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무이메타블록체인

위키원
lkw3762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월 25일 (월) 13:23 판 (같이 보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무이메타블록체인(MUI Meta-Blockchain)

무이메타블록체인(MUI Meta-Blockchain)은 USC Viterbi 공과대학과 소버린월렛 팀이 함께 공동 개발, 연구한 메인넷 프로젝트이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은 사토시 나카모토의 비전을 완성한 최초의 암호화폐이다. 탈중앙화 암호화폐 기술과 중앙은행의 디지털 화폐 기술을 결합한 알고리즘 중앙은행 시스템을 기반으로한 가치 저장형 코인이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은 단일 블록체인 상에서 여러 디지털 화폐와 암호화폐를 지원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블록체인이다. 이 기술은 새로운 블록체인을 만들 필요 없이 새로운 디지털 코인과 담보가치와 연계된 스테이블 코인을 누구나 쉽게 발행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로부터 징수하는 거래 수수료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대신에, 무이메타블록체인은 선언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통하여 블록체인 상에서 새로운 타입의 토큰들을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을 통해 중앙은행과 금융기관들이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를 쉽게 발행 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더 나아가 기본 소득제 구현, 화폐개혁(리디노미네이션)등 다양한 통화 정책 구현도 가능해졌다. ID 블록체인의 도입으로 소유권이 프라이빗키에 있지 않고 DID에 연동되어 프라이빗키 분실로 인한 자금 손실의 위험도 사라졌다.

개요

무이메타블록체인 생태계(MUI Meta-Blockchain Ecosystem)

무이메타블록체인[1][2][3][4]은 내부 안에 또 다른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는 블록체인이다. 이것은 디지털 화폐와 디지털 자산의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이나 은행이 담보 자산을 기반으로 새로운 화폐를 생성하고 자체 블록체인을 보유할 수 있는 분산형 신용 뱅킹이 가능하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은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또 다른 플랫폼을 만들 수 있는 최초의 '메타' 블록체인 플랫폼 중 하나이다. 이는 이용자가 암호화폐와 디지털 화폐, 토큰화된 자산을 발행할 수 있고 각각 자체 블록체인을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 계약 또는 체인 코드 기반 접근 방식에서는 발행된 토큰이 이더리움[5]이나 하이퍼레저[6]와 같은 기본 블록체인의 맨 위에 위치하게 되고, 모든 토큰은 이미 혼잡한 블록체인을 공유하기 때문에 성능이 심각하게 제한되고 거래비용 또한 매우 높다.

메인넷 블록체인을 개발하는 것은 컨센서스 프로토콜, 블록체인 노드, 사용자 지갑 등 생태계 전반의 발전을 고려할 때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특히 무엇보다도 Identity 블록체인의 적용 없이는 FATF 권고안을 만족하는 플랫폼 구축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한편, 무이메타블록체인에서 지역 화폐와 디지털 쿠폰을 발행하게 된다면 거래 비용의 문제와 개발비용의 문제 둘다 해결 할 수 있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은 토큰화된 수표와 토큰화된 현금의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으로 NetCheque[7]NetCash[8]의 개념을 분산시켰다.

무이메타블록체인 내부의 뱅크 노드는 익명의 현금 발행인으로서, 소액결제를 위한 청산소(Clearinghouse)역할을 하고 있다. 뱅크 노드는 합의 노드로서 토큰화된 수표 지불 및 이체 여부를 검증한다. 이 하이브리드 설계방식은 고속 및 저비용 소액결제와 고도로 안전한 수표 결제를 보장한다. 뱅크 노드는 무이메타블록체인 내부의 여러 블록체인의 마스터 노드로서, 각각의 다른 디지털 화폐나 디지털 자산의 아토믹 스왑을 보증하기 위한 인터블록체인 프로토콜을 수행한다. 디지털 화폐를 발행할 때, 특정 뱅크 노드가 중앙은행 노드가 되어 담보 자산을 증명하고, 모든 이용자의 거래 수수료를 보장한다.

