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파일:랜드박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랜드박스'''(Landbox)]] | | [[파일:랜드박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랜드박스'''(Landbox)]] |
| | | |
− | '''랜드박스'''<!--랜드 박스-->(Landbox)<!--Land Box-->는 개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동산투자사업을 전문그룹에 의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자산관리를 할 수 있는 글로벌 부동산 투자 정보 공유 플랫폼이다 | + | '''랜드박스'''<!--랜드 박스-->(Landbox)<!--Land Box-->는 글로벌 [[부동산]] 투자 정보 공유 플랫폼이다. 랜드박스는 부동산 시장의 디지털 혁신 기술을 도입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부동산 정보를 공유, 누구나 참여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 |
| | | |
− | ==랜드박스 비즈니스 모델== | + | ==랜드박스 비즈니스 모델 == |
− | 랜드박스는 비즈니스 모델은 '''1) 부동산 지식정보 원격교육 플랫폼''' '''2) 부동산 투자 플랫폼''' '''3) 지능형 유기농산품 생산 플랫폼'''으로 구분된다. 3가지 사업분야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유기적으로 연관된다. | + | 랜드박스는 비즈니스 모델은 (1) 글로벌 부동산 개발사업(Global Property Business), (2)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부동산 경매서비스 "프롭테크(Prop-Tech)시스템", (3) LAND-fi "크립토테크(Crypto-Tech)시스템"으로 구분된다. 3가지 사업분야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으로 연관된다. |
| | | |
− | ===부동산 지식정보 원격교육 플랫폼===
| + | [[파일:랜드박스프로덕트.png|썸네일|600픽셀|가운데|LANDBOX의 솔루션]] |
− | 부동산 지식정보 원격교육 플랫폼은 사용자와 랜드박스를 연결하는 마중물 역할을 한다. 부동산 지식정보 원격교육 플랫폼은 부동산과 관련한 투자정보 매거진, 책 및 오디오 북과 온라인 원격교육으로 나뉜다. 투자정보 매거진, 책 및 오디오 북은 사용자와 랜드박스의 접점을 만든다. 이를 통해 랜드박스로 유입되는 사용자는 랜드박스의 원격교육 플랫폼인 ‘부동산 아카데미’를 통해 랜드박스 부동산 투자의 이해와 장점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이는 사용자를 자연스럽게 랜드박스의 부동산 투자 플랫폼에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동산 아카데미를 접한 사용자는 단순 투기가 아닌 올바른 부동산 투자의 자세, 방법 등을 익히기 때문에 랜드박스의 충성 사용자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 |
| | | |
− | ===부동산 투자 플랫폼 (토지)=== | + | ===글로벌 부동산 개발사업(Global Property Business)=== |
− | 부동산 투자 플랫폼은 랜드박스의 메인 사업이다. 부동산 투자 플랫폼은 DRP(Develop Relay Project), 도시개발 환지 지분투자, 대토/보상차익형 공동투자 프로젝트, 농지위탁경영/수익형 상가건물로 구분된다. 사용자는 부동산 플랫폼에 참여해 개발가치가 높은 토지에 투자하여 수익을 낼 수 있다.
| + | 랜드박스는 한국의 주요 사업으로 토지개발 프로젝트(Develoop Relay Project)1건, 도시개발 환지 투자 프로젝트 3건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주요 분야는 DRP(Develop Relay Project), 도시개발 환지 지분투자, 대토/보상차익형 공동투자 프로젝트, 농지위탁경영/수익형 상가건물이다. 2021년 해외사업으로 확장해 글로벌 부동산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해외 신사업부를 설립하고 관계기관 및 단체등과 협력하는 등 글로벌 부동산정보를 공유해 랜드박스 참여자에게 제공한다. |
| | | |
− | ====DRP(Develop Relay Project)==== | + | ===프롭테크 3.0=== |
− | DRP는 말 그대로 릴레이 토지개발 프로젝트이다. 용도가 변경되는 땅에 투자하거나 직접 용도 변경을 신청함으로써 토지의 가치를 높이는 투자방식이다. 토지의 변경은 지목변경, 형질변경, 용도변경 3가지로 구분된다. 용도변경은 국가에서 도시개발사업이나 도시관리계획으로 용도가 변경되는 것이다. 지목변경과 형질변경은 직접 용도 변경을 신청하는 것이다. 지목은 전(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지), 답(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지), 과수원, 임야 등을 말하며 해당 지목을 다른 지목으로(가령 농지나 산지를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대’로 변경) 변경하는 것을 지목변경이라고 한다. 형질변경은 절토, 성토, 정기 등의 공사로 토지의 형상을 변경하는 행위이다.
| + | 프롭테크 1.0시대는 부동산 매물 정보제공에서 시작되었다. 초창기 프롭테크는 부동산 데이터를 재가공함으로써 시장 판도의 변화를 주도하기보다 ‘마켓 플레이스’의 역할이었다. 프롭테크 2.0시대에는 단순 매물 정보제공에서 벗어나 플랫폼 역할이 강조되면서 부동산에서도 공유경제가 부상했다. 현재 미국은 전세계 프롭테크 투자 건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전 세계 프롭테크는 3.0시대에 접어들었다. 1.0시대가 정보의 디지털 전환이었다면 2.0시대는 데이터 분석과 공유경제의 접목이며, 3.0시대는 블록체인, 핀테크 등 신기술 도입으로 요약된다. |
− | 부가가치가 높은 투자방법은 도시개발사업이나 도시관리계획으로 인해 용도가 변경되는 것이다. 용도 변경 토지 투자방법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 정부정책이나 개발호재 등으로 인해 수요층이 몰려 가격이 상승하는 토지에 투자하는 것이다. 둘째 도시개발사업이나 도시관리계획 변경 등으로 토지 용도가 변경되어 가격이 상승하는 토지에 투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개발사업 구역으로 지정되어 농지가 주거용지나 상업용지로 변경되는 것이다.
