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구이강시(중국어:贵港市 guì gǎng shì)는 중국 광시좡족자치구 중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구이강시의 면적은 10,601㎢이며 인구는 5,665,400명(2020년)이다. 북쪽으로 난닝시, 동쪽으로 우저우시, 서쪽으로 난닝시, 남쪽으로 위린시, 북쪽으로 라이빈시와 접한다. 시인민정부는 강베이구(港北区, 항북구)에 위치하며 행정구획은 강난구(港南区, 항남구), 강베이구(港北区, 항북구), 탄탕구(覃塘区, 담당구)의 3개 시할구(市辖区)와 구이핑시(桂平市, 계평시)의 1개 현급시, 핑난현(平南县, 평남현)의 1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원과 화남 특히 홍콩과 마카오를 연결하는 교통과 상업의 중심에 있다. 구이강에는 몇 개의 철로와 고속도로 및 주강 삼각주와 직접 연결되는 서강에 면한 하항이 있다.
이 지역 한족들은 월어 및 중국어 방언의 일종인 평어를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소수의 객가어 화자도 존재한다.[3][4]
자연환경[편집]
구이강시는 광시좡족 치구의 산자형 구조대 전호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은 서북쪽이 높고 동남쪽이 낮다. 북동부는 대요산 산맥의 남서쪽 끝자락에, 동남부는 십만대산 산맥의 북서쪽 끝자락에 위치한다. 북회귀선 이남에 자리해 아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며, 기온이 따뜻하고 습윤하며 강수량이 풍부하다. 여름이 길고 겨울이 짧다. 연평균 기온은 약 21℃이고, 최고 기온은 39.7℃, 최저 기온은 -3.4℃에 이른다. 봄과 여름에는 강수가 많고, 가을과 겨울에는 건조한 편이다. 4월부터 9월까지 고기압골, 절리선, 전선, 저기압 소용돌이, 열대 사이클론 등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집중되며, 연간 총 강수량의 약 80%가 이 시기에 집중된다.
구이강시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1500mm로, 연중 강수 분포가 고르지 않아 4월에서 8월에 연간 강수량의 약 75%가 집중되며, 9월에서 다음 해 3월까지는 25%가량이 내린다. 시내에서는 서강 수계의 본류와 지류, 담강과 유강이 합류하며, 이들 강은 계평시 교외 하류 약 2km 지점에서 합쳐진다. 유강은 구이강시를 가로질러 185km를 흐르며, 담강과 순강은 각각 60km와 80km의 길이를 지닌다.
구이강시의 토양은 수전토, 적색토, 석회암토, 자색토, 충적토의 5가지 주요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4개의 아종, 46개의 토양 속, 132개의 토양 종으로 세분된다. 유강, 담강, 순강의 세 주요 강이 귀항시 내에서 합류해 있어 총 수력 잠재력은 210만 킬로와트를 초과한다. 서강 항운 허브 1단계와 2단계 공사는 이미 완공되어 연간 11억 킬로와트시 이상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120만 킬로와트의 발전 용량을 갖춘 대등협 수리 허브 프로젝트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구이강시는 전국에서 매장량이 가장 많은 삼수 알루미늄을 포함해 철, 망간, 금, 구리, 안티몬, 석회석, 백운석 등 60여 종의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주요 광물 자원으로는 알루미늄, 주석, 납-아연, 철, 구리, 안티몬, 비스무트, 우라늄, 인, 티타늄, 백토, 칼륨, 중정석, 석고, 석영, 현무암, 석영 모래(암석), 적사암, 화강암, 대리석, 장석, 석회석, 석탄, 적사암, 규질암, 도토, 붉은 점토 등이 있다. 그중 망간 광석 매장량은 2,174만 톤, 납-아연 광석은 1,749만 톤, 주석은 7,000톤, 석탄은 3,040만 톤, 석회석은 2,000억 톤 이상, 화강암은 100억 톤 이상에 이른다. 삼수 알루미늄의 매장량은 2억 톤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으며, 고함량, 얕은 층위, 쉬운 채굴 특성을 지닌다. 이 외에 금과 우라늄 광산은 국가 주요 채굴 프로젝트로 지정되었다.[5]
고대 백월의 땅이었으며 진나라 대에 계림군(桂林郡)이 설치된다. 이후 서진 대에 울림군(鬱林郡) 소속으로 변경된다.
양나라 대에 남정주(南定州)로 명칭이 변경되며, 수나라 대에 윤주(尹州)로 명칭이 변경, 남한 대에 귀주(贵州)로 명칭이 재변경된다.
