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비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115.95.73.164(토론)의 편집을 Asadal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
(→참고자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파일:메타비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메타비트'''(MetaBeat)]] | [[파일:메타비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메타비트'''(MetaBeat)]] | ||
− | '''메타비트'''<!--메타 비트-->(MetaBeat)는 | + | '''("~입니다", "~합니다"를 "~이다", "한다"라고 문체를 변경해야 함)''' |
+ | |||
+ | '''메타비트'''<!--메타 비트-->(MetaBeat)는 팬들의 아티스트에 대한 열정과 아티스트의 작품의 가치를 공유하여 아티스트와 팬이 함께 파트너로 성장할 수 있는 F2E(Fan to Earn) 커뮤니티 플랫폼입니다.'''메타비트'''<!--메타 비트-->(MetaBeat)는 진정한 “Fan-To-Earn” 을 통해 아티스트만이 보상을 받는 것이 아닌 아티스트와 팬(Fan)들이 함께 혜택을 누리며 공생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 ||
== 개요 == | == 개요 == | ||
− | '''Excutive Summary: MetaBeat | + | '''Excutive Summary: MetaBeat 프로젝트소개''' |
− | + | '''MetaBeat는 진정한 “Fan-To-Earn” 을 통해 아티스트만이 보상을 받는 것이 아닌 아티스트와 팬(Fan)들이 함께 혜택을 누리며 공생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메타비트가 구축한 생태계를 통해 팬들은 자신이 응원하는 아티스트의 콘서트 티켓이나 굿즈 등의 실질적인 혜택 또한 누릴 수 있을 것이며 아티스트와 팬들은 보다 더 긴밀히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계 지향적인 생태계 속에서 메타비트를 통해 아티스트 와 팬들은 새로운 경험을 하고 서로 함께 성장하며 실질적인 혜택을 누림으로써 팬덤 문화를 더 가치있게 즐길 수 있을 것 입니다. | |
− | + | 빠른 변화의 시대에 생성되는 오늘날의 음악 콘텐츠 산업은 더욱 복잡해지고 역동적이며, 트렌드의 변화를 빠르게 일으키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과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온라인 콘텐츠 소비 및 소통이 급증하면서 디지털 네이티브 음악인 K-pop은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고 있고 글로벌 팬덤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아티스트와 팬, 그리고 팬덤 문화는 일반적인 고객 경험과 수익구조가 아닌, 좀 더 관계지향 적이며 공유와 공생에 기반한 가치 창조에 중점을 둔 비즈니스를 만들어 가게 합니다. | |
− | + | 이에 따라 K-pop 제작사들도 차별화된 팬덤 플랫폼을 통해 더 진보된 가치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을 개편하고 있습니다. | |
− | |||
− | + | METABEAT = METAVERSE + BEAT | |
− | |||
− | + | MetaBeat는 고유 특징이 있는 NFT를 발행 함으로써 이 시대의 디지털 산업 혁명을 지향합니다. K-pop 컨텐츠를 통한 NFT를 발행 함으로써 팬들은 단순히 아티스트의 굿즈,사진 등만이 아닌, 온라인 시대에 적합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얻을 수 있고, 이는 팬들만이 소유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이 됩니다. | |
− | |||
− | |||
− | |||
− | |||
− | |||
− | + | '''메타비트'''<!--메타 비트-->(MetaBeat) Platform에는 아래와 같은 주요 서비스가 있다: | |
− | + | ;NFT 판매 ("드롭") | |
+ | MetaBeat는 (아티스트와 협력하여 또는 다른 방식으로 플랫폼을 통해 NFT를 만들고 판매할 적법한 권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NFT는 소유자가 콘서트 티켓, 백 스테이지 입장권 등을 받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플랫폼은 또한 때때로 특정 NFT 릴리스에 대한 경매 이벤트를 개최하고 홍보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밍글 서비스 ("밍글") | |
− | |||
− | + | Mingle은 사용자가 각각 "Mingle"이라고 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계약에서 토큰을 "스테이킹" 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스테이킹"은 아티스트를 지원하기 위해 특정 기간 동안 토큰을 예치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큰을 스테이킹 하는 사용자는 "FANomance Index"를 기반으로 측정된 리워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 | + | 밍글 서비스 하에 “스테이킹되어 락업되는 토큰들은 거버넌스 구조를 유지하기 위함이며, 이는 시장에서 토큰의 수요를 늘리기위한 목적 외 사용되거나 금융화 되지 않습니다. | |
− | |||
− | |||
− | + | ;샤라웃 소셜 활동 ("샤라웃") | |
+ | 샤라웃은 위에서 설명되었던 플랫폼의 소셜 구성 요소 입니다. 사용자는 조회수 및 좋아요 수에 따라 샤라웃에 소셜 콘텐츠를 게시하고 다른 팬들과 의견을 나누며 서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팬들은 이를 통해 메타비트 플랫폼 내에서 서로 다른 커뮤니티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또한 좋아요 수,리트윗 수, 댓글 수 등 메타비트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
− | == | + | == 프로젝트 소개 == |
− | + | === 기회 === | |
− | + | ① K-pop 시장의 성장 | |
− | === | + | 최근 Kpop 시장 및 산업은 매년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음반 판매량은 5000만장을 넘어 썼으며, K-POP 음반 수출 금액도 역대 첫 2억달러 고지에 안착했습니다. 대한민국 공인 음악 차트 “써클차트(구 가온차트)” 에 따르면 2020년 음반 판매량은 19년과 비교하여 58.3% 증가한 4170만 7301장을 기록하였으며 2021년 음반 판매량 역시 2020년 대비 31% 증가한 5449만장을 기록하였습니다.또한 K-POP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 대중 음악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습니다. 2021년 관세청에 따르면 음반 수출액 역시 2억 423만 5000달러로, 2020년 종전 최고 기록 1억 3620만 달러보다 66.7% 늘어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음악은 한국 문화 컨텐츠 수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임보다도 높은 대중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높아진 인지도를 발판으로 더욱 확장하며 성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 | |||
− | |||
− | + | ②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화 | |
