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같이 보기)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장시성'''(江西省, 강서성, {{발음|江西省}})은 [[중국]] 동남부, 장강 중하유역에 위치하여 있으며 성도는 [[난창]]이다. 북쪽으로는 [[후베이성]]과 [[안후이성]], 동쪽으로는 [[저장성]] | + | {{동아시아 위치 지도}} |
+ | [[파일:중국.png|썸네일|300픽셀|'''중국 위치''']] | ||
+ | [[파일:장시성 위치.png|썸네일|300픽셀|'''장시성 위치''']] | ||
+ | |||
+ | '''장시성'''(江西省, 강서성, {{발음|江西省}})은 [[중국]] 동남부, 장강 중하유역에 위치하여 있으며 성도는 [[난창]]이다. 북쪽으로는 [[후베이성]]과 [[안후이성]], 동쪽으로는 [[저장성]]과 [[푸젠성]], 남쪽은 [[광둥성]], 서쪽으로는 [[후난성]]과 접하였다. | ||
== 개요 == | == 개요 == | ||
− | + | 장시성의 면적은 166,900km²이며 중국 국토의 1.7%를 차지한다. 인구는 약 4457만 명이다. 약칭은 별칭이기도 한 간(赣gàn)으로, 일대를 흐르는 강인 간장강(赣江)에서 유래했다. 양쯔강 남쪽에 위치한 성으로, [[중국]] 최대 [[담수호]]인 [[포양호]]가 있지만, 남부와 서북부는 [[산지]]로 이루어져 있는 지형이다. 지금은 허난성과 함께 농민공 배출 지역으로 유명하다. 지금도 주변을 둘러싼 성들에 비해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장시성 북부와 중부는 간어의 사용자가 집중되어 있다. 최북단에는 관화, 오어가 사용된다. | |
− | + | ||
− | + | 행정구역은 11개 [[지급시]](地級市)와 10개 [[현급시]](县級市), 70개 [[현 (행정구역)|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 |
− | + | ||
− | + | 양쯔강 중하류에서 개발이 비교적 늦게 이루어진 지역이지만, 신석기시대의 유적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늦어도 약 1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였다. 동진(东晋)의 문화가 남쪽으로 이전되면서 역사적 인물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 |
− | + | ||
+ | 주민 구성은 한족·서족·후이족·먀오족·야오족 등 42개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수민족의 비율은 0.27%이다.<ref>〈[https://namu.wiki/w/%EC%9E%A5%EC%8B%9C%EC%84%B1 장시성]〉, 《나무위키》</ref><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8554&cid=40942&categoryId=40009 장시성]〉,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
+ | == 자연환경 == | ||
+ |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큰 입구가 형성된 대형 [[분지]] 형태를 띤다. 지형은 [[산지]와 [[구릉]]이 54%를 차지하며 낮은 구릉과 [[언덕]]이 35%, [[평원]]과 유역이 나머지 11%를 차지한다. | ||
+ | |||
+ | 지형은 5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① 포양호(鄱阳湖) [[평원]]:간베이(赣北) 지역에 있으며, 면적은 약 2만㎢이다. 대부분 해발 50m 이하이며, 수로가 종횡으로 흐르는 '물의 [[고장]](水乡)'이다. ② 간중(赣中) [[구릉]]:붉은 암석의 낮은 [[구릉]]이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해발 300~600m이다. 위산(于山)의 서쪽에는 지안(吉安)과 타이허(泰和) 일대를 아우르는 지타이(吉泰) [[분지]]가 있다. ③ 간둥난(赣东南)·간시난(赣西南) 산악지역:난링(南岭)·우이산(武夷山)·뤄샤오산(罗霄山) 등을 포함한다. [[푸젠성]]과 경계를 이루는 황강산은 해발 2157m로 장시성의 최고봉이며, 그 일대의 징강산·메이링이 유명하다. ④ 간둥베이 [[산지]]:화이위산(怀玉山)과 황산(黄山)의 여맥을 포함하며, 대부분 해발 500~1000m이다. ⑤ 간시베이(赣西北) [[산지]]:주링산(九岭山)·무푸산(幕阜山)과 명산으로 알려진 루산산(庐山) 등을 포함하며, 해발 500~1500 m이다. | ||
+ | |||
+ | 기후는 장시성의 북동단과 북서쪽은 북아열대 습윤 계절풍기후에 속하고, 간중난[赣中南]의 광대한 지역은 중아열대 습윤 계절풍기후에 속한다. 여름이 가장 길고 겨울이 그 다음으로 길며 봄과 가을이 비교적 짧다. 봄과 여름의 강수량은 가을과 겨울보다 많다. 1월 평균기온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4~9℃이고, 7월은 28~30℃이다. 난창·지안·간저우 일대는 여름철 무더위로 유명한 양쯔강 중류의 중심지로 35℃ 이상의 폭염이 20일 이상 지속된다. | ||
