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코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레드코인'''<!--레드 코인-->(Reddcoin)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송금]]을 목적으로 만든 [[암호화폐]]이다. 레드코인의 화폐 단위는 '''RDD'''이다. 레드코인은 [[지분속도증명]](PoSV)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기존의 [[지분증명]](PoS) 합의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의 소유권을 중요시했으나, 레드코인이 사용하는 [[지분속도증명]](PoSV; Proof of Stake Velocity)은 소유권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의 활동 속도(Velocity)까지 고려하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 + | [[파일:레드코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레드코인'''(Reddcoin)]] |
+ | [[파일:레드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레드코인'''(Reddcoin)]] | ||
+ | [[파일:제이 로렌스.jpg|썸네일|200픽셀|'''[[제이 로렌스]]'''(Jay Laurence)]] | ||
+ | |||
+ | '''레드코인'''<!--레드 코인-->(Reddcoin)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송금]]을 목적으로 만든 [[암호화폐]]이다. 레드코인의 화폐 단위는 '''RDD'''이다. 레드코인은 영어로 Red가 아니라 d를 두 개 사용해서 Redd 코인이라고 쓴다. 레드코인은 [[지분속도증명]](PoSV)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기존의 [[지분증명]](PoS) 합의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의 소유권을 중요시했으나, 레드코인이 사용하는 [[지분속도증명]](PoSV; Proof of Stake Velocity)은 소유권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의 활동 속도(Velocity)까지 고려하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레드코인의 대표이사는 미국의 '''[[제이 로렌스]]'''(Jay Laurence)이다. | ||
== 개요 == | == 개요 == | ||
7번째 줄: | 11번째 줄: | ||
=== 크리에이터에게 보상 === | === 크리에이터에게 보상 === | ||
레드코인은 레드오션보다는 비교적 블루오션인 소셜미디어를 주 무대로 하는 [[플랫폼]]이다. 소셜미디어를 타겟층으로 잡은 레드코인은 많은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때문에 높은 활용도를 보여준다. 레드코인은 소셜미디어를 시작으로 활발한 네트워크와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암호화폐가 되고자 한다.<ref name="머니넷">머니넷스탭, 〈[https://www.moneynet.co.kr/board_lecture/742406 레드코인(RDD) 개념 및 특징]〉, 《머니넷》, 2018-02-22</ref> 특히 유튜브와 페이스북 그리고 인스타그램에서는 크리에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창작자들에 의해 흥미롭고 다양한 컨텐츠가 업로드되고 있다. 플랫폼의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취향에 따라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구독하게 되는데 때로는 자신이 감상한 콘텐츠에 대해 혹은 그 크리에이터에게 마음을 전달하고 하고 싶을 때가 있다. 레드코인은 현존하는 좋아요 버튼, 리트윗 버튼을 넘어 소셜미디어에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일상생활에 있는 팁(TIP)의 개념을 통해 콘텐츠 제작자에게 레드코인을 기부할 수 있다. 레드코인은 소셜미디어에서 창작자들과 감상자들을 연결하고 컨텐츠 제작자들에게 동기부여로 작용하게 된다.<ref name="머니넷"></ref> | 레드코인은 레드오션보다는 비교적 블루오션인 소셜미디어를 주 무대로 하는 [[플랫폼]]이다. 소셜미디어를 타겟층으로 잡은 레드코인은 많은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때문에 높은 활용도를 보여준다. 레드코인은 소셜미디어를 시작으로 활발한 네트워크와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암호화폐가 되고자 한다.<ref name="머니넷">머니넷스탭, 〈[https://www.moneynet.co.kr/board_lecture/742406 레드코인(RDD) 개념 및 특징]〉, 《머니넷》, 2018-02-22</ref> 특히 유튜브와 페이스북 그리고 인스타그램에서는 크리에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창작자들에 의해 흥미롭고 다양한 컨텐츠가 업로드되고 있다. 