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베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leejia1222 (토론 | 기여)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
leejia1222 (토론 | 기여) (→주요 인물)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주요 인물== | ==주요 인물== | ||
− | * '''[[토니 슘]]''' : 드래곤베인의 창립자 겸 대표이다. 전 산요반도체 동부지역 영업담당 이사를 지냈으며 전 미쓰마루 이스트 키트 이사회 의장 선임보자관으로 활동했다. 미쓰마루 JP의 파트너이자 미쓰마루 JP 일본 시장부 설립자로서 일본 시장에서 미쓰마루의 가전제품을 성공적으로 파냄했다. Fa Qi 재단의 파트너로도 활동하고 | + | * '''[[토니 슘]]'''(Tony Shum) : 드래곤베인의 창립자 겸 대표이다. 전 산요반도체 동부지역 영업담당 이사를 지냈으며 전 미쓰마루 이스트 키트 이사회 의장 선임보자관으로 활동했다. 미쓰마루 JP의 파트너이자 미쓰마루 JP 일본 시장부 설립자로서 일본 시장에서 미쓰마루의 가전제품을 성공적으로 파냄했다. Fa Qi 재단의 파트너로도 활동하고 있다. |
− | + | * '''[[잭 정]]'''(Jack Zheng) : 드래곤베인의 공동창립자이자 공동부사장이다. 게임 산업과 정부 관계 분야의 전무가로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스타피쉬 게임즈의 대표였으며,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의 렌렌 네트워크의 대표를 맡았다. 2014년 iBH소프트의 최고운영책임자가 되었고, 2016년에 암호화폐 커뮤니티에 들어와서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해상도를 연구하고 있다. | |
− | |||
− | * '''[[잭 정]]''' : 드래곤베인의 공동창립자이자 공동부사장이다. 게임 산업과 정부 관계 분야의 전무가로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스타피쉬 게임즈의 대표였으며,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의 렌렌 네트워크의 대표를 맡았다. 2014년 iBH소프트의 최고운영책임자가 되었고, 2016년에 암호화폐 커뮤니티에 들어와서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해상도를 연구하고 있다. | ||
==특징== | ==특징== |
2020년 5월 25일 (월) 14:04 판
드래곤베인(Dragon Vein)은 가상현실(VR) 디지털 권한 관리 및 생태계 인센티브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블록체인과 엣지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가상현실을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크게 낮추고 콘텐츠 제작자들의 이익이 보호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대표는 토니 슘(Tony Shum)이다.
목차
개요
드래곤베인 생태계는 VR 렌더링, VR 디스플레이 장비, VR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품군, 블록체인 네트워크, 엣지 네트워크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에코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소비자와 콘텐츠 게시 플랫폼(콘텐츠 마켓 플레이스), 콘텐츠 제작자, VR 기술 제공자 간의 데이터 스토리지, 데이터 전송, 데이터 상호작용은 모두 엣지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며,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새로운 VR 렌더링 기술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VR의 진입장벽을 낮추려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탈 중앙화된 스토리지를 통하여 플랫폼과 클라우드 VR을 통합함으로써 전송 대역폭에 대한 제약을 줄이고자 하는 제작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변경 불가능하고, 추적 가능하며, 투명한 블록체인 스마트 계약 시스템을 통하여 저작권 확인, 제작비 절감, 청구기간 단축, 채널 수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주요 인물
- 토니 슘(Tony Shum) : 드래곤베인의 창립자 겸 대표이다. 전 산요반도체 동부지역 영업담당 이사를 지냈으며 전 미쓰마루 이스트 키트 이사회 의장 선임보자관으로 활동했다. 미쓰마루 JP의 파트너이자 미쓰마루 JP 일본 시장부 설립자로서 일본 시장에서 미쓰마루의 가전제품을 성공적으로 파냄했다. Fa Qi 재단의 파트너로도 활동하고 있다.