+ | |||
+ | 무상기간(無霜期間)은 2월 하순에서 3월 초순부터 시작되어 8~10개월 정도 지속된다. 일평균기온이 0℃ 이상인 날이 300일 정도이고, 10℃ 이상인 날이 234~276일이다. 연강수량은 1300~1900㎜이다. 화이위산은 다우 다발지역의 중심에 있고, 지타이분지는 소우(少雨) 지역의 중심에 있다. 겨울과 봄에 흐리고 비오는 날이 많으며, 중국에서 일강수량 50㎜ 이상인 폭우 다발지역으로 꼽힌다. | ||
+ | |||
+ | [[하천]]은 남쪽과 동쪽, 서쪽의 3면에서 북부의 포양호로 유입된 뒤 다시 양쯔강으로 흘러든다. 양쯔강의 주류는 간베이 변경지역을 통과하며 성내에서 흐르는 길이는 약 170㎞이다. 간장강은 장시성 최대의 하천으로 남북을 관통하며, 난창 아래로 흐르면서 10여 개의 지류로 나뉜다. 간장강의 명칭은 상류의 장수이강과 공수이강이 간저우에서 합류한다 하여 붙여졌다. 주류는 싱쯔현(星子县) 경내에서 포양호로 흘러든다. 전체 길이는 740㎞이고, 유역 면적은 8만 3500㎢로 성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3~7월이 증수기(增水期)이다. | ||
+ | |||
+ | 그밖에 푸장강의 길이는 312㎞, 신장강은 296㎞, 라오허강은 250㎞, 슈수이강은 375㎞이다. 호수군(湖水群)은 대부분 북부의 포양호 평원지역에 있다. 포양호는 후커우의 수위가 21m일 때 면적이 5100㎢에 이르는 중국 최대의 담수호로서 '어류의 창고(鱼库)'일뿐 아니라 양쯔강의 홍수를 조절하는 기능까지 담당한다. | ||
+ | |||
+ | == 역사 == | ||
+ | 춘추전국시대에는 주로 초나라의 영역에 속했다. 진나라의 통일 이후 구강군이 설치되었고 한나라때에는 성 전역에 예장군이 설치되었고, 이 예장군은 양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 ||
+ | |||
+ | 후한말부터 서진대까지 지금의 지안시이남지역이 여릉군, 상라오시를 비롯한 성 북동부 지역이 파양군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지금의 푸저우시 일대에 임천군, 이춘시 일대에 안성군, 간저우시 일대에 남강군, 주장시 일대에 심양군이 신설되었다. 291년(진 혜제 원강 원년) 푸젠성과 함께 강주로 분리되었다. 양나라때 파양군지역이 오주(吳州)로 분리되었다. | ||
+ | |||
+ | 수나라의 통일이후 예장군에 홍주(洪州), 임천군에 무주(撫州), 여릉군이 길주(吉州), 남강군이 건주(虔州), 안성군에 원주(袁州)가 설치되었고 장시성과 푸젠성지역을 통치했던 강주는 심양군지역으로 축소되었다. 당나라시기 장시성지역의 모든 주는 강남도에 속했다가 당나라 중기 이후 강남서도에 속하게 되었다. 오대십국의 시기에는 남당이 홍주를 도읍으로 하여 이것이 남창의 기원이 되었다. 송나라때에는 강남동로에 속했던 지금의 상라오, 징더전, 잉탄 일대를 제외한 전지역이 강남서로에 속하게 되었다. | ||
+ | |||
+ | 원나라 때는 과거 강남동로에 속했던 곳을 제외한 전지역과 광둥성 동부지방에 강서등처행중서성이 성립되었다. 지금의 장시성 전역이 독자적인 행정구역으로 분리된 것은 명나라 때 강서성이 설치된 이후였다. 명대에 경덕진의 도자기가 활발하게 생산되어 해외에까지 수출되었다. | ||
+ | |||
+ | 신해혁명 이후 청나라가 붕괴되자 처음에는 동맹회의 리례쥔이 강서도독이 되어 강서성을 지배했으나 계축전쟁 이후 리위안훙이 장악했다가 그 다음에는 계축전쟁을 진압한 리춘의 영역이 되었고 이후 진광원이 차지했다. 2차 직봉전쟁, 손봉전쟁 이후 직예군벌 쑨촨팡의 지배 하에 들어갔으나 1926년 국민당의 1차 북벌로 국민정부의 영토가 되었다. 1927년 1월 1일 이곳에서 난창 군무선후회의가 개최되었으며 1월 3일 장제스가 북벌의 군사적 효용성을 위해 난창 천도론을 주장하면서 천도논쟁이 발생했다. 1927년 4.12 상하이 쿠데타와 국공결렬 이후 공산당이 1927년 8월 1일 난창에서 난창 폭동을 일으켰다. 1929년에는 정강산 투쟁을 중단한 마오쩌둥이 루이진으로 들어와 소비에트 정부를 건설했고 이 중앙 소비에트가 확장되면서 1931년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을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1933년 장제스의 제5차 초공작전에 밀려 멸망했고 공산당은 1934년 대장정에 나서게 되면서 장시 성을 떠났다. | ||
+ | |||
+ | 1930년 12월에는 [[마오쩌둥]]이 부전사변을 일으켜 지역공산주의자들을 숙청하고 AB단을 색출한다는 명목으로 대량 살육을 벌였다. 중일전쟁 중 일본군에게 점령당하여 왕징웨이 정권의 통제를 받았으나 종전 후 국민정부가 탈환했다. 1949년 국공내전 중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점령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 | |||
+ | == 산업 == | ||
