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결제금액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결제금액(決濟金額)은 통화 부호증권교환으로 수신되거나 지급 받은 총금액을 말한다. 거래 취급기관카드발급기관 간에 거래 금액과 동일하게 이체된다.

국내 가맹점별 결제금액[편집]

아래의 정보는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최소, 최대 결제금액이며 가맹점별로 심사결과에 따라 금액은 상이해질 수 있다.

카카오페이[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 100원
  • 최대 : 200만 원 미만
  • 카카오머니
  • 최소 : 100원
  • 최대 : 1회 결제 한도 200만 원 (1회 충전 한도는 200만 원, 제한 한도금액은 없음)
  • 테스트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 설정되어있지 않음
  • 최대 : 100만 원 미만
  • 카카오머니
  • 최소 : 설정되어있지 않음
  • 최대 : 100만 원

NHN KCP[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1,000원 (별도 설정요청을 줄 경우, 100원으로 설정 가능)
  • 실시간 계좌이체 : 최소 400원
  • 가상계좌 : 최소 301원
  • 휴대폰 소액 결제 : 최소 400원
※ 수기 및 간편결제도 동일하며, 카카오머니와 SSG머니는 최소 100원 이상
  • 테스트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100원
  • 실시간 계좌이체 : 최소 100원
  • 가상계좌 : 최소 1원
  • 휴대폰 소액결제 : 최소 1원

KG이니시스[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100원 또는 삼성카드 100원, 그 외 카드 10원 (다만, 최소결제 금액은 van사와 카드사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 실시간 계좌이체 : 최소 150원 (우리은행의 경우, 151원부터 결제 가능)
  • 휴대폰 결제 : 최소 300원 (300원 미만 결제를 원할 경우, 원천사 별도 협의 필요)
  • 테스트 운영 환경
  • 휴대폰 결제 : 최소 1원 (테스트 MID라 별도 협의됨)

다날[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100원
  • 실시간 계좌이체 : 최소 301원
  • 가상계좌 : 최소 301원
  • 휴대폰 결제 : 최소 301원
※ 실시간 계좌이체는 최저 수수료가 300원이며, 가상계좌도 건당 300원의 수수료가 존재한다. 따라서 만약 300원 이하의 거래 건이 있을 경우, 가맹점 역환으로 잡히게 되는 점 참고 부탁드린다.
  • 예시) 실시간 계좌이체/가상계좌 입금 시
  • 고객이 100원 이체 → 결제 수수료 300원 발생 → 가맹점 수익 -200원

토스페이먼츠[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100원
  • 실시간 계좌이체 : 최소 200원
  • 가상계좌 : 최소 1원
  • 휴대폰 결제 : 최소 300원

NHH PAYCO[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100원 (30만 원 이상 결제 시 ARS 인증_공인인증서 불필요)
  • 간편계좌 : 최소 100원 (일 200만 원/월 500만 원 한도)
  • 가상계좌 : 최소 100원
  • 쿠폰 : 없음 (사용 가능한 결제 수단은 쿠폰별 상이)
  • 포인트 : 1원 (ID당 최대 200만 포인트까지만 보유 가능)

모빌리언스[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휴대폰 결제 : 최소 301원

네이버페이[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100원
  • 간편계좌 : 최소 100원
  • 포인트 : 최소 100원

나이스페이[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100원
  • 계좌이체 : 최소 200원
  • 가상계좌 : 최소 1원
  • 휴대폰 : 최소 500원

페이먼트월[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결제수단별로 각각 상이하며 아래 가이드에서 상세 확인가능(Min Transaction Limit)

KICC 한국정보통신[편집]

  • 실제 운영 환경
  • 신용카드 : 최소 100원[1]

관련 기사[편집]