- 잭 정(Jack Zheng) : 드래곤베인의 공동창립자이자 공동부사장이다. 게임 산업과 정부 관계 분야의 전무가로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스타피쉬 게임즈의 대표였으며,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의 렌렌 네트워크의 대표를 맡았다. 2014년 iBH소프트의 최고운영책임자가 되었고, 2016년에 암호화폐 커뮤니티에 들어와서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해상도를 연구하고 있다.
특징
드래곤베인 체인
우리는 국제 VR 콘텐츠 마켓 개발을 위해 디지털 화폐를 참여자 간의 생태계 상품 교환의 주된 수단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경계에 상관없이 거래가 가능한 디지털 화폐의 기능에 의해 C2C(소비자 대 소비자) 경제에서는 디지털 화폐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암호화폐 중 하나를 채택하기 보다는 드래곤베인 체인(DVC)의 토착 생태계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VR 콘텐츠 소비자는 콘텐츠 제작자와 개발자가 판매하는 생태계 제품에 대해 DVC로 비용을 지불하게 될 것이다. 드래곤베인 인프라는 GitHub에 오픈소스를 제공하는 EOS와 같은 유명한 퍼블릭 체인들을 참고하여 우리의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하는 자체로 구축된 퍼블릭 체인을 사용하게 된다. 토큰 취득과 생태계 개발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초기 DVC는 ERC-20 이더리움 토큰으로 발행되고, 성숙된 후에는 자체로 구축된 퍼블릭 체인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드래곤베인 재단은 DVC 판매에 참여하여 VR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는 크립토 커뮤니티와 VR 커뮤니티를 유지할 것이다. 커뮤니티에 대한 기여는 AR/VR 생태계를 개발하고 드래곤베인의 혁신 파이프라인을 가속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VR/3D 업계에 혁신을 일으키는 사람들과 적극적인 생태계 기여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기여도에 맞게 공정하게 기부 기금을 분배한다.
DVC 이용
드래곤베인의 공통화폐인 DVC는 생태계 내에서 콘텐츠를 거래, 임대,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DVC는 VR 콘텐츠의 게시 및 홍보, 지적재산권 거래, 지적재산권 확인, 장비 거래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손쉬운 채굴
드래곤베인은 다양한 채굴 방법을 제공하는데, 첫번째는 기본적으로 LAN 유휴 컴퓨팅 파워, 대역폭 및 스토리지를 공유하는 DvBox를 이용하는 것이다. 두번째로, 콘텐츠를 재생하면 콘텐츠 크라우드 펀딩, 투표 커스터마이제이션, 콘텐츠 제작 등에 참여하는 유저들도 보상을 받는다. 유저들은 또한 기술과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채굴에 참여할 수 있다. 채굴 보상은 콘텐츠 제작에서부터 콘텐츠 공개에 이르기까지, 생태계의 모든 사람들이 콘텐츠의 일부가 되어 채굴 보상을 받게 될 것이며, 우리는 그것을쉬운 채굴 메커니즘(Easy Mining Mechanism)이라고 부른다.
- DvBox를 통한 채굴 : DvBox를 통해 LAN 유휴 컴퓨팅 성능, 대역폭 및 스토리지를 공유하고 DVC 보상을 얻는 프로세스를 채굴이라고 한다. 유저의 컴퓨팅 파워, 업로드 대역폭, 하드 드라이브 저장 공간 (200G 이상 권장), 온라인 시간 및 기타 데이터는 전체 네트워크의 총 점수에 따라 채굴 점수를 결정하고 일일 생산되는 DVC는 모든 DvBox에 분배된다.
- DVC 출력 알고리즘
- DVC 알고리즘에 따라 첫 해에는 매일 273만개의 DVC가 출력되며, 365일을 주기로 일일 생산량이 반감된다. DVC는 DvBox 하드웨어 컴퓨팅 파워, 업로드 대역폭, 공유 스토리지 공간, 효과적인 온라인 시간 및 다차원 점수 부여에 대한 다른 기여도에 기반한다. DVC 점수는 전체 네트워크 점수에 따른 하루 기여도이며, 일일 출력되는 DVC가 모든 DvBox에 분배된다.
