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프체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잔글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러프체인''' | + | [[파일:러프체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러프체인'''(Ruffchain)]] |
+ | [[파일:러프체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러프체인'''(Ruffchain)]] | ||
− | == 주요 인물 == | + | '''러프체인'''<!--러프 체인, 루프체인, 루프 체인-->(Ruffchain)은 [[사물인터넷]](IoT)과 [[블록체인]]을 결합해 온라인 상거래를 촉진하기 위해 개발된 [[암호화폐]]이다. 창시자는 중국의 '''[[로이 리]]'''(Roy Li)이다. |
− | * '''[[로이 리]]'''(Roy Li) : 러프체인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 + | |
− | * '''[[진티안웨이]]'''(Jin Tianwei) : 러프체인의 최고마케팅책임자(CMO)이다. | + | ==개요== |
+ | 특정 목적을 갖는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기술인 사물인터넷은 수많은 사업적 기능성을 확장시킨다. 동시에 사물인터넷은 블록체인과 유사한 분산 및 분권화된 환경 요소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 블록체인 기술을 사물인터넷에 적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적으로 사물인터넷은 디바이스마다 인터넷과 연결되기 때문에, [[해킹]]과 제3자 개입 등 잠재적 위험성과 인증에 대한 고려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저장 [[데이터]]의 보안 관련 위변조가 어려운 특성을 지닌 블록체인을 사물인터넷에 접목시킴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 ||
+ | |||
+ | 러프체인은 사물인터넷을 위해 개발된 [[퍼블릭 블록체인]]이며, 누구나 모든 [[디바이스]] [[앱]]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소프트웨어]] [[레이어]] 개발자가 [[탈중앙화]]된 드라이버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개발을 위해 호환되는 추상화 레이어를 제공하여 드라이버, 프로세스 제어, 메모리 제어 등 내장형 시스템 개발에서는 가장 어려운 부분을 쉽게 건너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 운영체제 솔루션과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임베디드]] 시스템 및 엣지 컴퓨터의 개발 장벽을 낮추는 일에 전념한다.<ref>블록체인투데이, 〈[http://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4 러프체인(RUFF CHAIN), IoT 기술의 새로운 미래를 지향하는 사람들]〉, 《블록체인투데이》, 2018-09-12</ref> | ||
+ | |||
+ | 러프체인은 '계획-실행-모니터링-피드백' 과정을 채택하여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반복하여 더 나은 블록체인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생태계에서는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하며, 러프체인 블록체인 안의 생태계에서 인센티브와 소비, 그리고 거래를 위한 화폐로 [[러프토큰]](Ruff Token)을 사용한다. 소비자는 재산권 또는 데이터를 거래하는 과정에서 일정량의 [[토큰]]을 소비하고, 해당 [[노드]]의 리소스를 제공하고 검증하며, 청구하는 생산자들은 러프토큰을 대가로 받게 된다. | ||
+ | |||
+ | == 등장배경 == | ||
+ | 2세대 ID카드에서 전자식 통행료 징수(ETC) 시스템, 물류 및 운송에서 제조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 곳곳에서 사물인터넷이 활용되고 있다. 2020년까지 340억 개의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중 70%가 사물인터넷 기기이고 6조 달러 이상이 사물인터넷 개발에 투자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야말로 사물인터넷 시대가 도래했다. 그러나 이 중요한 발전의 과정에서 사물인터넷은 전례 없는 어려움과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단편화(fragmentation) 문제에 직면해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및 [[인텔]]과 같은 대기업을 비롯한 전체 사물인터넷 시장이 제조업계의 장비 표준을 제외하고는 전부 각자의 생태계를 구축했다. 지적 생명, 지능형 생산, 지능형 사회 등에 대한 기대가 끊임없이 고조되고 있지만 사물인터넷은 [[하드웨어]] 개발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자 사이의 전문성의 간극뿐 아니라 전 부문에 걸친 비효율적 커뮤니케이션, 단편화로 인해 발생하는 비호환성 문제에 부딪히고 있다. | ||
+ | |||
+ | 러프체인은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어떻게 해야 사물인터넷의 적용이 개발자와 사용자에게 진정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을지'의 고민에서 시작했다. 이러한 해결이 바로 러프체인의 목적인데, 러프체인은 사물인터넷의 단편화를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표준과 [[플랫폼]]을 실현함과 동시에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잠재적인 단편화 문제에 방해받지 않고 다양한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 ||
