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먀오리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동아시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대만 '''먀오리현'''<!--먀오리 현-->(중국어: 苗栗縣)은 대만 북서부에 위치...) |
잔글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궁관향(公館鄉) - 먀오리현의 중부에 위치한다. [[아열대 기후]]로 온화하고 비가 많으며 연평균 습도는 80%이다. | *궁관향(公館鄉) - 먀오리현의 중부에 위치한다. [[아열대 기후]]로 온화하고 비가 많으며 연평균 습도는 80%이다. | ||
*난좡향(南庄鄉) - 먀오리 현의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주민은 객가족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민난인(푸젠계 본성인), 원주민인 타이야족(泰雅族)과 싸이샤족(賽夏族)이다. 서쪽의 산맥 때문에 강수량은 적고, 우기는 5~9월 무렵이다. | *난좡향(南庄鄉) - 먀오리 현의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주민은 객가족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민난인(푸젠계 본성인), 원주민인 타이야족(泰雅族)과 싸이샤족(賽夏族)이다. 서쪽의 산맥 때문에 강수량은 적고, 우기는 5~9월 무렵이다. | ||
− | *싼완향(三灣鄉) - | + | *싼완향(三灣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 | *싼이향(三義鄉) - | + | *싼이향(三義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 | *스탄향(獅潭鄉) - | + | *스탄향(獅潭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 | *타이안향(泰安鄉) - | + | *타이안향(泰安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 | *퉁뤄향(銅鑼鄉) - | + | *퉁뤄향(銅鑼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 | *터우우향(頭屋鄉) - | + | *터우우향(頭屋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 | *시후향(西湖鄉) - | + | *시후향(西湖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 | *짜오차오향(造橋鄉) - | + | *짜오차오향(造橋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 대만해협 == | == 대만해협 == |
2024년 7월 8일 (월) 11:28 판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먀오리현(중국어: 苗栗縣)은 대만 북서부에 위치해 있는 현이다. [1][2]
개요
먀오리현의 면적은 1,820.3149㎢이며 인구는 548,403명(2015년)이다. 동쪽과 남쪽으로는 타이중시, 북쪽으로는 신주현과 각각 경계를 이루고, 서쪽으로는 대만해협에 면해 있다. 현청소재지는 먀오리이다.
현의 중심지인 먀오리시보다 신주시와 인접한 현의 북부지역 인구가 더 많다. 터우펀시의 인구가 현 내에서 가장 많으며 바로 옆에 위치한 주난진은 인구밀도가 현 내에서 가장 높다. 먀오리시의 인구가 9만이 채 안 되는데 현 북부의 두 지역 인구를 합하면 19만 명이 넘는다. 더구나 두 지역의 행정소재지는 연담되어 있고 한 블럭 내에서도 행정구역 경계가 구분이 안 될 정도라 체감상으로도 이곳이 먀오리시에 비해 훨씬 크게 느껴진다.
이 현엔 대만 원주민 중 일파인 사이시얏(賽夏) 족이 사는데, 이들은 네그리토계 민족들이 주로 하는 의식인 빠스따아이(Pas-ta'ai)를 치른다. 이 의식이 대만에 한때 네그리토계 민족들이 살았었다는 설의 근거가 된다. 인구의 18.2%가 객가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여, 대만의 행정구역 중 가장 인구 중 객가어 화자 비율이 높은 곳이다.
이 지역은 옛날부터 목조각 산업이 발달했는데, 나무로 만든 먀오리 전통 가면이 유명하다. 먀오리산 부근에 있는 타이안(泰安) 온천은 수원이 풍부하고 물빛이 맑아 온천욕뿐만 아니라 식수로도 사용할 수 있고, 온천 부근에는 이 지역 원주민 부락이 있어 온천과 함께 훌륭한 관광 코스를 이룬다.
먀오리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 살던 대만 원주민 민족 중 하나인 타오카스(Taokas)족이 이곳을 바리(Bari)라 일컬었던 데서 유래한다. 18세기 말 이 지역에 정착한 한족이 이를 貓貍로 음차하였고, 그 외에도 貓裏, 貓裡, 貓里 등 다양한 표기가 쓰이다가 19세기 말 청나라에서 이 지역에 현을 설치하면서 貓貍와 발음이 비슷한 苗栗로 표기를 바꾸었다.
