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신주현

위키원
Liqingli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7월 10일 (수) 17:37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만 위치

신주현(중국어: 新竹縣 xīn zhú xiàn)은 대만 북서부에 위치해 있는 현이다. [1][2]

개요[편집]

신주현의 면적은 1,427.5369㎢이며 인구는 557,349명(2015년)이다. 동쪽으로는 이란현, 남쪽으로는 먀오리현, 북쪽으로는 타오위안시와 각각 경계를 이루고, 서쪽으로는 대만해협에 면해 있다. 현청 소재지는 주베이이다. 타이완성이 직접 관할하는 성할시(省轄市)인 신주가 신주현 남서쪽 끝 해안지대에 위치한다. 타이완성은 타이완을 구성하는 최고 행정단위인 2개 성 가운데 하나로, 타이완 국토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옛 이름은 죽참(竹塹)으로 강희제때 최초로 쓰였다. 옹정제 때 쓰여진 글에 따르면 관청이 대나무로 둘러싸인 것이 유래라 하나 오늘날에는 그냥 원주민 언어를 음차한 것이라는 설이 정설. 1875년에 청나라에서 대만의 주요 원주민 언어 지명을 중국식 지명으로 고치면서 이곳 이름도 신죽(新竹)으로 바뀌었다. 이 일대는 먀오리현와 더불어 대만에서 객가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2018년 대만 지방선거 결과 중국 국민당에서는 양원커(楊文科) 전 부현장이 부총통 후보로 출마했던 민국당(현 국회정당연맹)의 쉬신잉 대표를 꺾고 당선되었다.

주민은 주요 민족인 한족 이외에 소수 민족으로 현의 남동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타이완 원주민이 있다. 현의 상징은 동백꽃이다.[3]

자연환경[편집]

지형은 펑산계 봉산계(鳳山渓), 터우첸계 두전계(頭前渓)의 하구에 충적평야가 펼쳐진 것 외에 보궁강 대지 백공강 대지(伯公岡台地) 및 후구 대지 호구 대지(湖口台地) 등의 대지, 구릉지가 펼쳐져 있다. 연평균 기온은 섭씨 21도, 연평균 강수량은 1949.1mm이다.

역사[편집]

1683년, 청의 대만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신주 일대는 제라현(諸羅県)의 관할에 놓여졌고 관인에 의해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1723년, 제라현에서 담수청(淡水廳)의 관할로 개편되었고 1875년에는 담수청을 담수현 및 신죽현으로 분할하였고 현 정부가 설치되었으며 신죽으로 개칭되었다.

일본 통치 시대 당초에는 다이호쿠 현 신치쿠 지청이 설치되었지만 1901년에 신치쿠, 도엔 지청이 합병해 신치쿠 주가 성립되었으며 하부에 8군을 관할하게 되었고 주 정부는 신치쿠 군에 설치되었다. 2차 대전 후인 1945년 11월, 신주 시 정부가 성립했고 하부에 7구, 현재의 신주 시, 주둥진, 바오산향 등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듬해, 성할시가 된 신주 시 외에 신주, 타오위안, 중리, 먀오리의 8구를 설치해 신주 현 정부가 성립했으며 현 정부는 타오위안으로 옮겼다.

1950년의 지방제 개편으로 신주 현은 타오위안현, 신주 현, 먀오리현으로 분할되었고 신주 시는 신주 현의 소관이 되었다. 1982년 신주 시와 샹산 향이 통합되면서 신주 시가 성할시로 승격하였고, 현 정부는 신주와 연담화된 도시인 주베이(竹北)로 옮겨갔다. 한편 이 일대는 먀오리현와 더불어 대만에서 객가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2018년 중화민국 지방선거 결과 중국 국민당에서는 양원커(楊文科) 전 부현장이 부총통 후보로 출마했던 민국당(현 국회정당연맹)의 쉬신잉 대표를 꺾고 당선되었다.