| |
− | 랜드박스는 숙련된 인력과 다년간의 토지 투자 노하우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허가받은 토지 또는 허가받을 수 있는 토지를 찾는데 최적화되어 있으며, 개발·분양회사와도 파트너십을 맺고 있기 때문에 토지매입 작업에서부터 인허가, 설계 및 시공까지 모든 과정을 공유할 수 있다.
| |
| | | |
− | ====도시개발 환지 지분투자==== | +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부동산 경매 서비스 "경매야(AuctionOK)" ==== |
− | 도시개발 환지 투자는 기존의 토지를 정리하여 용도가 바뀐 새 땅으로 돌려받는 투자법이다. 용도가 변경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대수익이 높다. 환지는 용도를 단독주택용지, 근린생활시설용지로 돌려받는 개별환지, 공동주택용지(아파트 용지)로 돌려받는 집단환지 방식으로 나뉜다. 집단환지는 개별환지에 비해 가격이 높고 사업성도 우수하다. 랜드박스는 추구하는 투자방식도 집단환지이다. 특히 공유지분 토지(2명 이상의 토지주)인 경우 환지 신청 시 토지에 있는 소유권, 지상권 등 모든 권리가 환지에 그대로 이전된다. 따라서 집단환지 지정 후 토지주별로 건설와 개별계약이 가능하다. 건설사에 매각의 어려운 경우 지주공동사업으로 아파트 건설 후 분양으로 투자금을 엑시트할 수 있다.
| +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부동산 경매 플랫폼 ‘경매야’는 경직되고 폐쇄적인 부동산 거래 시장의 문제를 해결한다. 부동산 거래를 방식의 다양화를 위해 일반 중개매매 방식에 더해 온라인 경쟁입찰 방식을 도입해 부동산 거래 방식의 다양성과 혁신을 가져온다. 부동산 시장에 경매시스템을 도입하면 구매자는 저렴한 가격에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고, 판매자는 적정한 금액에 신속한 판매를 하여 자금 확보를 하게 된다. 온라인 경매는 디지털 시대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
| | | |
− | [[파일:랜드박스_자금회수시나리오.png|800픽셀|왼쪽|썸네일|공유지분 토지의 환지 유형에 따른 자금회수 시나리오]]
| + | 경매시스템을 온라인화 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는 보안성과 신뢰성, 투명성과 편리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경매야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입찰 데이터의 조작 가능성을 해소하고, 다양한 사람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쉽고 편리하게 부동산 경매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든다. 블록체인 기술이 입찰 데이터의 이력, 관리, 조건 ,결과 등에 대한 상세내역을 사용자가 검증할 수 있어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릭 몇 번만으로 쉽게 입찰에 참여할 수 있고, 아직 자금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참여를 유도하도록 돕는 ‘ 모의입찰시스템(낙찰가 맞추기)’을 서비스화 하여 경매의 대중화를 선도한다. |
| | | |
− | 환지 투자의 장점은 소유자가 건설사와 공동으로 주택사업을 시행할 경우 일반분양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분양 및 입주가 가능하다. 또한 공유지분 토지의 경우 집단환지 지정 후 개별적인 소유권 행사(건설사와 계약)가 가능하다. 이 밖에 대규모 토지의 경우 권리면적 전부를 집단환지로 지정할 수 있으며, 여러 필지를 소유하더라도 일부만 집단환지를 신청할 수 있다.
| + | [[파일:경매야프로세스.png|썸네일|600픽셀|가운데|공유지분 토지의 환지 유형에 따른 자금회수 시나리오]] |
− | 단점은 건설사를 선택하거나 지주공공동사업 시 토지주와 이견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부동산 경기에 따라 집단환지 매각 또는 주택건설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 즉 부동산 경기의 동향을 잘 살피고 입지를 고려해 환지를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랜드박스는 환지 투자 부문에서 다양한 성공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 |
| | | |
− | ====대토·보상차익형 공동투자 프로젝트==== | + | ====부동산 지식 공유 커뮤니티 "경매야스쿨"==== |
− | 대토·보상차익형 공동투자는 토지 수용에서 발생하는 투자기회이다. 정부가 도시개발사업을 시행할 때 사업계획과 토지이용계획에 따라 구역을 정하고, 그 구역에 포함되는 토지 중에 개인 소유가 있다면 이를 보상해준다. 이 때 토지에 대해 보상해주는 방법에 따라 수용방식과 환지방식으로 나뉜다. 수용방식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 사업시행자가 사업지구 내 토지를 전부취득하는 대가로 종전 토지 소유자에게 보상하는 방식이다. 환지방식은 사업지구 내 토지를 사업시행자가 취득하지 않고 용도를 변경한 후 원래 토지소유주에게 돌려주는 방식이다.
| + | 경매야 스쿨은 부동산 지식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서비스이다. 부동산 관련 정보와 지식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으며 경매야로부터 인증 받은 부동산 전문가들의 답변과 칼럼, 동영상 등을 업로드하여 경매야 스쿨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경매야 참여자는 기여율에 따라 커뮤니티 활동 리워드 및 랜드포인트를 지급받고, LAND 토큰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
− | 수용방식은 보상방법에 따라 현금 및 채권보상과 대토보상으로 구분된다.
| |
| | | |
− | [[파일:랜드박스_수용방식과환지방식.png|800픽셀|왼쪽|썸네일|수용방식과 환지방식 비교]] | + | [[파일:경매야스쿨.jpeg|썸네일|600픽셀|가운데|경매야 스쿨]] |
| | | |
− | 부가가치가 높은 보상 방식은 대토보상이다. 수도권 인근 지구처럼 미래가치가 뛰어난 토지의 경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랜드박스는 대토보상용지의 감정가를 예측해 단기 시세차익을 노리는 고수익 투자법을 추구한다.