+ | 자원이 풍부하여 '물자가 풍부한 하늘이 내린 보배'라는 찬사를 듣기도 한다. 농업·임업·목축업·부산품업·어업에 이용할 수 있는 [[토지]]가 전국 평균인 69%을 크게 웃도는 80%를 차지한다. 1인당 평균 경작지는 773㎡로 전국 평균인 1000㎡보다 낮지만, 1인당 [[논]] 면적은 633㎡로 전국에서 1위이다. | ||
+ | |||
+ | [[삼림]] 지역 점유율은 40.4%로 높은 편이고, [[죽림]]과 경제림 면적은 각각 전국 2위와 3위이다. 식물자원이 풍부하여 종자식물이 4000여 종이나 있다. 매장량이 탐사된 73종의 광물 가운데 구리·중석·탄탈니오브·우라늄·희토 등은 장시성의 '다섯 송이 황금꽃'이라고 불리며, 전국에서도 중요한 자원이다. 또 더싱(德兴) 등지의 5대 구리광구(矿区)와 간난 지역의 시화산(西华山)을 비롯한 4대 중석광구(矿区)가 있다. 구리와 중석의 매장량은 각각 전국 매장량의 3분의 1과 2분의 1을 차지하여 모두 1위이다. 표면수와 지하 수자원 그리고 산악지역에 잠재된 수력자원도 매우 풍부하다. | ||
+ | |||
+ | 농업 분야에서 [[경작지]] 가운데 [[논]]이 차지하는 비중이 85%이다. 곡식 생산에서 1인당 평균 점유량과 인상량이 모두 전국 선두권이다. 벼 생산량은 곡식 작물의 95% 이상을 차지한다. 포양호 [[평원]]은 전국적으로 이름 높은 상품화 식량의 생산기지이다. 경제 작물인 유채씨와 참깨의 생산량은 각각 전국 4위와 5위이다. | ||
+ | |||
+ | 근년에 재배업과 임업, 목축업, 어업 발전에 집중하여 생산액이 각각 51%, 7%, 29%, 13%를 차지한다. 장시성은 초산(草山)과 초원(草原), 초주(草洲)가 많은 지역으로 가축과 가금류 사육업이 발달하였으며, 러핑]의 돼지와 다위·이춘의 오리, 위산의 흰고니, 타이허의 닭이 매우 유명하다. 또 중국 남동부에서 푸젠성[福建省] 다음으로 큰 죽목 생산지역이며, 담수어업을 중점 양성하는 성이기도 하다. 민물어류 생산량이 전국 5위권이며, 포양호는 '어류의 창고(鱼库)'라 불린다. | ||
+ | |||
+ | 특산품으로는 차와 과일 등 농림 생산품이 풍부하고 다채롭다. 루산산의 윈우차는 한나라 때부터 생산된 차로 송나라 때 조공품에 포함된 명차(名茶)이다. 이 밖에 우위안의 녹차와 우닝의 홍차, 징강산의 청록차(翠绿茶) 등도 알려져 있다. 삼림 특산물으로는 기름차나무·송진 등이 있다. | ||
+ | |||
+ | 유명한 과일로는 푸저우의 수박, 난펑의 밀감, 쑤이촨의 금귤, 싱궈의 감귤 등이 있다. 난펑의 밀감은 품질이 뛰어나 '귤 중의 왕'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조공품으로 쓰였다. 농업 특산품인 광창[广昌]의 통심백련(通心白莲)은 알이 굵고 향이 그윽하며 맛이 탁월하고 보양 작용까지 하여 국내외에서 광범위하게 애용된다. 신펑의 홍과쯔와 포양호의 병어 등도 알려져 있다. | ||
+ | |||
+ | 징더전(景德镇)의 자기는 예로부터 '백옥처럼 희고 거울처럼 밝으며, 종이처럼 얇고 경쇠처럼 맑은 소리를 낸다'는 평을 들으며 국내외에 명성이 높은 공예 특산품으로, 3000여 종의 명품을 보유하고 있다. 징더전의 자기조각과 더불어 난창의 자기판화도 널리 알려져 있다. 또 슈수이[修水]에서 생산되는 저연(赭砚)과 위산[玉山]의 나문연(罗纹砚), 우위안의 용미연(龙尾砚), 싱쯔[星子]의 금성연(金星砚)은 장시성의 4대 명연(名砚)으로 유명하다. | ||
+ | |||
+ | 재래식 종이도 전통 토산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절반 이상의 시현(市县)에서 생산되는데 루이진[瑞金]의 옥구지(玉扣纸)와 융펑(永丰)의 모변지(毛边纸)가 특히 유명하다. 이 밖에 전통 수공예 특산품으로는 진셴(进贤)의 이도모필(李渡毛笔), 완짜이(万载)의 하포(夏布), 첸산(铅山)의 대나무 공예품 등이 있다. | ||
+ | |||
+ | 공업 부문은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50여 년의 건설을 통하여 공업 생산액이 농공업 총 생산액의 67%에 이르게 되었고, [[공업]] 구조에서도 채굴과 원자재 생산을 주류로 하는 중공업이 경공업보다 큰 비중을 차지한다. 분야도 다양하게 발전하여 야금·기계·식품·방직 등을 위주로 한다. 야금 분야는 강철과 비철금속 공업을 병행하는데, 특히 비철금속은 장시성의 우세산업에 속한다. | ||
+ | |||
+ | 간둥베이 지역의 싱더(兴德)에는 전국 최대의 구리 야련기지가 있으며, 간난 지역의 다위는 중석정광 생산량과 수출량 그리고 우라늄과 미세스틸와이어의 생산량이 모두 전국에서 1위이다. 또 신위(新余)의 망간철은 전국 총 생산량의 40%를 차지한다. 기계공업은 난창의 트렉터 [[제조업]]이 비교적 유명하다. | ||
+ | |||
+ | 식품공업은 농업 부산품 가공을 위주로 하며, 난창의 러우쑹과 안푸의 햄, 장수의 쓰터주가 매우 유명하다. 방직공업에서는 면직품과 모시풀 직물제품, 오리털 제품 등을 수출한다. 생활용 도자기 [[공업]]은 장시성의 전통적 우세산업으로 전국 총 수출량의 22%를 차지한다. 징더전 자기는 국제시장에서도 경쟁력이 매우 뛰어나다. 이밖에 제약(製藥) 공업도 유구한 역사를 바탕으로 발전하여 500여 종의 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 ||