플랫폼의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취향에 따라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구독하게 되는데 때로는 자신이 감상한 콘텐츠에 대해 혹은 그 크리에이터에게 마음을 전달하고 하고 싶을 때가 있다. 레드코인은 현존하는 좋아요 버튼, 리트윗 버튼을 넘어 소셜미디어에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일상생활에 있는 팁(TIP)의 개념을 통해 콘텐츠 제작자에게 레드코인을 기부할 수 있다. 레드코인은 소셜미디어에서 창작자들과 감상자들을 연결하고 컨텐츠 제작자들에게 동기부여로 작용하게 된다.<ref name="머니넷"></ref> | ||
+ | |||
+ | === 팁핑 === | ||
+ | 팁핑(Tipping)서비스는 봉사해준 것에 대한 고마움을 답례로 그에 따르는 봉사료를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기본에 봉사자에게 주던 팁의 개념이 내가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해주 콘텐츠 생산자에게 보내주는 감사의 선물 개념으로 바뀌게 되었다. 방송 수신료를 받고 방송사에 대중의 욕구를 총족시킬 프로를 만들듯이 이러한 팁들을 받고 개인들의 콘텐츠 니즈(needs), 즉성 관심사를 공유하는 특정집단의 욕구 등을 채워주는 커스터마이징 프로를 내놓는 것과 같다.<ref>우비소년다, 〈[http://www.maybugs.com/news/articleView.html?idxno=560468 레드코인이란? 공식! 레드코인 총정리]〉, 《메이벅스》, 2018-03-10</ref> | ||
=== 송금 === | === 송금 === | ||
레드코인는 송금수수료가 0%라는 강점을 가졌다. [[암호화폐]]의 탄생은 사람들에게 장소와 시간의 구애없이 돈을 송금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해줬다. 하지만 문제는 송금 수수료가 비싸다는 것이다. 레드코인의 송금은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다. 돈을 송금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돈을 받는 사람도 모두 수수료 0%를 보장받는다. 이러한 강점과 많은 유저를 보유하고 있는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점은 잠재적으로 많은 유저들의 유입이 기대되고 그들로 인한 레드코인에 사용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레드코인을 사용한다면 페이스북 친구, 트위터 팔로워, 인스타그램 팔로워에게 송금하고 싶을 때 수수료 없이 송금이 가능한 만큼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ref name="머니넷"></ref> | 레드코인는 송금수수료가 0%라는 강점을 가졌다. [[암호화폐]]의 탄생은 사람들에게 장소와 시간의 구애없이 돈을 송금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해줬다. 하지만 문제는 송금 수수료가 비싸다는 것이다. 레드코인의 송금은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다. 돈을 송금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돈을 받는 사람도 모두 수수료 0%를 보장받는다. 이러한 강점과 많은 유저를 보유하고 있는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점은 잠재적으로 많은 유저들의 유입이 기대되고 그들로 인한 레드코인에 사용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레드코인을 사용한다면 페이스북 친구, 트위터 팔로워, 인스타그램 팔로워에게 송금하고 싶을 때 수수료 없이 송금이 가능한 만큼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ref name="머니넷"></ref> | ||
+ | === 지갑 === | ||
+ | 레드코인은 '''레드아이디'''(Redd-ID)라는 웹[[지갑]]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고유한 아이디(ID)를 생성하여 신분증명 없이 [[지분속도증명]]을 활용하여 개인키를 연동시켜 모바일, 데스크탑 등에서 서로의 지갑으로 자산을 손쉽게 송수신할 수 있게끔 API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ref>bit issue, 〈[https://blog.naver.com/bit_issue/221311024055 가상화폐 ICO정보_Reddcoin레드코인 (RDD)]〉, 《네이버 블로그》, 2018-07-02</ref> [[블록체인]]에 아이디(ID)를 결합한것으로 복잡한 기존의 주소가 아닌 내가 지정한 아이디로 레드코인을 전송할 수 있다. 레드 아이디는 각 아이디를 만들 떄 약간의 등록비용이 있다. 이 때 들어간 등록비용이 지분속도증명의 이자 지급형식으로 사용된다. 