| + | ===LAND-FI “크립토테크 시스템”=== |
| + | LANDBOX는 서비스 범위를 확장하여 LAND 토큰의 유틸리티 기능을 강화하여 보다 혁신적인 토큰 이코노미를 구축할 수 있다. 사용자는 LANDBOX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LAND 토큰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AND 토큰을 보유하고 있으면 LANDBOX에서 운영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고, 보유하고 있는 LAND 토큰의 수량에 따라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우선적으로 부여받게 된다. 또한 플랫폼 이용 시 할인 혜택 등이 주어진다. LAND는 플랫폼 내에서 참여(access)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LAND는 근본적으로 유틸리티(Utility)형 토큰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플랫폼 참여자의 보상에 따른 지급과 결재에 사용되는 지급형, 유틸리티형 토큰으로서의 성질을 겸유(兼有)하는 하이브리드형 토큰에 해당하기도 한다. LAND-Fi는 LAND Token의 리워드 프로그램이다. 플랫폼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LAND 토큰을 리워드 해주며,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
| | | |
− | ===지능형 유기농산품 생산 프로젝트=== | + | ==LANDBOX ESG 경영실천== |
− | 지능형 유기농상품 생산 플랫폼은 사용자의 농지를 위탁경영함으로써 사용자에겐 농지연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동시에 랜드박스는 사용자의 농지를 통해 유기농산품의 생산, 가공, 유통수익까지 일원화해 수익을 추구한다. 농지위탁경영은 랜드박스가 설립한 농업회사법인을 통해 사용자들의 농지를 위탁경영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농지연금을 받기 위해 농지를 보유한다. 농지연금은 만 65세 이상 고령 농업인에게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노후생활 안정자금을 매월 연금형식으로 지급하는 제도이다. 농지연금은 다음 6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 + | [[파일:NFT기부증서.jpeg|썸네일|550픽셀|디지털 기부증서(NFT)]] |
− | · 부부·종신 지급: 농지연금을 받던 농업인이 사망할 경우 배우자승계로 배우자 사망 시까지 계속해서 농지연금을 받을 수 있다.
| |
− | · 영농·임대소득 가능: 연금을 받으면서 담보농지를 직접 경작하거나 임대할 수 있어 연금 이외의 추가소득을 얻을 수 있다.
| |
− | · 재정지원으로 안정성확보: 정부예산을 재원으로 하며 정부에서 직접 시행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 |
− | · 연금채무 부족액 미청구: 연금채무 상환 시 담보농지 처분으로 상환하고 남은 금액이 있으면 상속인에게 돌려주고, 부족하더라도 더 이상 청구하지 않는다.
| |
− | · 재산세 감면: 6억원 이하의 농지는 전액 감면되며 6억원이 초과되는 농지일 경우 6억원까지 감면 받을 수 있다.
| |
− | · 지가상승: 입지 좋은 곳 선정, 저렴하게 사서 지가 상승으로 연금액이 상승할 수 있다
| |
− | 다만 농지연금에 가입하기 위해선 신청인은 영농경력이 5년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랜드박스는 농업회사법인을 통해 사용자의 농지를 최소5년간 위탁경영해 사용자의 자격취득을 가능케한다. 뿐만 아니라 농지연금 신청 이후에도 위탁경영을 통해 사용자가 추가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돕는다. 랜드박스는 역시 농지를 통해 유기농산품 생산, 가공, 유통을 통해 추가 수익을 낼 수 있다.
| |
| | | |
− | ==토큰 이코노미==
| + | 랜드박스는 경매야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기부경매를 활성화하여 ‘디지털 혁신+신뢰+상생’이라는 비전을 알리고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경영 확산을 추진한다. 경매야 플랫폼은 NFT(Non-Fungible Tokens, 대체불가능토큰) 방식으로 고유의 기부증서를 발급해 기부자의 만족감을 한층 높여 기부 문화를 활성화한다. 디지털 기부증서는 카카오의 계열사 그라운드X가 만든 퍼블릭 블록체인 ‘클레이튼(Klaytn)’을 통해 발행된다. |
− | 랜드토큰은 랜드박스 생태계 내에서 사용되는 토큰이다. 랜드토큰은 랜드박스 플랫폼 서비스 내 지불 ·결제 용도 및 보유 시 혜택이 주어지는 유틸리티 토큰이다. 랜드토큰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
− | * 랜드박스 서비스 이용 시 지불 용도
| |
− | * 랜드박스 서비스 이용 시 랜드토큰 스테이킹 수량에 따른 차등 혜택
| |
− | *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에 따른 자유로운 매매
| |
| | | |
− | [[파일:랜드박스_토큰이코노미_200721.png|550픽셀|왼쪽|썸네일|랜드박스 토큰이코노미]]
| + | 해당 디지털 기부증서는 디지털자산 지갑인 ‘클립(KLIP)’에 보관할 수 있고, 한국 메신저인 카카오톡 안에 들어 있어 누구나 즉시 활용할 수 있다. NFT 형식의 디지털 기부증서는 종이 기부증서를 통해 기부 인증을 하던 것을 블록체인에 기부내역을 기록하고 카카오의 디지털 지갑인 클립을 통해서 보관할 수 있어 기부증서의 위·변조 가능성이 낮아지고, 자신의 디지털자산 지갑에 보유를 함에 따라 보관과 관리가 편리하다. |
| | | |
− | ===지불 용도=== | + | ==토큰 이코노미== |
