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노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노브)
 
1번째 줄: 1번째 줄:
노브
+
[[파일:노브.png|썸네일|300픽셀|'''노브'''(knob)]]
 +
 
 +
'''노브'''(knob)는 모양이 둥글며 손으로 잡고 돌려서 숫자나 각종 정보를 조작하는 [[스위치]]다. [[대한민국]]에서 흔히 '''다이얼'''이라고 칭한다.
 +
{{:인터넷 배너|호스팅}}
 +
 
 +
== 개요 ==
 +
노브는 손으로 돌려서 볼륨을 조절하거나 채널을 돌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다. 단어의 명확성을 위해 컨트롤 노브(Control Knob)라고도 부른다. 인터페이스면에서 상당히 직관적이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사용한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곳은 [[앰프]]나 [[스피커]]의 음량 노브가 있으며, 그외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가스레인지에서는 화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하고, 금고를 열 때 숫자를 돌려 맞추기도 한다. 신디사이저에는 수많은 노브가 달려 있어 노브로 사운드를 제어한다. 오실로스코프에는 주파수 특성을 맞추기 위해 여러 개의 노브가 달려 있다.<ref> 〈[https://namu.wiki/w/%EB%85%B8%EB%B8%8C 노브]〉, 《나무위키》 </ref>
 +
 
 +
== 적용 ==
 +
=== 자동차 기어 ===
 +
[[자동차]] [[변속기]]에 노브를 사용하여 변속을 할 수 있다. 흔히 [[다이얼식 기어]]라고 한다. 노브 위에 R(후진), N(중립), D(전진), P(주차) 등이 적혀 있어 변속을 설정하기 위해 노브를 돌리며 맞추는 방식이다. P는 보통 노브 중간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많다. 기다란 [[기어봉]]을 쓰지 않고 간단하게 원판 형태인 노브를 사용했기 때문에 [[실내공간]]이 더욱 여유롭고 깔끔하게 정돈된 모습을 보이며, 변속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해 왔던 스틱형 기어의 모습과 매우 상반되어, 대부분의 운전자는 낯설기 때문에 오히려 조작이 어렵다고 하거나 조작이 워낙 쉬워서 잘못 조작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노브가 적용된 차량으로는 [[니로 EV]]와 [[쏘울 EV]] 등이 있다. [[전기차]]는 별도의 [[기어 박스]]가 필요하지 않고 보다 미래지향적인 인테리어가 구현이 가능하여 적용되고 있디. 노브 주변의 컬러 무드 조명 역시 전기차다운 미래지향적인 분위기를 구현한다.<ref> 카피엔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015949&memberNo=40524516 레버는 당기는 맛! vs 은근 편한 다이얼 기어, 당신의 선택은?]〉, 《네이버 포스트》, 2020-04-17</ref> <ref> 장가드, 〈[https://m.blog.naver.com/musuleetwo/222045922604 자동차 기어 종류 버튼식 다이얼식 전자식 핸들 장단점 알려드릴게요]〉, 《네이버 블로그》, 2020-07-30</ref>
 +
 
 +
=== 카오디오 ===
 +
[[카오디오]]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라디오를 청취하거나 카세트 테이프 또는 컴팩트 디스크에 수록된 음악 등을 재생하여 청취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카오디오의 정면에 결합된 프론트 패널의 내측에는 카오디오의 모드 선택과 각 기능을 제어하는 다수의 노브를 비롯하여 카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한 볼륨 노브가 구비된다. 이러한 볼륨 노브가 연결되는 볼륨 스위치는 카오디오의 내측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이 인쇄회로기판에 접촉되어 저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조절축이 볼륨 스위치에 설치되는데, 기능이 발달됨에 따라 조절축은 소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음량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f> 이상훈,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20050060831A/ko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구조]〉, 《구글 페이턴트》 </ref>
 +
 
 +
=== 전화기 ===
 +
구식 [[전화기]]에 장착된 노브를 조작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노브에는 번호판과 회전식이 있는데, 표준 번호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과 '#'까지 12개의 단추로 되어 있다. 번호판의 단추를 누름으로써 전기 펄스가 몇 개가 발생하거나 정확한 음색으로 소리가 나는데 전화 통신망의 컴퓨터가 이 펄스나 소리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의 전화를 연결하는 것이다. 노브 장치가 원판으로 된 회전식 노브도 있는데, 숫자 0에서 9에 해당하는 노브에 손가락이 들어갈 만한 크기의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이다. 전화를 거는 사람은 구멍에 손가락을 넣고 돌렸다가 해당하는 번호에 놓으면 원판은 다시 돌아가면서 해당하는 수의 임펄스가 발생하여 입력이 되는 방식이다.<ref> 공부하는 blog,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pmp5300&logNo=220995806566 <전화기의 작동 원리>]〉, 《네이버 블로그》, 2017-05-01</ref>
 +
 