+ | |||
+ | ==역사== | ||
+ | 2014년에 창업한 러프체인은 수년간 업계에서 축적한 예리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초기 단계에서 시장을 예측했고, 초기 시장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과감하게 R&D를 시작했다. 초창기 러프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사물인터넷의 [[안드로이드]]와 같은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산업 내 기술적 리스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삼은 결과, 그들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사이를 원활하게 연결해야만 사물인터넷이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이들은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개발 자체의 어려움, 그리고 개발에 접근하기까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영 체제에 초점을 맞췄다. 그로부터 1년 뒤,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한층 용이하게 하는 러프체인 사물인터넷 운영체제가 [[SDK]] 소프트웨어 툴 개발 키트, 소프트웨어 패키지 공유, 그리고 사물인터넷 개발 스위트라는 세부 구성을 포함하여 공식적으로 출시되었다. 그리고 바로 그 해에, 러프체인의 사물인터넷 운영체제는 상업 구현의 첫걸음을 실현했다. 한 에너지 기업의 경우, 사물인터넷 기술 지원을 위해 러프를 선택한 결과, 독자적으로 개발한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와 기반 [[OS]]를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PV 파워 스테이션 운영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솔루션 패키지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었다. | ||
+ | |||
+ | 2016년이 러프체인 사물인터넷 운영체제가 실험과 개선을 반복하는 학습의 해였다면, 2017년은 상업적 결과물에 집중한 해라고 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운영체제는 산업 부문에서 그야말로 위대한 도약을 실현했으며, 전통적인 형태의 플랜트들이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지원하는 데에 집중했다. 대부분의 전통적 플랜트들은 블랙박스 방식을 지향하기 때문에 각 장비와 제품의 생산 상태를 누구도 알 수 없고, 이는 생산 계획이 제때 완료되지 못하게 할 뿐 아니라 인건비 증가, 예기치 못한 장비 가동 중단으로 인한 중대한 손실의 가능성을 높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플랜트들이 자연스럽게 디지털 방식을 받아들임으로써 극복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같은 패러다임 변화의 과정에서 러프체인은 산업용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인 러프플렌 인사이트(Riff Plan Insight)를 출시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기반 장치 데이터의 수집과 액세스, 데이터 클라우딩, 터미널 현장 시가화 디스플레이를 하나로 통합시킨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 단말기 생산자, 장치 대여자, 서비스 제공자 등 여러 구성원이 다양하고 유연한 비즈니스를 형성할 수 있으며, 원격 장비 관리와 실시간 데이터 액세스, 단말기 상태 점검 등 비즈니스 구현을 보다 구체화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 ||
+ | |||
+ | 2017년 말부터 러프의 야심은 소프트웨어 분야를 넘어 하드웨어로까지 확장됐다. 2017년 4분기에 러프는 1. 호환성(플러그 앤드 플레이), 2. [[확장성]](하드웨어를 정의하는 소프트웨어), 3. 유지보수의 편의성(OOTB)이라는 세 가지 주요 특징에 집중한 사물인터넷 인텔리전트 게이트를 출시했다. 이 장치는 여러 단말기를 연결하기에 충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지니고 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지식 없이도 간단한 3단계만으로 장치의 설비와 구성을 완료할 수 있다.<ref>Ruff Chain in RuffChain, 〈[https://medium.com/ruffchain/%EB%9F%AC%ED%94%84%EA%B0%80-%EA%B1%B8%EC%96%B4%EC%98%A8-%EA%B8%B0%EC%88%A0%EC%A0%81-%ED%98%81%EC%8B%A0%EC%9D%98-%EA%B8%B8-%EC%9C%84%EB%8C%80%ED%95%9C-%EB%8F%84%EC%95%BD-13c915fa283c 러프가 걸어온 기술적 혁신의 길, “위대한 도약”]〉, 《미디엄》, 2018-07-13</ref> | ||
+ | |||
+ | == 주요 인물 == | ||
+ | [[파일:로이 리.jpg|썸네일|200픽셀|'''[[로이 리]]'''(Roy Li) 러프체인 창시자 겸 대표이사]] | ||
+ | [[파일:진티안웨이.jpg|썸네일|200픽셀|'''[[진티안웨이]]'''(Jin Tianwei) 최고마케팅책임자(CMO)]] | ||
+ | |||