명나라 대에는 귀현(贵县)이었으며, 심주부(浔州府) 소속으로 편제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대에 명칭이 과거에 사용하였던 위린전구(鬱林专区) 소속으로 되었으며, 이후 위린전구가 폐지되고 난닝전구(南宁专区), 빈양전구(宾阳专区), 룽셴전구(容县专区) 등을 거쳤다. 그리고 1958년에 다시 위린전구가 부활하면서 위린전구 산하로 들어간다.
위린전구는 나중에 위린지구(玉林地区)로 변경되며, 1988년, 현급시 구이강시(贵港市)가 탄생하고 1995년에 지급시로 승격된다.
2023년 구이강시의 국내총생산(GDP)은 1,573억 4,9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실질 성장률은 0.1%이다. 1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287억 9,100만 위안으로 4.7% 증가하였고, 2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504억 8,300만 위안으로 8.8% 감소하였으며, 3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780억 7,500만 위안으로 4.8% 증가하였다. 전체 GDP에서 각 산업의 비중은 1차 산업이 18.3%, 2차 산업이 32.1%, 3차 산업이 49.6%를 차지하며, 1차 산업과 3차 산업의 비중은 각각 0.9%포인트와 2.1%포인트 증가하였고, 2차 산업 비중은 3%포인트 감소하였다. 연간 1인당 지역 생산 총액은 상주 인구 기준 36,321위안으로, 전년 대비 651위안 증가하여 0.6%의 성장률을 보였다.
2023년 구이강시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72억 5,9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하였으며, 이 중 세수는 38억 300만 위안으로 5.0% 증가하였다. 일반 공공예산 지출은 327억 1,800만 위안으로 6.3% 증가하였으며, 이 중 민생 지출은 266억 8,300만 위안으로 7.8% 증가하여, 일반 공공예산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1.6%에 이른다.
2023년 구이강시 고정자산 투자(농가 제외)는 전년 대비 35.2% 감소하였고, 프로젝트 투자는 36.7% 감소, 부동산 개발 투자는 29.0% 감소하였다. 산업별로는 1차 산업 투자가 28.8%, 2차 산업 투자가 40.6% 감소하였으며, 특히 산업 투자는 40.4% 감소하였다. 3차 산업 투자는 32.2% 감소하였다. 비공공 경제 투자는 42.5% 감소하여 고정자산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3%이며, 민간 투자는 40.4% 감소하여 고정자산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9.2%이다. 건축 설치 공사 투자는 31.7% 감소하였으며, 사회 기반 시설 투자는 27.9% 감소하였다.
2023년 구이강시 주민 1인당 가처분 소득은 30,165위안으로 전년 대비 명목 성장률 4.9%를 기록하였다. 상주지에 따라 나누면, 도시 주민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39,145위안으로 명목 성장률 3.7%를, 농촌 주민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20,829위안으로 명목 성장률 6.4%를 기록하였다. 주민 1인당 소비 지출은 18,601위안으로 전년 대비 명목 성장률이 7.6%에 이르렀다. 상주지에 따라 나누면, 도시 주민의 1인당 소비 지출은 24,683위안으로 명목 성장률 8.1%, 농촌 주민의 1인당 소비 지출은 12,284위안으로 명목 성장률 4.5%를 보였다. 도시 주민의 엥겔 계수는 34.4%, 농촌 주민의 엥겔 계수는 35.7%이다.