 +
{{각주}}
 +
 
 +
== 참고자료 ==
 +
* 〈[https://namu.wiki/w/%EB%85%B8%EB%B8%8C 노브]〉, 《나무위키》
 +
* 이상훈,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20050060831A/ko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구조]〉, 《구글 페이턴트》
 +
* 공부하는 blog,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pmp5300&logNo=220995806566 <전화기의 작동 원리>]〉, 《네이버 블로그》, 2017-05-01
 +
* 카피엔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015949&memberNo=40524516 레버는 당기는 맛! vs 은근 편한 다이얼 기어, 당신의 선택은?]〉, 《네이버 포스트》, 2020-04-17
 +
* 장가드, 〈[https://m.blog.naver.com/musuleetwo/222045922604 자동차 기어 종류 버튼식 다이얼식 전자식 핸들 장단점 알려드릴게요]〉, 《네이버 블로그》, 2020-07-30
 +
 
 +
== 같이 보기 ==
 +
* [[다이얼]]
 +
* [[다이얼식 기어]]
 +
 
 +
{{인터넷|검토 필요}}

2024년 5월 31일 (금) 17:53 판

노브(knob)

노브(knob)는 모양이 둥글며 손으로 잡고 돌려서 숫자나 각종 정보를 조작하는 스위치다. 대한민국에서 흔히 다이얼이라고 칭한다.

아사달 스마트 호스팅 가로 배너 (since 1998).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아사달] 스마트 호스팅

개요

노브는 손으로 돌려서 볼륨을 조절하거나 채널을 돌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다. 단어의 명확성을 위해 컨트롤 노브(Control Knob)라고도 부른다. 인터페이스면에서 상당히 직관적이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사용한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곳은 앰프스피커의 음량 노브가 있으며, 그외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가스레인지에서는 화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하고, 금고를 열 때 숫자를 돌려 맞추기도 한다. 신디사이저에는 수많은 노브가 달려 있어 노브로 사운드를 제어한다. 오실로스코프에는 주파수 특성을 맞추기 위해 여러 개의 노브가 달려 있다.[1]

적용

자동차 기어

자동차 변속기에 노브를 사용하여 변속을 할 수 있다. 흔히 다이얼식 기어라고 한다. 노브 위에 R(후진), N(중립), D(전진), P(주차) 등이 적혀 있어 변속을 설정하기 위해 노브를 돌리며 맞추는 방식이다. P는 보통 노브 중간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많다. 기다란 기어봉을 쓰지 않고 간단하게 원판 형태인 노브를 사용했기 때문에 실내공간이 더욱 여유롭고 깔끔하게 정돈된 모습을 보이며, 변속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해 왔던 스틱형 기어의 모습과 매우 상반되어, 대부분의 운전자는 낯설기 때문에 오히려 조작이 어렵다고 하거나 조작이 워낙 쉬워서 잘못 조작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노브가 적용된 차량으로는 니로 EV쏘울 EV 등이 있다. 전기차는 별도의 기어 박스가 필요하지 않고 보다 미래지향적인 인테리어가 구현이 가능하여 적용되고 있디. 노브 주변의 컬러 무드 조명 역시 전기차다운 미래지향적인 분위기를 구현한다.[2] [3]

카오디오

카오디오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라디오를 청취하거나 카세트 테이프 또는 컴팩트 디스크에 수록된 음악 등을 재생하여 청취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카오디오의 정면에 결합된 프론트 패널의 내측에는 카오디오의 모드 선택과 각 기능을 제어하는 다수의 노브를 비롯하여 카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한 볼륨 노브가 구비된다. 이러한 볼륨 노브가 연결되는 볼륨 스위치는 카오디오의 내측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이 인쇄회로기판에 접촉되어 저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조절축이 볼륨 스위치에 설치되는데, 기능이 발달됨에 따라 조절축은 소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음량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4]

전화기

구식 전화기에 장착된 노브를 조작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노브에는 번호판과 회전식이 있는데, 표준 번호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과 '#'까지 12개의 단추로 되어 있다. 번호판의 단추를 누름으로써 전기 펄스가 몇 개가 발생하거나 정확한 음색으로 소리가 나는데 전화 통신망의 컴퓨터가 이 펄스나 소리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의 전화를 연결하는 것이다. 노브 장치가 원판으로 된 회전식 노브도 있는데, 숫자 0에서 9에 해당하는 노브에 손가락이 들어갈 만한 크기의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이다. 전화를 거는 사람은 구멍에 손가락을 넣고 돌렸다가 해당하는 번호에 놓으면 원판은 다시 돌아가면서 해당하는 수의 임펄스가 발생하여 입력이 되는 방식이다.[5]

각주

  1. 노브〉, 《나무위키》
  2. 카피엔스, 〈레버는 당기는 맛! vs 은근 편한 다이얼 기어, 당신의 선택은?〉, 《네이버 포스트》, 2020-04-17
  3. 장가드, 〈자동차 기어 종류 버튼식 다이얼식 전자식 핸들 장단점 알려드릴게요〉, 《네이버 블로그》, 2020-07-30
  4. 이상훈,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구조〉, 《구글 페이턴트》
  5. 공부하는 blog, 〈<전화기의 작동 원리>〉, 《네이버 블로그》, 2017-05-01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노브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