 다른 모든 작업을 수행 가능하도록 설계
 
 
 
● NiktoNet™에 자체 개발한 Simple Contract™을 탑재하여 Smart Contract의 확장성 한계(개발언어, 오라클 이슈 등) 극복
 
 
 
 
 
== '''Nikolay Pakulin 박사 학력 및 경력''' ==
 
 
 
 
 
● 현 헤세그 (Hessegg) CTO
 
 
 
● 전 팍스데이터테크 (Pax Datatech) CTO
 
 
 
● 전 러시아 국립 과학 아카데미 (ISPRAS) 부소장
 
 
 
 
 
 
 
● 러시아 국립 과학 아카데미 (ISPRAS) 컴퓨터공학 박사 (Formal Method)
 
 
 
● 모스크바 물리공과 대학교 (MIPT) 소프트웨어 공학, 응용수학, 시스템 프로그래밍 석사
 
 
 
 
 
 
 
== '''관련 보도''' ==
 
 
 
1.“니콜라이 파쿨린 헤세그 CTO, 헤세그, 블록체인 생태계 퀄컴으로 만들겠다” – Tokenpost (최희우 기자) 2022.12.26
 
 
 
2.“닉토넷 개발사 헤세그, 서울투자청 'CORE 100' 지정” – 글로벌 이코노믹 (이원용 기자) 2022.11.02
 
 
 
3. 헤세그 "블록체인 대중화, 프라이빗 메인넷이 해답" – ZDNET Korea (김윤희 기자) 2022.10.12
 
 
 
4.“헤세그-넥스터, 블록체인 메인넷 ‘닉토넷’ 공급계약 체결∙∙∙본격 상용화↑” – Startup Today (김지민 기자) 2022.09.07
 
 
 
5.“닉토넷 생태계 키운다··· 헤세그, 돋움과 블록체인·NFT 사업 협력” – 글로벌경제신문 (천선우 기자) 2022.09.01
 
 
 
6.“[인터뷰] 블록체인 스타트업 '헤세그' 니콜라이 파쿨린 CTO...메인넷 '닉토넷' 독자개발” – 글로벌경제신문 (류원근 기자) 2022.05.23
 
 
 
7.“해세그, 닉토넷 내놨다” – 이코노믹 리뷰 (최진홍 기자) 2022.05.03
 
 
 
8.“블록체인 스타트업 헤세그, 블록체인 메인넷 '닉토넷' 개발 완료” – The Guru (최영희 기자) 2022.05.03
 
 
 
9.“블록체인 테크기업 ‘헤세그’최적화된 토큰증권(STO) 솔루션 STONDARD™ 출시” – 매일경제 (조광현 기자) 2023.03.24
 
 
 
10. Blockchain tech firm 'Hessegg’ launches STONDARD™, optimized Securities Token Solution – Korea IT Times (Paul Lee 기자) 2023.03.24
 

2023년 8월 21일 (월) 13:27 기준 최신판

니콜라이 파쿨린(Nikolay Pakulin) 박사

닉토넷(NiktoNet™)은 "1 블록 확정"이라는 완결성을 가지고 있는 블록체인 메인넷이다. 개발자는 러시아의 니콜라이 파쿨린(Nikolay Pakulin) 박사이다.

개요[편집]

닉토넷(NiktoNet™)은 3세대 레이어 1 블록체인 메인넷으로 다양한 디앱들이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수준의 속도처리량을 제공하는 메인넷이다. 닉토넷은 "1 블록 확정"이라는 완결성을 갖고 있다. 완결성보안의 문제뿐만 아니라 암호화폐를 실제 사용하여 상용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닉토넷은 퍼블릭뿐만 아니라 프라이빗 형태로도 제공 가능하여, 운영 상황에 맞게 메인넷을 가장 이상적으로 커스터마이징하여 제공 가능하다.

소개[편집]

2020년부터 러시아 천재 개발자인 니콜라이 파쿨린(Nikolay Pakulin) 박사가 레이어 1 블록체인 메인넷인 닉토넷(NiktoNet™)의 개발을 시작하여, Hessegg를 통해 2022년 12월에 개발 완료하였다. 닉토넷은 "기존 블록체인의 한계점 극복"이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개발이 되었으며, '성능' 부분으로는 2초 미만의 빠른 속도로 커피를 구입할 때 결제완료되기까지 수십 초 혹은 몇 분씩 기다릴 필요 없이, 비자카드 수준으로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아울러 더 진보된 자체 합의 엔진을 사용하여 전송 속도 또한 50% 이상 향상시켰다. '통제력' 부분으로는 각자 기업이 처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통제력을 가질 수 있게 설계되었으며, 특히 Private으로 도입하여 운영자가 트랜잭션을 통제하고 도난이나 실수 발생 시 해결 가능하게 하였다. '확장성' 면에서는 기존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의 한계점인 개발 언어, 오라클 문제 등을 보완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된 유니 컨트랙트(Uni Contract™)의 도입으로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PBFT+ 합의 알고리즘[편집]

닉토넷(NiktoNet™)의 PBFT+ 합의 알고리즘텐더민트(Tendermint)의 PBFT 합의 알고리즘의 장점인 유연성신뢰성뿐만 아니라 합의 과정 시간을 50% 이상 단축한 가장 진보된 합의 알고리즘이다.