+ | 한국의 디지털 콘텐츠는 빠르게 성장하여 현재 세계 5위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한류 문화 콘텐츠가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거대 글로벌 플랫폼들에서 많은 인기를 얻으면서 최근 SM Entertainment와 HYBE 등 거대 엔터테인먼트사들이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습니다. 이들 엔터테인먼트 플랫폼들은 기존의 팬과 아티스트의 소통창구 역할을 넘어서 콘텐츠, 굿즈를 소비 하고 비대면 콘서트까지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며 콘텐츠의 소유권을 판매할 수 있는 NFT 사업으로도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
− | + | ③ 팬덤 문화의 역동성 | |
+ | SNS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팬덤 커뮤니티는 자연스러운 바이럴 마케팅을 통해 아이돌의 성장과 그들이 성공하는 데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직접 소비의 주체가 되게 합니다. 이른 바 ‘양육자 팬덤’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이 K-pop 팬들은 매우 헌신적이고 끈기 있으며 엔터테인먼트사들의 주요 수입원이기도 합니다 팬들은 SNS 통해 아티스트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애정을 표현합니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주로 개인들의 계정을 통해 유통되고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아주 강력한 바이럴 마케팅으로 작용하여 아티스트를 널리 알리고 더 많은 팬들을 만들게 됩니다. | ||
− | + | 이런 방식의 팬덤 효과 때문에 많은 기획사에서도 기획사, 아티스트 그리고 팬덤 이렇게 ‘3자 구도 시스템’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 |
− | + | 팬덤은 그들이 사랑하는 아티스트를 위해 기꺼이 헌신하며 아티스트의 이미지 및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 하기 위해 직접 나서서 행동합니다. 그리고 그것의 바탕에는 가장 중요한 소통과 이해, 공감, 공통의 가치를 창출하고 공유합니다. 대부분의 팬덤 커뮤니티는 자체 매니지먼트 팀과 회계 시스템을 가지고 단체로서 행동하며 아티스트에게 줄 선물을 위해 자금을 모으고 이벤트를 설계합니다. 많은 팬덤 커뮤니티는 종종 이 자금을 아티스트의 이름으로 좋은 일에 기부하기도 합니다. | |
− | |||
− | + | 2019년 블립의 팬덤 리서치의 <2019 글로벌 케이팝 지도>에 따르면 K-pop 디지털 콘텐츠의 90%는 해외에서 소비되면서 K-pop 팬덤은 전 세계적으로 형성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국제적 팬덤 문화는 K-pop 음악이 국제적으로 인기를 얻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 |
− | + | 그러나 K-POP 음악 산업이 성장하고 팬덤 문화가 폭발하면서 거대한 중앙화 된 플랫폼 기업들이 그들의 영향력을 활용해 팬들의 애정을 착취했습니다. 이 거대한 플랫폼 기업들은 아티스트와 팬 간의 주요 소통 통로가 되었고, 커뮤니티 구축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한 팬들에게는 이로부터 소외 되었습니다. | |
− | |||
− | |||
− | + | === 솔루션 === | |
+ | MetaBeat에서는 팬과 아티스트가 진정한 파트너로 함께 합니다. | ||
− | + | 팬과 아티스트가 소통하고 서로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동참하여 그 여정 동안에 합리적인 혜택을 통해 팬과 아티스트 모두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 |
− | |||
− | + | 참여자가 체계화된 시스템 내에서 기여 및 그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함께 권한도 분배될 것입니다. MetaBeat는 앞으로도 이러한 기본 원칙과 철학을 바탕으로 서비스와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입니다. | |
− | + | ==== FANomance Index와 토큰 리워드 ==== | |
− | + | FANomance Index는 MetaBeat에서 민팅한 NFT를 보유 또는 Mingle에 참여한 팬들에게 제공될 BEAT 토큰의 수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FANomance Index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합니다. | |
− | ==== FANomance Index와 | + | *Mingle 또는 Community NFT의 관련 해당 아티스트의 흥행 지수 |
− | FANomance Index는 MetaBeat에서 | + | *플랫폼 안팎에서 관련 기반의 전체 소셜 미디어 footprint (MetaBeat에서 추적한 데이터 사용) |
− | * | + | *MetaBeat에서 추적한 해당 기반의 소셜 미디어 footprint에 대한 사용자 자신의 기여도 (예: 플랫폼의 사용자 계정이 연결된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
− | *플랫폼 안팎에서 관련 | + | *해당 특정 사용자가 밍글참여 용도로 사용한 BEAT 토큰 또는 커뮤니티 NFT의 양 |
− | *MetaBeat에서 추적한 해당 | ||
− | *해당 특정 사용자가 | ||
특정 IP 자산에는 다수의 Mingle 및 커뮤니티 NFT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뮤니티 NFT를 보유하면 Mingle에서 토큰을 스테이킹하는 것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더 큰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특정 IP 자산에는 다수의 Mingle 및 커뮤니티 NFT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뮤니티 NFT를 보유하면 Mingle에서 토큰을 스테이킹하는 것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더 큰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
− | 단순히 토큰을 보유한다고 해서 보유자가 정기적인 | + | 단순히 토큰을 보유한다고 해서 보유자가 정기적인 리워드를 얻을 수 있는 자격이 자동으로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먼저 이 토큰을 자신이 선택한 Mingle에 [[스테이킹]]하거나 커뮤니티 NFT를 구매 및 보유해야 한다. |
커뮤니티 NFT를 보유하고 있거나 Mingle 에서 토큰을 보유하거나 Shout Out에서 소셜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에게 수여되는 토큰은 Treasury와 Marketing 목적으로 할당된 MetaBeat의 자체 토큰 풀을 통해 분배된다. | 커뮤니티 NFT를 보유하고 있거나 Mingle 에서 토큰을 보유하거나 Shout Out에서 소셜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에게 수여되는 토큰은 Treasury와 Marketing 목적으로 할당된 MetaBeat의 자체 토큰 풀을 통해 분배된다. | ||
− | |||
− | |||
− | |||
− | |||
*토큰 Use Cases: | *토큰 Use Cases: | ||
− | + | ㉠ 커뮤니티 NFT 구매 / 스테이킹 ㉡ 좋아하는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의 프로젝트 NFT 구매 ㉢ 마켓플레이스에서 NFT 구매 ㉣ 투표 특권 ㉤ NFT 민팅 | |
− | |||
− | |||
− | |||
− | |||
*사용자는 다음의 방법을 통해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 *사용자는 다음의 방법을 통해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 ||
− | + | ㉠ NFT 소유 리워드 획득 ㉡ 밍글 리워드 획득 ㉢ 샤라웃 마케팅에 참여하여 리워드 획득 ㉣ MetaBeat 마켓플레이스에서 NFT를 판매하여 BEAT 토큰 획득 ㉤ 외부 거래소에서 구매 | |
− | |||
− | |||
− | |||
==== 서비스 플랫폼 ==== | ==== 서비스 플랫폼 ==== | ||