레드 아이디를 등록할 때 비용은 길이, 문자, 대소문자, 숫자 등의 여러가지 요소로 결정된다. 레드 아이디에서 아이디를 만들 때 인기있는 아이디는 조금 더 값을 지불해야 한다. 보통 게임에서 아이디를 거래할 때 인기있는 아이디가 고가로 판매가 되는것과 같은 형식이다. 레드 아이디에서 같은 아이디를 계속 쓰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다시 갱신을 해야 한다. 레드 아이디는 각 SNS 아이디와 연동이 가능하며 이때 각 SNS 아이디마다 할당되는 개별 주소가 있다. 레드 아이디를 통해서 전송되는 레드 코인의 수수료는 거의 무료이다.<ref>sh931216, 〈[https://steemit.com/kr/@sh931216/coin-redd-redd-id (COIN) Reddcoin의 Redd-ID 란 무엇인가??]〉, 《스팀잇》, 2018-04-15</ref> | ||
+ | |||
+ | === 합의 알고리즘 === | ||
+ | 레드코인은 [[지분속도증명]]을 사용한다. 지분활동증명이라고도 불리는 지분속도증명(PoSV)은 쉽게 표현한다면 복리 이자를 의미한다. 연간 5~6% 정도의 이자율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ref>stella12, 〈[https://steemit.com/kr/@stella12/reddcoin 레드코인(Reddcoin)이란 무엇인가?]〉, 《스팀잇》, 2018-04-12</ref> 지분이 많을수록 이자가 지급되며, 다시 새로운 총량으로 계산된다. 장점은 채굴 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이지만, 상위 1%지분을 가진 유저가 대부분의 채굴 확률과 채굴 수량을 가져간다는 부정적인 시간도 있다.<ref>토큰포스트, 〈[https://tokenpost.kr/terms/14896 레드코인(RDD)]〉, 《토큰포스트》</ref> 지분활동증명은 실질적으로 지분증명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V(활동성;Velocity)를 넣은 이유는 레드코인의 자랑인 속도때문이다. | ||
+ | |||
+ | == 논란 == | ||
+ | 레드코인은 스캠 의심설이 돌았다. 물론 팩트를 기반으로 스캠 의심설을 대처하여 잘 넘어갔다. 우선 스캠이라는 의심을 받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개발진 물량이 빠져나가고 있다는 의심과 미묘한 시기의 홈페이지 해킹, 소스코드를 올리지 않는 등 문제로 의심설을 촉발되었다. 그에 레드팀은 개발진 물량은 현재 약 3280만개 정도가 세 목적을 가진 지갑에 나눠 담겨있으며 이미 AMA 세션에서 한차례 제시되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레드코인 닷컴이 해킹되었을 뿐 트랜잭션 확인이 가능한 체인페이지는 잘 작동하였고 매매내역을 가리려고 해킹할 수도 없다. 그 이유는 블록체인은 혹 웹페이지가 해킹되어 잠깐 확인이 되지 않는다 하여도 다시 복구되면 이전 모든 내역을 확인 가능하기 때문이다.<ref>김레드, 〈[https://coinpan.com/rdd/72245805 레드코인 스캠의심설 팩트!]〉, 《코인판》, 2018-05-08</ref>이것은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특성이다. 이러한 답변등을 통해 레드코인 스캠의심설을 잠재웠다. | ||
+ | |||
+ | == 전망 == | ||
+ | 초기 레드코인은 아프리카 TV의 별풍선같은 팁핑을 해줄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많은 가능성을 가진 코인으로 평가되었다. 초창기 개발팀들이 문제가 발생하여 모두 떠나고 네셔라는 개발자만이 주도적으로 개발을 맡아 진행하는 상태로 개발이 다소 늦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새로운 개발진들을 구성하여 안정적으로 개발이 가능해졌고 지속적인 개발과 활동을 위해 미국 LCC회사를 설립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회사를 설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은 정식적으로 법적인 실체를 갖추어 운영하겠다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향후 SNS 플랫폼들과의 연동성이 높아진다면 더 높은 호재성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ref>달콤팝콘의 꿀같은 정보, 〈[https://pophoney.tistory.com/103 레드코인RDD 전망및 호재성 기본개념 정리해봤습니다.]〉, 《티스토리》, 2018-03-11</ref> | ||
+ | |||
+ | {{각주}} | ||
+ | |||
== 참고자료 == | == 참고자료 == | ||
+ | * 레드코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reddcoin.com/ | ||
* 비트웹 편집국,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644 레드코인(Reddcoin) - SNS에서의 송금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암호화폐]〉, 《비트웹》, 2018-04-02 | * 비트웹 편집국,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644 레드코인(Reddcoin) - SNS에서의 송금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암호화폐]〉, 《비트웹》, 2018-04-02 | ||