− | 랜드박스는 부동산과 관련한 투자정보 매거진, 책 및 오디오 북과 온라인 원격교육 등 다양한 부동산 지식정보 원격교육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랜드토큰은 이러한 지식정보 원격교육 플랫폼을 이용하는 데 지불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 | 랜드토큰(LAND)은 랜드박스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매개체이다. 플랫폼에서 사용자간 교환 매체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으로서 기능한다. LAND 토큰은 LANDBOX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들 사이에 편리하고 안전한 결제 및 결제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
| | | |
− | ===스테이킹 수량에 따른 차등 혜택===
| + | LAND 토큰은 사용자가 LANDBOX 플랫폼의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기 위한 리워드 방식으로도 제공되며, 사용자의 플랫폼 기여도에 따라 공정하게 보상받을 수 있는 상생 시스템을 만든다. LAND 토큰을 보유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LANDBOX 플랫폼에서 참여할 수 없기 때문에 LAND 토큰은 LANDBOX 플랫폼의 필수 불가결한 부분이다. |
− | 사용자는 랜드토큰을 많이 보유할수록 부동산 투자 플랫폼 이용 시 다양한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부동산 투자 플랫폼에서 진행하는 투자는 DRP(Develop Relay Project), 도시개발 환지 지분투자, 대토·보상차익형 공동투자 프로젝트가 있다. 사용자는 랜드토큰 스테이킹 수량에 따라 좋은 투자 물건을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또한 토지 프로젝트에 참여한 대가로 프로모션 차원에서 지급되는 토지도 더 많은 면적을 받는다. 이 밖에 부동산 지식정보 원격교육 플랫폼 이용 시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 |
| | | |
− | ===토큰의 소각===
| + | LAND 토큰의 구체적인 용도는 다음과 같다. |
− | 랜드박스는 부동산 지식정보 원격교육 플랫폼, 부동산 투자 플랫폼, 지능형 유기농산품 생산 플랫폼 사업을 통해 발생한 수익의 일부분을 랜드박스 토큰을 시장에서 매입하는 데 사용한다. 시장에서 매입한 토큰은 전량 소각한다. 랜드토큰 매입 및 소각에 사용되는 재원은 랜드박스 플랫폼 운영 재단의 재무건전성, R&D 투자, 사업계획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 | * 경매야 스쿨 질문/답변/큐레이션/컨텐츠 공유에 따른 Reward |
| + | * 경매야 스쿨 부동산전문가 expert 서비스 Payment |
| + | * 플랫폼 통화로서 랜드박스 서비스 이용 시 지급, 결제 수단으로 이용 |
| + | * 플랫폼 기여도에 따른 차등 혜택 |
| | | |
| ==로드맵== | | ==로드맵== |
− | * '''[3Q19]''' 부자사관학교 정규과정 19-3기 진행 / 토지 분양 총 6개 필지 매출 50억 / 랜드박스 토큰이코노미 설계 / 팀 구성
| + | [[파일:랜드박스로드맵.png|썸네일|800픽셀|가운데|랜드박스 로드맵]] |
− | * '''[4Q19]''' 부자사관학교 정규과정 19-4기 진행 / 상가 분양 6동 매출 18억 / 토지 분양 총 3개 필지 매출 30억 / 랜드박스 플랫폼 베타 테스트
| |
− | | |
− | * '''[1Q20]''' 부자사관학교 마스터반 운영 / 도서 출판 저자강연회 / 국내 주요 부동산 개발업체 파트너십 체결 / (주)DM개발 법인 설립
| |
− | * '''[2Q20]''' 토큰이코노미설계 / LANDBOX 백서 1.0 발간 / LANDBOX 플랫폼 1.0 런칭 / LAND TOKEN ICO-Private round 진행
| |
− | * '''[3Q20]''' 투자 파트너쉽 체결 / LANDBOX 썸머 컨벤션 (2020 하반기 LANDBOX 미래전략회의) / LAND TOKEN IEO 진행 / LAND TOKEN 암호화폐 거래소 1차 상장 / 도시개발 환지 지분투자 1차 진행
| |
− | * '''[4Q20]''' 부동산 투자 플랫폼 ‘천지인 2.0’ 런칭 / LAND TOKEN 암호호폐 거래소 2차 상장 / 부동산 마켓 그룹 구성
| |
− | | |
− | * '''[1Q21]''' LANDBOX 2.0 (부동산아카데미/멤버쉽 프로그램) 런칭 / LAND TOKEN 스테이킹 서비스 런칭
| |
− | * '''[2Q21]''' 부동산 지식정보 공유 플랫폼 런칭 / 스마트팜 ‘랜드그린’ 농업법인 설립 / LAND TOKEN 암호호폐 거래소 3차 상장 (글로벌)
| |
− | * '''[3Q21]''' 국내 수익형 부동산 운영 (상가, 건물)
| |
− | * '''[4Q21]''' 지능형 ICT 스마트팜 출시 (유기농산품 생산 플랫폼) 글로벌 수익형 부동산 확장(필리핀, 베트남, 태국)
| |
− | | |
− | [[파일:랜드박스 로드맵 200721.png|800픽셀|가운데|썸네일|랜드박스 로드맵]] | |
| | | |
| == 같이 보기 == | | == 같이 보기 == |
81번째 줄: |
55번째 줄: |
| * [[프롭테크]] | | * [[프롭테크]] |
| | | |
− | {{로고 수정 필요}}
| |
|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랜드박스(Landbox)는 글로벌 부동산 투자 정보 공유 플랫폼이다. 랜드박스는 부동산 시장의 디지털 혁신 기술을 도입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부동산 정보를 공유, 누구나 참여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
랜드박스 비즈니스 모델[편집]
랜드박스는 비즈니스 모델은 (1) 글로벌 부동산 개발사업(Global Property Business), (2)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부동산 경매서비스 "프롭테크(Prop-Tech)시스템", (3) LAND-fi "크립토테크(Crypto-Tech)시스템"으로 구분된다. 3가지 사업분야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으로 연관된다.