124번째 줄: | 100번째 줄: | ||
== 토큰 생태계 == | == 토큰 생태계 == | ||
;BEAT 토큰 | ;BEAT 토큰 | ||
− | BEAT 토큰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 + | MetaBeat 생태계에 존재하는 BEAT 토큰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폴리곤 네트워크 (Polygon Network) 선상의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BEAT 토큰은 팬들이 아티스트를 지원하고 홍보 대사가 되어 활발한 커뮤니티를 구축하는데 사용되며, 팬들에게 MetaBeat에 대한 홍보 또는 플랫폼 서비스 관련에 대한 의사 결정권 영향력을 행사하는데에 사용됩니다. |
;ⓐ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 | ;ⓐ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 | ||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는 MetaBeat 콘텐츠 자산의 핵심이다. 그들의 음악 및 프로젝트를 NFT로 디지털화하여 그들의 여정에 팬들이 동반할 수 있도록 초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가 새로운 앨범 제작 시, 앨범 제작 프로젝트에 대해 커뮤니티 NFT 소유권을 팬들에게 사전 판매할 수 있다. 앨범 발매 시에는 홍보 이벤트로 팬들과 함께 샤라웃 마케팅을 진행하며 동시에 메타버스 비대면 콘서트나 팬 사인회 개최 프로젝트 NFT를 추가하여 판매할 수 있다. |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는 MetaBeat 콘텐츠 자산의 핵심이다. 그들의 음악 및 프로젝트를 NFT로 디지털화하여 그들의 여정에 팬들이 동반할 수 있도록 초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가 새로운 앨범 제작 시, 앨범 제작 프로젝트에 대해 커뮤니티 NFT 소유권을 팬들에게 사전 판매할 수 있다. 앨범 발매 시에는 홍보 이벤트로 팬들과 함께 샤라웃 마케팅을 진행하며 동시에 메타버스 비대면 콘서트나 팬 사인회 개최 프로젝트 NFT를 추가하여 판매할 수 있다. | ||
− | ;ⓑ 팬 / 사용자 | + | ;ⓑ 팬 / 사용자 |
− | 팬들과 사용자는 MetaBeat에서 커뮤니티 NFT를 소유하거나 | + | 팬들과 사용자는 MetaBeat에서 커뮤니티 NFT를 소유하거나 밍글에 참여 가능하다. 또한 자신이 사랑하는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를 홍보하고 그 기여만큼 리워드를 받는데, 그들은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의 음원 혹은 프로젝트의 커뮤니 NFT를 구매 및 서포트에 참여하는 주체로써 리워드를 나눠 갖는 파트너이며 외부 SNS에 아티스트 및 콘텐츠 등을 알려 홍보하는 마케터의 역할을 겸한다. |
− | ;ⓒ 외부 플랫폼 | + | ;ⓒ 외부 플랫폼 |
− | 향후 MetaBeat에서는 여러 플랫폼과 연계하여 팬들의 다양한 활동과 기여에 대한 보상체계를 | + | 향후 MetaBeat에서는 여러 플랫폼과 연계하여 팬들의 다양한 활동과 기여에 대한 보상체계를 확장 계획이며, MetaBeat는 그 시작점으로 애니메이션, 뮤지컬 제작사 등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창작자 들과 긴밀히 협업하여 NFT 프로젝트 콘텐츠를 확장에 나서고 있다. 또한 ㈜ 오모션과의 제휴를 통해 메타 휴먼 및 실시간 렌더링 기술을 기반으로 자체 3D 메타버스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다. |
=== BEAT Token Use Case === | === BEAT Token Use Case === | ||
156번째 줄: | 132번째 줄: | ||
==== 드롭 ==== | ==== 드롭 ==== | ||
− | + | MetaBeat 드롭스(Drops)가 오픈되었습니다. 팬들은 Drops(드롭스)에 참여하여 본인이 최애하는 아티스트의 앨범/트랙/컬렉션의 NFT를 소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장함에 따라 그들과 관련된 다양한 혜택 또한 얻을 수 있습니다. | |
==== 밍글 ==== | ==== 밍글 ==== | ||
− | + | MetaBeat 밍글(Mingle)이 오픈 되었습니다. NFT의 Drops(드롭스)에 참여하지 못했다면 팬들은 밍글을 통해 최애하는 아티스트의 밍글에 스테이킹 하고 아티스트를 응원하고 리워드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 |
==== 샤라웃 ==== | ==== 샤라웃 ==== | ||
− | + | 내가 최애하는 아티스트의 새로운 뮤직비디오와 앨범이 나왔습니다. 팬은 SNS(트위터/유튜브/인스타그램/틱톡)을 아티스트의 “챌린지”를 참여하고 메타비트 샤라웃에 참여한 콘텐츠을 업로드합니다. 본인이 업로드한 게시물이 많은 조회수와 좋아요를 기록하고 추가 리워드를 획득합니다. 메타비트 샤라웃을 통해 팬들은 본인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새로운 콘텐츠를 서로 공유함은 물론이고 원하는 아티스트의 새로운 NFT, 이벤트에 대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
'챌린지' 참여에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해시태그]]와 [[곡]], [[아티스트명]] 등이 있다. 팬들은 아티스트의 신곡을 알리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인다. 각자의 SNS 계정에 '챌린지' 참여 영상이나 커버댄스 영상 게시물을 올리고 MetaBeat 플랫폼에 링크를 등록한다. 일부 게시물은 이미 수백만건의 좋아요와 조회수를 기록하며 Fanomance 리워드를 받았다. 때때로 팬들은 추가로 [[런칭]]할 [[챌린지]]나 글로벌 유저들을 위한 챌린지 가이드 영상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기도 한다. 재미있는 [[춤]]이나 힙한 영상이 될 것 같은 것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면서 투표를 통해 정하기도 하고 추가 리워드를 받기도 한다. | '챌린지' 참여에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해시태그]]와 [[곡]], [[아티스트명]] 등이 있다. 팬들은 아티스트의 신곡을 알리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인다. 각자의 SNS 계정에 '챌린지' 참여 영상이나 커버댄스 영상 게시물을 올리고 MetaBeat 플랫폼에 링크를 등록한다. 일부 게시물은 이미 수백만건의 좋아요와 조회수를 기록하며 Fanomance 리워드를 받았다. 때때로 팬들은 추가로 [[런칭]]할 [[챌린지]]나 글로벌 유저들을 위한 챌린지 가이드 영상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기도 한다. 재미있는 [[춤]]이나 힙한 영상이 될 것 같은 것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면서 투표를 통해 정하기도 하고 추가 리워드를 받기도 한다. | ||
==== 마켓플레이스 ==== | ==== 마켓플레이스 ==== | ||
− | + | MetaBeat 드롭스(Drops)가 종료되면, 드롭스에 오픈 되었던 NFT들은 자동으로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에서 오픈 거래가 가능하게 됩니다. 해당 NFT 외에도 다양한 NFT가 마켓플레이스에 올라와있습니다. 팬들은 원하는 NFT를 구매하고 판매할 수 있습니다. | |
== MetaBeat의 수익 모델 == | == MetaBeat의 수익 모델 == | ||
+ | MetaBeat는 플랫폼 내 또는 외부에서 발행되는 MetaBeat의 K-POP NFT 관련 음원에 대한 저작인접권을 보유하고 있고, 관련 아티스트와 초상권 사용 등에 대한 협의를 완료하는 등 NFT 발행 및 유통과 관련한 적법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MetaBeat는 위 저작권료 수익과 아래의 경매 거래 수수료 등 수입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
+ | |||
+ | - NFT 발행 수수료 | ||
