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두더지

위키원
(Mole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두더지
큰두더지
유럽두더지

두더지(영어: Mole, 학명: Mogera robusta)는 두더지과 두더지속에 속하는 포유동물이다. 중국, 한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서식지는 산지 삼림, 초원 그리고 농지 등이다. 큰두더지(또는 일본두더지 Mogera wogura)의 아종으로 간주하기도 한다.[1]

개요[편집]

두더지는 땃쥐목 두더지과의 포유류이다. 이름이나 생김새 때문에 로 취급당하기도 하지만 설치류가 아니므로 과학적 관점에서는 쥐와 거리가 멀고 땃쥐와 고슴도치에 가깝다. 단공류인 가시두더지와도 거리가 한참 멀다. 몸길이 9∼18cm, 꼬리길이 1.2∼3.5cm이다. 에 터널을 파고 생활한다. 은 원통 모양이고 목은 명확하지 않으며, 주둥이는 길고 뾰족한데, 그 끝과 윗면은 겉으로 드러나 있다. 귓바퀴는 없으며 은 지극히 작아서 피하에 묻혀 있다. 앞다리는 매우 크며 발바닥의 길이와 나비가 거의 같고 5개의 길고 큰 발톱이 있어서 전체가 삽 모양을 띤다. 뒷다리는 작고 그다지 변형되지 않았다. 몸의 털은 부드럽고 곧게 서며 빛깔은 암갈색 내지 흑갈색으로 머리와 몸 아랫면은 주황색을 띠는데, 이것은 피선의 분비액에 의해 착색된 것이다. 이빨은 매우 예리하다. 두더지는 집 다음으로 우리 주변에 많이 서식하고 있는 짐승이나, 그 생태에 관하여는 잘 조사되어 있지 못하다. 그 이유는 두더지가 진동에 지극히 민감하여 사람이 가까이 가기 전에 숨어버리기 때문이다. 야간에만 가끔 땅 위에 나타날 뿐 대부분의 생활을 지하에서 영위한다. 봄에서 여름까지 지표면의 여기저기서 흙을 쌓아올린 굴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두더지가 먹이를 찾기 위하여 만든 굴이다. 이 굴은 먹이가 되는 지렁이곤충의 서식장소에 따라 겨울에는 깊어지고 여름에는 얕아진다. 사질양토(砂質壤土)로 부드럽고 적당한 습기가 있는 곳을 선택하여 서식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것은 굴을 만들기 쉽고 먹이가 풍부한 까닭일 것이다. 먹이는 지방과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주로 애벌레, 번데기, 거미, 지렁이, 풍뎅이, 달팽이, 지네, 개구리 등을 잡아먹는다. 교미시기는 3∼4월이고, 4∼6월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성장이 빨라서 6개월이 지나면 어미와 같은 크기로 성장한다. 천적으로는 족제비, 여우, 오소리, 올빼미, 말똥가리, 왜가리, 백로 등이 있다. 온대지방 북부와 지중해 연안, 영국, 시베리아, 중국, 만주, 히말라야산맥, 미얀마, 캐나다 남동부, 미국의 텍사스주·캘리포니아주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2]

어원[편집]

중세 국어 문헌에는 ‘두디쥐’로, 근대 국어 문헌에는 ‘두더쥐’로 나타난다. 쥐(鼠)와의 관련이 근대 국어까지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세 국어의 ‘두디’는 동사 두디다(뒤지다)의 어간임이 확실하다. 따라서 ‘두디쥐’는 동사 어간 ‘두디-’와 명사 ‘쥐’가 문법 요소의 개입 없이 합성한, 이른바 비통사적 합성 명사이다. 다시 현대어에 대응시켜 보면 '뒤지쥐' 정도의 표현. 직접 보기 이 사실은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37~39번 지문으로도 나왔으며, 역대 독서(비문학) 지문 중 손꼽히는 난도였다. 생긴 것도 비슷하고 해서 옛날부터 쥐하고 비슷한 동물인 것으로 생각했던 듯하다.

특징[편집]

몸길이 9∼18cm, 꼬리길이 1.2∼3.5cm이다. 땅에 터널을 파고 생활한다. 머리와 몸 아랫면은 주황색인데 이것은 피선(皮腺)에서의 분비액에 의해 착색된 것이다. 몸은 원통 모양이고 목은 명확하지 않으며, 주둥이는 길고 뾰족한데, 그 끝과 윗면은 겉으로 드러나 있다. 귓바퀴는 없으며 눈은 지극히 작아서 피하에 묻혀 있다. 앞다리는 매우 크며 발바닥의 길이와 나비가 거의 같고 5개의 길고 큰 발톱이 있어서 전체가 삽 모양을 띤다. 뒷다리는 작고 그다지 변형되지 않았다. 이빨은 매우 예리하며 42개이다.

몸의 털은 부드럽고 곧게 서며 빛깔은 암갈색 내지 흑갈색으로 머리와 몸 아랫면은 주황색을 띠는데, 이것은 피선의 분비액에 의해 착색된 것이다. 이빨은 매우 예리하다. 그리고 발톱이 굉장히 날카로우며 긁히면 꽤 크게 상처를 입는다.

두더지는 태어난 지 2-3년이면 새끼를 낳을 수 있다. 3-4월에 짝짓기를 하고 1년에 1회, 2-7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성장이 매우 빨라서 6개월이면 앞발을 제외하고 어미와 비슷한 크기로 자란다. 수명은 5년 정도이다. 먹이는 나비류의 유충, 번데기, 거미, 지렁이, 풍뎅이, 민달팽이, 지네, 달팽이 등이다.