  • 2021년 5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결제한 온라인 서비스 1~3위는 네이버, 쿠팡, 이베이코리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6월 8일 와이즈앱·와이즈리테일에 따르면 한국인 만 20세 이상 소비자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등 결제금액을 표본 조사한 결과 2021년 5월 모든 연령대를 합쳐 한국인이 가장 많은 금액을 결제한 온라인 서비스는 네이버, 쿠팡, 이베이코리아, 배달의민족, 11번가, SSG닷컴, 구글 순으로 추정됐다. 결제 추정금액은 네이버가 3조655억 원, 쿠팡 2조9,173억 원, 이베이코리아 1조5,988억 원, 배달의 민족 1조5,069억 원, 11번가 1조906억 원, SSG닷컴 4,815억 원, 구글 4,604억 원으로 조사됐다. 각 세대에서 많이 결제한 온라인 서비스는 차이를 보였다. 20대는 네이버, 쿠팡, 배달의민족, 이베이코리아, 구글, 11번가, 티몬 순이었다. 30대는 네이버, 쿠팡, 배달의민족, 이베이코리아, 11번가, 티몬, SSG닷컴 순, 40대는 네이버, 쿠팡, 이베이코리아, 배달의 민족, 11번가, SSG닷컴, GS홈쇼핑 순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은 쿠팡, 네이버, 이베이코리아, 11번가, GS홈쇼핑, 롯데홈쇼핑, CJ ENM 순이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네이버는 스마트스토어, 웹툰, 음악 등으로 결제한 금액의 합이며, 쿠팡은 쿠팡과 쿠팡이츠에서 결제한 금액의 합, 이베이코리아는 지마켓, 옥션, 지구에서 결제한 금액의 합으로 집계됐다.[2]
  • 한국에탁결제원은 3분기 외화증권 결제금액이 880억2000만 달러를 기록해 2분기 대비 9.5% 줄었다고 2022년 10월 13일 밝혔다. 보관금액은 808억3000만 달러로 직전분기 대비 3.2% 줄었다. 결제금액 기준으로 보면 외화 주식은 682억9000만 달러로 직전분기 대비 8.2% 줄었고 외화 채권은 197억30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14% 감소했다. 시장별로 보면 해외시장별 결제금액은 미국이 전체 결제금액의 78.4%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상위 5개 시장인 미국, 유로시장, 홍콩, 중국, 일본이 전체결제금액의 99.6%를 차지했다. 이중 외화 주식의 경우 미국이 전체 외화 주식 결제 규모의 93.7%를 차지했는데 직전 분기 대비로는 8.9% 감소했다. 종목별로 보면 외화 주식 결제금액 상위종목은 테슬라, 프로쉐어즈 울트라프로QQQETF, 프로쉐어즈 울트라프로 숏 QQQ ETF, 디렉션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 셰어즈 ETF 순으로 상위 10개 종목 모두 미국 주식이 차지했다. 2분기 1위 종목인 테슬라의 3분기 결제금액은 73억1000만 달러로 직전분기 대비 25.5% 감소했다. 프로쉐어즈 울트라 프로 숏 QQQ ETF의 3분기 결제금액은 61억1000만 달러로 직전분기 대비 13.5% 증가했 다. 보관금액 기준을 보면 외화 주식은 594억4000만 달러로 전분기대비 4.7% 줄었고, 외화 채권은 213억90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1.1% 증가했다. 해외시장별 보관금액이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을 전체 보관금액의 64.9%를 차지했다. 미국은 전체 외화 주식 보관 규모의 86.6%를 차지했으며 직전분기 대비 2.6% 감소했다. 보관금액 상위종목으로는 테슬라, 애플, 알파벳A,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순이었다. 보관금액 상위 10개 종목이 차지하는 금액은 전체 외화 주식 보관금액(549억4000만 달러)의 47.8%를 차지했다.[3]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최소, 최대 결제금액이 얼만지 궁금해요!〉, 《자주 묻는 질문》
  2. 백주원 기자, 〈한국인이 가장 많이 결제한 온라인 서비스 1·2위는?〉, 《서울경제》, 2021-06-08
  3. 이민지 기자, 〈글로벌 증시 부진…3분기 외화증권 결제금액 880억 달러, 전분기대비 9.5%↓〉, 《아시아경제》, 2022-10-13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결제금액 문서는 결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