+ | - 추가 저작인접권, 초상권 등 구매 또는 제휴(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함) | ||
+ | - 팬들을 위한 NFT 보유 혜택(콘서트 티켓, 팬 미팅 등) 관련 비용 | ||
+ | - 플랫폼 유지 및 팀 운영 비용 등 | ||
+ | |||
+ | 그리하여 MetaBeat는 MetaBeat가 발행한 NFT를 구매한 팬들이 위 NFT를 소장하거나, 재판매할 수 있도록 법적, 기술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
+ | |||
+ | 또한, BEAT 토큰은 MetaBeat가 발행하는 각종 NFT의 거래 외에 팬들이 제공받을 혜택의 종류, 특정 정책 결정에 대한 영향력 등, 플랫폼을 운영하는데 있어 재단의 결정을 돕는데 투표권 행사에도 사용됩니다. | ||
+ | |||
+ | MetaBeat는 위 저작인접권 보유에 따른 저작권료 외에 추가로 아래와 같은 수익을 얻게 되며, 이로써 프로젝트의 안정적 운영을 지원하게 됩니다. | ||
+ | |||
;경매 거래 수수료 | ;경매 거래 수수료 | ||
− | + | 드롭스를 통해 다양하고 광범위한 범위의 NFT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드롭스에서는 경매를 통해 NFT의 소유권을 획득하게 되는 것으로, 구매 시 BEAT 토큰을 사용하며, 총 거래 대금 중 일부가 수수료로 플랫폼에 지급됩니다. 참여자가 입찰에 참가하여 낙찰된 경우 결제 시에 수수료가 MetaBeat에 지급 됩니다. | |
;NFT Holder 리워드 정산 수수료 | ;NFT Holder 리워드 정산 수수료 | ||
− | + | MetaBeat의 NFT를 소장한 팬들이 리워드를 지급 받을 시, 정산 업무를 진행하기 위한 소량의 수수료가 MetaBeat에 지급됩니다. | |
;리워드 & 스테이킹 정산 수수료 | ;리워드 & 스테이킹 정산 수수료 | ||
− | + | 밍글 리워드 정산 시, 일부 비율만큼 플랫폼에 지급되고 나머지는 밍글 참여 비율에 따라 참여자에게 정산됩니다. | |
;마켓플레이스 거래 수수료 (Maker & Taker) | ;마켓플레이스 거래 수수료 (Maker & Taker) | ||
− | 마켓플레이스에서의 모든 거래 시, 소량의 수수료가 | + | 마켓플레이스에서의 모든 거래 시, 소량의 수수료가 발생됩니다. 경매를 통해 구매한 NFT의 2 차 거래할 시에도 직접 발행한 NFT를 사용자가 판매, 구매할 시에도 소량의 수수료가 플랫폼에 지급됩니다. 판매자, 구매자 각각 수수료 비율이 다르며 거래금액 구간별로 차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로드맵 == | == 로드맵 == | ||
308번째 줄: | 292번째 줄: | ||
== 참고자료 == | == 참고자료 == | ||
+ | * 최문수 기자, 〈[https://www.wikileaks-kr.org/news/articleView.html?idxno=139195 메타비트, 마마무 NFT 홀더 대상 콘서트 티켓 제공]〉, 《위키리크스한국》, 2023-06-07 | ||
+ | * 양귀남 기자, 〈[https://www.inthenews.co.kr/news/article.html?no=54207 메타비트, NFT 대중화 위해 체험 이벤트 개최]〉, 《인더뉴스》, 2023-05-26 | ||
+ | * 신하연 기자,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3051802109963060005 인기 보이그룹 `원어스` NFT 나온다...메타비트]〉, 《디지털타임즈》, 2023-05-18 | ||
+ | * 천선우 기자,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5909 메타비트, 글로벌 거래소 크립토닷컴에 비트 토큰 상장]〉, 《글로벌경제뉴스》, 2023-05-08 | ||
+ | * 신하연 기자, 〈[https://m.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3050302102163060001 블록체인 무한가능성에 합류… "덕질하고 보상받는 플랫폼 매력적이죠"]〉, 《디지털타임즈》, 2023-05-02 | ||
+ | * 서용하 기자, 〈[https://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2839 메타비트, 네오핀 디파이 서비스 스왑풀 오픈]〉, 《테크월드뉴스》, 2023-04-28 | ||
+ | * 신하연 기자,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3051802109963060005 인기 보이그룹 `원어스` NFT 나온다...메타비트]〉, 《디지털타임즈》, 2023-05-18 | ||
+ | * 천선우 기자,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3158 K-POP NFT 플랫폼 메타비트, 앱 론칭 3개월 만에 가입자 1만 돌파]〉, 《글로벌경제뉴스》, 2023-04-11 | ||
+ | * 양귀남 기자, 〈[https://www.inthenews.co.kr/mobile/article.html?no=53346 메타비트, 글로벌 거래소 유니스왑에 거버넌스 토큰 공급]〉, 《인더뉴스》, 2023-04-21 | ||
+ | * 천선우 기자,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2635 이벤트 참여하고 NFT 얻는다··· 메타비트, '매티 비트 어워드' 진행]〉, 《글로벌경제신문》, 2023-04-06 | ||
+ | * 엄지윤 기자, 〈[https://m.fntimes.com/html/view.php?ud=2023030221383153149249a1ae63_18#_DYAD 정대근 메타비트 대표 “우리는 조각 아니라 팬덤을 전 세계에 판다”]〉, 《한국금융신문》, 2023-03-02 | ||
+ | * 박지윤 기자, 〈[https://byline.network/2023/02/23-242/ 메타비트 “웹3 팬덤 커뮤니티로 ‘덕후들의 놀이터’ 만들겠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2023-02-23 | ||
+ | * 양귀남 기자, 〈[https://www.inthenews.co.kr/news/article.html?no=51038 메타비트, 앱 론칭 기념 첫 멤버십NFT 완판]〉, 《코인리더스》, 2023-01-04 | ||
* 박현영 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4788607 K팝 NFT 플랫폼 '돈 버는 팬덤 경제' F2E 바람 분다…NFT 만나 부상]〉, 《뉴스1》, 2022-08-31 | * 박현영 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4788607 K팝 NFT 플랫폼 '돈 버는 팬덤 경제' F2E 바람 분다…NFT 만나 부상]〉, 《뉴스1》, 2022-08-31 | ||
* 김승준 기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284345?sid=105 K팝 NFT 플랫폼 '메타비트', 투자자들과 함께 글로벌 출시]〉, 《뉴스1》, 2022-08-18 | * 김승준 기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284345?sid=105 K팝 NFT 플랫폼 '메타비트', 투자자들과 함께 글로벌 출시]〉, 《뉴스1》, 2022-08-18 |
2023년 6월 7일 (수) 14:59 기준 최신판
("~입니다", "~합니다"를 "~이다", "한다"라고 문체를 변경해야 함)
메타비트(MetaBeat)는 팬들의 아티스트에 대한 열정과 아티스트의 작품의 가치를 공유하여 아티스트와 팬이 함께 파트너로 성장할 수 있는 F2E(Fan to Earn) 커뮤니티 플랫폼입니다.메타비트(MetaBeat)는 진정한 “Fan-To-Earn” 을 통해 아티스트만이 보상을 받는 것이 아닌 아티스트와 팬(Fan)들이 함께 혜택을 누리며 공생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목차
개요[편집]
Excutive Summary: MetaBeat 프로젝트소개
MetaBeat는 진정한 “Fan-To-Earn” 을 통해 아티스트만이 보상을 받는 것이 아닌 아티스트와 팬(Fan)들이 함께 혜택을 누리며 공생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메타비트가 구축한 생태계를 통해 팬들은 자신이 응원하는 아티스트의 콘서트 티켓이나 굿즈 등의 실질적인 혜택 또한 누릴 수 있을 것이며 아티스트와 팬들은 보다 더 긴밀히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계 지향적인 생태계 속에서 메타비트를 통해 아티스트 와 팬들은 새로운 경험을 하고 서로 함께 성장하며 실질적인 혜택을 누림으로써 팬덤 문화를 더 가치있게 즐길 수 있을 것 입니다.
