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화이화시(중국어: 怀化市 huái huà shì)는 중국 후난성 서남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화이화시의 면적은 27,562.72㎢이며 인구는 4,587,594명(2020년)이다. 장자제시, 창더시, 이양시, 뤄디시, 사오양시,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구이저우성, 광시 좡족 자치구와 접한다. 둥팅호로 흘러 들어가는 장강의 지류원강이 흐른다.화이화는 후난성의 산지이다. 장자제 국가삼림공원 남쪽에 위치하여 같은 산지를 공유한다.
시 인민 정부는 허청구(鹤城区, 학성구)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허청구(鹤城区, 학성구)의 1개 시할구(市辖区), 훙장시(洪江市, 홍강시)의 1개 현급시와 위안링현(沅陵县, 원릉현), 천시현(辰溪县, 진계현), 쉬푸현(溆浦县, 서포현), 중팡현(中方县, 중방현), 후이퉁현(会同县, 회동현)의 5개 현, 마양먀오족자치현(麻阳苗族自治县, 마양묘족자치현), 신황둥족자치현(新晃侗族自治县, 신황동족자치현), 즈장둥족자치현(芷江侗族自治县, 지강동족자치현), 징저우먀오족둥족자치현(靖州苗族侗族自治县, 정주묘족동족자치현), 퉁다오둥족자치현(通道侗族自治县, 통도동족자치현)의 5개 자치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이화는 중국 제2 포병부대의 기지가 있는 곳이다. 화이화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은 괌을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지역 농촌의 빈곤은 끊임없이 문제가 되고 있다. 산지 자원의 개발이 이 문제의 해답이 될 것이다.
지역의 개발이 계속됨에 따라 서부 지역은 더욱 성장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화이화는 중요한 곳에 위치하여 농업, 공업, 서비스업, 관광업 등을 포함한 중국 서부 지역 전체의 발전의 안내자 역할을 할 것이다.
명승고적으로 첸양(黔阳, 검양)의 부용루(芙蓉楼), 통도(通道)의 회룡교(回龙桥), 원릉(沅陵)의 용흥강사(龙兴讲寺) 등이 있다.[3][4]
자연환경[편집]
화이화시는 상양자 지괴와 남화 열하구의 전이 지역에 위치하며, 이 지역의 지층은 다양하게 발달해 있다. 구조 운동과 화성 활동이 빈번하며, 지층은 선캄브리아기로부터 신생대에 이르기까지 퇴적암상의 다양한 구조를 보이며, 암석의 조성이 복잡하다. 선캄브리아기 이전의 지층은 강한 습곡을 겪었으며, 단층 구조가 지배적이다. 시 전역에 걸쳐 북동 및 북북동 방향의 깊고 큰 단층을 포함한 단층 구조 체계가 형성되어 있다.
화이화시 경내는 산과 구릉이 중첩되어 있으며, 봉우리가 불규칙하게 솟아 있는 복잡한 지형을 갖추고 있다. 지형의 윤곽은 남서쪽에서 북쪽으로 기울어진 좁고 긴 형태를 띤다. 남동부에는 설봉산맥이 호 모양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북서부에는 무릉산맥이 이어져 있다. 중간 지역에는 구릉과 언덕이 기복을 이루어 여러 개의 분지를 형성한다. 지형의 최고점은 설봉산맥의 주봉인 수보정으로 해발 1934미터이며, 최저점은 원릉의 계수로 해발 45미터에 불과하다. 동서 양쪽이 험준하며, 남부는 돌출되고 중부와 북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기울어져 있다. 지형은 북동쪽으로 열린 바가지 형태를 하고 있다.
무릉산맥은 북동쪽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북서쪽 사면은 가파르고 남동쪽 사면은 완만하다. 이 산맥은 지역 내에서 약 104킬로미터에 걸쳐 이어지며, 산등성이의 방향은 구조선의 방향과 거의 일치한다. 설봉산은 북동쪽으로 뻗어 있으며, 남동쪽 사면이 급경사를 이루고 북서쪽 사면이 완만하다. 지역 내에서 약 180킬로미터에 걸쳐 있으며, 산등성이가 지역의 분수령을 형성하고 구조선 방향과 일치한다.