글로벌 부동산 개발사업(Global Property Business)[편집]
랜드박스는 한국의 주요 사업으로 토지개발 프로젝트(Develoop Relay Project)1건, 도시개발 환지 투자 프로젝트 3건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주요 분야는 DRP(Develop Relay Project), 도시개발 환지 지분투자, 대토/보상차익형 공동투자 프로젝트, 농지위탁경영/수익형 상가건물이다. 2021년 해외사업으로 확장해 글로벌 부동산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해외 신사업부를 설립하고 관계기관 및 단체등과 협력하는 등 글로벌 부동산정보를 공유해 랜드박스 참여자에게 제공한다.
프롭테크 3.0[편집]
프롭테크 1.0시대는 부동산 매물 정보제공에서 시작되었다. 초창기 프롭테크는 부동산 데이터를 재가공함으로써 시장 판도의 변화를 주도하기보다 ‘마켓 플레이스’의 역할이었다. 프롭테크 2.0시대에는 단순 매물 정보제공에서 벗어나 플랫폼 역할이 강조되면서 부동산에서도 공유경제가 부상했다. 현재 미국은 전세계 프롭테크 투자 건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전 세계 프롭테크는 3.0시대에 접어들었다. 1.0시대가 정보의 디지털 전환이었다면 2.0시대는 데이터 분석과 공유경제의 접목이며, 3.0시대는 블록체인, 핀테크 등 신기술 도입으로 요약된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부동산 경매 서비스 "경매야(AuctionOK)"[편집]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부동산 경매 플랫폼 ‘경매야’는 경직되고 폐쇄적인 부동산 거래 시장의 문제를 해결한다. 부동산 거래를 방식의 다양화를 위해 일반 중개매매 방식에 더해 온라인 경쟁입찰 방식을 도입해 부동산 거래 방식의 다양성과 혁신을 가져온다. 부동산 시장에 경매시스템을 도입하면 구매자는 저렴한 가격에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고, 판매자는 적정한 금액에 신속한 판매를 하여 자금 확보를 하게 된다. 온라인 경매는 디지털 시대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경매시스템을 온라인화 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는 보안성과 신뢰성, 투명성과 편리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경매야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입찰 데이터의 조작 가능성을 해소하고, 다양한 사람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쉽고 편리하게 부동산 경매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든다. 블록체인 기술이 입찰 데이터의 이력, 관리, 조건 ,결과 등에 대한 상세내역을 사용자가 검증할 수 있어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릭 몇 번만으로 쉽게 입찰에 참여할 수 있고, 아직 자금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참여를 유도하도록 돕는 ‘ 모의입찰시스템(낙찰가 맞추기)’을 서비스화 하여 경매의 대중화를 선도한다.
공유지분 토지의 환지 유형에 따른 자금회수 시나리오
부동산 지식 공유 커뮤니티 "경매야스쿨"[편집]
경매야 스쿨은 부동산 지식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서비스이다. 부동산 관련 정보와 지식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으며 경매야로부터 인증 받은 부동산 전문가들의 답변과 칼럼, 동영상 등을 업로드하여 경매야 스쿨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경매야 참여자는 기여율에 따라 커뮤니티 활동 리워드 및 랜드포인트를 지급받고, LAND 토큰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LAND-FI “크립토테크 시스템”[편집]
LANDBOX는 서비스 범위를 확장하여 LAND 토큰의 유틸리티 기능을 강화하여 보다 혁신적인 토큰 이코노미를 구축할 수 있다. 사용자는 LANDBOX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LAND 토큰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AND 토큰을 보유하고 있으면 LANDBOX에서 운영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고, 보유하고 있는 LAND 토큰의 수량에 따라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우선적으로 부여받게 된다. 또한 플랫폼 이용 시 할인 혜택 등이 주어진다. LAND는 플랫폼 내에서 참여(access)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LAND는 근본적으로 유틸리티(Utility)형 토큰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플랫폼 참여자의 보상에 따른 지급과 결재에 사용되는 지급형, 유틸리티형 토큰으로서의 성질을 겸유(兼有)하는 하이브리드형 토큰에 해당하기도 한다. LAND-Fi는 LAND Token의 리워드 프로그램이다. 플랫폼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LAND 토큰을 리워드 해주며,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LANDBOX ESG 경영실천[편집]
랜드박스는 경매야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기부경매를 활성화하여 ‘디지털 혁신+신뢰+상생’이라는 비전을 알리고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경영 확산을 추진한다. 경매야 플랫폼은 NFT(Non-Fungible Tokens, 대체불가능토큰) 방식으로 고유의 기부증서를 발급해 기부자의 만족감을 한층 높여 기부 문화를 활성화한다. 디지털 기부증서는 카카오의 계열사 그라운드X가 만든 퍼블릭 블록체인 ‘클레이튼(Klaytn)’을 통해 발행된다.
해당 디지털 기부증서는 디지털자산 지갑인 ‘클립(KLIP)’에 보관할 수 있고, 한국 메신저인 카카오톡 안에 들어 있어 누구나 즉시 활용할 수 있다. NFT 형식의 디지털 기부증서는 종이 기부증서를 통해 기부 인증을 하던 것을 블록체인에 기부내역을 기록하고 카카오의 디지털 지갑인 클립을 통해서 보관할 수 있어 기부증서의 위·변조 가능성이 낮아지고, 자신의 디지털자산 지갑에 보유를 함에 따라 보관과 관리가 편리하다.
토큰 이코노미[편집]
랜드토큰(LAND)은 랜드박스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매개체이다. 플랫폼에서 사용자간 교환 매체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으로서 기능한다. LAND 토큰은 LANDBOX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들 사이에 편리하고 안전한 결제 및 결제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LAND 토큰은 사용자가 LANDBOX 플랫폼의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기 위한 리워드 방식으로도 제공되며, 사용자의 플랫폼 기여도에 따라 공정하게 보상받을 수 있는 상생 시스템을 만든다. LAND 토큰을 보유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LANDBOX 플랫폼에서 참여할 수 없기 때문에 LAND 토큰은 LANDBOX 플랫폼의 필수 불가결한 부분이다.