+ | * '''[[로이 리]]'''(Roy Li) : 러프체인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노키아]](Nokia)의 북미 지역 기술이사를 역임하며 OVI 오픈 플랫폼 및 심비안 OS를 담당했던 노련한 기업가이다. GITC와 [[큐콘]](QCon)의 제작자이자 강사로 유명세를 얻기도 했으며, 중국 상하이 푸단대학교(Fudan University)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중국-유럽 국제경영대학원의 객원 강사로 사물인터넷 담론을 이끌어 왔다. [[네트워크]] [[보안]] 및 블록체인 테크놀로지 분야에서 얻은 명성을 증명하는 듯, 그가 개설한 중국의 유명한 네트워크 Q&A 커뮤니티인 [[즈후]](Zhihu) 계정은 2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러프의 퍼블릭 블록체인 개발을 보다 널리 대중화하고 사물인터넷 분야의 기존 고객을 유치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ref name="주요인물">Ruff Chain, 〈[https://medium.com/@ruffchain/%EB%9F%AC%ED%94%84%EC%B2%B4%EC%9D%B8-%EB%AA%A9%ED%91%9C%EB%A5%BC-%EB%8B%AC%EC%84%B1%ED%95%98%EA%B3%A0-%EB%AF%B8%EB%9E%98%EB%A5%BC-%EC%A7%80%ED%96%A5%ED%95%98%EB%8A%94-%EC%82%AC%EB%9E%8C%EB%93%A4-8cce66341d0a 러프체인 : 목표를 달성하고 미래를 지향하는 사람들]〉, 《미디엄》, 2018-08-06</ref> | ||
+ | |||
+ | * '''[[진티안웨이]]'''(Jin Tianwei) : 러프체인의 최고마케팅책임자(CMO)이다. 버지니아 주립 대학교(Virginia State University)에서 수학과 경제학을 복수전공하고,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서 기업가 정신 석사를 취득했다. [[르박스캐피탈]](LeBox Capital)의 투자이사를 역임했으며 [[이항드론즈]](Ehang Drones), [[유센스테크놀로지]](uSens Technology)와 같은 유명한 엔젤 투자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푸단대학교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연구소에서 객원 강의 를 맡았고, China Thinks Big의 자문위원이자 중국-유럽 국제경영대학원의 VCIC를 지내기도 했다. 그는 2017년, 2018년 연속으로 [[포브스]] 선정 '중국의 30세 이하 리더 30인'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현재 러프에서 진 티안웨이는 국내 사업과 해외 사업을 모두 총괄하고 있으며 브랜드 구축, 유지 관리 및 커뮤니티 구축과 같은 프로젝트 홍보를 담당하고 있다.<ref name="주요인물"></ref> | ||
+ | |||
+ | * '''[[저우 옌]]'''(Zhou Yan) : 러프체인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이다. 그는 20년 이상 [[IT]]와 인터넷 업계에 헌신해 온 베테랑이다. 지클래스(GGlass)의 공동창립자 겸 최고운영책임자를 역임했으며 풍부한 실전 경영 경험을 자랑하는 노련한 기업가이다. 저우 옌이 밝힌 당면 목표는 사물인터넷-블록체인 사업 영역을 위해 블록체인 사업 계획과 기술 시나리오 개발에 주력하는 것이다. 그는 기존 사물인터넷 고객들에게 블록체인을 접목한 업그레이드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f name="주요인물"></ref> | ||
+ | |||
+ | ==특징== | ||
+ |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 | ||
+ | 블록체인 기술은 출현과 동시에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광범위한 대중적 관심사가 되었다. [[IBM]]은 사물인터넷이 블록체인 기술의 최적화된 시나리오이며, 사물인터넷 데이터의 일관성, 보안, 변조 저항성을 실현하고 보장하기 위해서도 해당 기술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고립된 정보섬 문제(Information Isolated Island)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의 결합이 점차 필수가 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러프체인은 사물인터넷에 초점을 맞추었고, 시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물인터넷의 탄력적인 수요를 최대한 충족시키는 데에 집중했다. 그 결과, 분산되고 [[탈중앙화]]된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구현하는 강력한 기술과 [[UX]]를 보장하는 러프체인을 선보일 수 있었다. 러프체인 플랫폼에는 추상화된 하드웨어 레이어가 존재하며, 이를 통해 모든 하드웨어를 추상화하여 자체 개발의 임계점을 낮출 수 있음으로 보다 가치 요구에 부합하며 실용적이다.<ref name="특징">Ruff Chain, 〈[https://medium.com/ruffchain/%EB%9F%AC%ED%94%84%EC%B2%B4%EC%9D%B8-iot%EB%A5%BC-%EC%9C%84%ED%95%B4-%ED%83%84%EC%83%9D%ED%95%9C-iot%EB%A5%BC-%EC%84%A0%EB%8F%84%ED%95%98%EB%8A%94-%EC%B0%A8%EC%84%B8%EB%8C%80-%EA%B8%B0%EC%88%A0-7de1981019e2 러프체인 : IoT를 위해 탄생한, IoT를 선도하는 차세대 기술]〉, 《미디엄》, 2018-07-04</ref> | ||
+ | |||
+ | ===합의 알고리즘=== | ||