화이화시의 산지는 전체 면적의 70.5%를 차지하며, 구릉지와 언덕, 평원, 산원, 수역은 각각 17.9%, 4.1%, 4.2%, 0.6%, 2.7%를 차지한다. 시 전역은 "칠산 이구릉, 일평원과 수역"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해발 800미터 이상의 주봉은 1149개이며, 그중 해발 1000미터 이상의 산봉우리는 663개에 이른다. 동서 지역은 저산과 중산이 주를 이루고, 남부 지역은 중저산이 많으며, 북부 지역은 저산과 중저산이 주를 이룬다. 중부 지역은 주로 저산, 구릉, 평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이화시는 중아열대의 촨어샹첸 기후대와 강남 기후대의 전이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지역 내에서는 사계절이 뚜렷하다. 혹한과 혹서의 기간이 짧고, 온도 변화에 따라 봄은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여름은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가을은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겨울은 12월 1일부터 다음 해 2월 말까지로 나뉜다.
봄철에는 남쪽에서 온난 습윤한 공기가 점차 북상하며 기온이 하루가 다르게 상승하고 강수량도 증가한다. 봄철의 특징으로는 날씨 변화가 잦다는 점이 있다. 북쪽의 차가운 공기가 점차 북쪽으로 물러가면서 남쪽의 온난한 공기가 북상해 교차하면서 "봄철 아이 얼굴처럼 하루에 세 번 변하는" 기후 특징을 보인다. 여름철에는 아열대 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으며, 남풍이 불고 기온이 높아진다. 봄 말과 초여름에는 강수량이 집중되고 장마철이 되면 비가 자주 내리고 고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된다. 여름철의 특징으로는 더운 기간이 길다는 점이 있다.
가을철에는 서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이 서쪽으로 확대되면서 북쪽으로 이동하고, 차가운 공기가 북쪽으로 수축한다. 8월과 9월 여름 말과 초가을에는 강수량과 강우 일수가 현저히 줄어들지만, 기온은 여전히 높으며 평균 기온은 27℃로 증발량이 많아 가뭄이 발생하기도 한다. 겨울철에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북쪽의 차가운 공기가 남하하면서 비, 눈, 얼음 등의 날씨가 자주 발생한다.[5]
구석기 시대 때 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초나라 대에는 검중군(黔中郡) 산하였으며, 한나라 대에 무릉군(武陵郡) 산하로 들어간다.
수나라 대에는 원릉군(沅陵郡), 당나라 대에는 진주(辰州)였으며, 원나라 대에는 진주로(辰州路), 원주로(沅州路), 장주로(靖州路)에 나뉘어 통치되었고 명나라 대에 진주부(辰州府)로 변경된다.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에는 후이퉁전구(会同专区)와 위안링전구(沅陵专区)로 분할되었다가 1952년에 위안링전구가 후이퉁전구로 편입되고, 1953년에 후이퉁전구가 첸양전구(黔阳专区)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68년에 첸양지구(黔阳地区)로 변경, 1981년에 화이화지구(怀化地区)를 거쳐서 1998년에 지급시 화이화시로 변경된다.
교통 발달과 지리적 여건이 우수하여 각종 산업이 발달하였다. 자연 자원도 풍부하여 금·구리·인광·중정석 등 45종의 광물 자원이 있다. 또한 쌀·과일·약초 등의 농업과 임업도 발달하였다.