행정구역[편집]

  • 주베이시(竹北市) - 터우첸시/두전계(頭前渓)의 북쪽으로 펼쳐진 주베이시는 동서 약 13.5km, 남북 약 12.5km의 삼각형 모양이다. 리터우 산/이두산(犁頭山)이 동남쪽에 있고 펑비웨이 산/봉비미산(鳳鼻尾山)이 서북쪽에 있는 것 이외에는 신주 평원에 속하는 평탄한 지역이며 가운데를 터우첸시 및 펑산시/봉산계(鳳山渓)가 동서로 흘러 대만 해협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평균 기온은 25℃에서 30℃ 사이이며 온난 습윤기후로 분류된다. 연 강수량은 1500 ~ 1800mm이며 계절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기후이다.
  • 관시진(關西鎮) - 신주현의 동북쪽에 위치하고 남쪽으로 젠스 향, 헝산 향, 서남쪽으로 충린 향, 서북쪽으로 신푸 진, 북쪽으로 타오위안시 룽탄구, 동쪽으로 타오위안시 푸싱구과 접한다. 예전에는 함채붕(咸菜硼)으로 불리고 있었지만 1920년의 지방제 실시 때 간사이(関西)로 개칭 되었다.
  • 신푸진(新埔鎮) - 신푸진은 신주 현의 동북쪽에 위치하고 동쪽은 관시 진, 서쪽은 주베이 시, 남쪽은 충린 향, 북쪽은 후커우 향, 양메이 진, 룽탄 향에 접하고 있다. 비옥한 토지와 온난한 기후를 가져 농업이 발달해 있다. 주민의 상당수는 광둥성으로부터의 이민자의 자손이며 하카어가 주요 방언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 주둥진(竹東鎮) - 주둥의 옛 이름은 상기림(橡棋林)이라고 한다. 이것은 선주민이 처음으로 이곳에 이르렀을 때 상기수가 많이 우거져 있던 것에서 명명되었다. 또 상기를 별명인 '수기'로도 부르는 데에서 수기림(樹杞林)으로도 불렸다. 한족이 이주 하기 전에 이곳은 원주민이 수렵유경을 행하고 있었다. 당시에는 유력한 홍면번(紅面番)이 지역의 중심이 되었다고 하지만, 민족적으로는 아마 사이샬트족으로 구성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생활도 건륭 연간 중기가 되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1796년, 혜주인이 하칠빈(下七份) 및 마원두(麻園肚) 일대로 이주해 촌락을 형성하게 되었다. 5년 후, 요평인 임흠당은 중포(重埔), 원산(員山) 일대의 개척에 나서 40여 명이 이주 했다. 1776년에 이곳은 광범위하게 개발이 진행되어 밭은 77갑(甲)을 헤아렸다. 1806년, 팽건화와 금혜성에 의해 대규모 개척이 계획되어 도광 연간에는 보통 민객(閩客)합자의 14고(股)가 성립했으며 점차 동부의 대와랑(현재의 루이펑 리)으로 퍼져 총궤, 모정파수를 설치했고 공관을 상공관(현재의 상관 리)에 설치해 1,000여갑의 규모가 되었다. 주둥 진이 개발된 초기, 행정구는 담수청(淡水廳)의 관할에 속해 죽참보동남차양(竹塹堡東南廂)으로 불렸다. 1875년, 담수와 신죽이 분할되면서 신죽현에 속하게 되었고 죽북일보수기림장(竹北一堡樹杞林莊)으로 불렸다. 1890년에 신죽과 묘률이 분할되었을 때에는 나아가 죽참보수기림장(竹塹堡樹杞林莊)으로 불리게 되었다. 시모노세키 조약에 의해 1895년에 일본에 의한 대만 통치가 시장되면서 주둥 지구는 다이호쿠 현 신치쿠 지청에 속했지만 그 2년 후 신치쿠 현이 부활하면서 수기림변무서수기림가(樹杞林弁務署樹杞林街)로 개칭되었다. 1899년, 신치쿠 현이 폐지되고 대신에 신치쿠 변무서가 설치되면서 수기림서수기림구(樹杞林署樹杞林區)로 개칭되었다. 1920년의 지방 제도 개혁에서는 신치쿠 동쪽을 지쿠토(竹東)로 개칭해 지쿠토 군 지쿠토 가로 개편되었다. 2차 대전 후 주둥 지구는 당초에 성할시인 신주 시 주둥 구로 구분되었다. 1950년의 지방 행정 개혁으로 주둥 지구는 신주 현에 속하게 되어 진으로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바오산 향(寶山鄉) - 바오산의 옛 이름은 초산(草山)이다. 이것은 잡초가 무성한 미개척된 황무지였던 것에서 명명된 것이다. 