무이메타블록체인에서 토큰 전송은 개인 키(Private Key)에서 파생된 주소가 아닌 사용자의 아이덴티티(ID)에 바인딩된다. 서명 개인키는 사용자의 지갑에 저장되고 공개키(Public Key)는 무이메타블록체인 내부의 아이덴티티 블록체인의 일부로 분산형 공개키 인프라에 등록된다. 담보가 있는 자산의 오라클 문제는 아이덴티티 블록체인 상에 등록된 공인(Public Identity)이 발급한 검증가능한 자격 증명(Verifiable Credentials)을 통해 증명이 가능하다. 뱅크 노드는 모바일 노드가 무이메타블록체인에서 생성된 디지털 화폐의 전체 노드(Full Node) 역할을 하도록 지원한다. 모바일 사용자는 모바일 노드를 운영해 특정 디지털 화폐의 컨센서스 프로토콜에 참여하고, 기여도에 따른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은 자체 진화하는 블록체인으로 설계됐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의 메인 프로그래밍 코드와 체인 코드는 컨센서스거버넌스 프로토콜의 대상이며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체인 코드는 네트워크가 아닌 노드의 가장자리, 즉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서 실행되며, 결과 데이터만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이는 블록체인의 필요한 데이터 저장량을 크게 줄인다.

뱅크 노드의 체인코드를 특별 운용하면 보편적 기본소득 구현이 가능하다. 이것은 한 국가 내 지정된 모든 신원 계정에 체인 코드를 추가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국가 화폐의 리디노미네이션은 뱅크 노드에 의한 체인 코드의 multiplication operation을 통해 국가의 모든 신원 계정에 즉각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강제이체나 상속은 특정 신원 계정에 대한 체인코드를 삭제하거나 추가함으로써 이행되며, 이를 위해서는 법인(Legal Entitiy)이 운영하는 노드로부터 검증 가능한 자격증명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이것을 실행하는 뱅크 노드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뱅크 노드는 디지털화된 통화 정책을 구현하기 위해 알고리즘 중앙은행(ACB)을 내장하고 있다. ACB의 통화정책 기준은 거버넌스 위원회의 합의 과정에 의해 합의된다. ACB 노드에 의해 생성된 정책 후보자는 다른 적대적 노드(Adversarial Nodes)의 도전을 받으며, ACB 노드는 연합 또는 분산 학습 프로세스에 의해 정책을 학습하고 업데이트한다. 메타블록체인내 ACB에 의한 연합 머신 러닝은 뱅크 노드와 모바일 노드가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서론

무이메타블록체인은 블록체인과 디지털 화폐 기술의 발전을 모두 계승하는 4세대 블록체인으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돈 세탁(Money Laundering)의 문제를 피할 수 있는 ID 기반 계정 구조를 갖췄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은 뱅크 노드와 모바일 노드라는 두 가지 다른 종류의 블록체인 노드를 가지고 있다. 뱅크 노드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을 피하기 위해 담보 자산을 기반으로 디지털 화폐를 발행하며, 뱅크 노드의 지원을 받는 모바일 노드는 메타블록체인에서 생성된 디지털 화폐의 전체 노드(Full Node) 역할을 할 수 있다.

체인 코드는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며 오프라인에서도 작동된다. 이것은 완전히 새로운 수준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으로 가는 문을 열어준다.

블록체인 상에 새로운 디지털 화폐의 다이나믹한 생성과 함께 무이메타블록체인은 현대 은행 시스템의 통화 증식(Currency Multiplication)을 지원한다. 시중은행들은 M1이나 M2 피아트 통화에 기반한 자체 디지털 화폐 버전을 다이나믹하게 발행 할 수 있으며, 무이메타블록체인은 체인코드를 컨센서스 데이터로 처리한다. 이는 기본소득, 프로그래밍 가능한 리디노미네이션, 상속, 자동 과세 등의 다양한 경제모델을 지원한다. 이로써 분권형 신용 금융 시대가 시작된다.

특징

두 계층 블록체인 노드: 뱅크 노드 및 모바일 노드

각각의 디지털 화폐 블록체인과 디지털 화폐 요약 원장쌍은 다이나믹하게 생성되는 블록체인들이다. 여기서, 블록체인이라는 용어는 해시 블록들의 체인으로 구성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즉, 분산형 데이터 스토리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체인과 원장을 말한다.