관내에 화이화 즈장 공항(怀化芷江机场)이 있으며, 국내선 전용이다.철도의 경우 화이화역(怀化站)과 화이화난역(怀化南站)이 존재하며, 화이화역은 후쿤철도(沪昆铁路), 자오류철도(焦柳铁路), 위화이철도(渝怀铁路)가 지나가고 화이화난역은 후쿤고속철도(沪昆高速铁路)와 화이헝철도(怀衡铁路)가 지나간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동아시아 국가
|
- 동아시아 도시
|
- 동아시아 지리
|
- 동아시아 바다
|
- 동아시아 섬
|
- 동아시아 강
|
- 동아시아 주변 지역
|
이 화이화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베이징시
|
다싱구 • 둥청구 • 먼터우거우구 • 미윈구 • 순이구 • 스징산구 • 시청구(서청구) • 옌칭구 • 차오양구 • 창핑구 • 퉁저우구 • 팡산구 • 펑타이구 • 핑구구 • 하이뎬구 • 화이러우구
|
|
톈진시
|
난카이구 • 닝허구 • 둥리구 • 바오디구 • 베이천구 • 빈하이신구 • 시칭구 • 우칭구 • 지저우구 • 진난구 • 징하이구 • 허둥구 • 허베이구 • 허시구 • 허핑구 • 훙차오구
|
|
허베이성
|
딩저우시 • 랑팡시 • 바오딩시 • 스자좡시 • 신지시 • 싱타이시 • 장자커우시 • 창저우시 • 청더시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한단시 • 형수이시
|
|
산시성 (산서성)
|
다퉁시 • 뤼량시 • 린펀시 • 쉬저우시 • 신저우시 • 양취안시 • 윈청시 • 진중시 • 진청시 • 창즈시 • 타이위안시
|
|
네이멍구자치구
|
바옌나오얼시 • 바오터우시 • 시린궈러맹 • 싱안맹 • 아라산맹 • 어얼둬쓰시(오르도스시) • 우란차부시 • 우하이시 • 츠펑시 • 퉁랴오시 • 후룬베이얼시 • 후허하오터시
|
|
상하이시
|
민항구 • 바오산구 • 쉬후이구 • 쑹장구 • 양푸구 • 자딩구 • 자베이구 • 진산구 • 징안구 • 창닝구 • 충밍구 • 칭푸구 • 펑셴구 • 푸둥신구 • 푸퉈구 • 황푸구 • 훙커우구
|
|
산둥성
|
더저우시 • 둥잉시 • 라오청시 • 르자오시 • 린이시 • 빈저우시 • 옌타이시 • 웨이팡시 • 웨이하이시 • 지난시 • 지닝시 • 짜오장시 • 쯔보시 • 칭다오시 • 타이안시 • 허쩌시
|
|
장쑤성
|
난징시 • 난통시 • 롄윈강시 • 쉬저우시 • 쑤저우시 (장쑤성) • 쑤첸시 • 양저우시 • 옌청시 • 우시시 • 전장시 • 창저우시 • 타이저우시 • 화이안시
|
|
저장성
|
닝보시 • 리수이시 • 사오싱시 • 원저우시 • 자싱시 • 저우산시 • 진화시 • 취저우시 • 타이저우시 • 항저우시 • 후저우시
|
|
푸젠성
|
난핑시 • 닝더시 • 룽옌시 • 샤먼시 • 싼밍시 • 장저우시 • 취안저우시 • 푸저우시 • 푸톈시
|
|
안후이성
|
루안시 • 마안산시 • 벙부시 • 보저우시 • 쉬안청시 • 쑤저우시 (안후이성) • 안칭시 • 우후시 • 추저우시 • 츠저우시 • 퉁링시 • 푸양시 • 허페이시 • 화이난시 • 화이베이시 • 황산시
|
|
장시성
|
간저우시 • 난창시 • 상라오시 • 신위시 • 이춘시 • 잉탄시 • 주장시 • 지안시 • 징더전시 • 푸저우시 • 핑샹시
|
|
허난성
|
난양시 • 뤄양시 • 뤄허시 • 상추시 • 쉬창시 • 신샹시 • 신양시 • 싼먼샤시 • 안양시 • 자오쭤시 • 저우커우시 • 정저우시 • 주마뎬시 • 지위안시 • 카이펑시 • 푸양시 • 핑딩산시 • 허비시
|
|
후베이성
|
샤오간시 • 샹양시 • 선눙자 • 셴닝시 • 셴타오시 • 스옌시 • 쑤이저우시 • 어저우시 •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우한시 • 이창시 • 징먼시 • 징저우시 • 첸장시 • 톈먼시 • 황강시 • 황스시
|
|
후난성
|
뤄디시 • 사오양시 •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샹탄시 • 웨양시 • 융저우시 • 이양시 • 장자제시 • 주저우시 • 창더시 • 창사시 • 천저우시 • 헝양시 • 화이화시
|
|
광둥성
|
광저우시 • 둥관시(동관시) • 마오밍시 • 메이저우시 • 사오관시 • 산웨이시 • 산터우시 • 선전시 • 양장시 • 윈푸시 • 자오칭시 • 잔장시 • 장먼시 • 제양시 • 주하이시 • 중산시 • 차오저우시 • 칭위안시 • 포산시 • 허위안시 • 후이저우시
|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강시 • 구이린시 • 난닝시 • 라이빈시 • 류저우시 • 바이써시 • 베이하이시 • 우저우시 • 위린시 (광시좡족자치구) • 충쭤시 • 친저우시 • 팡청강시 • 허저우시 • 허츠시
|
|
하이난성
|