LAND 토큰의 구체적인 용도는 다음과 같다.
- 경매야 스쿨 질문/답변/큐레이션/컨텐츠 공유에 따른 Reward
- 경매야 스쿨 부동산전문가 expert 서비스 Payment
- 플랫폼 통화로서 랜드박스 서비스 이용 시 지급, 결제 수단으로 이용
- 플랫폼 기여도에 따른 차등 혜택
로드맵[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랜드박스 문서는 암호화폐 종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암호화폐 : 암호화폐 종류 □■⊕, 암호화폐 종류(국가별), 암호화폐 종류(가나다), 암호화폐 분류, 암호화폐 거래소, 암호화폐 거래, 암호화폐 지갑, 암호화폐 역사, 채굴기, 채굴업체, 채굴지역
|
|
비트코인 이전
|
넷캐시 • 비머니 • 비트골드 • 이캐시 • 해시캐시
|
|
비트코인 계열
|
그로스톨코인 • 도지코인 • 라이트코인 • 랩트비트코인(WBTC) • 루트스탁 • 마이크로비트코인 • 모나코인 • 버트코인 • 비트코인 • 비트코인골드 • 비트코인 다이아몬드 • 비트코인에스브이 • 비트코인캐시 • 시바이누 • 아인스타이늄 • 옴니레이어(마스터코인) • 타이드코인 • 해시쉐어
|
|
이더리움 계열
|
도지더리움 • 레이든 • 비트셰어(비트쉐어) • 오에스티 • 이더리움 • 이더리움 2.0 • 이더리움 클래식 • 이더리움페어 • 이더리움피오더블유 • 이더제로 • 질리카 • 카르다노(에이다)
|
|
리플 계열
|
나노코인(레이블록) • 레밋 • 리플 • 모비우스 • 빔 • 스텔라루멘
|
|
플랫폼 코인
|
너보스 • 널스 • 네오 • 넥서스 • 넴(젬, 뉴이코노미무브먼트) • 닉토넷 • 다온 • 드래곤체인 • 드렙 • 디지털비츠 • 디크레드 • 로커스체인 • 루니버스 • 루비디움 • 루크 • 리스크 • 리프토큰 • 립체인 • 마이크로비트코인 • 맘모스 • 메타무이블록체인 • 메타코인 • 메트로놈 • 모아 • 모악체인 • 모파스 • 모피어스랩 • 미나코인 • 미디움 • 베카즈 • 벨라스 • 보스코인 • 볼러 • 부머 • 브이시스템즈 • 비트체리 • 세이체인 • 셀러네트워크 • 솔라나 • 슈코인 • 스카이코인 • 스트라티스 • 스페이스메시 • 시그마체인 • 심버스 • 썬더코어(썬더토큰) • 아더코인 • 아르고 • 아이온 • 아이콘 • 아크 • 아크블록 • 알고랜드 • 알체인 • 애터니티 • 앤드어스체인 • 앱토스 • 얍체인 • 에덴체인 • 에이오케이(AOK) • 에코체인 • 엔엑스티(NXT) • 엔케이엔 • 엘라스토스 • 엘론드 • 엘프 • 엠씨에스에스(MCSS) • 엠아이비코인 • 오디세이코인 • 오로라체인 • 오르빗체인 • 오바이트 • 오브스 • 오아시스블록 • 완체인 • 요코인 • 웨이브즈 • 웨이키체인 • 위고체인 • 위즈블 • 위피드 • 유니피케이션 • 이그드라시 • 이니그마 • 이디씨블록체인 • 이오스 • 이오스블랙 • 이오스크롬 • 이오스트(아이오에스티) • 인솔라 • 제나로네트워크 • 지엠비(GMB) • 카드스택 • 카이아 • 캐논체인 • 컬러코인 • 코드체인 • 코스모스코인 • 콘플럭스 • 쿼크체인 • 큐브체인 • 큐텀 • 큐어코인 • 크레딧츠 • 클레이튼 • 택사네트워크 • 테조스 • 텔로스 • 트루체인 • 티티씨 • 폴라리스 • 폴카닷 • 프로토콘 • 플래틴코인 • 플레타 • 피어코인 • 핀시아 • 하모니 • 하이콘 • 하이퍼블록 • 하이퍼캐시(에이치셰어) • 헤데라코인 • 홀로체인
|
|
유틸리티 토큰
|
28VC • MTB코인 • 가트코인 • 골드블록 • 골프로체인 • 그랑엑스 • 기프토 • 기프트랜드 • 네뷸러스 • 네스트리 • 넷플러스 • 누비츠 • 뉴파워체인 • 다이아토큰 • 대박코인 • 데이탐코인(에델코인) • 드래곤베인 • 디브이피 • 디스커버엑스 • 디씨씨 • 디알씨 모빌리티 • 디카르고 • 라운드엑스 • 럭키아이오 • 레디 • 레이온 • 레포코인 • 로또포엘 • 로보티나 • 로제우스 • 롬코인 • 리니지코드 • 리버마운트 • 리션 • 링플랫폼 • 마스크도지코인 • 마이스 • 마인드AI • 마일벌스 • 만타네트워크 • 메이커토큰 • 메인프레임토큰 • 메크로 • 메타노이아 • 메타디움 • 메타무이 • 메타비트코인 • 모조엑스 • 밀크 • 바나나톡 • 바르크 • 배니웨어 • 베리드 • 베리타시움 • 베이시스 • 벤코인 • 브론토노드 • 블랙웨일 • 블록틱스 • 블루웨일 • 비에이치피캐시(BHP캐시) • 비체인 • 비투어체인 • 비트리워드 • 비트모빅 • 비트씨이오 • 비트오브마인드 • 산타비전 • 센티넬 프로토콜 • 솔트코인 • 스마트켐 • 스테픈 • 스톰토큰 • 시린토큰 • 시빅코인 • 시얼 • 싱코토큰 • 씨로드토큰 • 씨비토큰 • 아그렐로 • 아다노스체인 • 아비코인 • 아이즈 프로토콜 • 아트초이스 • 아피스 • 애스톤 • 어셈블프로토콜 • 에너고 • 에이피이앤에프티 • 에프앤비 프로토콜 • 에바아이오 • 에스브이브이씨 • 에이코인 • 에이피엠코인 • 엑스와이오 네트워크 • 엑시얼 • 엔에프유피 • 엔픽블록 • 엘라마체인 • 엘리넷 • 엘리시아 • 엠투오 프로젝트 • 오리온볼트 • 오리진 • 와일더월드 • 위파워 • 유벡스 • 이그니스 • 이넥트 • 이머코인 • 이비코인 • 익스트림 • 인비토큰 • 인코디움 • 인피니투스 • 일렉트리파이 • 임브렉스 • 잉크프로토콜 • 잿고 • 저널코인 • 주어 • 지퍼코인 • 직토큰 • 체리 • 체인코인 • 칠리즈 • 카바 • 칼리스토 • 컨셀 • 케이뷰티체인 • 코르텍스 • 코박토큰 • 코스미 • 콘센티움 • 크레딧코인 • 클링 • 킨코인 • 타미토큰 • 테크라코인 • 텔코인 • 토큰포스트코인 • 톤코인 • 트라도브 • 트러스트버스 • 트러스트서치(암호경찰) • 트웰브쉽스 • 파워렛저 • 파퓰러스 • 팍소스골드 • 팍소스스탠다드 • 팝켓코인 • 팩텀 • 팬텀코인 • 페이파이 • 페치에이아이 • 포켓 프로젝트 • 폴리곤 • 퓨처피아 • 프레시움 • 프롬카 • 플루토 • 피르마체인 • 피오에이트(PO8) • 피즈토큰 • 하이브 • 하이콘(HIC) • 해시팟 • 해피버스데이코인 • 헌트
|
|
결제 코인
|
AWNEX • GP코인 •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그랑 • 글로브코인 • 글루와코인 • 넥스티플랫폼 • 노즈코인 • 다빈치코인 • 더블유플러스 • 델리오 • 디엠(리브라) • 디피이씨(DPEC) • 레드코인 • 루나 • 리퀘스트 네트워크 • 리퀴디티 네트워크 • 링카 • 메탈코인 • 모네로스 • 모네타프로 • 바이낸스 비너스 • 발카리 • 베리 • 베잔트 • 블루콘 • 사이버마일즈 • 세인트웨이토큰 • 센터코인 • 셀로 • 소다코인 • 쉽코인 • 스와이프 • 스트라이크 • 슬레저 • 시스코인 • 쎈 • 아몬 • 아스타 • 알트리 • 애슬론 • 에이비비씨 • 에잇페이 • 엑스바 • 엑스피체인 • 엠씨에이엠(MCAM) • 엠유에프지코인(MUFG코인) • 오미세고 • 와라코인 • 웹캐시 • 유비코인 • 일렉트로늄 • 쟁크 • 제이피엠코인(JPM코인) • 지오프로토콜 • 커피추얼 • 코인덕 • 코인커피 • 코티 • 쿠션코인 • 큐알비트코인 • 크립토닷컴(모나코) • 테라 • 텐엑스 • 템텀 • 토리움 • 통통코인 • 파즈코인 • 패션코인 • 펀디엑스 • 펑키페이 • 페이엑스 • 페이코인 • 퓨마페이 • 퓨즈엑스 • 프로톤체인 • 하메비토큰 • 해피코인 • 휴페이엑스 • 히든코인
|
|
프라이버시 코인
|
그린코인 • 대시 • 머큐리 • 모네로 • 믹신 • 바이트코인 • 버지 • 불웍 • 스마트캐시 • 스타크웨어 • 에이아이피피(AIPP) • 오리고 • 지캐시(제트캐시) • 지코인 • 지클래식(제트클래식) • 코모도 • 파티클코인 • 피벡스
|
|
자산관리 토큰
|
BAYC • 골드에스엑스 • 깨비 • 다이 • 더마이다스터치골드(TMTG) • 디앱코인 • 디직스다오 • 랜드박스 • 레이븐코인 • 리트(LIT) • 메타젤리스 • 메타콩즈 • 바이텀 • 선미야클럽 • 성난황소클럽 • 세미토큰 • 세이코인 • 세이빙스코인 • 섹터오브랜드 • 신세틱스 • 씨씨에이 • 아이뱅크 • 아이하우스토큰 • 아즈키 • 어나더월드 • 에너지토큰 • 에스티피 • 에이브 • 이에프지토큰(EFG) • 젬마 • 지르코인 • 지에스디티(GSDT) • 컴파운드 • 코나코인 • 쿨캣츠 • 퀸비 • 크립토펑크 • 트레이드윈드 • 트로이 • 트릴리온 • 팁스코인 • 폴리매쓰 • 피이코인 • 피투피고 • 해시가드
|
|
게임 토큰
|
게임닷컴(GTC) • 게임엑스코인 • 게임트리 • 기프코인 • 닉스 • 더솔저스골드 • 디마켓 • 디센트럴랜드 • 디지바이트 • 라쿤 • 레이드 • 루데나 프로토콜 • 룸네트워크 • 메시코인 • 메타플래닛 • 모스코인 • 미네랄토큰 • 믹스마블 • 브릴라이트 • 비스킷토큰 • 비전메타버스 • 산해세계(MSW) • 스마트리워드토큰 • 스포츠플렉스 • 신드럼 • 실리카넥서스 • 아이텀게임즈 • 알토 • 엔진코인 • 엔파스 • 엠펀 • 오아시스게임 • 왁스 • 코코스BCX • 템비트(마그넷) • 펀페어 • 플레이댑 • 플레이어원 • 플레이엑스 • 히어로북토큰