+ | |||
+ | == 문화 == | ||
+ | 국가역사 문화 명성으로 도자기로 유명한 징더전이 있다. 장시성은 역사 이래로 선종의 [[중심지]]였고, 하카 건축의 뛰어난 예를 발견할 수 있는 곳이다. | ||
+ | |||
+ | 다른 지방에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장시의 요리도 풍부하고 특징적이다. 향이 중국 내에서도 강한 편에 속하며, 매운 고추와 피클 등의 강한 재료를 많이 사용한다. | ||
+ | |||
+ | 장시 성 북쪽 3분의 2는 간어의 사용자가 집중된 지역이다. 난창화, 이춘화, 지안화가 이에 포함된다. 성 남쪽 3분의 1은 하카어를 사용한다. 또한 성 북쪽 경계를 따라 만다린어, 후이저우어, 우어가 사용된다. 간주는 중국 희곡의 하나로 장시 성에서 행해지는 독특한 문화이다. | ||
+ | |||
+ | 장시성은 오랫동안 불교 선종의 역사적 [[중심지]]였으며, 하카 건축의 빼어난 예가 많다. | ||
+ | |||
+ | == 교통 == | ||
+ | [[철도]]의 운행거리는 2369㎞이며, 저간·완간·잉샤·펀원 등의 기존 노선에 징주 노선, 다예와 사허를 연결하는 다사[大沙] 노선이 새로 건설되었다. 징주 철로는 난창을 지나간다. | ||
+ | |||
+ | [[도로]]의 운행거리는 6만 696㎞이다. 베이징[北京]에서 [[광저우]]와 [[푸저우]]로 연결되는 국도를 비롯하여 [[상하이]]~[[쿤밍]], [[푸저우]]~[[란저우]] 등의 국도가 모두 난창을 지나간다. 주장~난창~딩난, 난창~상라오~위산, 주장~징더전 등의 고속도로도 개통되었다. | ||
+ | |||
+ | 내하의 항로 길이는 5537㎞로 포양호에서 집결하고 양쯔강을 출구로 하며, 간장강·푸장강·신장강·포장강 등의 하천항로를 포함한다. 난창·후커우와 외국선박의 출입을 허가하는 수상 국경출입구인 주장을 주요 [[항구]]로 삼는다. | ||
+ | |||
+ | 항공교통으로는 난창·징더전·주장·간저우·지안 등지에 공항이 있다. 난창공항은 대외적으로 개방된 항공운수의 국경 출입구 특정공항이며, [[베이징]]·[[상하이]]·쿤밍·시안·[[홍콩]] 등지로 연결되는 노선이 운항된다. | ||
+ | |||
+ | == 관광 == | ||
+ | [[파일:장시성 행정구역.png|썸네일|300픽셀|'''장시성 행정구역''']] | ||
+ | 루산산(庐山)·징강산(井冈山)·싼칭산(三清山)·룽후산(龙虎山) 등 6곳의 국가지정 명승 풍경지역이 있다. 국가중점 보호 문화재는 24곳으로, 대부분 난창·주장 주변과 간난·간둥베이 지역에 있다. | ||
+ | |||
+ | 고성(古城)인 난창은 근년에 등왕각(滕王阁)을 재건하였는데, 이곳은 당(唐) 나라 초기의 시인 왕발(王勃)이 쓴 〈등왕각서(滕王阁序)〉로 널리 알려졌으며, 우한의 황학루(黄鹤楼)·악양루(岳阳楼)와 더불어 '강남(江南)의 3대 명루(名楼)'로 꼽힌다. 이 밖에 중국공산당의 무장봉기를 기념하는 이른바 8·1기의(八一起义)의 옛터 그리고 백화주(百花洲)와 청운보(青云谱) 등도 있다. | ||
+ | |||
+ | 양쯔강 강변의 주장에는 간탕호의 연수정(烟水亭)과 도연명사(陶渊明祠)를 비롯하여 근년에 재건한 심양루(浔阳楼) 등지의 명승지가 있다. 시 남쪽의 루산산은 예로부터 유람과 피서의 명산으로, 울창한 삼림과 수많은 봉우리와 암벽, 쏟아져 내리는 폭포와 안개가 운치를 더하며, 아름다운 꽃길과 선인동(仙人洞), 포커우·둥린사[东林寺]·백록서원(白鹿書院) 등지의 고적지가 있다. | ||
+ | |||
+ | '관광의 보고'라 불리는 후커우의 스중산은 [[강]]을 끼고 있는 지형에 석굴이 많아 파도소리가 마치 종소리처럼 울려서 예로부터 '강호의 기이한 절경'이라 불린다. 부근의 펑쩌는 용궁동(龍宫洞)·옥호동(玉壺洞)과 선진암(仙真岩) 등 기암 괴동으로 유명하다. | ||
+ | |||
+ | 간둥베이 지역에는 '도자기의 도시'로 널리 알려진 징더전[景德镇]을 비롯하여 도교의 명산인 더칭의 싼칭산[三清山)과 구이시의 룽후산, 난청의 마구산 등이 있다. 간시난 지역의 징강산은 혁명의 명소이자 운림천폭(云林泉瀑)의 경관으로도 이름난 명산이다. 그밖에 핑샹[萍乡]의 얼룡동(孽龍洞), 지안[吉安]의 청원동(青原洞), 간저우의 통천암(通天岩)과 루이진] 혁명명승지 등이 있다. | ||
+ | |||
+ | == 행정구역 == | ||
+ | 장시성은 11개의 지급시로 구성되었다. | ||
+ | * 난창시(南昌市) | ||
+ | * 징더전시(景德镇市) | ||
+ | * 핑샹시(萍乡市) | ||
+ | * 주장시(九江市) | ||
+ | * 신위시(新余市) | ||
+ | * 잉탄시(鹰潭市) | ||
+ | * 간저우시(赣州市) | ||
+ | * 지안시(吉安市) | ||
+ | * 이춘시(宜春市) | ||
+ | * 푸저우시(抚州市) | ||
+ | * 상라오시(上饶市) | ||
== 지도 == | == 지도 == | ||
− | {{지도| | + | {{장시성 행정 지도|800}} |
+ | {{지도|장시성}} | ||
+ | {{다단2 | ||
+ | |{{중국 화동지구 행정 지도}} | ||
+ | |{{동중국해 국가 지도}} | ||
+ | }} | ||