리탕-잔장 철도, 난닝-우저우 고속도로, 209번과 324번 고속도로가 지나며, 난닝(南寧)·류저우(柳州)·우저우(梧州)·베이하이(北海)등 광시좡족자치주의 주요 도시들과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다. 또한 잔장(湛江)이 도시를 흐르며, 중국 남부에서 가장 큰 담수항(淡水港)이 있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동아시아 국가
|
- 동아시아 도시
|
- 동아시아 지리
|
- 동아시아 바다
|
- 동아시아 섬
|
- 동아시아 강
|
- 동아시아 주변 지역
|
이 구이강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베이징시
|
다싱구 • 둥청구 • 먼터우거우구 • 미윈구 • 순이구 • 스징산구 • 시청구(서청구) • 옌칭구 • 차오양구 • 창핑구 • 퉁저우구 • 팡산구 • 펑타이구 • 핑구구 • 하이뎬구 • 화이러우구
|
|
톈진시
|
난카이구 • 닝허구 • 둥리구 • 바오디구 • 베이천구 • 빈하이신구 • 시칭구 • 우칭구 • 지저우구 • 진난구 • 징하이구 • 허둥구 • 허베이구 • 허시구 • 허핑구 • 훙차오구
|
|
허베이성
|
딩저우시 • 랑팡시 • 바오딩시 • 스자좡시 • 신지시 • 싱타이시 • 장자커우시 • 창저우시 • 청더시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한단시 • 형수이시
|
|
산시성 (산서성)
|
다퉁시 • 뤼량시 • 린펀시 • 쉬저우시 • 신저우시 • 양취안시 • 윈청시 • 진중시 • 진청시 • 창즈시 • 타이위안시
|
|
네이멍구자치구
|
바옌나오얼시 • 바오터우시 • 시린궈러맹 • 싱안맹 • 아라산맹 • 어얼둬쓰시(오르도스시) • 우란차부시 • 우하이시 • 츠펑시 • 퉁랴오시 • 후룬베이얼시 • 후허하오터시
|
|
상하이시
|
민항구 • 바오산구 • 쉬후이구 • 쑹장구 • 양푸구 • 자딩구 • 자베이구 • 진산구 • 징안구 • 창닝구 • 충밍구 • 칭푸구 • 펑셴구 • 푸둥신구 • 푸퉈구 • 황푸구 • 훙커우구
|
|
산둥성
|
더저우시 • 둥잉시 • 라오청시 • 르자오시 • 린이시 • 빈저우시 • 옌타이시 • 웨이팡시 • 웨이하이시 • 지난시 • 지닝시 • 짜오장시 • 쯔보시 • 칭다오시 • 타이안시 • 허쩌시
|
|
장쑤성
|
난징시 • 난통시 • 롄윈강시 • 쉬저우시 • 쑤저우시 (장쑤성) • 쑤첸시 • 양저우시 • 옌청시 • 우시시 • 전장시 • 창저우시 • 타이저우시 • 화이안시
|
|
저장성
|
닝보시 • 리수이시 • 사오싱시 • 원저우시 • 자싱시 • 저우산시 • 진화시 • 취저우시 • 타이저우시 • 항저우시 • 후저우시
|
|
푸젠성
|
난핑시 • 닝더시 • 룽옌시 • 샤먼시 • 싼밍시 • 장저우시 • 취안저우시 • 푸저우시 • 푸톈시
|
|
안후이성
|
루안시 • 마안산시 • 벙부시 • 보저우시 • 쉬안청시 • 쑤저우시 (안후이성) • 안칭시 • 우후시 • 추저우시 • 츠저우시 • 퉁링시 • 푸양시 • 허페이시 • 화이난시 • 화이베이시 • 황산시
|
|
장시성
|
간저우시 • 난창시 • 상라오시 • 신위시 • 이춘시 • 잉탄시 • 주장시 • 지안시 • 징더전시 • 푸저우시 • 핑샹시
|
|
허난성
|
난양시 • 뤄양시 • 뤄허시 • 상추시 • 쉬창시 • 신샹시 • 신양시 • 싼먼샤시 • 안양시 • 자오쭤시 • 저우커우시 • 정저우시 • 주마뎬시 • 지위안시 • 카이펑시 • 푸양시 • 핑딩산시 • 허비시
|
|
후베이성
|
샤오간시 • 샹양시 • 선눙자 • 셴닝시 • 셴타오시 • 스옌시 • 쑤이저우시 • 어저우시 •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우한시 • 이창시 • 징먼시 • 징저우시 • 첸장시 • 톈먼시 • 황강시 • 황스시
|
|
후난성
|
뤄디시 • 사오양시 •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샹탄시 • 웨양시 • 융저우시 • 이양시 • 장자제시 • 주저우시 • 창더시 • 창사시 • 천저우시 • 헝양시 • 화이화시
|
|
광둥성
|
광저우시 • 둥관시(동관시) • 마오밍시 • 메이저우시 • 사오관시 • 산웨이시 • 산터우시 • 선전시 • 양장시 • 윈푸시 • 자오칭시 • 잔장시 • 장먼시 • 제양시 • 주하이시 • 중산시 • 차오저우시 • 칭위안시 • 포산시 • 허위안시 • 후이저우시
|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강시 • 구이린시 • 난닝시 • 라이빈시 • 류저우시 • 바이써시 • 베이하이시 • 우저우시 • 위린시 (광시좡족자치구) • 충쭤시 • 친저우시 • 팡청강시 • 허저우시 • 허츠시
|
|
하이난성
|