단저우시 • 둥팡시 • 딩안현 • 러둥 리족 자치현 • 린가오현 • 링수이 리족 자치현 •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 바이사 리족 자치현 • 싼사시 • 싼야시 • 완닝시 • 우즈산시 • 원창시 • 창장 리족 자치현 • 청마이현 •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 충하이시 • 툰창현 • 하이커우시
|
|
홍콩
|
가우룽싱구 • 군통구 • 남구 • 다이보구 • 동구 • 레이도구 • 박구 • 사이궁구 • 사틴구 • 삼서이보구 • 야우짐웡구 • 완자이구 • 웡다이신구 • 윈롱구 • 중사이구 • 췬완구 • 콰이칭구 • 튄문구
|
|
마카오
|
대당구 • 성로렌수당구 • 성안토니우당구 • 왕더당구 • 코타이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화지마당구
|
|
랴오닝성
|
다롄시 • 단둥시 • 랴오양시 • 번시시 • 선양시 • 안산시 • 잉커우시 • 진저우시 • 차오양시 • 톄링시 • 판진시 • 푸순시 • 푸신시 • 후루다오시
|
|
지린성
|
라오위안시 • 바이산시 • 바이청시 • 쑹위안시 • 쓰핑시 • 옌볜조선족자치주 • 지린시 • 창춘시 • 퉁화시
|
|
헤이룽장성
|
다싱안링지구 • 다칭시 • 무단장시 • 솽야산시 • 쑤이화시 • 이춘시 • 자무쓰시 • 지시시 • 치치하얼시 • 치타이허시 • 하얼빈시 • 허강시 • 헤이허시
|
|
산시성 (섬서성)
|
바오지시 • 상뤄시 • 셴양시 • 시안시 • 안캉시 • 옌안시 • 웨이난시 • 위린시 (산시성) • 퉁촨시 • 한중시
|
|
닝샤후이족자치구
|
구위안시 • 스쭈이산시 • 우중시 • 인촨시 • 중웨이시
|
|
간쑤성
|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 딩시시 • 란저우시 • 룽난시 • 린샤 후이족 자치주 • 바이인시 • 우웨이시 • 자위관시 • 장예시 • 주취안시 • 진창시 • 칭양시 • 톈수이시 • 핑량시
|
|
칭하이성
|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 시닝시 •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둥시 •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
|
신장위구르자치구
|
바인골린몽골자치주 • 보얼타라몽골자치주 • 아라얼시 • 아러타이지구 • 아크수지구 • 우루무치시 • 이리카자흐자치주 • 창지후이족자치주 • 카라마이시 • 카슈가르지구 • 키질수키르기스자치주 • 타르바가타이지구 • 투르판시 • 투무수커시 • 하미시 • 호탄지구
|
|
충칭시
|
난안구 • 난촨구 • 다두커우구 • 다쭈구 • 뎬장현 • 량핑구 • 룽창구 • 바난구 • 베이베이구 • 비산구 • 사핑바구 • 슈산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스주 투자족 자치현 • 완저우구 • 우룽구 • 우산현 • 우시현 • 위베이구 • 위중구 • 윈양현 • 유양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융촨구 • 장베이구 • 장진구 • 주룽포구 • 중심지구 • 중현 • 창서우구 • 청커우현 • 첸장구 • 치장구 • 카이저우구 • 퉁난구 • 퉁량구 • 펑두현 • 펑수이 먀오족 투자족 자치현 • 펑제현 • 푸링구 • 허촨구
|
|
구이저우성
|
구이양시 • 류판수이시 • 비제시 • 안순시 • 쭌이시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퉁런시
|
|
쓰촨성
|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 광안시 • 광위안시 • 난충시 • 네이장시 • 다저우시 • 더양시 • 량산 이족 자치주 • 러산시 • 루저우시 • 메이산시 • 몐양시 • 바중시 • 쑤이닝시 •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 야안시 • 이빈시 • 쯔궁시 • 쯔양시 • 청두시 • 판즈화시
|
|
윈난성
|
누장 리수족 자치주 • 다리바 이족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 리장시 • 린창시 • 바오산시 •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 위시시 • 자오퉁시 • 추슝 이족 자치주 • 취징시 • 쿤밍시 • 푸얼시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
티베트자치구
|
나취시 • 라싸시 • 르카쩌시 • 린즈시 • 산난시 • 아리지구 • 창두시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