- DVC 점수 공식
-M(DV 점수) = (하드웨어 컴퓨팅 파워 * 하드웨어 인자 + 대역폭 * 대역폭 인자 + 스토리지 값 * 스토리지 인자) * (온라인 시간/24);일일 출력량= Ct; output= Ct; -TDvBox의 DVC 점수 (Dv1으로 가정) 계산은 다음과 같다: Mn =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DvBox 점수 합 𝐷𝑉1 = {(M1 + M2 + M3 + ⋯ + Mn) / M1} * Ct
- 상세 공식
- 하드웨어 컴퓨팅 파워 : 채굴기의 CPU, GPU 효율과 메모리 크기. 현재 1세대 DvBox의 하드웨어는 동일한 컴퓨팅 파워를 가지고 있으며, 모두 컴퓨팅 파워 1 , CPU 인자 15, GPU 인자 10, 메모리 인자 5의 값을 가진다.
- 대역폭 : 신뢰할 수 있는 노드에 의해 측정된 업로드 대역폭. 분산 노드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대역폭 인자는 1-8M에서 10, 9-20M에서 5, 21M이상에서 1의 값을 갖는다. 계단 진행형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스토리지 : 신뢰할 수 있는 노드에 의한 채굴 측정에 사용 가능한 스토리지. 유저들이 스토리지 리소스를 더 많이 공유하도록 권장하기 위해 스토리지 값을 200G 미만에서는 0, 200-1000G에서는 1, 1000G보다 높으면 2, 스토리지 인자는 5로 설정한다.
- 온라인 시간 : 매일 온라인 시간은 신뢰할 수 있는 노드에 의해 측정되며, 전체 네트워크의 전체 DVC 점수로 합계된다.
- 콘텐츠 제작을 통한 채굴 : 콘텐츠 제작자들과 공유자들에게 DVC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보상 수단이다. 플랫폼에 업로드한 콘텐츠에서 시청료나 기부금을 DVC를 받을 뿐 아니라 원본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DVC 보상을 받는다. 콘텐츠 제작을 통한 채굴은 DvBox 채굴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며, 콘텐츠 제작자 또는 공유자의 기여도를 측정하기 위한 특정 알고리즘을 있다.
- MTCC 알고리즘
- 콘텐츠 제작을 통한 채굴은 고정된 일일 출력이고, 1년에 205만개, 365일을 주기로 반감된다. 콘텐츠 제작과 공유에 의한 이익은 콘텐츠 품질 기반인데, 여기서 콘텐츠 품질은 조회수, 유저 후기, 재생 시간 등에 의해 결정된다. 콘텐츠 게시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생태계에 업로드하면 콘텐츠의 점수는 해당 날짜의 기여도를 반영한다. 해당 날짜의 기여도는 전체 네트워크의 총점 수에 따르며, DVC의 일일 출력량은 모든 콘텐츠 제작자들과 공유자들에게 분배된다.