빠른 변화의 시대에 생성되는 오늘날의 음악 콘텐츠 산업은 더욱 복잡해지고 역동적이며, 트렌드의 변화를 빠르게 일으키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과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온라인 콘텐츠 소비 및 소통이 급증하면서 디지털 네이티브 음악인 K-pop은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고 있고 글로벌 팬덤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아티스트와 팬, 그리고 팬덤 문화는 일반적인 고객 경험과 수익구조가 아닌, 좀 더 관계지향 적이며 공유와 공생에 기반한 가치 창조에 중점을 둔 비즈니스를 만들어 가게 합니다.
이에 따라 K-pop 제작사들도 차별화된 팬덤 플랫폼을 통해 더 진보된 가치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을 개편하고 있습니다.
METABEAT = METAVERSE + BEAT
MetaBeat는 고유 특징이 있는 NFT를 발행 함으로써 이 시대의 디지털 산업 혁명을 지향합니다. K-pop 컨텐츠를 통한 NFT를 발행 함으로써 팬들은 단순히 아티스트의 굿즈,사진 등만이 아닌, 온라인 시대에 적합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얻을 수 있고, 이는 팬들만이 소유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이 됩니다.
메타비트(MetaBeat) Platform에는 아래와 같은 주요 서비스가 있다:
- NFT 판매 ("드롭")
MetaBeat는 (아티스트와 협력하여 또는 다른 방식으로 플랫폼을 통해 NFT를 만들고 판매할 적법한 권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NFT는 소유자가 콘서트 티켓, 백 스테이지 입장권 등을 받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플랫폼은 또한 때때로 특정 NFT 릴리스에 대한 경매 이벤트를 개최하고 홍보할 수 있습니다.
- 밍글 서비스 ("밍글")
Mingle은 사용자가 각각 "Mingle"이라고 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계약에서 토큰을 "스테이킹" 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스테이킹"은 아티스트를 지원하기 위해 특정 기간 동안 토큰을 예치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큰을 스테이킹 하는 사용자는 "FANomance Index"를 기반으로 측정된 리워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밍글 서비스 하에 “스테이킹되어 락업되는 토큰들은 거버넌스 구조를 유지하기 위함이며, 이는 시장에서 토큰의 수요를 늘리기위한 목적 외 사용되거나 금융화 되지 않습니다.
- 샤라웃 소셜 활동 ("샤라웃")
샤라웃은 위에서 설명되었던 플랫폼의 소셜 구성 요소 입니다. 사용자는 조회수 및 좋아요 수에 따라 샤라웃에 소셜 콘텐츠를 게시하고 다른 팬들과 의견을 나누며 서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팬들은 이를 통해 메타비트 플랫폼 내에서 서로 다른 커뮤니티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또한 좋아요 수,리트윗 수, 댓글 수 등 메타비트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프로젝트 소개[편집]
기회[편집]
① K-pop 시장의 성장 최근 Kpop 시장 및 산업은 매년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음반 판매량은 5000만장을 넘어 썼으며, K-POP 음반 수출 금액도 역대 첫 2억달러 고지에 안착했습니다. 대한민국 공인 음악 차트 “써클차트(구 가온차트)” 에 따르면 2020년 음반 판매량은 19년과 비교하여 58.3% 증가한 4170만 7301장을 기록하였으며 2021년 음반 판매량 역시 2020년 대비 31% 증가한 5449만장을 기록하였습니다.또한 K-POP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 대중 음악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습니다. 2021년 관세청에 따르면 음반 수출액 역시 2억 423만 5000달러로, 2020년 종전 최고 기록 1억 3620만 달러보다 66.7% 늘어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음악은 한국 문화 컨텐츠 수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임보다도 높은 대중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높아진 인지도를 발판으로 더욱 확장하며 성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②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화
한국의 디지털 콘텐츠는 빠르게 성장하여 현재 세계 5위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한류 문화 콘텐츠가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거대 글로벌 플랫폼들에서 많은 인기를 얻으면서 최근 SM Entertainment와 HYBE 등 거대 엔터테인먼트사들이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습니다. 이들 엔터테인먼트 플랫폼들은 기존의 팬과 아티스트의 소통창구 역할을 넘어서 콘텐츠, 굿즈를 소비 하고 비대면 콘서트까지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며 콘텐츠의 소유권을 판매할 수 있는 NFT 사업으로도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③ 팬덤 문화의 역동성 SNS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팬덤 커뮤니티는 자연스러운 바이럴 마케팅을 통해 아이돌의 성장과 그들이 성공하는 데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직접 소비의 주체가 되게 합니다. 이른 바 ‘양육자 팬덤’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이 K-pop 팬들은 매우 헌신적이고 끈기 있으며 엔터테인먼트사들의 주요 수입원이기도 합니다 팬들은 SNS 통해 아티스트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애정을 표현합니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주로 개인들의 계정을 통해 유통되고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아주 강력한 바이럴 마케팅으로 작용하여 아티스트를 널리 알리고 더 많은 팬들을 만들게 됩니다.
이런 방식의 팬덤 효과 때문에 많은 기획사에서도 기획사, 아티스트 그리고 팬덤 이렇게 ‘3자 구도 시스템’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팬덤은 그들이 사랑하는 아티스트를 위해 기꺼이 헌신하며 아티스트의 이미지 및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 하기 위해 직접 나서서 행동합니다. 그리고 그것의 바탕에는 가장 중요한 소통과 이해, 공감, 공통의 가치를 창출하고 공유합니다. 대부분의 팬덤 커뮤니티는 자체 매니지먼트 팀과 회계 시스템을 가지고 단체로서 행동하며 아티스트에게 줄 선물을 위해 자금을 모으고 이벤트를 설계합니다. 많은 팬덤 커뮤니티는 종종 이 자금을 아티스트의 이름으로 좋은 일에 기부하기도 합니다.
2019년 블립의 팬덤 리서치의 <2019 글로벌 케이팝 지도>에 따르면 K-pop 디지털 콘텐츠의 90%는 해외에서 소비되면서 K-pop 팬덤은 전 세계적으로 형성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국제적 팬덤 문화는 K-pop 음악이 국제적으로 인기를 얻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K-POP 음악 산업이 성장하고 팬덤 문화가 폭발하면서 거대한 중앙화 된 플랫폼 기업들이 그들의 영향력을 활용해 팬들의 애정을 착취했습니다. 이 거대한 플랫폼 기업들은 아티스트와 팬 간의 주요 소통 통로가 되었고, 커뮤니티 구축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한 팬들에게는 이로부터 소외 되었습니다.
솔루션[편집]
MetaBeat에서는 팬과 아티스트가 진정한 파트너로 함께 합니다.
팬과 아티스트가 소통하고 서로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동참하여 그 여정 동안에 합리적인 혜택을 통해 팬과 아티스트 모두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참여자가 체계화된 시스템 내에서 기여 및 그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함께 권한도 분배될 것입니다. MetaBeat는 앞으로도 이러한 기본 원칙과 철학을 바탕으로 서비스와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입니다.