원래는 아타얄족의 거주지였지만 1833년, 강수만 및 주방정이 인솔하는 '금광복'으로 불리는 광동계 개척단이 금산면, 대기, 보두, 신성, 감자기 등으로 이주한 것에서 한족에 의한 개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시모노세키 조약의 결과로서 일본에 의한 대만 통치가 시작되면서 1920년에 대만에 주군제를 실시해 초산은 신치쿠 주 지쿠토 군에 속하게 되었다. 이 때 '초산'이라는 명칭은 평범했기 때문에 민중이 지연 등에 속박 되지 않고 공동으로 개발, 발전하는 것을 염원하는 호잔(宝山)으로 개칭하였다. 2차 대전 후에는 신주 시에 편입되어 신주 시 바오산 구가 되었고 바오산 촌에 구청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 구청은 교통에 불편했기 때문에 1949년 3월에 솽시 촌으로 이전되었다. 이후 1950년 10월 25일의 지방 행정 개혁에서는 신주 현 바오산 향으로 개정되었다.
  • 베이푸 향(北埔鄉) - 신주현의 남서쪽에 위치하고 서쪽으로 어메이 향, 북쪽으로 바오산 향, 동쪽으로 주둥 진, 남쪽으로 우펑 향, 남서쪽으로 먀오리 현 난좡 향과 접한다.
  • 어메이 향(峨眉鄉) - 대만 신주현의 향이다.
  • 헝산 향(橫山鄉) - 대만 신주현의 향이다.
  • 후커우 향(湖口鄉) - 후커우 향은 신주 현에 위치하고 북동부는 타오위안시 양메이 진과의 현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서쪽은 신펑 향, 남쪽은 남서쪽의 일부가 주베이 시와 접하고 있는 것 외에는 구릉 지대가 신푸진까지 연결되어 있다. 동남쪽 및 남쪽은 산악 지대로 산성의 건조한 자갈과 적토에 의한 지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향내에는 큰 하천이 없기 때문에 관개를 필요로 하는 농업에는 불리한 자연 조건이다.
  • 젠스 향(尖石鄉) - 신주현 최대 면적의 향으로 현 동남부에 위치하고 아타얄족이 거주한다.
  • 충린 향(芎林鄉) - 충린향은 개발되기 전에는 구궁수가 우거져 을 형성하고 있던 것에서 예전에는 구궁림(九芎林)으로 불렸다. 1775년, 광동인인 강승지, 류승고 등이 이곳에 이주한 것이 한족에 의한 개발의 시초이다. 1785년 전후가 되면서 다른 광동인, 복건인이 차례차례로 이주해 도광 초년에는 상당한 규모의 농지가 경작되기에 이르렀다. 행정구로서는 신죽현 죽참보 동상에 속해있었지만 일본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다이호쿠 현 신치쿠 지청 지쿠호쿠 보, 신치쿠 주 지쿠토 군 규린 장으로 개칭되었다. 2차 대전 후 처음에는 신주 현 주둥 구 충린 향이 되었지만 1950년의 지방 제도 개혁으로 신주 현 충린 향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우펑 향(五峰鄉) - 신주현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향내에는 대만 원주민 아타얄족과 사이샬트족이 거주한다. 신주현내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향진이다.
  • 신펑 향(新豐鄉) - 신펑향은 신주 현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동쪽은 후커우 향, 서쪽은 타이완 해협, 남쪽은 펑비웨이 산(鳳鼻尾山) 구릉과 주베이 시에, 북쪽은 다선컹시(大深坑溪)와 타오위안시 신우 구에 접하고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신주현〉, 《위키백과》
  2. 신주현〉, 《나무위키》
  3. 두산백과 : 신주현〉,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신주현 문서는 아시아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