+ | 러프는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다. 위임지분증명 방식에서는 보유 토큰 수 등으로 일정하게 정의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수만 개의 [[지분증명]](PoS) [[노드]] 가운데 홀수 노드를 선택한다. 이 [[오프체인]] 노드는 매번 투표를 통해 선택되며, 선택 과정의 효율성은 지속적으로 개선된다. 최대 100개 노드에서 수집되는 투표와 합의는 일반적으로 수 초 내에 얻어지며, 이는 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이 체크포인트의 정확성, 즉 검증 시간을 초 단위로 높일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위임지분증명 방식은 다른 합의 알고리즘보다 적은 네트워크 리소스를 소모하게 된다.<ref name="특징2">Ruff Chain, 〈[https://medium.com/@ruffchain/%EC%82%AC%EB%AC%BC-%EC%9D%B8%ED%84%B0%EB%84%B7%EC%9D%84-%EC%9C%84%ED%95%9C-%EB%B8%94%EB%A1%9D%EC%B2%B4%EC%9D%B8-%ED%94%84%EB%A1%9C%EC%A0%9D%ED%8A%B8-%EB%9F%AC%ED%94%84%EC%B2%B4%EC%9D%B8-vs-iota-fbc1149e4cc4 사물 인터넷을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 러프체인 vs IOTA]〉, 《미디엄》, 2018-07-27</ref> | ||
+ | |||
+ | 사물인터넷은 최대 500억 개의 노드를 관리해야 한다. 핸드폰, PC와는 그 규모 자체가 다르다. 센서, 카메라, MCU, 갖가지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 모든 게 컴퓨팅 유닛에 해당된다. MCU에는 장부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없다. 이런 유닛에 할당되는 역할이 바로 데이터 프로세싱과 비즈니스 로직 적용, 알람 설정 등이 있다. 다음은 게이트웨이 라우터가 있는데, 이 경우는 유닛이 좀 더 큰 편이다. 이 유닛을 [[SPV]]라고 한다. [[블록]] 정보를 모두 저장하지는 않지만, 해시만 저장하거나 거래 타당성이나 업데이트 정보가 타당한지 판단하고 정보를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풀노드]]가 있다. 풀노드는 최대 500GB/1TB의 용량을 사용하는데, 이더리움은 현재 풀노드로 500GB를 사용하고 있다. 풀노드는 보통 메인 프레임 컴퓨터의 데이터 센터로 사용된다. 이들 노드는 거래나 계약 장부를 담당하는데 현재 글로벌 표준에 맞춰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다음은 일렉틱 노드이다. 마치 채굴자와 같이 팩 내의 모든 정보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거래와 모든 계약 데이터를 묶어 노드 사이에서 합의 알고리즘 역할을 한다.<ref>Ruff Chain in RuffChain, 〈[https://medium.com/ruffchain/%EB%9F%AC%ED%94%84%EC%B2%B4%EC%9D%B8-in-%EC%BD%94%EC%9D%B8%EC%9D%B8%ED%84%B0%EB%B7%B0-ruff-iot%EC%99%80-%EB%B8%94%EB%A1%9D%EC%B2%B4%EC%9D%B8-%EA%B8%B0%EC%88%A0%EC%9D%84-%EC%9D%B4%EC%96%B4%EC%A4%80%EB%8B%A4-517a1746d519 러프체인 in 코인인터뷰 “Ruff, ‘IoT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어준다’”]〉, 《미디엄》, 2018-06-28</ref> | ||
+ | |||
+ | ===토큰 이코노미=== | ||
+ | 러프체인은 현실 세계와 가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가치의 전달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재산권을 분배하고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다. 러프체인은 사물인터넷의 모든 데이터가 블록체인에 적합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데이터가 함부로 변조될 수 없다는 블록체인의 개념은 중요하지만,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저장하고 순환하는 비용은 블록체인의 분산 [[데이터베이스]]로는 감당하기 어렵다. 기존의 인터넷 상품은 크게 둘로 분류되어 있다. 프레젠테이션 레이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네트워크와 백엔드에서 이루어지는 가치 네트워크가 바로 그것이다. 비록 프레젠테이션 레이어에서 다루어지는 데이터가 전체의 99% 이상을 차지하지만, 사물인터넷에서는 백엔드의 나머지 1%가 더 중요하다. 예를 들어 모바이크(MoBike)가 광역 사물인터넷에 속하는 반면, 러프체인이 접속하는 PV 발전소는 로컬 사물인터넷에 속한다. 두 경우 모두, 그들의 데이터는 가치 네트워크에 해당한다. PV의 전력 생산, 소득 통계, 모바이크 사용량 등의 데이터는 모두 금융 상품이나 지불 수단과 밀접하기 때문에, 언제나 사적인 이익을 위해 데이터를 조작하려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다.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고 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보장하는 것이 필수이다. 러프체인은 에지 노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중 절대적인 일관성이 요구되는 가치 있는 데이터를 연결하여 가치가 전달되고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적 방식으로 운영된다. | ||
+ | |||
+ | ===통신 효율성=== | ||