- 콘텐츠 점수 공식
-콘텐츠 점수 M = (100+ 콘텐츠 점수 * 콘텐츠 인자 + 히트 값 * 히트 인자+ 후기 * 후기 인자) * (재생 시간/24시간); 일일 출력량 = ct -콘텐츠 점수 (C1으로 가정): Mn = 전체 네트워크의 콘텐츠 점수의 합 1 = {(M1 + M2 + M3 + ⋯ + Mn) / M1} * C -한 콘텐츠 제작자(Art1으로 가정)가 다양한 콘텐츠를 플랫폼에 게시하면, 해당 날짜의 전체 채굴수익은 그/그녀의 채굴 점수의 전체 합이다. 𝐴𝑟𝑡1 = 𝑆𝑈𝑀( 1 + 2 + 3 + ⋯ + 𝐶𝑛) -한 유저(U1으로 가정)의 해당 날짜 채굴수익 총합은 그/그녀가 참여한 크라우드 펀딩과 투표 커스텀의 합이다. 𝑈1 = 𝑆𝑈𝑀(𝐶1 ∗ 𝑝1 + ⋯ + 𝐶𝑛 ∗ 𝑝𝑛)
- 상세 공식
- 콘텐츠 품질 : 빅데이터 통계에서 계산된 게시된 콘텐츠의 품질. 최소 0점, 최대 10점, 기본 0점, 콘텐츠 품질 인자의 가중치 3;
- 히트(Heat) 값 : 신뢰할 수 있는 노드는 신뢰할 수 있는 노드는 전날부터 모든 콘텐츠의 일일 누적 보기 히트 값을 집계한다. 최소 1점, 최대 10점, 기본 1점으로 조회 횟수가 많을수록 점수가 높아지며, 히트 인자의 가중치 5;
- 후기 : 유저와 콘텐츠 시청자에 의해 등급이 지정됨. 최소 0점, 최대 10점, 기본값 0점, 후기 인자의 가중치 2;
- 재생 시간 : 신뢰할 수 있는 노드는 전날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일일 누적 재생 시간을 계산하고 DVC 출력에 대한 전체 네트워크의 점수를 계산한다.
- VR 기술과 장비 제공을 통한 채굴 : VR 기술 및 장비를 통한 채굴은 무료 제작 툴킷, 장비와 기술을 제공하는 제공자에 대해 더 이상 일회성 계약이 아닌 판매, 임대 및 허가를 하는 경우, 해당 리소스에 의해 만들어진 콘텐츠가 재생될 때 공유 이익을 얻을 수 있다.
- MTTES 알고리즘 : 기술 및 장비 제공을 통한 채굴은 매일 일정한 생산량을 가지며, 첫 해에 하루 발행량은 약 68만개로 365일마다 절반으로 감소한다. 기술 또는 장비에 의해 만들어진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제공자와 공유된다. 게시 점수는 전체 네트워크의 총 점수에 따라 제공자의 기여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일일 출력량 DVC가 모든 제공자에게 분배될 것이다.
- 게시 점수 공식E
-게시 점수 M =100 * (재생 시간/24시간);일일 출력 = ct -제공자(C1)의 점수 계산: Mn = 전체 네트워크의 다른 게시 점수들의 합 Mn = {(M1 + M2 + M3 + ⋯ + Mn) / M1} * Ct
- 상세 공식
- 재생 시간 : 신뢰할 수 있는 노드는 전날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일일 누적 재생 시간을 집계하고 DVC에 대한 전체 네트워크의 점수를 계산한다.
- DVC 알고리즘 감소
- 감소 주기 y : 각 감소 주기는 y로 둔다 = 1년 (365일)
- 감소 계수 : 각 감소 주기가 끝나면, DVC 출력이 반감되는데 이를 d로 둔다 = 50%
- 초기 오퍼링 C : 고정 설계된 DVC의 전체 양. 첫 해엔 DvBox (MTD)에 의한 일일 채굴량이 273백만 DVC, MTCC에 의한 일일 채굴량은 205만 DVC, MTTES에 의한 일일 채굴량은 68만 DVC이다. 감소 알고리즘에 따르면 MTD, MTCC, MTTES에 의해 생산되는 전체 DVC의 양이 각 200억개, 150억개, 5억개이다.
DVC 가치
드래곤베인 생태계는 DVC 사용자, 콘텐츠 제작자, 장비 및 기술 공급자 간의 적극적인 피드백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 생성을 통해 DVC로부터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작자는 자신이 저작권을 갖는 콘텐츠에 대한 가격 산정 권리를 가진다. 앱 스토어의 소프트웨어 판매처와 유사하게, 그들이 개발한 소프트웨어와 동일한 수준의 가격 결정력을 가지며, 콘텐츠에 대한 과금 여부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DVC는 이전 절에서 설명한 콘텐츠 창출을 통한 채굴 기능을 제공하며, 또한 드래곤은 콘텐츠 제작자가 VR 콘텐츠 생성 및 게시에 대한 추가적인 보상을 얻기를 권장한다.
