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레지스트리 (도메인)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레지스트리(Registry)

레지스트리(registry)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내 특정 최상위 도메인(TLD)의 등록 및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나 조직이다. 레지스트리는 도메인 네임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각 도메인 네임의 할당 및 관련 정보를 관리한다.

아사달 스마트 호스팅 가로 배너 (since 1998).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아사달] 스마트 호스팅

개요[편집]

레지스트리는 도메인 네임의 등록 절차를 감독하고, 도메인 네임의 가용성 및 소유권 정보를 저장한다​​. 이는 등록자(Registrant), 레지스트라, 레지스트리 사이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며,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과 같은 글로벌 기구의 규제를 받는다. 도메인 네임 등록은 일반적으로 등록 대행자를 통해 이루어진다. 등록자는 원하는 도메인 네임을 선택하고, 등록 대행자는 이를 레지스트리에 제출하여 최종 등록을 완료한다​. 등록된 도메인 네임은 WHOI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 TLD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Verisign은 .com과 .net 도메인의 레지스트리이며, PIR(Public Interest Registry)은 .org 도메인의 레지스트리다. 국가별 TLD(ccTLD)의 경우, 각국의 지정된 레지스트리가 이를 관리한다. 도메인 레지스트리는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새로운 TLD의 도입과 함께 도메인 네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레지스트리의 역할과 중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1][2]

보안[편집]

레지스트리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고 있다. DNSSEC(Domain Name System Security Extensions)와 같은 기술을 통해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사이버 공격을 방지한다​. 또한, 레지스트리는 ICANN과 협력하여 글로벌 도메인 네임 정책을 준수한다​​.[3]

각주[편집]

  1. Domain Name System〉, 《Wikipedia》
  2. Ruth G, 〈Registries, Registrars and Registrants: what's the difference?〉, 《Namecheap》, 2021-09-17
  3. Syed Balkhi, 〈Beginner’s Guide: What is a Domain Name and How Do Domains Work?〉, 《WPBeginner》, 2024-02-28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레지스트리 (도메인)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