+ | 사물인터넷 시대의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커뮤니케이션, 특히 서로 다른 표준을 가진 서로 다른 장치 간의 통신, 그리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간의 통신이다. 그러나 러프체인은 이러한 통신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을 뿐 아니라 높은 통신 효율성을 보장한다.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표준화하고 완전히 다른 하드웨어 범주로 구성된 사물인터넷 운영체제에 러프체인을 적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장치 간의 통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러프체인은 현재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하드웨어 공급 업체 시스템과 호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직렬로 연결하여 완벽하게 하나로 만들어 하드웨어 간의 진정한 단일성을 실현한다. 뿐만 아니라 러프체인은 기반 하드웨어를 캡슐화함으로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 장벽을 허물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하드웨어 지식 없이도 마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듯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방성은 러프체인 시스템에 대응하는 모든 하드웨어에 적용된다.<ref name="특징"></ref> | ||
+ | |||
+ | {{각주}} | ||
== 참고자료 == | == 참고자료 == | ||
− | * 러프체인 공식 홈페이지 - http://ruffchain.com/ | + | * 러프체인 공식 홈페이지 - http://ruffchain.com/ |
* 러프체인 텔레그램 - https://t.me/ruffchain | * 러프체인 텔레그램 - https://t.me/ruffchain | ||
* 러프체인 블로그 - https://ruffchain.com/blog/ | * 러프체인 블로그 - https://ruffchain.com/blog/ | ||
25번째 줄: | 70번째 줄: | ||
* [[진티안웨이]] | * [[진티안웨이]] | ||
− | + |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
− | {{암호화폐 종류| |
2020년 7월 3일 (금) 17:11 기준 최신판
러프체인(Ruffchain)은 사물인터넷(IoT)과 블록체인을 결합해 온라인 상거래를 촉진하기 위해 개발된 암호화폐이다. 창시자는 중국의 로이 리(Roy Li)이다.
목차
개요[편집]
특정 목적을 갖는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기술인 사물인터넷은 수많은 사업적 기능성을 확장시킨다. 동시에 사물인터넷은 블록체인과 유사한 분산 및 분권화된 환경 요소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 블록체인 기술을 사물인터넷에 적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적으로 사물인터넷은 디바이스마다 인터넷과 연결되기 때문에, 해킹과 제3자 개입 등 잠재적 위험성과 인증에 대한 고려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저장 데이터의 보안 관련 위변조가 어려운 특성을 지닌 블록체인을 사물인터넷에 접목시킴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러프체인은 사물인터넷을 위해 개발된 퍼블릭 블록체인이며, 누구나 모든 디바이스 앱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소프트웨어 레이어 개발자가 탈중앙화된 드라이버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개발을 위해 호환되는 추상화 레이어를 제공하여 드라이버, 프로세스 제어, 메모리 제어 등 내장형 시스템 개발에서는 가장 어려운 부분을 쉽게 건너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 운영체제 솔루션과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임베디드 시스템 및 엣지 컴퓨터의 개발 장벽을 낮추는 일에 전념한다.[1]
러프체인은 '계획-실행-모니터링-피드백' 과정을 채택하여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반복하여 더 나은 블록체인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생태계에서는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하며, 러프체인 블록체인 안의 생태계에서 인센티브와 소비, 그리고 거래를 위한 화폐로 러프토큰(Ruff Token)을 사용한다. 소비자는 재산권 또는 데이터를 거래하는 과정에서 일정량의 토큰을 소비하고, 해당 노드의 리소스를 제공하고 검증하며, 청구하는 생산자들은 러프토큰을 대가로 받게 된다.
등장배경[편집]
2세대 ID카드에서 전자식 통행료 징수(ETC) 시스템, 물류 및 운송에서 제조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 곳곳에서 사물인터넷이 활용되고 있다. 2020년까지 340억 개의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중 70%가 사물인터넷 기기이고 6조 달러 이상이 사물인터넷 개발에 투자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야말로 사물인터넷 시대가 도래했다. 그러나 이 중요한 발전의 과정에서 사물인터넷은 전례 없는 어려움과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단편화(fragmentation) 문제에 직면해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및 인텔과 같은 대기업을 비롯한 전체 사물인터넷 시장이 제조업계의 장비 표준을 제외하고는 전부 각자의 생태계를 구축했다. 지적 생명, 지능형 생산, 지능형 사회 등에 대한 기대가 끊임없이 고조되고 있지만 사물인터넷은 하드웨어 개발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자 사이의 전문성의 간극뿐 아니라 전 부문에 걸친 비효율적 커뮤니케이션, 단편화로 인해 발생하는 비호환성 문제에 부딪히고 있다.