* 머니넷스탭, 〈[https://www.moneynet.co.kr/board_lecture/742406 레드코인(RDD) 개념 및 특징]〉, 《머니넷》, 2018-02-22 | * 머니넷스탭, 〈[https://www.moneynet.co.kr/board_lecture/742406 레드코인(RDD) 개념 및 특징]〉, 《머니넷》, 2018-02-22 | ||
* stella12, 〈[https://steemit.com/kr/@stella12/reddcoin 레드코인(Reddcoin)이란 무엇인가?]〉, 《스팀잇》, 2018-04-12 | * stella12, 〈[https://steemit.com/kr/@stella12/reddcoin 레드코인(Reddcoin)이란 무엇인가?]〉, 《스팀잇》, 2018-04-12 | ||
+ | * "[https://agroff.github.io/posv/ Understanding PoSV]", ''Github'' | ||
+ | * 토큰포스트, 〈[https://tokenpost.kr/terms/14896 레드코인(RDD)]〉, 《토큰포스트》 | ||
+ | * 우비소년다, 〈[http://www.maybugs.com/news/articleView.html?idxno=560468 레드코인이란? 공식! 레드코인 총정리]〉, 《메이벅스》, 2018-03-10 | ||
+ | * bit issue, 〈[https://blog.naver.com/bit_issue/221311024055 가상화폐 ICO정보_Reddcoin레드코인 (RDD)]〉, 《네이버 블로그》, 2018-07-02 | ||
+ | * sh931216, 〈[https://steemit.com/kr/@sh931216/coin-redd-redd-id (COIN) Reddcoin의 Redd-ID 란 무엇인가??]〉, 《스팀잇》, 2018-04-15 | ||
+ | * 김레드, 〈[https://coinpan.com/rdd/72245805 레드코인 스캠의심설 팩트!]〉, 《코인판》, 2018-05-08 | ||
+ | * 달콤팝콘의 꿀같은 정보, 〈[https://pophoney.tistory.com/103 레드코인RDD 전망및 호재성 기본개념 정리해봤습니다.]〉, 《티스토리》, 2018-03-11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 | * [[제이 로렌스]] | ||
* [[지분속도증명]] | * [[지분속도증명]] | ||
− | + |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
− | {{암호화폐 종류| |
2021년 5월 10일 (월) 00:47 기준 최신판
레드코인(Reddcoin)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송금을 목적으로 만든 암호화폐이다. 레드코인의 화폐 단위는 RDD이다. 레드코인은 영어로 Red가 아니라 d를 두 개 사용해서 Redd 코인이라고 쓴다. 레드코인은 지분속도증명(PoSV)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기존의 지분증명(PoS) 합의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의 소유권을 중요시했으나, 레드코인이 사용하는 지분속도증명(PoSV; Proof of Stake Velocity)은 소유권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의 활동 속도(Velocity)까지 고려하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레드코인의 대표이사는 미국의 제이 로렌스(Jay Laurence)이다.
개요[편집]
레드코인은 소셜화폐(Social Currency)라는 이름을 달고 2014년에 개발되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송금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레드코인은 크리에이터들에게 빠르고 쉽게 기부(Micro Donation)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현재 크리에이터에게 기부를 하고 싶어도 다소 번거운 절차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다. 레드코인은 합의 알고리즘으로 지분속도증명(PoSV; Proof of Stake Velocity)를 채택하였다. 기존의 지분증명(PoS)방식이 소유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지분속도증명(PoSV) 방식은 활동성(Velocity)까지 고려하여 설계된 알고리즘이다. 레드코인은 단순한 후원을 넘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화폐 단위가 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다방면적인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다.[1]
특징[편집]
크리에이터에게 보상[편집]