+ | {{다단2 | ||
+ | |{{중국 지역 지도}} | ||
+ | |{{중국 행정 지도}} | ||
+ | }} | ||
+ | |||
+ | == 동영상 == | ||
+ | <youtube>HBPkME1Omb0</youtube> | ||
+ | <youtube>XYThs2_tQJ4</youtube> | ||
+ | |||
+ | {{각주}} | ||
+ | |||
+ | == 참고자료 == | ||
+ | *〈[https://ko.wikipedia.org/wiki/%EC%9E%A5%EC%8B%9C%EC%84%B1 장시성]〉, 《위키백과》 | ||
+ | *〈[https://namu.wiki/w/%EC%9E%A5%EC%8B%9C%EC%84%B1 장시성]〉, 《나무위키》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8554&cid=40942&categoryId=40009 장시성]〉, 《네이버 지식백과》 | ||
− | == | + | * 〈[https://zh.wikipedia.org/wiki/%E6%B1%9F%E8%A5%BF%E7%9C%81 江西省]〉, 《维基百科》 |
− | + | * 〈[https://baike.baidu.com/item/%E6%B1%9F%E8%A5%BF/215383?fromtitle=%E6%B1%9F%E8%A5%BF%E7%9C%81&fromid=19438118&fr=aladdin#5 江西]〉, 《百度百科》 | |
− | + | == 같이 보기 == | |
+ | * [[중국]] | ||
+ | * [[난창]] | ||
+ | * [[후베이성]] | ||
+ | * [[안후이성]] | ||
+ | * [[저장성]] | ||
+ | * [[푸젠성]] | ||
+ | * [[광둥성]] | ||
+ | * [[후난성]] | ||
+ | * [[난창]] | ||
+ | * [[징더전]] | ||
− | + | {{중국 행정구역|검토 필요}} |
2024년 1월 6일 (토) 15:33 기준 최신판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장시성(江西省, 강서성, jiāng xī shěng)은 중국 동남부, 장강 중하유역에 위치하여 있으며 성도는 난창이다. 북쪽으로는 후베이성과 안후이성, 동쪽으로는 저장성과 푸젠성, 남쪽은 광둥성, 서쪽으로는 후난성과 접하였다.
개요[편집]
장시성의 면적은 166,900km²이며 중국 국토의 1.7%를 차지한다. 인구는 약 4457만 명이다. 약칭은 별칭이기도 한 간(赣gàn)으로, 일대를 흐르는 강인 간장강(赣江)에서 유래했다. 양쯔강 남쪽에 위치한 성으로, 중국 최대 담수호인 포양호가 있지만, 남부와 서북부는 산지로 이루어져 있는 지형이다. 지금은 허난성과 함께 농민공 배출 지역으로 유명하다. 지금도 주변을 둘러싼 성들에 비해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장시성 북부와 중부는 간어의 사용자가 집중되어 있다. 최북단에는 관화, 오어가 사용된다.
행정구역은 11개 지급시(地級市)와 10개 현급시(县級市), 70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쯔강 중하류에서 개발이 비교적 늦게 이루어진 지역이지만, 신석기시대의 유적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늦어도 약 1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였다. 동진(东晋)의 문화가 남쪽으로 이전되면서 역사적 인물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주민 구성은 한족·서족·후이족·먀오족·야오족 등 42개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수민족의 비율은 0.27%이다.[1][2]
자연환경[편집]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큰 입구가 형성된 대형 분지 형태를 띤다. 지형은 [[산지]와 구릉이 54%를 차지하며 낮은 구릉과 언덕이 35%, 평원과 유역이 나머지 11%를 차지한다.
지형은 5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① 포양호(鄱阳湖) 평원:간베이(赣北) 지역에 있으며, 면적은 약 2만㎢이다. 대부분 해발 50m 이하이며, 수로가 종횡으로 흐르는 '물의 고장(水乡)'이다. ② 간중(赣中) 구릉:붉은 암석의 낮은 구릉이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해발 300~600m이다. 위산(于山)의 서쪽에는 지안(吉安)과 타이허(泰和) 일대를 아우르는 지타이(吉泰) 분지가 있다. ③ 간둥난(赣东南)·간시난(赣西南) 산악지역:난링(南岭)·우이산(武夷山)·뤄샤오산(罗霄山) 등을 포함한다. 푸젠성과 경계를 이루는 황강산은 해발 2157m로 장시성의 최고봉이며, 그 일대의 징강산·메이링이 유명하다. ④ 간둥베이 산지:화이위산(怀玉山)과 황산(黄山)의 여맥을 포함하며, 대부분 해발 500~1000m이다. ⑤ 간시베이(赣西北) 산지:주링산(九岭山)·무푸산(幕阜山)과 명산으로 알려진 루산산(庐山) 등을 포함하며, 해발 500~1500 m이다.