먀오리시는 일명 '마운틴타운(Mountain Town)'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로 부근에 산이 많아 산악 하이킹을 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현을 상징하는 새는 유럽까치이고, 현을 상징하는 나무는 올리브나무이다.[3]
자연환경
먀오리현은 대만 중북부에 위치하고 북부는 신주현, 남부는 쉐산산맥을 경계로 타이중현과 서쪽은 대만 해협과 접하고 있다. 동단은 타이안향 메이위안 촌의 다바젠산(大霸尖山), 서단은 위안리진 팡리 해안, 남단은 줘란진 네이완리, 북단은 주난진 치딩리이다. 동서 길이는 약 64km, 남북은 약 50km이다.
현내는 산지가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평원이 적은 지형으로, 이것이 '산성(山城)'이라는 아호의 유래가 되고 있다.지형은 예전에는 쉐산산맥 서쪽의 선상지였지만 하천의 침식을 받아 현재의 구릉 지대가 형성되었다.
역사
먀오리는 대만 원주민 타이야족의 파려사(巴麗社, 파려는 '평원'이라는 의미)가 있었다. 1748년에 광동인에 의해 개간되어 당시에는 묘리(貓裡)로 불리고 있었다. 1886년에 현이 설치될 때에 발음이 가까운 묘률(苗栗)이 채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행정구역
- 먀오리시(苗栗市) - 먀오리현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북쪽으로 허우룽 계(後龍溪)를 사이에 두고 허우룽 진, 동쪽은 허우룽 계를 사이에 두고 터우우 향, 궁관 향, 남쪽으로 시후 향, 퉁뤄 향과 접한다. 객가인이 많이 거주한다. 먀오리 시는 한족이 이주하기 전에는 평포도잡사족(平埔道卡斯族) 묘리사(猫裡社)의 땅이었다. 1737년, 광동성 동부의 객가인이 이곳으로 이주했다. 묘리(猫裡)는 평포족의 언어로 '평원'을 나타내는 말이다. 1764년에 편찬된 《대만부지(台湾府誌)》의 기재에 의하면 당초에는 번사의 명칭으로서 묘리가 이용되고 있었지만 그 후 민장으로서 혼용되게 되었다. 1889년에 현이 설치되었을 때에 소리가 비슷한 묘률(苗栗)로 고쳐졌다.
- 터우펀시(頭份市) - 터우펀시는 먀오리 현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서쪽은 주난 진, 남쪽은 짜오차오 향 및 싼완 향, 동쪽은 신주 현 어메이 향, 북쪽은 신주 시 및 신주 현 바오산 향이 위치하고 중강 계(中港渓)의 중류에 위치한다.
- 허우룽진(後龍鎮) - 먀오리현 서부에 위치하고 서쪽으로 타이완 해협에 면하며 북쪽으로 중강 계(中港溪)를 사이에 두고 주난진, 동쪽으로 짜오차오향, 남쪽으로 먀오리시, 시후 향 및 퉁샤오 진과 접한다.
- 퉁샤오진(通霄鎮) - 퉁샤오진은 먀오리 현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북쪽은 허우룽 진, 남쪽은 위안리 진, 동쪽은 시후 향, 퉁뤄 향, 싼이 향이다.
- 위안리진(苑裡鎮) - 위안리진은 먀오리 현의 남서쪽에 위치하고 동쪽은 화롄 산, 서쪽은 타이완 해협에 접하고 있다. 지역은 위안리 평원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평지이고 동쪽, 북쪽은 먀오리 구릉에 접하고 있다.
- 주난진(竹南鎮) - 먀오리현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서쪽은 타이완 해협에 면하며 남쪽은 중강 계(中港溪)를 사이에 두고 허우룽 진, 짜오차오 향, 동쪽은 터우펀 시, 북쪽은 신주 시와 접한다. 열대 몬순 기후로 온난하고 비가 많다.