레드코인은 레드오션보다는 비교적 블루오션인 소셜미디어를 주 무대로 하는 플랫폼이다. 소셜미디어를 타겟층으로 잡은 레드코인은 많은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때문에 높은 활용도를 보여준다. 레드코인은 소셜미디어를 시작으로 활발한 네트워크와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암호화폐가 되고자 한다.[2] 특히 유튜브와 페이스북 그리고 인스타그램에서는 크리에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창작자들에 의해 흥미롭고 다양한 컨텐츠가 업로드되고 있다. 플랫폼의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취향에 따라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구독하게 되는데 때로는 자신이 감상한 콘텐츠에 대해 혹은 그 크리에이터에게 마음을 전달하고 하고 싶을 때가 있다. 레드코인은 현존하는 좋아요 버튼, 리트윗 버튼을 넘어 소셜미디어에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일상생활에 있는 팁(TIP)의 개념을 통해 콘텐츠 제작자에게 레드코인을 기부할 수 있다. 레드코인은 소셜미디어에서 창작자들과 감상자들을 연결하고 컨텐츠 제작자들에게 동기부여로 작용하게 된다.[2]
팁핑[편집]
팁핑(Tipping)서비스는 봉사해준 것에 대한 고마움을 답례로 그에 따르는 봉사료를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기본에 봉사자에게 주던 팁의 개념이 내가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해주 콘텐츠 생산자에게 보내주는 감사의 선물 개념으로 바뀌게 되었다. 방송 수신료를 받고 방송사에 대중의 욕구를 총족시킬 프로를 만들듯이 이러한 팁들을 받고 개인들의 콘텐츠 니즈(needs), 즉성 관심사를 공유하는 특정집단의 욕구 등을 채워주는 커스터마이징 프로를 내놓는 것과 같다.[3]
송금[편집]
레드코인는 송금수수료가 0%라는 강점을 가졌다. 암호화폐의 탄생은 사람들에게 장소와 시간의 구애없이 돈을 송금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해줬다. 하지만 문제는 송금 수수료가 비싸다는 것이다. 레드코인의 송금은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다. 돈을 송금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돈을 받는 사람도 모두 수수료 0%를 보장받는다. 이러한 강점과 많은 유저를 보유하고 있는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점은 잠재적으로 많은 유저들의 유입이 기대되고 그들로 인한 레드코인에 사용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레드코인을 사용한다면 페이스북 친구, 트위터 팔로워, 인스타그램 팔로워에게 송금하고 싶을 때 수수료 없이 송금이 가능한 만큼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2]
지갑[편집]
레드코인은 레드아이디(Redd-ID)라는 웹지갑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고유한 아이디(ID)를 생성하여 신분증명 없이 지분속도증명을 활용하여 개인키를 연동시켜 모바일, 데스크탑 등에서 서로의 지갑으로 자산을 손쉽게 송수신할 수 있게끔 API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4] 블록체인에 아이디(ID)를 결합한것으로 복잡한 기존의 주소가 아닌 내가 지정한 아이디로 레드코인을 전송할 수 있다. 레드 아이디는 각 아이디를 만들 떄 약간의 등록비용이 있다. 이 때 들어간 등록비용이 지분속도증명의 이자 지급형식으로 사용된다. 레드 아이디를 등록할 때 비용은 길이, 문자, 대소문자, 숫자 등의 여러가지 요소로 결정된다. 레드 아이디에서 아이디를 만들 때 인기있는 아이디는 조금 더 값을 지불해야 한다. 보통 게임에서 아이디를 거래할 때 인기있는 아이디가 고가로 판매가 되는것과 같은 형식이다. 레드 아이디에서 같은 아이디를 계속 쓰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다시 갱신을 해야 한다. 레드 아이디는 각 SNS 아이디와 연동이 가능하며 이때 각 SNS 아이디마다 할당되는 개별 주소가 있다. 레드 아이디를 통해서 전송되는 레드 코인의 수수료는 거의 무료이다.[5]
합의 알고리즘[편집]
레드코인은 지분속도증명을 사용한다. 지분활동증명이라고도 불리는 지분속도증명(PoSV)은 쉽게 표현한다면 복리 이자를 의미한다. 연간 5~6% 정도의 이자율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6] 지분이 많을수록 이자가 지급되며, 다시 새로운 총량으로 계산된다. 장점은 채굴 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이지만, 상위 1%지분을 가진 유저가 대부분의 채굴 확률과 채굴 수량을 가져간다는 부정적인 시간도 있다.[7] 지분활동증명은 실질적으로 지분증명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V(활동성;Velocity)를 넣은 이유는 레드코인의 자랑인 속도때문이다.