러프체인은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어떻게 해야 사물인터넷의 적용이 개발자와 사용자에게 진정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을지'의 고민에서 시작했다. 이러한 해결이 바로 러프체인의 목적인데, 러프체인은 사물인터넷의 단편화를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표준과 플랫폼을 실현함과 동시에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잠재적인 단편화 문제에 방해받지 않고 다양한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역사[편집]
2014년에 창업한 러프체인은 수년간 업계에서 축적한 예리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초기 단계에서 시장을 예측했고, 초기 시장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과감하게 R&D를 시작했다. 초창기 러프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사물인터넷의 안드로이드와 같은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산업 내 기술적 리스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삼은 결과, 그들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사이를 원활하게 연결해야만 사물인터넷이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이들은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개발 자체의 어려움, 그리고 개발에 접근하기까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영 체제에 초점을 맞췄다. 그로부터 1년 뒤,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한층 용이하게 하는 러프체인 사물인터넷 운영체제가 SDK 소프트웨어 툴 개발 키트, 소프트웨어 패키지 공유, 그리고 사물인터넷 개발 스위트라는 세부 구성을 포함하여 공식적으로 출시되었다. 그리고 바로 그 해에, 러프체인의 사물인터넷 운영체제는 상업 구현의 첫걸음을 실현했다. 한 에너지 기업의 경우, 사물인터넷 기술 지원을 위해 러프를 선택한 결과, 독자적으로 개발한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와 기반 OS를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PV 파워 스테이션 운영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솔루션 패키지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었다.
2016년이 러프체인 사물인터넷 운영체제가 실험과 개선을 반복하는 학습의 해였다면, 2017년은 상업적 결과물에 집중한 해라고 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운영체제는 산업 부문에서 그야말로 위대한 도약을 실현했으며, 전통적인 형태의 플랜트들이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지원하는 데에 집중했다. 대부분의 전통적 플랜트들은 블랙박스 방식을 지향하기 때문에 각 장비와 제품의 생산 상태를 누구도 알 수 없고, 이는 생산 계획이 제때 완료되지 못하게 할 뿐 아니라 인건비 증가, 예기치 못한 장비 가동 중단으로 인한 중대한 손실의 가능성을 높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플랜트들이 자연스럽게 디지털 방식을 받아들임으로써 극복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같은 패러다임 변화의 과정에서 러프체인은 산업용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인 러프플렌 인사이트(Riff Plan Insight)를 출시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기반 장치 데이터의 수집과 액세스, 데이터 클라우딩, 터미널 현장 시가화 디스플레이를 하나로 통합시킨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 단말기 생산자, 장치 대여자, 서비스 제공자 등 여러 구성원이 다양하고 유연한 비즈니스를 형성할 수 있으며, 원격 장비 관리와 실시간 데이터 액세스, 단말기 상태 점검 등 비즈니스 구현을 보다 구체화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2017년 말부터 러프의 야심은 소프트웨어 분야를 넘어 하드웨어로까지 확장됐다. 2017년 4분기에 러프는 1. 호환성(플러그 앤드 플레이), 2. 확장성(하드웨어를 정의하는 소프트웨어), 3. 유지보수의 편의성(OOTB)이라는 세 가지 주요 특징에 집중한 사물인터넷 인텔리전트 게이트를 출시했다. 이 장치는 여러 단말기를 연결하기에 충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지니고 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지식 없이도 간단한 3단계만으로 장치의 설비와 구성을 완료할 수 있다.[2]
주요 인물[편집]
- 로이 리(Roy Li) : 러프체인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노키아(Nokia)의 북미 지역 기술이사를 역임하며 OVI 오픈 플랫폼 및 심비안 OS를 담당했던 노련한 기업가이다. GITC와 큐콘(QCon)의 제작자이자 강사로 유명세를 얻기도 했으며, 중국 상하이 푸단대학교(Fudan University)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중국-유럽 국제경영대학원의 객원 강사로 사물인터넷 담론을 이끌어 왔다. 네트워크 보안 및 블록체인 테크놀로지 분야에서 얻은 명성을 증명하는 듯, 그가 개설한 중국의 유명한 네트워크 Q&A 커뮤니티인 즈후(Zhihu) 계정은 2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러프의 퍼블릭 블록체인 개발을 보다 널리 대중화하고 사물인터넷 분야의 기존 고객을 유치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3]
- 진티안웨이(Jin Tianwei) : 러프체인의 최고마케팅책임자(CMO)이다. 버지니아 주립 대학교(Virginia State University)에서 수학과 경제학을 복수전공하고,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서 기업가 정신 석사를 취득했다. 르박스캐피탈(LeBox Capital)의 투자이사를 역임했으며 이항드론즈(Ehang Drones), 유센스테크놀로지(uSens Technology)와 같은 유명한 엔젤 투자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푸단대학교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연구소에서 객원 강의 를 맡았고, China Thinks Big의 자문위원이자 중국-유럽 국제경영대학원의 VCIC를 지내기도 했다. 그는 2017년, 2018년 연속으로 포브스 선정 '중국의 30세 이하 리더 30인'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현재 러프에서 진 티안웨이는 국내 사업과 해외 사업을 모두 총괄하고 있으며 브랜드 구축, 유지 관리 및 커뮤니티 구축과 같은 프로젝트 홍보를 담당하고 있다.[3]