기후는 장시성의 북동단과 북서쪽은 북아열대 습윤 계절풍기후에 속하고, 간중난[赣中南]의 광대한 지역은 중아열대 습윤 계절풍기후에 속한다. 여름이 가장 길고 겨울이 그 다음으로 길며 봄과 가을이 비교적 짧다. 봄과 여름의 강수량은 가을과 겨울보다 많다. 1월 평균기온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4~9℃이고, 7월은 28~30℃이다. 난창·지안·간저우 일대는 여름철 무더위로 유명한 양쯔강 중류의 중심지로 35℃ 이상의 폭염이 20일 이상 지속된다.
무상기간(無霜期間)은 2월 하순에서 3월 초순부터 시작되어 8~10개월 정도 지속된다. 일평균기온이 0℃ 이상인 날이 300일 정도이고, 10℃ 이상인 날이 234~276일이다. 연강수량은 1300~1900㎜이다. 화이위산은 다우 다발지역의 중심에 있고, 지타이분지는 소우(少雨) 지역의 중심에 있다. 겨울과 봄에 흐리고 비오는 날이 많으며, 중국에서 일강수량 50㎜ 이상인 폭우 다발지역으로 꼽힌다.
하천은 남쪽과 동쪽, 서쪽의 3면에서 북부의 포양호로 유입된 뒤 다시 양쯔강으로 흘러든다. 양쯔강의 주류는 간베이 변경지역을 통과하며 성내에서 흐르는 길이는 약 170㎞이다. 간장강은 장시성 최대의 하천으로 남북을 관통하며, 난창 아래로 흐르면서 10여 개의 지류로 나뉜다. 간장강의 명칭은 상류의 장수이강과 공수이강이 간저우에서 합류한다 하여 붙여졌다. 주류는 싱쯔현(星子县) 경내에서 포양호로 흘러든다. 전체 길이는 740㎞이고, 유역 면적은 8만 3500㎢로 성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3~7월이 증수기(增水期)이다.
그밖에 푸장강의 길이는 312㎞, 신장강은 296㎞, 라오허강은 250㎞, 슈수이강은 375㎞이다. 호수군(湖水群)은 대부분 북부의 포양호 평원지역에 있다. 포양호는 후커우의 수위가 21m일 때 면적이 5100㎢에 이르는 중국 최대의 담수호로서 '어류의 창고(鱼库)'일뿐 아니라 양쯔강의 홍수를 조절하는 기능까지 담당한다.
역사[편집]
춘추전국시대에는 주로 초나라의 영역에 속했다. 진나라의 통일 이후 구강군이 설치되었고 한나라때에는 성 전역에 예장군이 설치되었고, 이 예장군은 양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후한말부터 서진대까지 지금의 지안시이남지역이 여릉군, 상라오시를 비롯한 성 북동부 지역이 파양군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지금의 푸저우시 일대에 임천군, 이춘시 일대에 안성군, 간저우시 일대에 남강군, 주장시 일대에 심양군이 신설되었다. 291년(진 혜제 원강 원년) 푸젠성과 함께 강주로 분리되었다. 양나라때 파양군지역이 오주(吳州)로 분리되었다.
수나라의 통일이후 예장군에 홍주(洪州), 임천군에 무주(撫州), 여릉군이 길주(吉州), 남강군이 건주(虔州), 안성군에 원주(袁州)가 설치되었고 장시성과 푸젠성지역을 통치했던 강주는 심양군지역으로 축소되었다. 당나라시기 장시성지역의 모든 주는 강남도에 속했다가 당나라 중기 이후 강남서도에 속하게 되었다. 오대십국의 시기에는 남당이 홍주를 도읍으로 하여 이것이 남창의 기원이 되었다. 송나라때에는 강남동로에 속했던 지금의 상라오, 징더전, 잉탄 일대를 제외한 전지역이 강남서로에 속하게 되었다.
원나라 때는 과거 강남동로에 속했던 곳을 제외한 전지역과 광둥성 동부지방에 강서등처행중서성이 성립되었다. 지금의 장시성 전역이 독자적인 행정구역으로 분리된 것은 명나라 때 강서성이 설치된 이후였다. 명대에 경덕진의 도자기가 활발하게 생산되어 해외에까지 수출되었다.
신해혁명 이후 청나라가 붕괴되자 처음에는 동맹회의 리례쥔이 강서도독이 되어 강서성을 지배했으나 계축전쟁 이후 리위안훙이 장악했다가 그 다음에는 계축전쟁을 진압한 리춘의 영역이 되었고 이후 진광원이 차지했다. 2차 직봉전쟁, 손봉전쟁 이후 직예군벌 쑨촨팡의 지배 하에 들어갔으나 1926년 국민당의 1차 북벌로 국민정부의 영토가 되었다. 1927년 1월 1일 이곳에서 난창 군무선후회의가 개최되었으며 1월 3일 장제스가 북벌의 군사적 효용성을 위해 난창 천도론을 주장하면서 천도논쟁이 발생했다. 1927년 4.12 상하이 쿠데타와 국공결렬 이후 공산당이 1927년 8월 1일 난창에서 난창 폭동을 일으켰다. 1929년에는 정강산 투쟁을 중단한 마오쩌둥이 루이진으로 들어와 소비에트 정부를 건설했고 이 중앙 소비에트가 확장되면서 1931년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을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1933년 장제스의 제5차 초공작전에 밀려 멸망했고 공산당은 1934년 대장정에 나서게 되면서 장시 성을 떠났다.