두더지의 집은 집 위에 쌓인 흙더미의 크기로 알 수 있는데, 두더지가 먹이를 찾을 때 만드는 흙더미보다 훨씬 크다. 두더지는 몸집이 작아서 천적들에게 당하기가 쉽다. 두더지를 노리는 대표적인 천적으로는 올빼미, 왜가리, 족제비, 담비, 오소리, 여우, 고양이 등이 있다. 특히 올빼미는 먹이의 절반이 새끼 두더지일 정도로 대표적인 천적이다.

뒤쥐, 땃쥐 같은 놈들이 두더지와 비슷한 계통의 동물인데, 정 헷갈리겠거든 코가 매우 길쭉하게 나와있고 눈과 이빨이 작아 보이는 녀석들이 땃쥐목, 코가 비교적 짧고 눈이 크며 설치류 특유의 뾰족한 앞니가 있는 녀석들이 설치목이라고 보면 된다. 전체적인 크기도 땃쥐목이 훨씬 작아서 땃쥐 가운데는 몸무게가 2g밖에 나가지 않는 사비왜소땃쥐도 있다.

생태[편집]

두더지는 땅을 헤집으며 벌레나 지렁이를 잡아먹는 짐승이라고 할 수 있다. 저지대 초원이나 농경지에서 산지의 삼림지대까지 서식한다. 농경지와 초원에는 개체 수가 많으나, 삼림 내에서는 비교적 서식 밀도가 낮다. 지하에 복잡한 터널 구조를 만들어 번식기 이외에는 단독의 세력권을 갖는다. 곤충류와 지렁이류를 주로 먹지만 지네, 거머리 등의 무척추동물과 개구리류, 가을에는 식물 종자 등도 먹는다. 일반적으로 봄에 1회 번식하고, 2~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수명은 평균 3~4년이나 8년 이상 생존한다.

익충인 지렁이를 잡아먹는 데다 농작물의 뿌리를 파헤쳐 해로운 동물로 인식되기도 하나 해충도 만만치 않게 잡아먹고 지렁이처럼 굴을 파서 흙을 부드럽게 만들기도 한다. 자연 생태계에서는 나름대로 토양의 선순환을 돕는 역할이 있겠지만, 해충이야 약 치면 되고 흙은 기계로 갈면 되는 농업에서는 힘들게 갈아놓은 텃밭을 죄다 헤집어놓고 작물 뿌리를 들어놓는 유해 동물로 취급받는다. 웬만한 병충해와도 견줄 수 없는 악독한 녀석들로 오죽하면 두더지 기피제나 덫도 팔린다.

땅을 파야 하는 고고학자들 역시도 두더지에게는 아주 질색을 하는데 유물이 파묻힌 지층의 위치를 통해 유물의 연대를 파악해야만 하는 고고학자들의 입장에서 땅을 헤집으면서 지층을 교란시키고 때로는 땅을 헤집는 과정에서 유물을 지표면으로 사출시키기까지 하는지라 두더지는 연구에 있어 큰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북아메리카에 사는 두더지인 별코두더지(Star-nosed mole, Condylura crystata)는 코끝에 11쌍의 촉수가 있는데 이것을 손가락처럼 써서 먹이를 찾는다고 한다. 이 부분의 감각이 가장 예민하다고 한다. 게다가 다른 두더지들보다 더 물을 좋아하며 둑 아래에까지 굴을 파놓는다고 한다. 물론 직접 물속으로 들어가서 먹이를 잡기도 한다.[3]

서식 환경[편집]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에는 물쥐붙이아과(亞科), 해못보는두더지과, 두더지아과가 있고 북아메리카에는 물갈퀴두더지아과, 땃쥐두더지아과, 모분두더지아과가 있다. 이미 알려진 것으로 12속(屬)이 있다. 유럽 서부에는 2속 4종 2아종, 북아메리카에는 5속 7종 24아종, 인도에는 1속 3종, 중국에는 9속 15종 15아종, 일본에는 3속 2종 10아종, 한국에는 1속 2아종이 서식하고 있다. 몸은 원통형으로 살이 쪄서 두툼하고, 어깨가 많이 발달되었기 때문에 목이 짧다. 눈은 바늘구멍과 같이 작고 때때로 피막으로 덮여 있다. 주둥이는 원통형으로 길고 밑으로 향한다. 귓바퀴는 없다. 치식은 속에 따라서 약간씩 다르지만, 이빨의 수는 36∼44개이다.

두더지류는 모두 땅을 파고 들어가는 습성을 갖고 있으며, 종류별로 여러 단계가 있다. 두더지는 땅 속 밑에 사는 동물이다. 땃쥐두더지류와 동아시아두더지류는 약간 덜 하며, 그러나 데스만류는 기본적으로 수생동물이지만 겨울잠을 잘 때는 굴을 판다. 반면에 별코두더지는 매우 독특하여, 물과 땅 속 양쪽에 적응하여 발달했다.

땅속생활을 하는 야생동물들은 앞다리가 흙을 파기에 알맞게 발달되어 있으며, 뚜렷하게 몸의 앞쪽에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더지와 땃쥐와의 연속을 나타내는 특수한 1속이 있는데, 그 한 종인 물쥐붙이(Desmana moschata)는 수서식충류로서 물쥐와 비슷하며 앞다리는 두더지와 같다. 온대지방 북부와 지중해 연안, 영국, 시베리아, 중국, 만주, 히말라야산맥, 미얀마, 캐나다 남동부, 미국의 텍사스주, 캘리포니아주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4]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두더지〉, 《위키백과》
  2. 두더지(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두더지(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4. 두더지〉,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두더지 문서는 동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