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알파위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알파위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알파위키'''(alphawiki)]]
 
[[파일:알파위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알파위키'''(alphawiki)]]
[[파일:알파위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알파위키'''(alphawiki)]]
 
  
 
'''알파위키'''(alphawiki)는 [[나무위키]]의 서비스 종료에 대비하기 위해 2017년 9월 24일에 개설된 [[엔하계 위키]]이다.
 
'''알파위키'''(alphawiki)는 [[나무위키]]의 서비스 종료에 대비하기 위해 2017년 9월 24일에 개설된 [[엔하계 위키]]이다.

2024년 6월 27일 (목) 10:51 기준 최신판

알파위키(alphawiki)

알파위키(alphawiki)는 나무위키의 서비스 종료에 대비하기 위해 2017년 9월 24일에 개설된 엔하계 위키이다.

아사달 스마트 호스팅 가로 배너 (since 1998).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아사달] 스마트 호스팅

개요[편집]

알파위키는 나무위키의 영리화 및 민선제 폐지 등 갑작스러운 체제 변경으로 인한 나무위키 서비스 종료에 대비하기 위해 2017년 9월 24일에 개설한 엔하계 위키다. 나무위키를 설립한 'namu'라는 이용자에게 나무위키에서의 문서 포크(이하 문서 가져오기)를 요청하여 위키가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 'A위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가, 이름 공모전을 통해 2017년 11월 28일에 알파위키로 개칭되었다. 이후 2번의 폐쇄 및 재개장이 있었다. 운영 체계는 민선제가 실시되던 시절의 나무위키, 서술 방식은 리그베다위키를 계승한 편이다. 스킨은 리버티스킨을 사용한다. 전체 문서 수는 574,877개로, 2017년 9월 27일에 나무위키의 모든 문서를 포크하였으며, 2021년 5월부터는 TheAlphaBOT이 나무위키 문서들을 2차적으로 포크하였으나 2022년 3월부로 모든 문서가 삭제되었다. 이렇게 제로베이스 후 나무위키의 대체위키라는 느낌보다 독립된 위키 이미지가 강해졌다. 나무위키와 달리 집단연구, 엔하계 표현 등을 기본규칙에서 보호한다.[1][2]

기본 규칙[편집]

알파위키는 수많은 사람들의 기여로 발전하는 위키이다. 모든 사용자의 자유와 권리는 평등하게 보장되며, 서로의 의견이 일반적인 상식 범주 내에서 존중된다. 모든 사용자는 운영에 참여할 권리가 있으며, 개개인이 운영에 관하여 피력한 의견은 존중되어야 한다. 알파위키는 특정 영역에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를 포용하며 경직되고 건조한 서술보다는 쉽고 재미있는 서술을 지향한다. 또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서술과 재미나 유머를 추구하는 서술 모두를 중요하게 여긴다. 하지만, 이것이 모든 가치관과 사상을 포용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인류의 역사를 통해 부정된 비인도적인 가치관과 사상은 배격되어야 하며, 특정 관점과 세력에 종속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서로의 분쟁은 사용자 간의 합리적인 토론을 통해 결정되어야 하며, 타인을 차별하거나 무시, 비하하며 자신의 의견만을 주장해서는 안 된다. 모든 문서는 합의를 찾아가며 성장하며, 한 사용자의 기여가 그의 의견에 비례해서는 안 된다. 로그인 사용자와 비로그인 사용자는 선거권과 피선거권, 훼손 방지 목적의 문서 보호 조치를 제외하고 어떠한 차별도 없어야 하며, 이 둘은 규정 내에서 평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3]

특징[편집]

2016년 2월부터 나무위키는 '위백화'라 불리며, 친위키백과 성향의 편집자들이 주도하여 엔하계 위키 표현을 삭제하고, 친엔하파를 차단하며, 예시를 정리하고 은어와 유행어 중심의 문체를 백과사전 식으로 바꾸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에 대응하여 위키 갤러리는 나무위키를 위키백과의 대체재로서 강화하고, 뇌피셜과 독자 연구를 차단하여 대중들이 신뢰할 수 있을 만한 서술만을 허용하게끔 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는 사람들을 '삭제충'이라 부른다. 반면 엔하계 위키 표현을 최대한 존중하며, 남들이 보기 불편한 서술이라도 그에 대한 태클을 걸지 못 하게끔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존치충'이라 칭한다. 다만 A위키는 '삭제충'의 논리적 발언에 밀려서 과격한 어조로 토론 분위기를 험악하게 만들어 나무위키의 토론 규정을 위반하게 되어 영구 차단된 사례도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지만, 특정 편집자의 개인적 의견이 출처 없이 삭제로 이어지거나, 특정 서술이 보기 싫다는 이유로 토론을 발제하는 '프로불편러'의 눈치를 볼 필요 없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래서 알파위키의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나무위키 문서의 포크 유무만 빼면 리브레 위키와 비슷한 성향을 띠고 있으며, 나무위키는 누리위키와 비슷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 위키 개설 초기에는 빡빡한 나무위키보다는 널널했지만, 규정 논의를 선호하는 초창기 사용자들로 인해 군소위키에도 구체적이고 방대한 편의 규정이 존재했다. 하지만 등재 기준을 결정하는 편집 지침은 2018년 8월 폐쇄 직전에 이용자들의 합의를 통해 유지되었다.[4]

각주[편집]

  1. 한국어 위키 목록〉, 《위키백과》
  2. 알파위키〉, 《알파위키》
  3. 알파위키:기본규칙〉, 《알파위키》
  4. 알파위키〉, 《리브레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알파위키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