- 저우 옌(Zhou Yan) : 러프체인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이다. 그는 20년 이상 IT와 인터넷 업계에 헌신해 온 베테랑이다. 지클래스(GGlass)의 공동창립자 겸 최고운영책임자를 역임했으며 풍부한 실전 경영 경험을 자랑하는 노련한 기업가이다. 저우 옌이 밝힌 당면 목표는 사물인터넷-블록체인 사업 영역을 위해 블록체인 사업 계획과 기술 시나리오 개발에 주력하는 것이다. 그는 기존 사물인터넷 고객들에게 블록체인을 접목한 업그레이드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3]
특징[편집]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편집]
블록체인 기술은 출현과 동시에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광범위한 대중적 관심사가 되었다. IBM은 사물인터넷이 블록체인 기술의 최적화된 시나리오이며, 사물인터넷 데이터의 일관성, 보안, 변조 저항성을 실현하고 보장하기 위해서도 해당 기술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고립된 정보섬 문제(Information Isolated Island)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의 결합이 점차 필수가 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러프체인은 사물인터넷에 초점을 맞추었고, 시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물인터넷의 탄력적인 수요를 최대한 충족시키는 데에 집중했다. 그 결과, 분산되고 탈중앙화된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구현하는 강력한 기술과 UX를 보장하는 러프체인을 선보일 수 있었다. 러프체인 플랫폼에는 추상화된 하드웨어 레이어가 존재하며, 이를 통해 모든 하드웨어를 추상화하여 자체 개발의 임계점을 낮출 수 있음으로 보다 가치 요구에 부합하며 실용적이다.[4]
합의 알고리즘[편집]
러프는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다. 위임지분증명 방식에서는 보유 토큰 수 등으로 일정하게 정의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수만 개의 지분증명(PoS) 노드 가운데 홀수 노드를 선택한다. 이 오프체인 노드는 매번 투표를 통해 선택되며, 선택 과정의 효율성은 지속적으로 개선된다. 최대 100개 노드에서 수집되는 투표와 합의는 일반적으로 수 초 내에 얻어지며, 이는 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이 체크포인트의 정확성, 즉 검증 시간을 초 단위로 높일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위임지분증명 방식은 다른 합의 알고리즘보다 적은 네트워크 리소스를 소모하게 된다.[5]
사물인터넷은 최대 500억 개의 노드를 관리해야 한다. 핸드폰, PC와는 그 규모 자체가 다르다. 센서, 카메라, MCU, 갖가지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 모든 게 컴퓨팅 유닛에 해당된다. MCU에는 장부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없다. 이런 유닛에 할당되는 역할이 바로 데이터 프로세싱과 비즈니스 로직 적용, 알람 설정 등이 있다. 다음은 게이트웨이 라우터가 있는데, 이 경우는 유닛이 좀 더 큰 편이다. 이 유닛을 SPV라고 한다. 블록 정보를 모두 저장하지는 않지만, 해시만 저장하거나 거래 타당성이나 업데이트 정보가 타당한지 판단하고 정보를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풀노드가 있다. 풀노드는 최대 500GB/1TB의 용량을 사용하는데, 이더리움은 현재 풀노드로 500GB를 사용하고 있다. 풀노드는 보통 메인 프레임 컴퓨터의 데이터 센터로 사용된다. 이들 노드는 거래나 계약 장부를 담당하는데 현재 글로벌 표준에 맞춰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다음은 일렉틱 노드이다. 마치 채굴자와 같이 팩 내의 모든 정보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거래와 모든 계약 데이터를 묶어 노드 사이에서 합의 알고리즘 역할을 한다.[6]
토큰 이코노미[편집]
러프체인은 현실 세계와 가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가치의 전달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재산권을 분배하고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다. 러프체인은 사물인터넷의 모든 데이터가 블록체인에 적합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데이터가 함부로 변조될 수 없다는 블록체인의 개념은 중요하지만,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저장하고 순환하는 비용은 블록체인의 분산 데이터베이스로는 감당하기 어렵다. 기존의 인터넷 상품은 크게 둘로 분류되어 있다. 프레젠테이션 레이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네트워크와 백엔드에서 이루어지는 가치 네트워크가 바로 그것이다. 비록 프레젠테이션 레이어에서 다루어지는 데이터가 전체의 99% 이상을 차지하지만, 사물인터넷에서는 백엔드의 나머지 1%가 더 중요하다. 예를 들어 모바이크(MoBike)가 광역 사물인터넷에 속하는 반면, 러프체인이 접속하는 PV 발전소는 로컬 사물인터넷에 속한다. 두 경우 모두, 그들의 데이터는 가치 네트워크에 해당한다. PV의 전력 생산, 소득 통계, 모바이크 사용량 등의 데이터는 모두 금융 상품이나 지불 수단과 밀접하기 때문에, 언제나 사적인 이익을 위해 데이터를 조작하려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다.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고 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보장하는 것이 필수이다. 러프체인은 에지 노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중 절대적인 일관성이 요구되는 가치 있는 데이터를 연결하여 가치가 전달되고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적 방식으로 운영된다.