뱅크 노드

뱅크 노드는 무이메타블록체인 내부의 모든 블록체인에 대한 컨센서스(합의) 노드이며, 하이퍼인플레이션을 피하기 위해 담보 자산을 기반으로 디지털 화폐를 발행한다. 뱅크 노드는 항상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돼 있으며, 새로운 디지털 화폐를 생성할 때 생성될 모든 종류의 사전 구축 블록체인과 동적(Dynamic) 블록체인들을 포함하고 있다.

뱅크 노드는 허가형 노드(Permissioned Node)로서, 기존 뱅크 노드들의 승인하에 네트워크에 합류 할 수 있다. 아이덴티티 블록체인, 체인코드 등록 블록체인, 체인코드 실행 블록체인, 자산 등록 블록체인, 디지털화폐 등록 블록체인들은 모두 사전 구축된 블록체인들이다.

모바일 노드

모바일 노드는 유저 노드 및 부분 컨센서스 노드로서 무이메타블록체인에서 생성된 특정 디지털 화폐에 대한 검증자 노드이며, 뱅크 노드의 지원을 받는 모바일 노드는 메타블록체인에서 생성된 디지털 화폐의 전체 노드(Full Node) 역할을 할 수 있다. 유저들은 디지털 화폐의 컨센서스 과정에 참여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기여 증명 방식(Proof of Contribution)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모바일 노드는 새로 생성된 디지털 화폐의 전체 노드로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내에서 작동된다. 모바일 노드는 비허가형 노드(Permissionless Node)로서, 메타블록체인 내에 있는 아이덴티티 블록체인상의 공개키 쌍과 DID의 등록을 필요로 한다.

각 모바일 노드는 항상 온라인 상태로 유지 되지 않을 수 있으며, 모바일 노드는 디지털 화폐 요약 원장만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화폐 요약 원장은 블록체인 장부가 아니며, 모든 신원이 인증된 사용자들을 위한 디지털 화폐의 잔액 스냅샷만 포함하고 있다.

뱅크와모바일1.PNG 뱅크와모바일2.PNG

메타 블록체인: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무이메타블록체인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체인코드 실행을 이용해 새로운 디지털 화폐를 위한 새로운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 무이메타블록체인에서 생성되는 각각의 새로운 디지털 화폐는 호스팅된 블록체인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혼합하는 대신 자체 블록체인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이메타블록체인은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블록체인 데이터는 저장소에서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각각의 디지털 화폐 블록체인이 생성되려면 새로운 디지털 화폐의 알고리즘 중앙은행(ACB) 역할을 하는 뱅크 노드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있어야 한다. ACB 뱅크 노드는 새로운 디지털 화폐를 사용할 사용자의 거래 수수료를 포함한 전체 네트워크 운영 수수료를 보장해야 한다. 또한, ACB은행은 아이덴티티 블록체인에 신뢰할 수 있는 법인이 발급한 증명서를 보유함으로써 새로운 디지털 화폐에 대한 담보 자산의 존재를 선택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보증에 대한 확인후, ACB 은행은 체인코드를 실행하여 디지털 화폐를 생성할 수 있다.

ACB 은행은 체인코드를 국부적으로 다운로드하고 코드를 실행한다. 실행 후에는 결과 데이터가 체인코드 실행 블록체인에 저장되고, 새롭게 생성된 디지털 화폐와 관련된 정보가 디지털 화폐 등록 블록체인에 등록된다. 이 실행으로 새로운 디지털 화폐 블록체인과 해당 디지털 화폐 요약 원장 쌍이 만들어진다.

새로운 디지털 화폐의 제네시스 블록에는 모든 사용자의 계좌 잔액이 포함되어 있다. 처음에 ACB 뱅크 노드는 새로운 디지털 화폐의 모든 토큰을 보유하게 되며, ACB 뱅크 노드와 참여 모바일 노드를 포함한 모든 뱅크 노드가 새로운 디지털 통화에 대한 합의 프로토콜에 참여하게 된다.

