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香)은 꽃, 향, 향수 따위에서 나는 좋은 냄새를 말한다.
향은 꽃, 향, 향수 따위에서 나는 좋은 냄새를 뜻한다. '향기'(香氣)라고도 하며 '향기롭다'라는 형용사도 있다.[1]
냄새(smell)는 인간의 오감 중 하나인 후각으로 얻게 되는 정보를 말한다. 미각과도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코의 점막이 공기 중에 퍼진 분자와 닿으면 얻을 수 있다. 수중 생물들은 물속의 물질로 감별한다.
냄새는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농도의 하나 이상의 휘발성 화합물에 의해 발생되어, 사람이나 다른 짐승이 후각에 의해 지각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악취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류가 인간의 후각을 자극하여 주는 불쾌감,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된다. 사전적 문맥으로는 코로 맡을 수 있는 기운을 뜻한다. 간단히 내라고도 하며, 향 등에서 나는 좋은 냄새는 향기(香氣), 향냄새(香味), 방향(芳香), 향(香)이라고 하며, 불쾌함을 유발시키는 고약하거나 나쁜 냄새는 악취(惡臭)라고 부른다. 한국어에서 냄새는 사물이나 분위기에서 느껴지는 "낌새"를 의미할 수 있다.
많은 동물들이 먹을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없는 것인지를 판단하거나, 자신의 새끼를 구별하고, 낯선 물체를 탐지할 때 냄새를 이용한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며, 문명이 발달하기 전부터 냄새를 통해 음식의 상태를 살피는 등 썩은 음식 같은 치명적인 요소들로부터 자신의 목숨을 지켜낼 수 있었다. 먹어보는 게 제일 확실하지만 정말 치명적인 것은 조금 먹는 것도 위험할 수 있으니 냄새를 통해 부패 여부를 아는 것이 요긴했다. 오늘날에는 냉장고를 위시하여 음식 보존 기술이 발전해 냄새로 부패를 판단해야 할 일은 줄었지만, 육류/해산물/우유처럼 상하기 쉬운 음식들은 여전히 냄새를 맡아보는 게 중요하다. 냄새가 안 난다고 꼭 안 상했다고 볼 순 없지만, 냄새가 나는 건 상했다고 보는 게 안전하다.
비단 음식의 상한 여부를 확인하는 것 외에도 냄새로 위생 상태나 건강을 체크할 수도 있으며, 화재가 발생했을 시에는 냄새가 불이 났음을 감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든 물질을 냄새로써 감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산화탄소, 라돈 같은 물질은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끼침에도 냄새가 나지 않는다.[2][3]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향 문서는 음식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생활 : 음식 □■⊕, 반찬, 후식, 요리, 의복, 주택, 여가, 관광지, 한국관광지, 세계관광지
|
|
음식
|
F&B • 가공식품 • 감칠맛 • 건강식품 • 경양식 • 과당 • 구내식당 • 끼니 • 냄새 • 냉동식품 • 녹말 • 농산물 • 다이어트 • 단맛 • 단백질 • 디너파티 • 레스토랑 • 만찬 • 맛 • 매운맛 • 먹거리 • 메뉴 • 메뉴판 • 메인요리 • 미각 • 바 • 발효 • 발효음식 • 밥집 • 배달음식 • 보양식 • 불포화지방 • 뷔페 • 비타민 • 섭취 • 소스 • 소화 • 수산물 • 술집 • 스탠딩파티 • 슬로우푸드 • 식당 • 식량 • 식료품 • 식사 • 식욕 • 식이섬유 • 식품 • 신맛 • 쓴맛 • 아침식사 • 양식 • 영양 • 영양분 • 영양사 • 영양식 • 오찬 • 유기농식품 • 유지방 • 음식 • 음식물 • 음식점 • 이유식 • 일식 • 입맛 • 자연식품 • 저녁식사 • 전분 • 전채 • 전통음식 • 전투식량 • 점심식사 • 정식 • 조찬 • 조찬모임 • 중식 • 지방 • 지방산 • 짠맛 • 찜 • 철분 • 체지방 • 축산물 • 케이터링 • 콜레스테롤 • 탄수화물 • 토핑 • 통조림 • 패스트푸드 • 포도당 • 포만감 • 포화지방 • 퓨전요리 • 핑거푸드 • 한식 • 함바집 • 해산물 • 향 • 향토음식 • 혼밥 • 회식 • 후각