|
|
콘텐츠 토큰
|
ANV • MBTCs • 동글 • 드림캐쳐토큰 • 디튜브 • 루도스 • 메카코인 • 메타비트 • 모스트코인 • 무비블록 • 무비코인 • 미라클토큰 • 미스릴 • 베라시티 • 보라토큰 • 블루바이칼 • 비엠피(BMP) • 사운드블록체인프로토콜 • 산타토익코인 • 소바코인 • 스노우닥 • 스노우메이커스 • 스캐넷체인 • 스타시아 • 스타체인 • 스테이지 • 스토리체인 • 스팀 • 스팽크체인 • 스페로 • 식스 • 심토큰 • 썸씽 • 쎄타토큰 • 쎄타퓨엘 • 씨펀 • 아라 • 아소비 • 아이엠어코인 • 아이큐 • 아이템버스 • 아트링크 • 아하토큰 • 알파쿼크 • 애니버스 • 애드볼 • 앨리스 원더랜드 코인 • 에듀해시 • 에드체인 • 에브리피디아 • 에이콘 • 에토스 • 엘비알와이크레딧(LBRY) • 엠피코인(MP코인) • 오뎀 • 오픈뉴스토큰 • 요요우 • 위쇼토큰 • 위싱코인 • 유네트워크 • 유니오 • 유비너 • 이더소셜 • 제너레이션 • 제시콘 • 지팝 • 체인플릭스 • 캐스트윗 • 케이튠 • 케이팝코인 • 콘텐츠프로토콜토큰(CPT) • 콘텐토스 • 콘텐트박스 • 퀴즈톡 • 크레당액티브 • 크레당코인 • 크레당토큰 • 크레마뇽 • 클레버스 • 클레입스 • 타타투 • 톡큰 • 튜다 • 트론 • 파우터코인 • 팝체인 • 팬덤체인 • 팬덤코인 • 프리마스 • 픽션네트워크 • 하바
|
|
데이터 토큰
|
가나토큰 • 갭스 • 노시스 • 뉴머라이 • 다드 • 더그래프 • 덴타코인 • 덴트 • 디클리닉 • 땀 • 레이팃 • 루시디티 • 리버스코인 • 리베인 • 리빈 • 리퍼리움 • 림포 • 마이크레딧체인 • 메디블록 • 메디우스 • 메타미 • 베이직어텐션토큰 • 보니콘 • 블루젤 • 비토큰 • 세이프인슈어 • 솔브케어 • 스크라이인포 •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 • 쓰레스홀드 • 아모베오 • 아몬드 • 알파체인 • 알파콘 • 애너그램 • 애드엑스 • 애드토큰 • 어거 • 에어블록 • 에어체인 • 엔도르 • 엘리시움-지 • 엘픽스 • 오션 • 오션체인 • 온톨로지 • 왐토큰 • 요타체인 • 위블락 • 이디코인 • 인슈어리움 • 지에스이네트워크 • 지엑스체인 • 징크 • 체인링크 • 카디오코인 • 캐리프로토콜 • 코바 • 코스모체인 • 큐브코인 • 트리고 • 패브릭코인 • 필라코인 • 히포크랏(흄) • 힌트체인
|
|
사물인터넷 토큰
|
뉴클리어스비전 • 라임코인 • 러프체인 • 리베츠 • 린피니티 • 머신익스체인지코인 • 블록체인카 • 스마트블록체인시티 • 아모 • 아이오타 • 아이오티체인 • 에스디체인 • 에이치닥 • 엔티온 • 엠블 • 오아스체인 • 월튼체인 • 인터넷노드토큰 • 타락사
|
|
분산 클라우드 토큰
|
AI네트워크 • 골렘 • 디피니티 • 람다코인 • 메이드세이프코인 • 블록스택 • 비트토렌트토큰 • 서브스트라텀 • 소늠 • 스토리지코인 • 시아코인 • 앵커 • 에이콘 • 유토큰 • 지비티프로토콜(그래비티) • 코넌 • 타키온 프로토콜 • 파일캐시 • 파일코인 • 펑션엑스 • 프록시마엑스
|
|
거래소 코인
|
게이트체인 • 넥시 • 데이 • 덱스코인 • 디지털유에스디 • 레일 • 루프링 • 리퀴드코인(QASH) • 링크코인 • 바이낸스GBP • 바이낸스USD • 바이낸스코인 • 방코르토큰 • 밸러토큰 • 벤타스코인 • 블러 • 비센트토큰 • 비트소닉코인 • 비트칸 • 비티씨비(BTCB) • 빅스 • 빗썸코인 • 씨엔에이치티(CNHT) • 에프티코인(FT코인) • 오비트 • 오케이비 • 원루트 네트워크 • 유에스디코인(USD코인) • 제로엑스 • 제미니달러 • 체인저토큰 • 카이버 네트워크 • 칼라스왑 • 캡 • 코니 • 코즈 • 쿠코인셰어(KCS) • 크립토넥스 • 테더 • 트루USD • 프로비트토큰 • 후오비USD • 후오비토큰
|
|
국가 • 지역
|
경북코인 • 김포페이 • 노원화폐 • 서울코인 • 울산페이 • 페트로
|
|
논란 중인 코인
|
고믹스 • 곰토큰 • 마그나체인 • 블럭셀 • 비트커넥트 • 에스블록 • 원코인 • 이골드 • 이엑스투(EX2) • 젠서 • 코인업 • 크립토커브 • 파이트투페임 • 플러스토큰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