FANomance Index와 토큰 리워드[편집]
FANomance Index는 MetaBeat에서 민팅한 NFT를 보유 또는 Mingle에 참여한 팬들에게 제공될 BEAT 토큰의 수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FANomance Index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합니다.
- Mingle 또는 Community NFT의 관련 해당 아티스트의 흥행 지수
- 플랫폼 안팎에서 관련 기반의 전체 소셜 미디어 footprint (MetaBeat에서 추적한 데이터 사용)
- MetaBeat에서 추적한 해당 기반의 소셜 미디어 footprint에 대한 사용자 자신의 기여도 (예: 플랫폼의 사용자 계정이 연결된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 해당 특정 사용자가 밍글참여 용도로 사용한 BEAT 토큰 또는 커뮤니티 NFT의 양
특정 IP 자산에는 다수의 Mingle 및 커뮤니티 NFT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뮤니티 NFT를 보유하면 Mingle에서 토큰을 스테이킹하는 것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더 큰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단순히 토큰을 보유한다고 해서 보유자가 정기적인 리워드를 얻을 수 있는 자격이 자동으로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먼저 이 토큰을 자신이 선택한 Mingle에 스테이킹하거나 커뮤니티 NFT를 구매 및 보유해야 한다.
커뮤니티 NFT를 보유하고 있거나 Mingle 에서 토큰을 보유하거나 Shout Out에서 소셜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에게 수여되는 토큰은 Treasury와 Marketing 목적으로 할당된 MetaBeat의 자체 토큰 풀을 통해 분배된다.
- 토큰 Use Cases:
㉠ 커뮤니티 NFT 구매 / 스테이킹 ㉡ 좋아하는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의 프로젝트 NFT 구매 ㉢ 마켓플레이스에서 NFT 구매 ㉣ 투표 특권 ㉤ NFT 민팅
- 사용자는 다음의 방법을 통해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 NFT 소유 리워드 획득 ㉡ 밍글 리워드 획득 ㉢ 샤라웃 마케팅에 참여하여 리워드 획득 ㉣ MetaBeat 마켓플레이스에서 NFT를 판매하여 BEAT 토큰 획득 ㉤ 외부 거래소에서 구매
서비스 플랫폼[편집]
MetaBeat는 중앙화된 서비스 레이어와 탈중앙화된 토큰 거버넌스를 융합한 구성을 통해 참여자들에게 투명한 시스템의 운영과 함께 친화적인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더불어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레이어는 처리 능력 및 저렴한 비용 구조를 가지고 있는 폴리곤/솔라나 멀티체인 기반으로 구성, 사용자의 거래 및 온체인 환경에 최고의 환경을 제공하며 투명한 거래 데이터와 디지털 자산 관리에 최적의 기능을 제공한다.
Function layer[편집]
MetaBeat는 다양한 거래 및 서비스 환경과 함께 프로모션 등 아티스트와 팬 사이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서비스에 구현하기 위한 환경을 목표로 다양한 펑션 레이어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특히 제도권에서 요구되는 WHITELIST, TAXATION 등의 이슈를 수용하며 투명한 운영 정책을 구현하기 위한 자산 관리 엔진을 자체 개발했다.
Scalability[편집]
MetaBeat에서 발행된 NFT는 장기적으로 자체 플랫폼 이외에 다양한 외부 플랫폼과의 제휴 및 마케팅을 통해 유통되기 위한 확장성을 고려해 설계되었다. 또한 고객의 NFT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자체적인 WALLET 시스템을 구축해 누구라도 쉽게 NFT 에 접근하고 그와 관련된 거래 및 스테이킹 등의 액션을 처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UX를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팬이 소유한 NFT는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레이어 뿐만 아니라 중앙 및 외부 제휴 네트워크에서도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고 그에 합당한 다양한 리워드 및 보상 정책이 구현될 수 있도록 기술적 환경을 구성했다.
토큰 생태계[편집]
- BEAT 토큰
MetaBeat 생태계에 존재하는 BEAT 토큰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폴리곤 네트워크 (Polygon Network) 선상의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BEAT 토큰은 팬들이 아티스트를 지원하고 홍보 대사가 되어 활발한 커뮤니티를 구축하는데 사용되며, 팬들에게 MetaBeat에 대한 홍보 또는 플랫폼 서비스 관련에 대한 의사 결정권 영향력을 행사하는데에 사용됩니다.
- ⓐ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는 MetaBeat 콘텐츠 자산의 핵심이다. 그들의 음악 및 프로젝트를 NFT로 디지털화하여 그들의 여정에 팬들이 동반할 수 있도록 초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가 새로운 앨범 제작 시, 앨범 제작 프로젝트에 대해 커뮤니티 NFT 소유권을 팬들에게 사전 판매할 수 있다. 앨범 발매 시에는 홍보 이벤트로 팬들과 함께 샤라웃 마케팅을 진행하며 동시에 메타버스 비대면 콘서트나 팬 사인회 개최 프로젝트 NFT를 추가하여 판매할 수 있다.
- ⓑ 팬 / 사용자
팬들과 사용자는 MetaBeat에서 커뮤니티 NFT를 소유하거나 밍글에 참여 가능하다. 또한 자신이 사랑하는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를 홍보하고 그 기여만큼 리워드를 받는데, 그들은 크리에이터 / 아티스트의 음원 혹은 프로젝트의 커뮤니 NFT를 구매 및 서포트에 참여하는 주체로써 리워드를 나눠 갖는 파트너이며 외부 SNS에 아티스트 및 콘텐츠 등을 알려 홍보하는 마케터의 역할을 겸한다.
- ⓒ 외부 플랫폼
향후 MetaBeat에서는 여러 플랫폼과 연계하여 팬들의 다양한 활동과 기여에 대한 보상체계를 확장 계획이며, MetaBeat는 그 시작점으로 애니메이션, 뮤지컬 제작사 등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창작자 들과 긴밀히 협업하여 NFT 프로젝트 콘텐츠를 확장에 나서고 있다. 또한 ㈜ 오모션과의 제휴를 통해 메타 휴먼 및 실시간 렌더링 기술을 기반으로 자체 3D 메타버스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다.
BEAT Token Use Case[편집]
- ⓐ BEAT 토큰 획득
BEAT 토큰은 다음의 방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 ㉠ 커뮤니티 NFTHold & Stake 리워드에 따라 유 NFT에 대한 리워드 획득
- ㉡ 밍글을 통해 스테이킹한 BEAT 토큰에 대한 스테이킹 리워드 획득
- ㉢ 샤라웃을 통해 소셜 미디어 및 샤라웃 활동에 참여하고 리워드 획득
- ㉣ MetaBeat 마켓플레이스에서 NFT를 판매하여 BEAT 토큰 획득
- ㉤ 외부 거래소에서 구매
- ⓑ BEAT 토큰 사용
BEAT 토큰은 플랫폼 내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 ㉠ 드롭 혹은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커뮤니티 NFT 구매
- ㉡ 밍글 스마트 컨트랙트 하에 스테이킹
- ㉢ 좋아하는 아티스트 혹은 크리에이터 관련 NFT 구매
- ㉣ 온체인에서 수행되는 선거 및 제안과 관련된 커뮤니티 거버넌스 결정과 관련된 특정 투표 권한 토큰은 MetaBeat의 관리 결정 (스테이킹 또는 샤라웃 보상 할당과 관련된 결정 포함)에 관한 의결권이나 플랫폼 또는 MetaBeat의 수익 또는 수익에 대한 권리를 보유자에게 부여하지 않는다.