PBFT & PBFT+의 차별점[편집]

  • 노드간 메시지 전달 방식 변경: 합의 과정은 Tendermint (PBFT)와 동일하나 전달 방식을 Gossip 프로토콜에서 Direct Sending 프로토콜로 변경
  • 텐더민트(Tendermint) (PBFT) 합의 엔진: 가십 프로토콜(Gossip Protocol)을 사용하여 주변 노드들에게만 메시지를 보내 노드와 노드 사이의 메시지 전송이 Multi Hops가 발생
  • 닉토넷(NiktoNet™) PBFT+ 합의 엔진: Direct Sending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ingle Hop으로 모든 노드들에게 일괄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텐더민트t의 PBFT 합의 알고리즘 대비 합의완료 시간을 50% 이상 단축하였다.

유니 컨트랙트[편집]

유니 컨트랙트(Uni Contract™)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과 달리 개발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실행파일이 블록체인 외부에서(off-chain) 실행된다.

  •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에 보내는 요청만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 기록하고 실제 처리는 블록체인 외부에서 실행하여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 가능
  • 어플리케이션은 블록체인 외부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요청의 복잡성, 컴퓨팅 성능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제한을 받지 않음
  • GPU 기반 클러스터만큼 강력하고 초당 수천개의 요청의 처리, 타이머 및 타임아웃 사용, 웹서비스 연결을 넘어 Smart Contract가 할 수 없는 다른 모든 작업을 수행 가능하도록 설계
  • 닉토넷에서 자체 개발한 Uni Contract™을 탑재하여 Smart Contract의 확장성 한계(개발언어, 오라클 이슈 등) 극복

개발자[편집]

니콜라이 파쿨린 박사[편집]

  • 성명 : 니콜라이 파쿨린(Nikolay Pakulin)
  • 현 헤세그 (Hessegg) CTO
  • 전 팍스데이터테크 (Pax Datatech) CTO
  • 전 러시아 국립과학아카데미 (ISPRAS) 부소장
  • 러시아 국립과학아카데미 (ISPRAS) 컴퓨터공학 박사 (Formal Method)
  • 모스크바 물리공과 대학교 (MIPT) 소프트웨어 공학, 응용수학, 시스템 프로그래밍 석사

관련 보도[편집]

  • “니콜라이 파쿨린 헤세그 CTO, 헤세그, 블록체인 생태계 퀄컴으로 만들겠다” – Tokenpost (최희우 기자) 2022.12.26
  • “닉토넷 개발사 헤세그, 서울투자청 'CORE 100' 지정” – 글로벌 이코노믹 (이원용 기자) 2022.11.02
  • 헤세그 "블록체인 대중화, 프라이빗 메인넷이 해답" – ZDNET Korea (김윤희 기자) 2022.10.12
  • “헤세그-넥스터, 블록체인 메인넷 ‘닉토넷’ 공급계약 체결∙∙∙본격 상용화↑” – Startup Today (김지민 기자) 2022.09.07
  • “닉토넷 생태계 키운다··· 헤세그, 돋움과 블록체인·NFT 사업 협력” – 글로벌경제신문 (천선우 기자) 2022.09.01
  • “[인터뷰] 블록체인 스타트업 '헤세그' 니콜라이 파쿨린 CTO...메인넷 '닉토넷' 독자개발” – 글로벌경제신문 (류원근 기자) 2022.05.23
  • “해세그, 닉토넷 내놨다” – 이코노믹 리뷰 (최진홍 기자) 2022.05.03
  • “블록체인 스타트업 헤세그, 블록체인 메인넷 '닉토넷' 개발 완료” – The Guru (최영희 기자) 2022.05.03
  • “블록체인 테크기업 ‘헤세그’최적화된 토큰증권(STO) 솔루션 STONDARD™ 출시” – 매일경제 (조광현 기자) 2023.03.24
  • “Blockchain tech firm 'Hessegg’ launches STONDARD™, optimized Securities Token Solution” – Korea IT Times (Paul Lee 기자) 2023.03.24
  • “Blockchain IT company Hessegg's new technology "Uni Contract"”- Benzinga (Evertise Financial) 2023.08.11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가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닉토넷 문서는 암호화폐 종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