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동
덴동(天丼, てんどん, テンドン, Tendon)은 그릇에 담은 밥위에 덴푸라를 올린 덮밥의 일종이다.
개요
덴동은 밥 위에 수산물, 채소 등을 튀긴 덴푸라 몇 가지를 올리고 소스를 더한 일본식 튀김 덮밥이다. 이 중에서 찬합에 담은 것을 텐츄우(天重)라고 부른다. 덴푸라돈부리(天ぷら丼), 텐부라동의 약칭으로 현재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덴돈'이나, 일반적으로는 '텐동'이라 부른다. 그 외에 어떻게 표기하느냐에 따라서 '덴동'이 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조리법은 밥 위에 몇 가지 종류의 튀김을 올리고 단 덮밥 소스를 더하는 것이다. 소스는 주로 우려낸 국물·간장·미림·설탕 등을 합친 것을 사용한다. 소스를 더하지 않고 덴푸라를 가볍게 삶은 것이나 소금을 뿌리는 것도 있다.[1][2]
설명
일본식 덴푸라를 올린 덮밥이다. 올라가는 튀김 종류는 주로 새우, 오징어, 꽈리고추, 온천계란, 김, 모듬 채소 등이 있다. 그리고 온천계란은 보통 요리사에게 따로 요청하지 않는 한 반숙란으로 나오며, 이것을 밥 위에 터뜨려서 먹는 것이 기본적인 식사 방법이다. 즉, 소스와 달걀로 조미된 밥에 각종 튀김을 반찬으로 곁들여 먹는 것이다. 이미 밥에 충분하게 간이 되어 있기 때문에 튀김엔 따로 간장을 찍지 않는다.
덴푸라의 종류가 워낙 많기 때문에 올라가는 튀김 종류도 다양하지만, 고기 튀김이 올라가는 경우는 잘 없는 편이다. 굳이 따지면 가라아게 정도고 그것조차 올리는 집도 드물다. 일본에선 쇠고기나 돼지고기 튀김 등이 올라가면 텐동이 아니라고 본다. 이는 덴푸라가 원래 육류를 쓰지 않고 수산물과 채소만 쓰기 때문이다. 다만 그래도 돈부리가 육류 비중이 높은 요리라서 그런지 고기 튀김이 들어가기도 한다. 국내에선 간혹 새우 등의 해산물을 빼고 그 대신 육류 튀김을 올리는 텐동을 메뉴에 넣는 경우가 있다.
밥에 튀김을 얹어 먹는 것이 느끼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소스의 맛이 중요하며, 와사비를 곁들여 먹는 것도 맛있게 먹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주로 느끼함을 잡는 용도로 꽈리고추가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텐동 전문점 중에선 기름에 참기름을 섞고 조리하는 곳들도 있어 느끼한 것에 약한 사람에게는 맛이 좋아도 느끼해 먹지 못하는 난처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딱 양념한 계란밥에 참기름을 넣은 느낌이다.
텐동에 새우튀김은 사실상 기본으로 올라가다 보니, 단순 튀김 덮밥이 아니라 새우튀김 덮밥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사실 진짜 새우튀김 덮밥은 에비동인데 에비동에 올라가는 새우튀김은 텐동의 새우튀김과는 다르다. 텐동의 새우튀김은 밀가루 물을 묻혀서 튀기는 반면, 에비동의 새우튀김은 여기에 빵가루를 덧입혀서 튀긴다.[2]
조리법
다양한 튀김이 많이 올라가다 보니 가정에선 조리하기 어려운 편이다. 튀김류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없다면 비 오는 날 가정에서 원하는 재료를 준비하여 느긋하게 해 먹으면 좋다.
가정에서 쉽게 해 먹을 수 있는 텐동의 조리법은 다음과 같다.
- 1. 텐동을 담을 그릇을 준비한다. 밥그릇의 지름이 15cm, 높이 7.5cm의 크기가 되는 것이 일반적인 식당용이다. 튀김 재료에 따라 크기가 달라져야 한다.
- 2. 생새우와 야채를 준비한다. 튀김에 대한 내공이 있다면 재료는 자유롭게 준비해도 좋지만, 초보라면 쉽게 만들 수 있는 고구마, 고추 등 얇지 않은 재료를 사용한다.
- 3. 전분, 계란물, 빵가루 순으로 튀김옷을 입힌다. 새우는 중불에 2~3분씩 번갈아가면서 2~3회 튀긴다. 또, 바삭함을 위해서 채소는 뜨거운 기름에 데치듯 튀겨야 한다. 채소는 강불에 20초씩 돌아가며 튀긴다.
- 4. 소스를 만들어야 한다. 가다랑어포를 물에 잠기게 한 다음 끓기 전에 건져낸다. 육수에 간장 2스푼, 소금, 다진 마늘 등을 넣고 끓여낸다. 밥에 스며들게 하려면 그 상태로 두고, 곁들이듯이 뿌리고 싶으면 전분물을 조금 섞어 잼보다는 묽지만 끈기가 있는 상태로 한다.
- 5. 밥을 그릇 높이의 2/3만큼 담고 튀김을 얹으면 완성이다.
곁들일 샐러드 조리법
- 1. 양파, 대파 하얀 부분, 양상추를 채썬다. 양파와 대파는 물에 담가 매운맛을 빼준다.
- 2. 마요네즈 3, 머스타드 1, 다진 피클 1의 비율로 섞어 타르타르 소스를 만들고 설탕 등으로 소스의 맛을 조정한다.
- 3. 채소는 전부 건져내 물기를 빼고 소스와 섞어 샐러드를 만든다.[2]
여담
- 백종원의 골목식당 신포시장 편에서 텐동집을 백종원이 극찬하면서 화제가 됐다.
- 한국의 텐동은 대개 작은 그릇이 벽처럼 꽂혀서 나오는데, 원래는 돈부리의 뚜껑이며 이 그릇을 앞접시처럼 사용해서 튀김을 덜어가며 먹는다. 보통 식당에서는 텐동은 튀김을 높이 쌓기 때문에 무너지지 않게 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텐동만이 이렇게 서빙되기 때문에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하는데 막상 일본에서는 다른 덮밥처럼 그냥 쌓아서 먹는 게 일반적이다. 뚜껑을 꽂아주는 특정 유명 텐동 집의 경우도 앞접시로 쓰라는 것이 아니고 뚜껑으로 튀김이 바로 보이지 않게 가리는 일종의 예절이며, 일본인들도 그 식당만의 특별한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다. 벽이 필요할 정도로 튀김을 쌓아두는 텐동은 그냥 더 큰 접시를 쓴다. 한국에서 뒤늦게 텐동이 유행하며 독자적으로 생긴 문화이다.
- 일본에서는 의례적으로 텐동에 새우튀김 2개를 얹어주는 게 암묵의 룰이다. 여기서 유래하여 만자이에서는 시간차를 두고 같은 개그를 2번 하는 방식을 지칭하는 은어로도 쓰인다.
- 일제강점기가 배경인 어느 문학 작품에선 등장인물이 텐동을 사먹는 내용이 나오는데, 가격이 10전으로 나왔다. 당시 설렁탕이 한 그릇에 10전, 비빔밥이 각각 한 그릇에 15전, 고급 쇠고기를 쓴 국밥이 한 그릇에 20전이었고, 극장 티켓이 한장에 50전, 학교 교재 한 권이 70전, 담배 한 갑이 10전 하던 시절이었는데, 그만큼 텐동이 저렴했던 것이다. 물론 현재 일식당에서 파는 고급 텐동은 아니었을 것이다.[2]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