- ㉤ NFT 발행, NFT구매/판매, 보상 수령을 위한 거래 비용
- ⓒ 기타 확인 사항
토큰은 법정화폐 또는 다른 형태의 암호화폐와 교환하여 MetaBeat에 교환하거나 판매될 수 없다. 토큰 소유자는 토큰을 소유함으로써 MetaBeat 자산에 대한 직간접적인 소유권을 갖지 않는다.
드롭[편집]
MetaBeat 드롭스(Drops)가 오픈되었습니다. 팬들은 Drops(드롭스)에 참여하여 본인이 최애하는 아티스트의 앨범/트랙/컬렉션의 NFT를 소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장함에 따라 그들과 관련된 다양한 혜택 또한 얻을 수 있습니다.
밍글[편집]
MetaBeat 밍글(Mingle)이 오픈 되었습니다. NFT의 Drops(드롭스)에 참여하지 못했다면 팬들은 밍글을 통해 최애하는 아티스트의 밍글에 스테이킹 하고 아티스트를 응원하고 리워드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샤라웃[편집]
내가 최애하는 아티스트의 새로운 뮤직비디오와 앨범이 나왔습니다. 팬은 SNS(트위터/유튜브/인스타그램/틱톡)을 아티스트의 “챌린지”를 참여하고 메타비트 샤라웃에 참여한 콘텐츠을 업로드합니다. 본인이 업로드한 게시물이 많은 조회수와 좋아요를 기록하고 추가 리워드를 획득합니다. 메타비트 샤라웃을 통해 팬들은 본인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새로운 콘텐츠를 서로 공유함은 물론이고 원하는 아티스트의 새로운 NFT, 이벤트에 대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챌린지' 참여에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해시태그와 곡, 아티스트명 등이 있다. 팬들은 아티스트의 신곡을 알리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인다. 각자의 SNS 계정에 '챌린지' 참여 영상이나 커버댄스 영상 게시물을 올리고 MetaBeat 플랫폼에 링크를 등록한다. 일부 게시물은 이미 수백만건의 좋아요와 조회수를 기록하며 Fanomance 리워드를 받았다. 때때로 팬들은 추가로 런칭할 챌린지나 글로벌 유저들을 위한 챌린지 가이드 영상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기도 한다. 재미있는 춤이나 힙한 영상이 될 것 같은 것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면서 투표를 통해 정하기도 하고 추가 리워드를 받기도 한다.
마켓플레이스[편집]
MetaBeat 드롭스(Drops)가 종료되면, 드롭스에 오픈 되었던 NFT들은 자동으로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에서 오픈 거래가 가능하게 됩니다. 해당 NFT 외에도 다양한 NFT가 마켓플레이스에 올라와있습니다. 팬들은 원하는 NFT를 구매하고 판매할 수 있습니다.
MetaBeat의 수익 모델[편집]
MetaBeat는 플랫폼 내 또는 외부에서 발행되는 MetaBeat의 K-POP NFT 관련 음원에 대한 저작인접권을 보유하고 있고, 관련 아티스트와 초상권 사용 등에 대한 협의를 완료하는 등 NFT 발행 및 유통과 관련한 적법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MetaBeat는 위 저작권료 수익과 아래의 경매 거래 수수료 등 수입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NFT 발행 수수료 - 추가 저작인접권, 초상권 등 구매 또는 제휴(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함) - 팬들을 위한 NFT 보유 혜택(콘서트 티켓, 팬 미팅 등) 관련 비용 - 플랫폼 유지 및 팀 운영 비용 등
그리하여 MetaBeat는 MetaBeat가 발행한 NFT를 구매한 팬들이 위 NFT를 소장하거나, 재판매할 수 있도록 법적, 기술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BEAT 토큰은 MetaBeat가 발행하는 각종 NFT의 거래 외에 팬들이 제공받을 혜택의 종류, 특정 정책 결정에 대한 영향력 등, 플랫폼을 운영하는데 있어 재단의 결정을 돕는데 투표권 행사에도 사용됩니다.
MetaBeat는 위 저작인접권 보유에 따른 저작권료 외에 추가로 아래와 같은 수익을 얻게 되며, 이로써 프로젝트의 안정적 운영을 지원하게 됩니다.
- 경매 거래 수수료
드롭스를 통해 다양하고 광범위한 범위의 NFT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드롭스에서는 경매를 통해 NFT의 소유권을 획득하게 되는 것으로, 구매 시 BEAT 토큰을 사용하며, 총 거래 대금 중 일부가 수수료로 플랫폼에 지급됩니다. 참여자가 입찰에 참가하여 낙찰된 경우 결제 시에 수수료가 MetaBeat에 지급 됩니다.
- NFT Holder 리워드 정산 수수료
MetaBeat의 NFT를 소장한 팬들이 리워드를 지급 받을 시, 정산 업무를 진행하기 위한 소량의 수수료가 MetaBeat에 지급됩니다.
- 리워드 & 스테이킹 정산 수수료
밍글 리워드 정산 시, 일부 비율만큼 플랫폼에 지급되고 나머지는 밍글 참여 비율에 따라 참여자에게 정산됩니다.
- 마켓플레이스 거래 수수료 (Maker & Taker)
마켓플레이스에서의 모든 거래 시, 소량의 수수료가 발생됩니다. 경매를 통해 구매한 NFT의 2 차 거래할 시에도 직접 발행한 NFT를 사용자가 판매, 구매할 시에도 소량의 수수료가 플랫폼에 지급됩니다. 판매자, 구매자 각각 수수료 비율이 다르며 거래금액 구간별로 차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로드맵[편집]
- 2021 Q4: PRODUCTION(서비스 기획/프로덕션 준비), BUSINESS DEVELOPMENT(BUSINESS 파트너쉽 체결)
- 2022 Q1: PRODUCTION(METABEAT APP MVP), COMMUNITY & MARKETING(커뮤니티 조성), IMC 기획, BUSINESS DEVELOPMENT(RBW MUSIC IP 계약체결, DSP MUSIC IP 계약체결, WM MUSIC IP 계약체결)
- 2022 Q2: PRODUCTION(METABEAT APP Closed-Beta), COMMUNITY & MARKETING(커뮤니티 운영, 아티스트 팬덤 공동 마케팅, TV 방송사 SPONSORSHIP), BUSINESS DEVELOPMENT(PRODUCING CONTENTS(TV BROADCASTING), 음악 IP 계약 체결)
- 2022 Q3: PRODUCTION(METABEAT APP LAUNCH, 샤라웃 서비스 업데이트, 스테이킹 서비스 업데이트, $BEAT 토큰 민팅, NFT 민팅), COMMUNITY & MARKETING(커뮤니티 운영, 샤라웃 프로모션, 블록체인 커뮤니티 플랫폼과 공동 마케팅), BUSINESS DEVELOPMENT(음악 IP 계약체결)
- 2022 Q4: PRODUCTION(COLLECTABLE NFT LAUNCHPAD, MetaBeat 컨텐츠 확장, TAXATION MODULE), COMMUNITY & MARKETING(커뮤니티 운영, 아티스트와 공동 마케팅, 레이블과 공동 마케팅), BUSINESS DEVELOPMENT(컨텐츠 프로덕션 참여(NEW SINGLE ALBUM), IP 확장 : CHARACTER & CONCERT, 음악 IP 계약 체결)
- 2023 Q1: PRODUCTION(메타버스 콘서트 LAUNCH, 민팅: 팬 창작물, WEB3 / DAO 서비스 모델 인터그레이션 (아티스트 - 팬 DAO 서비스 플렛폼), COMMUNITY & MARKETING(커뮤니티 조성, 레이블과 공동 마케팅), BUSINESS DEVELOPMENT(프로듀싱 콘텐츠 (NEW SINGLE ALBUM), 음악 IP 계약체결)
팀[편집]
팀 구성
- CEO/CT0
- 정대근
- METABEAT KOREA CEO & CTO
- FINNGRAM FOUNDER
- NBREDS / PAYTUS
- YAHOO!