논란[편집]
레드코인은 스캠 의심설이 돌았다. 물론 팩트를 기반으로 스캠 의심설을 대처하여 잘 넘어갔다. 우선 스캠이라는 의심을 받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개발진 물량이 빠져나가고 있다는 의심과 미묘한 시기의 홈페이지 해킹, 소스코드를 올리지 않는 등 문제로 의심설을 촉발되었다. 그에 레드팀은 개발진 물량은 현재 약 3280만개 정도가 세 목적을 가진 지갑에 나눠 담겨있으며 이미 AMA 세션에서 한차례 제시되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레드코인 닷컴이 해킹되었을 뿐 트랜잭션 확인이 가능한 체인페이지는 잘 작동하였고 매매내역을 가리려고 해킹할 수도 없다. 그 이유는 블록체인은 혹 웹페이지가 해킹되어 잠깐 확인이 되지 않는다 하여도 다시 복구되면 이전 모든 내역을 확인 가능하기 때문이다.[8]이것은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특성이다. 이러한 답변등을 통해 레드코인 스캠의심설을 잠재웠다.
전망[편집]
초기 레드코인은 아프리카 TV의 별풍선같은 팁핑을 해줄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많은 가능성을 가진 코인으로 평가되었다. 초창기 개발팀들이 문제가 발생하여 모두 떠나고 네셔라는 개발자만이 주도적으로 개발을 맡아 진행하는 상태로 개발이 다소 늦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새로운 개발진들을 구성하여 안정적으로 개발이 가능해졌고 지속적인 개발과 활동을 위해 미국 LCC회사를 설립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회사를 설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은 정식적으로 법적인 실체를 갖추어 운영하겠다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향후 SNS 플랫폼들과의 연동성이 높아진다면 더 높은 호재성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9]
각주[편집]
- ↑ 비트웹 편집국, 〈레드코인(Reddcoin) - SNS에서의 송금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암호화폐〉, 《비트웹》, 2018-04-02
- ↑ 2.0 2.1 2.2 머니넷스탭, 〈레드코인(RDD) 개념 및 특징〉, 《머니넷》, 2018-02-22
- ↑ 우비소년다, 〈레드코인이란? 공식! 레드코인 총정리〉, 《메이벅스》, 2018-03-10
- ↑ bit issue, 〈가상화폐 ICO정보_Reddcoin레드코인 (RDD)〉, 《네이버 블로그》, 2018-07-02
- ↑ sh931216, 〈(COIN) Reddcoin의 Redd-ID 란 무엇인가??〉, 《스팀잇》, 2018-04-15
- ↑ stella12, 〈레드코인(Reddcoin)이란 무엇인가?〉, 《스팀잇》, 2018-04-12
- ↑ 토큰포스트, 〈레드코인(RDD)〉, 《토큰포스트》
- ↑ 김레드, 〈레드코인 스캠의심설 팩트!〉, 《코인판》, 2018-05-08
- ↑ 달콤팝콘의 꿀같은 정보, 〈레드코인RDD 전망및 호재성 기본개념 정리해봤습니다.〉, 《티스토리》, 2018-03-11
참고자료[편집]
- 레드코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reddcoin.com/
- 비트웹 편집국, 〈레드코인(Reddcoin) - SNS에서의 송금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암호화폐〉, 《비트웹》, 2018-04-02
- 머니넷스탭, 〈레드코인(RDD) 개념 및 특징〉, 《머니넷》, 2018-02-22
- stella12, 〈레드코인(Reddcoin)이란 무엇인가?〉, 《스팀잇》, 2018-04-12
- "Understanding PoSV", Github
- 토큰포스트, 〈레드코인(RDD)〉, 《토큰포스트》
- 우비소년다, 〈레드코인이란? 공식! 레드코인 총정리〉, 《메이벅스》, 2018-03-10
- bit issue, 〈가상화폐 ICO정보_Reddcoin레드코인 (RDD)〉, 《네이버 블로그》, 2018-07-02
- sh931216, 〈(COIN) Reddcoin의 Redd-ID 란 무엇인가??〉, 《스팀잇》, 2018-04-15
- 김레드, 〈레드코인 스캠의심설 팩트!〉, 《코인판》, 2018-05-08
- 달콤팝콘의 꿀같은 정보, 〈레드코인RDD 전망및 호재성 기본개념 정리해봤습니다.〉, 《티스토리》, 2018-03-11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