1930년 12월에는 마오쩌둥이 부전사변을 일으켜 지역공산주의자들을 숙청하고 AB단을 색출한다는 명목으로 대량 살육을 벌였다. 중일전쟁 중 일본군에게 점령당하여 왕징웨이 정권의 통제를 받았으나 종전 후 국민정부가 탈환했다. 1949년 국공내전 중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점령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산업[편집]
자원이 풍부하여 '물자가 풍부한 하늘이 내린 보배'라는 찬사를 듣기도 한다. 농업·임업·목축업·부산품업·어업에 이용할 수 있는 토지가 전국 평균인 69%을 크게 웃도는 80%를 차지한다. 1인당 평균 경작지는 773㎡로 전국 평균인 1000㎡보다 낮지만, 1인당 논 면적은 633㎡로 전국에서 1위이다.
삼림 지역 점유율은 40.4%로 높은 편이고, 죽림과 경제림 면적은 각각 전국 2위와 3위이다. 식물자원이 풍부하여 종자식물이 4000여 종이나 있다. 매장량이 탐사된 73종의 광물 가운데 구리·중석·탄탈니오브·우라늄·희토 등은 장시성의 '다섯 송이 황금꽃'이라고 불리며, 전국에서도 중요한 자원이다. 또 더싱(德兴) 등지의 5대 구리광구(矿区)와 간난 지역의 시화산(西华山)을 비롯한 4대 중석광구(矿区)가 있다. 구리와 중석의 매장량은 각각 전국 매장량의 3분의 1과 2분의 1을 차지하여 모두 1위이다. 표면수와 지하 수자원 그리고 산악지역에 잠재된 수력자원도 매우 풍부하다.
농업 분야에서 경작지 가운데 논이 차지하는 비중이 85%이다. 곡식 생산에서 1인당 평균 점유량과 인상량이 모두 전국 선두권이다. 벼 생산량은 곡식 작물의 95% 이상을 차지한다. 포양호 평원은 전국적으로 이름 높은 상품화 식량의 생산기지이다. 경제 작물인 유채씨와 참깨의 생산량은 각각 전국 4위와 5위이다.
근년에 재배업과 임업, 목축업, 어업 발전에 집중하여 생산액이 각각 51%, 7%, 29%, 13%를 차지한다. 장시성은 초산(草山)과 초원(草原), 초주(草洲)가 많은 지역으로 가축과 가금류 사육업이 발달하였으며, 러핑]의 돼지와 다위·이춘의 오리, 위산의 흰고니, 타이허의 닭이 매우 유명하다. 또 중국 남동부에서 푸젠성[福建省] 다음으로 큰 죽목 생산지역이며, 담수어업을 중점 양성하는 성이기도 하다. 민물어류 생산량이 전국 5위권이며, 포양호는 '어류의 창고(鱼库)'라 불린다.
특산품으로는 차와 과일 등 농림 생산품이 풍부하고 다채롭다. 루산산의 윈우차는 한나라 때부터 생산된 차로 송나라 때 조공품에 포함된 명차(名茶)이다. 이 밖에 우위안의 녹차와 우닝의 홍차, 징강산의 청록차(翠绿茶) 등도 알려져 있다. 삼림 특산물으로는 기름차나무·송진 등이 있다.
유명한 과일로는 푸저우의 수박, 난펑의 밀감, 쑤이촨의 금귤, 싱궈의 감귤 등이 있다. 난펑의 밀감은 품질이 뛰어나 '귤 중의 왕'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조공품으로 쓰였다. 농업 특산품인 광창[广昌]의 통심백련(通心白莲)은 알이 굵고 향이 그윽하며 맛이 탁월하고 보양 작용까지 하여 국내외에서 광범위하게 애용된다. 신펑의 홍과쯔와 포양호의 병어 등도 알려져 있다.
징더전(景德镇)의 자기는 예로부터 '백옥처럼 희고 거울처럼 밝으며, 종이처럼 얇고 경쇠처럼 맑은 소리를 낸다'는 평을 들으며 국내외에 명성이 높은 공예 특산품으로, 3000여 종의 명품을 보유하고 있다. 징더전의 자기조각과 더불어 난창의 자기판화도 널리 알려져 있다. 또 슈수이[修水]에서 생산되는 저연(赭砚)과 위산[玉山]의 나문연(罗纹砚), 우위안의 용미연(龙尾砚), 싱쯔[星子]의 금성연(金星砚)은 장시성의 4대 명연(名砚)으로 유명하다.
재래식 종이도 전통 토산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절반 이상의 시현(市县)에서 생산되는데 루이진[瑞金]의 옥구지(玉扣纸)와 융펑(永丰)의 모변지(毛边纸)가 특히 유명하다. 이 밖에 전통 수공예 특산품으로는 진셴(进贤)의 이도모필(李渡毛笔), 완짜이(万载)의 하포(夏布), 첸산(铅山)의 대나무 공예품 등이 있다.
공업 부문은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50여 년의 건설을 통하여 공업 생산액이 농공업 총 생산액의 67%에 이르게 되었고, 공업 구조에서도 채굴과 원자재 생산을 주류로 하는 중공업이 경공업보다 큰 비중을 차지한다. 분야도 다양하게 발전하여 야금·기계·식품·방직 등을 위주로 한다. 야금 분야는 강철과 비철금속 공업을 병행하는데, 특히 비철금속은 장시성의 우세산업에 속한다.
간둥베이 지역의 싱더(兴德)에는 전국 최대의 구리 야련기지가 있으며, 간난 지역의 다위는 중석정광 생산량과 수출량 그리고 우라늄과 미세스틸와이어의 생산량이 모두 전국에서 1위이다. 또 신위(新余)의 망간철은 전국 총 생산량의 40%를 차지한다. 기계공업은 난창의 트렉터 제조업이 비교적 유명하다.