- 줘란진(卓蘭鎮) - 줘란진은 먀오리 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은 타이안 향, 서쪽은 싼이 향, 북쪽은 다후 향과 남쪽은 타이중 현 둥스 진 및 허핑 향과 접하고 있다. 지형은 산악 지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도는 300~700m 사이이다. 연평균 기온은 24°C, 연 강수량은 2,100mm이지만 강우는 5~6월 및 8~10월에 집중한다.
- 다후향(大湖鄉) - 먀오리현의 남쪽에 위치하고 북쪽으로 스탄 향, 서쪽으로 궁관 향, 퉁뤄 향, 싼이 향, 남쪽으로 줘란 진, 동쪽으로 타이안 향에 접한다. 기후는 온화하고 비가 많다.
- 궁관향(公館鄉) - 먀오리현의 중부에 위치한다. 아열대 기후로 온화하고 비가 많으며 연평균 습도는 80%이다.
- 난좡향(南庄鄉) - 먀오리 현의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주민은 객가족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민난인(푸젠계 본성인), 원주민인 타이야족(泰雅族)과 싸이샤족(賽夏族)이다. 서쪽의 산맥 때문에 강수량은 적고, 우기는 5~9월 무렵이다.
- 싼완향(三灣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싼이향(三義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스탄향(獅潭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타이안향(泰安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퉁뤄향(銅鑼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터우우향(頭屋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시후향(西湖鄉) -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 짜오차오향(造橋鄉) -대만 먀오리현의 향이다.
대만해협
대만해협은 중국 대륙과 타이완섬 사이에 있는 해협. 폭은 180km 정도이며 가장 짧은 곳은 131km이다.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경계이기도 하다.
이 해협의 역사는 타이완섬의 역사와 함께 하기 마련이다. 타이완섬이 별개의 정치체인 시기에는 해협이 국경과 같은 역할로 주목을 받았고, 그렇지 않고 해협 건너편 중국 대륙과 같은 정치체인 경우에는 평범한 국내 해협일 뿐이었다. 근대에 타이완섬의 개괄적인 역사를 소개하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령 → 동녕국으로 별개 역사를 지녔다가 청나라 시기에 중국에 포함되었고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인해 일본령이 되었다가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중화민국 소속이 되었다.
대만해협이 오늘날의 지정학을 지니게 된 것은 1949년 국부천대 이후부터이다. 중화민국(대만)이 타이완섬으로 정부를 옮기고, 중국 대륙에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이 들어서면서 양측을 가르는 실질적인 국경이 되었다. 그간의 중국 역사에서 이렇게 밀려난 쪽은 머지 않아 흡수되곤 했지만, 세계적인 양대 대립 구도였던 냉전의 영향으로 거대한 대륙 vs 서방의 지원을 받는 작은 섬의 구도가 약 80년째 유지되고 있다.
분단 이후에도 중화민국 국군과 중국 인민해방군이 대만해협에 위치한 여러 섬들을 두고 산발적인 교전을 펼쳤으며(대만 해협 위기), 현재는 대부분의 섬을 중국이 실효지배 중이지만 인민해방군의 침공을 받지 않은 펑후 제도를 비롯해서 진먼현, 롄장현 등 대만이 영유하고 있는 섬들도 있다.
2000년대 이후로는 양안 간의 경제적, 인적 교류가 이루어지곤 하지만, 여전히 제3차 세계 대전이 터질 주요 후보지들 중 하나로 긴장이 높다. 대만에서 민주진보당 등 대만 독립운동 세력이 집권할 때마다 중국은 이 지역에서 군함을 운항하거나 군사훈련을 벌이는 등 군사적 위협을 가하고 있으며, 반대로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서 항모 전단이나 전함을 대만해협으로 보내기도 하는 등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는 곳이다.[4]
지도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 〈먀오리현〉, 《위키백과》
- 〈먀오리현〉, 《나무위키》
- 〈두산백과 : 먀오리현〉, 《네이버 지식백과》
- 〈대만해협〉, 《나무위키》
같이 보기
동아시아 같이 보기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