- 사용자는 저작권 소유자에게 DVC를 지불하여 VR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고, 연산 처리 능력, 대역폭, 그리고 하드웨어를 공유함으로써 DVC를 얻을 수도 있다.
- 장비와 기술 제공업체도 장비 및 기술 제공을 통해 DVC 보상을 얻을 수 있다. DVC의 발행 총량이 100억개에 고정되었다고 했을 때, 그 중 40억개는 상기 설명한 마이닝 알고리즘에 의해 플랫폼의 이해관계자들에게 분배된다. 그리고 드래곤베인 생태계의 지속적 성장과 트랜잭션 규모 및 속도의 증가에 따라 DVC의 지속적인 가치 향상이 함께 이루어진다.
보상 기금
드래곤베인은 DVC 판매에 VR 커뮤니티와 크립토 커뮤니티를 참여시켜 VR 생태계 개발에 힘쓸 것이다. 이러한 커뮤니티들의 공헌은 AR/VR 생태계 개발 및 드래곤베인의 혁신 파이프라인 생성을 가속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기부 기금의 많은 부분은 이후의 VR/3D 이노베이터들과 적극적인 생태계 기여자들을 위해 따로 보관될 예정이다.
- DVC 기부 기금 : VR 커뮤니티를 후원하기 위해 VR 혁신 기금과 보상 기금으로 총 두 개의 기금처가 설립된다.
- 혁신 기금 : VR 앱 개발자 및 이노베이터를 위한 기금. 양질의 제품 출시를 위하여 생태계에서 최고로 인정받은 VR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드래곤베인 생태계가 론칭된 후 5년 안에 개발자에게 DVC 보상이 지급될 예정이다. 개발자에겐 어떠한 제약도 없다. 개발자는 자신의 IP를 소유하며, 원하는 대로 앱과 툴을 게시하거나 상용화가 가능하다. 보조금의 액수와 대상자의 수는 잔여 기금에 따라 상이하며, 특별한 마감일자가 없이 항상 후보 등록이 가능하다.
- 보상 기금 : VR 커뮤니티의 개발과 지원을 위한 전용 기금. 가장 활동적인 콘텐츠 제작자들과 기여자들은 2주 이내에 시스템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플랫폼이 정식 발표되면 매주 토큰 판매 수익의 0.2%는 이 기금으로 분배된다. 그리고 이 기금은 기술성, 튜토리얼 선정 등의 다양한 대회에서의 후원금으로 사용된다.
생태계
핵심 요소
- DvBox : 모든 VR 장치의 핵심 노드 하드웨어 장치로서, 복잡한 설치과정 없이 전원을 켜고 miniVR HDM을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당신은 다양한 VR 콘텐츠를 즐길 수 있으며, 메인스트림 VR 플랫폼 콘텐츠와도 호환이 된다.
- 마켓 플레이스 : 생태계에서 VR 콘텐츠 거래를 위한 곳으로서, VR 영상, 클라우드 기반 VR 애플리케이션/게임, 오프라인 VR 애플리케이션 등 3가지 주요 제품 카테고리가 있다.
- 엣지 네트워크 : 클라우드 기반 VR 애플리케이션의 핵심이며, 이것으로 대용량 VR 콘텐츠 전송 문제를 해결한다. 클라우드 VR을 통해 5G 엣지 네트워크를 가속화함으로써 1-5ms의 저 지연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VR의 효과는 로컬 실행의 효과와 동일하며, 드래곤베인 전체에서 중요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한다.
- 블록체인 및 스마트 계약 : 생태계 참여자 간의 각 DVC 트랜잭션은 항상 블록체인에 저장되므로 되돌릴 수 없다. 트랜잭션이 성립되는 경우 스마트 계약을 따른다. 블록체인 거래에는 저작권, 콘텐츠 소유자 및 저자 (다른 경우), 상업적인 사용을 위한 권리 이전 (있는 경우), 구매 및 라이센스 세부 정보와 같은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 동시에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은 자금 조달 및 지출을 투명하게 만든다.