식품공업은 농업 부산품 가공을 위주로 하며, 난창의 러우쑹과 안푸의 햄, 장수의 쓰터주가 매우 유명하다. 방직공업에서는 면직품과 모시풀 직물제품, 오리털 제품 등을 수출한다. 생활용 도자기 공업은 장시성의 전통적 우세산업으로 전국 총 수출량의 22%를 차지한다. 징더전 자기는 국제시장에서도 경쟁력이 매우 뛰어나다. 이밖에 제약(製藥) 공업도 유구한 역사를 바탕으로 발전하여 500여 종의 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문화[편집]
국가역사 문화 명성으로 도자기로 유명한 징더전이 있다. 장시성은 역사 이래로 선종의 중심지였고, 하카 건축의 뛰어난 예를 발견할 수 있는 곳이다.
다른 지방에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장시의 요리도 풍부하고 특징적이다. 향이 중국 내에서도 강한 편에 속하며, 매운 고추와 피클 등의 강한 재료를 많이 사용한다.
장시 성 북쪽 3분의 2는 간어의 사용자가 집중된 지역이다. 난창화, 이춘화, 지안화가 이에 포함된다. 성 남쪽 3분의 1은 하카어를 사용한다. 또한 성 북쪽 경계를 따라 만다린어, 후이저우어, 우어가 사용된다. 간주는 중국 희곡의 하나로 장시 성에서 행해지는 독특한 문화이다.
장시성은 오랫동안 불교 선종의 역사적 중심지였으며, 하카 건축의 빼어난 예가 많다.
교통[편집]
철도의 운행거리는 2369㎞이며, 저간·완간·잉샤·펀원 등의 기존 노선에 징주 노선, 다예와 사허를 연결하는 다사[大沙] 노선이 새로 건설되었다. 징주 철로는 난창을 지나간다.
도로의 운행거리는 6만 696㎞이다. 베이징[北京]에서 광저우와 푸저우로 연결되는 국도를 비롯하여 상하이~쿤밍, 푸저우~란저우 등의 국도가 모두 난창을 지나간다. 주장~난창~딩난, 난창~상라오~위산, 주장~징더전 등의 고속도로도 개통되었다.
내하의 항로 길이는 5537㎞로 포양호에서 집결하고 양쯔강을 출구로 하며, 간장강·푸장강·신장강·포장강 등의 하천항로를 포함한다. 난창·후커우와 외국선박의 출입을 허가하는 수상 국경출입구인 주장을 주요 항구로 삼는다.
항공교통으로는 난창·징더전·주장·간저우·지안 등지에 공항이 있다. 난창공항은 대외적으로 개방된 항공운수의 국경 출입구 특정공항이며, 베이징·상하이·쿤밍·시안·홍콩 등지로 연결되는 노선이 운항된다.
관광[편집]
루산산(庐山)·징강산(井冈山)·싼칭산(三清山)·룽후산(龙虎山) 등 6곳의 국가지정 명승 풍경지역이 있다. 국가중점 보호 문화재는 24곳으로, 대부분 난창·주장 주변과 간난·간둥베이 지역에 있다.
고성(古城)인 난창은 근년에 등왕각(滕王阁)을 재건하였는데, 이곳은 당(唐) 나라 초기의 시인 왕발(王勃)이 쓴 〈등왕각서(滕王阁序)〉로 널리 알려졌으며, 우한의 황학루(黄鹤楼)·악양루(岳阳楼)와 더불어 '강남(江南)의 3대 명루(名楼)'로 꼽힌다. 이 밖에 중국공산당의 무장봉기를 기념하는 이른바 8·1기의(八一起义)의 옛터 그리고 백화주(百花洲)와 청운보(青云谱) 등도 있다.
양쯔강 강변의 주장에는 간탕호의 연수정(烟水亭)과 도연명사(陶渊明祠)를 비롯하여 근년에 재건한 심양루(浔阳楼) 등지의 명승지가 있다. 시 남쪽의 루산산은 예로부터 유람과 피서의 명산으로, 울창한 삼림과 수많은 봉우리와 암벽, 쏟아져 내리는 폭포와 안개가 운치를 더하며, 아름다운 꽃길과 선인동(仙人洞), 포커우·둥린사[东林寺]·백록서원(白鹿書院) 등지의 고적지가 있다.
'관광의 보고'라 불리는 후커우의 스중산은 강을 끼고 있는 지형에 석굴이 많아 파도소리가 마치 종소리처럼 울려서 예로부터 '강호의 기이한 절경'이라 불린다. 부근의 펑쩌는 용궁동(龍宫洞)·옥호동(玉壺洞)과 선진암(仙真岩) 등 기암 괴동으로 유명하다.
간둥베이 지역에는 '도자기의 도시'로 널리 알려진 징더전[景德镇]을 비롯하여 도교의 명산인 더칭의 싼칭산[三清山)과 구이시의 룽후산, 난청의 마구산 등이 있다. 간시난 지역의 징강산은 혁명의 명소이자 운림천폭(云林泉瀑)의 경관으로도 이름난 명산이다. 그밖에 핑샹[萍乡]의 얼룡동(孽龍洞), 지안[吉安]의 청원동(青原洞), 간저우의 통천암(通天岩)과 루이진] 혁명명승지 등이 있다.
행정구역[편집]
장시성은 11개의 지급시로 구성되었다.
- 난창시(南昌市)
- 징더전시(景德镇市)
- 핑샹시(萍乡市)
- 주장시(九江市)
- 신위시(新余市)
- 잉탄시(鹰潭市)
- 간저우시(赣州市)
- 지안시(吉安市)
- 이춘시(宜春市)
- 푸저우시(抚州市)
- 상라오시(上饶市)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