|
|
밥과 죽
|
가츠동(돈까스덮밥) • 감자밥 • 게살수프 • 계란볶음밥 • 고기덮밥 • 곡식 • 곤드레밥 • 국밥 • 굴국밥 • 굴볶음밥 • 규동 • 기장밥 • 김밥 • 김치가츠동 • 김치덮밥 • 김치볶음밥 • 나물밥 • 낙지덮밥 • 낙지볶음밥 • 누룽지 • 닭죽 • 더운밥 • 덮밥 • 덴동(텐동) • 도시락 • 돈까스카레밥 • 돈부리 • 돌솥비빔밥 • 돼지국밥 • 라면덮밥 • 리소토(리조또) • 망고찹쌀밥(망고밥) • 메밀 • 밥 • 백반 • 보리 • 보리밥 • 볶음밥 • 부타동(부타돈) • 비빔밥 • 삼각김밥 • 삼겹살덮밥 • 삼선볶음밥 • 새우볶음밥 • 소고기덮밥 • 소고기볶음밥 • 소머리국밥 • 솥밥 • 수프 • 순대국밥 • 스팸마요 • 시래기국밥 • 시래기밥 • 쌀 • 쌀밥 • 쌀죽 • 쌈밥 • 쑥밥 • 야채볶음밥 • 야채수프 • 야채죽 • 약밥 • 양장피 • 어죽 • 에비동(새우튀김덮밥) • 영양밥 • 오곡 • 오곡밥 • 오니기리 • 오므라이스 • 오야코동 • 오징어덮밥 • 오징어볶음밥 • 옥수수 • 우거지국밥 • 율무밥 • 잡곡 • 잡곡밥 • 잡채밥 • 잣죽 • 장어덮밥 • 전복죽 • 전주비빔밥 • 제육덮밥 • 조 • 조밥 • 주먹밥 • 죽 • 즉석밥 • 집밥 • 짜장밥 • 짬뽕밥 • 찬밥 • 참치덮밥 • 참치마요 • 찹쌀 • 찹쌀밥(찰밥) • 초밥 • 충무김밥 • 취나물밥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카레밥) • 컵밥 • 콩나물국밥 • 콩나물밥 • 콩나물비빔밥 • 콩밥 • 크림수프 • 타락죽 • 팥죽 • 편의점 도시락 • 하이라이스 • 한솥밥 • 햇반 • 현미 • 현미밥 • 호밀 • 호박죽 • 황금볶음밥 • 회덮밥
|
|
면과 만두
|
가락국수 • 간짜장 • 갈비만두 • 건면 • 고기만두 • 골뱅이소면 • 곱빼기 • 국수 • 군만두 • 굴짬뽕 • 기스면 • 김치만두 • 김치말이국수 • 김치우동 • 나가사키짬뽕 • 납작만두 • 냉면 • 닭국수 • 당면 • 돈코츠라멘 • 딤섬 • 떡국 • 떡만둣국 • 떡볶이 • 라멘 • 라면 • 라면사리 • 라자냐 • 마카로니 • 막국수 • 만두 • 만두소 • 만두피 • 만둣국 • 메밀국수 • 메밀면 • 면 • 묵밥 • 묵사발 • 물냉면 • 물만두 • 밀면 • 볶음국수 • 볶음짜장(쟁반짜장) • 비빔국수 • 비빔냉면 • 삼선짜장 • 새우만두 • 생면 • 소면 • 소바 • 수제비 • 스파게티 • 쌀국수 • 안동국수 • 열무국수 • 옹심이 • 왕만두 • 우동 • 울면 • 월남쌈 • 유니짜장 • 유산슬 • 잔치국수 • 잡채 • 조랭이떡국 • 중화냉면(중국냉면) • 진주냉면 • 짜장라면 • 짜장면 • 짬뽕 • 쫄면 • 찐만두 • 초계국수 • 카르보나라 • 칼국수 • 컵라면 • 콩국수 • 튀김만두 • 파스타 • 팟타이 • 평양냉면 • 함흥냉면 • 해물짜장 • 해물짬뽕 • 회냉면
|
|
빵
|
건빵 • 국화빵 • 꽃빵 • 난 • 누룽지버거 • 누룽지빵 • 단팥빵 • 도넛 • 마늘빵 • 맥도널드 • 바게트 • 반미 • 발효빵 • 밥버거 • 버거킹 • 베이글 • 부리토 • 붕어빵 • 빵 • 샌드위치 • 소금빵 • 소보로빵 • 술빵 • 식빵 • 써브웨이 • 와플 • 찐빵 • 치즈스틱 • 카스텔라(카스테라) • 케사디야(퀘사디아) • 크루아상 • 크림빵 • 타코 • 토스트 • 파이 • 팥빵 • 팥소(앙꼬, 팥앙금) • 페이스트리 • 풀빵 • 피자 • 햄버거 • 호밀빵 • 호빵
|
|
떡
|
가래떡 • 감자떡 • 개떡 • 경단 • 꿀떡 • 꿀떡시리얼 • 두텁떡 • 떡 • 떡꼬치 • 모시떡 • 무지개떡 • 백설기 • 비지떡 • 빈대떡 • 송편 • 술떡(증편) • 시루떡 • 쑥떡 • 오메기떡 • 인절미 • 절편 • 조롱이떡 • 찹쌀떡 • 호떡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