- 스토리지 : 엣지 서버, DvBox 및 공용 네트워크 CDN을 통해 VR 콘텐츠 및 응용 프로그램이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 및 데이터 네트워크의 일부로 분산 저장된다.
- 소프트웨어 및 SDK : 드래곤베인 소프트웨어 툴과 SDK는 VR 콘텐츠의 생성과 추가를 위해 VR 기술 제공자 또는 제작자에게 제공되며 드래곤베인 생태계 내에 콘텐츠를 게시한다. 게시된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의 디지털 지문을 추적할 수 있으며, 관련 VR 기술 공급자 또는 제작자는 구매, 임대, '좋아요' 등에 따라 보상되는 토큰을 받게 된다.
- 커뮤니티 : 시스템은 커뮤니티 회원들의 협력을 이용하여 두 번의 콘텐츠 품질 인증을 하고, 이를 통해 문제가 되는 콘텐츠를 제거할 수 있다. 수익 창출을 위해 잘못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보다 커뮤니티의 커뮤니케이션 및 상호 작용을 통해 제작자가 보다 우수한 콘텐츠를 만들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 소비자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 현재 하이앤드 VR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두 호스트 PC에 연결되어 있다. 처음 사용할 때에는, 운영 환경을 설정, 구동 및 설치해야 한다. 설치가 완료된 후 VR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고 설정해야 한다. DvBox는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만 빠르고 쉽게 삽입하면 되기 때문에 몰입감 있는 VR 세계를 빠르고 쉽게 경험할 수 있다. 유저들은 그들이 경험하고 싶은 콘텐츠를 클릭한다.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이나 게임도 설치하지 않고 5G 엣지 네트워크를 통해 당신은 빠르고 쉽게 스팀, 오큘러스 플랫폼에서 VR 게임과 애플리케이션을 경험할 수 있다. 단지 1/4의 비용으로 동일한 VR 콘텐츠의 품질을 경험할 수 있다.
- 콘텐츠 제작자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 콘텐츠 제작자는 스마트 계약과 드래곤베인 툴킷을 이용한 드래곤베인 내의 디지털 권한 관리로 쉽고 빠르게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계약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콘텐츠나 창작 콘텐츠에 비용을 지불하는 동안은, 제작자의 수입은 토큰을 통해 즉시 제작자의 계정으로 보내질 것이다. 크라우드 펀딩, 저작권 프리세일, 채굴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콘텐츠 제작자도 있다.
- VR 기술 제공자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 VR 기술 제공자는 스티칭, 포스트 및 업로드를 위한 무료 촬영 장비와 제작 키트를 제공하며, 각 제작키트는 고유하고 추적 가능한 디지털 지문을 포함하고 있다. 제작 키트에서 만든 콘텐츠가 공개되고 스마트 계약 요건을 충족하면 제공자는 토큰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커뮤니티 유저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 블록체인의 개방적이고, 변경할 수 없으며, 추적가능성 기능을 바탕으로, 커뮤니티 유저들은 그들이 좋아하는 콘텐츠에 좋아요를 누를 수 있고, 제작자들은 커뮤니티가 선호할수록 더 많은 것을 얻는다. 동시에, 커뮤니티의 사용자들은 토큰 투표를 진행하여 콘텐츠를 커스터마이징할 수도 있다. 커뮤니티 구성 유저들은 그들이 좋아하는 주제, 배우, 이야기 등에 대해 동의할 수 있다. 제작자들은 아이디어 제시를 통해 크라우드 펀딩 콘텐츠를 만들 수도 있다.
참고자료
- 최규현 기자, 〈드래곤베인, 중국 공식 기관지 인민망과 파트너십 체결〉, 《비아이뉴스》, 2019-12-11
같이 보기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