단저우시 • 둥팡시 • 딩안현 • 러둥 리족 자치현 • 린가오현 • 링수이 리족 자치현 •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 바이사 리족 자치현 • 싼사시 • 싼야시 • 완닝시 • 우즈산시 • 원창시 • 창장 리족 자치현 • 청마이현 •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 충하이시 • 툰창현 • 하이커우시
|
|
홍콩
|
가우룽싱구 • 군통구 • 남구 • 다이보구 • 동구 • 레이도구 • 박구 • 사이궁구 • 사틴구 • 삼서이보구 • 야우짐웡구 • 완자이구 • 웡다이신구 • 윈롱구 • 중사이구 • 췬완구 • 콰이칭구 • 튄문구
|
|
마카오
|
대당구 • 성로렌수당구 • 성안토니우당구 • 왕더당구 • 코타이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화지마당구
|
|
랴오닝성
|
다롄시 • 단둥시 • 랴오양시 • 번시시 • 선양시 • 안산시 • 잉커우시 • 진저우시 • 차오양시 • 톄링시 • 판진시 • 푸순시 • 푸신시 • 후루다오시
|
|
지린성
|
라오위안시 • 바이산시 • 바이청시 • 쑹위안시 • 쓰핑시 • 옌볜조선족자치주 • 지린시 • 창춘시 • 퉁화시
|
|
헤이룽장성
|
다싱안링지구 • 다칭시 • 무단장시 • 솽야산시 • 쑤이화시 • 이춘시 • 자무쓰시 • 지시시 • 치치하얼시 • 치타이허시 • 하얼빈시 • 허강시 • 헤이허시
|
|
산시성 (섬서성)
|
바오지시 • 상뤄시 • 셴양시 • 시안시 • 안캉시 • 옌안시 • 웨이난시 • 위린시 (산시성) • 퉁촨시 • 한중시
|
|
닝샤후이족자치구
|
구위안시 • 스쭈이산시 • 우중시 • 인촨시 • 중웨이시
|
|
간쑤성
|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 딩시시 • 란저우시 • 룽난시 • 린샤 후이족 자치주 • 바이인시 • 우웨이시 • 자위관시 • 장예시 • 주취안시 • 진창시 • 칭양시 • 톈수이시 • 핑량시
|
|
칭하이성
|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 시닝시 •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둥시 •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
|
신장위구르자치구
|
바인골린몽골자치주 • 보얼타라몽골자치주 • 아라얼시 • 아러타이지구 • 아크수지구 • 우루무치시 • 이리카자흐자치주 • 창지후이족자치주 • 카라마이시 • 카슈가르지구 • 키질수키르기스자치주 • 타르바가타이지구 • 투르판시 • 투무수커시 • 하미시 • 호탄지구
|
|
충칭시
|
난안구 • 난촨구 • 다두커우구 • 다쭈구 • 뎬장현 • 량핑구 • 룽창구 • 바난구 • 베이베이구 • 비산구 • 사핑바구 • 슈산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스주 투자족 자치현 • 완저우구 • 우룽구 • 우산현 • 우시현 • 위베이구 • 위중구 • 윈양현 • 유양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융촨구 • 장베이구 • 장진구 • 주룽포구 • 중심지구 • 중현 • 창서우구 • 청커우현 • 첸장구 • 치장구 • 카이저우구 • 퉁난구 • 퉁량구 • 펑두현 • 펑수이 먀오족 투자족 자치현 • 펑제현 • 푸링구 • 허촨구
|
|
구이저우성
|
구이양시 • 류판수이시 • 비제시 • 안순시 • 쭌이시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퉁런시
|
|
쓰촨성
|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 광안시 • 광위안시 • 난충시 • 네이장시 • 다저우시 • 더양시 • 량산 이족 자치주 • 러산시 • 루저우시 • 메이산시 • 몐양시 • 바중시 • 쑤이닝시 •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 야안시 • 이빈시 • 쯔궁시 • 쯔양시 • 청두시 • 판즈화시
|
|
윈난성
|
누장 리수족 자치주 • 다리바 이족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 리장시 • 린창시 • 바오산시 •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 위시시 • 자오퉁시 • 추슝 이족 자치주 • 취징시 • 쿤밍시 • 푸얼시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
티베트자치구
|
나취시 • 라싸시 • 르카쩌시 • 린즈시 • 산난시 • 아리지구 • 창두시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