통신 효율성[편집]
사물인터넷 시대의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커뮤니케이션, 특히 서로 다른 표준을 가진 서로 다른 장치 간의 통신, 그리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간의 통신이다. 그러나 러프체인은 이러한 통신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을 뿐 아니라 높은 통신 효율성을 보장한다.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표준화하고 완전히 다른 하드웨어 범주로 구성된 사물인터넷 운영체제에 러프체인을 적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장치 간의 통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러프체인은 현재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하드웨어 공급 업체 시스템과 호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직렬로 연결하여 완벽하게 하나로 만들어 하드웨어 간의 진정한 단일성을 실현한다. 뿐만 아니라 러프체인은 기반 하드웨어를 캡슐화함으로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 장벽을 허물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하드웨어 지식 없이도 마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듯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방성은 러프체인 시스템에 대응하는 모든 하드웨어에 적용된다.[4]
각주[편집]
- ↑ 블록체인투데이, 〈러프체인(RUFF CHAIN), IoT 기술의 새로운 미래를 지향하는 사람들〉, 《블록체인투데이》, 2018-09-12
- ↑ Ruff Chain in RuffChain, 〈러프가 걸어온 기술적 혁신의 길, “위대한 도약”〉, 《미디엄》, 2018-07-13
- ↑ 3.0 3.1 3.2 Ruff Chain, 〈러프체인 : 목표를 달성하고 미래를 지향하는 사람들〉, 《미디엄》, 2018-08-06
- ↑ 4.0 4.1 Ruff Chain, 〈러프체인 : IoT를 위해 탄생한, IoT를 선도하는 차세대 기술〉, 《미디엄》, 2018-07-04
- ↑ Ruff Chain, 〈사물 인터넷을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 러프체인 vs IOTA〉, 《미디엄》, 2018-07-27
- ↑ Ruff Chain in RuffChain, 〈러프체인 in 코인인터뷰 “Ruff, ‘IoT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어준다’”〉, 《미디엄》, 2018-06-28
참고자료[편집]
- 러프체인 공식 홈페이지 - http://ruffchain.com/
- 러프체인 텔레그램 - https://t.me/ruffchain
- 러프체인 블로그 - https://ruffchain.com/blog/
- 러프체인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RuffChainProject/
- Ruff Chain in RuffChain, 〈러프체인 in 코인인터뷰 “Ruff, ‘IoT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어준다’”〉, 《미디엄》, 2018-06-28
- Ruff Chain in RuffChain, 〈러프가 걸어온 기술적 혁신의 길, “위대한 도약”〉, 《미디엄》, 2018-07-13
- 박성준 기자, 〈블록체인 기술, Ruff Chain(러프체인)...분산형 태양광(PV) 발전소의 자산관리와 금융 증권화 실현〉, 《빅데이터뉴스》, 2018-07-13
- Ruff Chain, 〈러프체인: 목표를 달성하고 미래를 지향하는 사람들〉, 《미디엄》, 2018-08-06
- Ruff Chain, "RuffChain Test Network Open Beta Officially Started on January 31", Medium, 2018-08-06
- 강명수 기자, 〈방한 러프체인, 서울 8월 1일 밋업 이어 후오비 카니발까지 참석〉, 《인천뉴스》, 2018-08-08
- 이동희 기자, 〈‘러프체인’ 아미노 캐피탈, 아이리스넷과 함께 中美 블록체인 경제·기술 공동체 논의〉, 《중앙일보》, 2018-08-13
- 오셀롯스라소니MH3, 〈Ruff chain 금일 질의응답〉, 《코박》, 2018-10-04
- 블록투데이, 〈제7회 블록데일리AMA ‘러프체인’ 진 티안웨이 CMO와의 대화〉, 《블록투데이》, 2018-10-08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