- CEO/CT0
- 김윤정
- METABEAT FOUNDATION CEO & CMO
- FUENTECNICA TECHNOLOGY
- ENERZENT
- DELRIUM CONSULTING
- Creative Director
- 최은준
- METABEAT CREATIVE & BRAND
- IKSUNDADA
- YOON DESIGN
- UI / UX Specialist
- 김수겸
- METABEAT PRODUCT UX / UI
- 212
- NECESSARY
- Blockchain Dev
- 남석희
- METABEAT BLOCKCHAIN DEV
- ELIO ROBOTICS
- NBREDS
- MOBILIAN FOUNDER
- Blockchain Dev
- 양나진
- METABEAT BACKEND DEV
- TG360TECH
- NBREDS
- GINO SYSTEMS
- Frontend Dev
- 김민석
- METABEAT FRONTEND DEV
- TH360TECH
- DQM
- INNOFLY
- Frontend Dev
- 양다정
- METABEAT FRONTEND DEV
- TH360
- DQM
- INNOFLY
- Marketing Planner
- Chris Jeralyn Venegas
- METABEAT MARKETING PLANNING
- WARNER MUSIC GROUP
- LIVE NATION
- INSOMNIAC
- Service Planner
- 정규석
- METABEAT SERVICE PLANNING
- METABRANDING
어드바이저
- 송동훈
- RADCOMM CEO
- CJENM
- SONY MUSIC KOREA
- 하정민
- RBW STRATEGY & PLANNING DIRECTOR
- RADCOMM
- CJ ENM
- STONEMUSIC ENTERTAINMENT
- 최재원
- SAMG ENT VICE PRESIDNET
- CJ ENM
- HENG SHENG GROUP
- WAODANDI GROUP
- 상승현
- HIGHUP ENTERTAINMENT DIRECTOR
- CJENM
- BIG HIT ENTERTAINMENT
- 김진미
- WM ENT EXECUTIVE DIRECTOR
- FNC ENTERTAINMENT
- 조지현
- WM ENTERTAINMENT DIRECTOR
- PONYCANYON KOREA
- 김선구
- NEXESONE CEO
- 나두현
- MAEHEON LAW FIRM CEO
- MERIT LAW FIRM
- THE LEAD LAW FIRM
- BARUNLAW KOREA PROSECUTOR
파트너[편집]
토크노믹스[편집]
BEAT 토큰은 MetaBeat의 유틸리티 및 거버넌스 토큰이다.
BEAT 토큰은 Polygon 블록체인에 기본 제공된다.
Token name: BEAT (SYMBOL : BEAT)
TOTAL SUPPLY : 1,500,000,000 BEAT
참고자료[편집]
- 최문수 기자, 〈메타비트, 마마무 NFT 홀더 대상 콘서트 티켓 제공〉, 《위키리크스한국》, 2023-06-07
- 양귀남 기자, 〈메타비트, NFT 대중화 위해 체험 이벤트 개최〉, 《인더뉴스》, 2023-05-26
- 신하연 기자, 〈인기 보이그룹 `원어스` NFT 나온다...메타비트〉, 《디지털타임즈》, 2023-05-18
- 천선우 기자, 〈메타비트, 글로벌 거래소 크립토닷컴에 비트 토큰 상장〉, 《글로벌경제뉴스》, 2023-05-08
- 신하연 기자, 〈블록체인 무한가능성에 합류… "덕질하고 보상받는 플랫폼 매력적이죠"〉, 《디지털타임즈》, 2023-05-02
- 서용하 기자, 〈메타비트, 네오핀 디파이 서비스 스왑풀 오픈〉, 《테크월드뉴스》, 2023-04-28
- 신하연 기자, 〈인기 보이그룹 `원어스` NFT 나온다...메타비트〉, 《디지털타임즈》, 2023-05-18
- 천선우 기자, 〈K-POP NFT 플랫폼 메타비트, 앱 론칭 3개월 만에 가입자 1만 돌파〉, 《글로벌경제뉴스》, 2023-04-11
- 양귀남 기자, 〈메타비트, 글로벌 거래소 유니스왑에 거버넌스 토큰 공급〉, 《인더뉴스》, 2023-04-21
- 천선우 기자, 〈이벤트 참여하고 NFT 얻는다··· 메타비트, '매티 비트 어워드' 진행〉, 《글로벌경제신문》, 2023-04-06
- 엄지윤 기자, 〈정대근 메타비트 대표 “우리는 조각 아니라 팬덤을 전 세계에 판다”〉, 《한국금융신문》, 2023-03-02
- 박지윤 기자, 〈메타비트 “웹3 팬덤 커뮤니티로 ‘덕후들의 놀이터’ 만들겠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2023-02-23
- 양귀남 기자, 〈메타비트, 앱 론칭 기념 첫 멤버십NFT 완판〉, 《코인리더스》, 2023-01-04
- 박현영 기자, 〈K팝 NFT 플랫폼 '돈 버는 팬덤 경제' F2E 바람 분다…NFT 만나 부상〉, 《뉴스1》, 2022-08-31
- 김승준 기자, 〈K팝 NFT 플랫폼 '메타비트', 투자자들과 함께 글로벌 출시〉, 《뉴스1》, 2022-08-18
- 이형두 기자, 〈NFT의 진화…ETF형 음원투자 상품 나온다〉, 《전자신문》, 2022-08-22
- 김샛별 기자, 〈메타비트, RBW·WM엔터와 MOU 체결 "마마무·오마이걸 NFT 출시"〉, 《더팩트》, 2022-07-14
- 강승환 기자, 〈메타비트(MetaBeat), 글로벌 벤처 캐피털 펀드 NGC벤처스와 파트너십 체결〉, 《코인리더스》, 2022-07-04
공식 링크[편집]
- 웹페이지: https://metabeat.io/
- 디스코드: http://discord.gg/metabeat
- 트위터: https://twitter.com/MetaBeatOffl
- 미디엄: https://medium.com/@MetabeatOffl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metabeat_offl
- 링크트리: https://linktr.ee/metab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