뱅크 노드는 리더 노드로서 블록을 제안할 수 있으며, 디지털 통화 컨센서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모바일 노드는 선택된 뱅크 노드가 제안한 블록을 검증한다. 뱅크 노드는 모든 사전 구축 블록체인과 온체인에서 생성된 모든 디지털 화폐의 마스터 풀 노드이므로, 이를 통해 무이메타블록체인상의 여러 화폐나 자산 간의 인터블록체인 아토믹 스왑이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중앙 집중식 현금 및 분산형 수표

무이메타블록체인은 하이브리드 설계구조로 블록체인의 트릴레마(3가지 딜레마)를 해결한다고 여겨진다. 소액 결제시, 높은 성능과 높은 보안을 달성하기 위해 중앙 집중식 설계방식을 사용하고, 고액 결제시에는 분산형 설계방식을 사용하여 높은 보안과 분산화를 달성했다.

뱅크 노드는 익명의 토큰화된 현금의 발행인이다. 사용자는 뱅크 노드 서비스 제공업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디지털 현금을 발행하는 토큰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계약 형태에 따라, 직불카드나 신용카드 타입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점에 디지털 현금을 지급하면 상점은 발행 뱅크 노드에 디지털 화폐를 청구할 수 있으며, 이때 결제 프로세스의 성능은 일반 신용카드 결제와 같거나 더 우수해야 한다. 고액 송금에 대해서는 무이메타블록체인이 정상적인 블록체인 컨센서스 프로토콜을 활용한다.

모든 뱅크 노드는 복수의 디지털 통화의 합의에 관여한다. 모든 결제는 신원을 통한 전송방식이기 때문에 일종의 디지털 수표 결제와 같다. 또한 우리는 수표 통관을 위한 중앙집중식 서버가 아닌 블록체인의 컨센서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분산형 수표 시스템이다. 이 결제 과정은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보다 느리지만, 계좌 기반의 국제 은행 송금보다 훨씬 빠르고 비용이 적게 든다.

체인 코드 (Chain Code)

무이메타블록체인에서는 체인 코드가 1등급 시민과 같은 존재이며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또한, 체인 코드는 합의의 대상이기 때문에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네트워크가 아닌 로컬 기기에서 다운로드 되어 실행된다.

뱅크 노드는 새로운 체인 코드 등록 및 기존의 체인코드 업데이트를 제안할 수 있으며, 다른 뱅크 노드들은 제안된 체인 코드를 검토하고 이에 대해 투표한다. 다수결로 채택된 체인코드는 등록되거나 업데이트 된다.

모바일 노드는 각각의 기기에서 등록된 체인 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고, 새로 생성된 디지털 화폐를 사용하기 위해 앱을 사용자 정의에 맞춰 사용할 수 있다.

무이메타블록체인에서는 디지털 화폐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체인 원장과 체인코드 모두 다이나믹하게 생성된다.

아이덴티티 블록체인

무이메타블록체인 안에는 아이덴티티 블록체인이 내장되어 있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의 모든 전송은 아이덴티티 블록체인상의 DID(Decentralized Identity)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아이덴티티 블록체인은 DID와 공개키 쌍을 등록하고 유지 관리하며 이에 관련된 개인키는 사용자의 기기에 저장된다. 무이메타블록체인 DID는 자가 주권 신원이다.

뱅크 노드가 되기 위해서는 아이덴티티 블록체인상에 공개 DID를 가져야 한다. 새로운 뱅크 노드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상에 이미 등록된 뱅크 노드 절반이상의 Verifiable Credential(확인 가능한 자격증명)를 획득해야 한다.

디지털 화폐 토큰 전송 형식

[Digital_Currency_ID, Sender_DID, Receiver_DID, Token_Amount] || Sign_Sender(Hash_Value)

  • Digital_Currency_ID: 디지털 화폐의 ID 번호, 뱅크 노드가 새로운 디지털 화폐를 발행할 때, ID 번호가 Digital Currency Registration Blockchain(디지털 화폐 등록 블록체인)안에 생성됨
  • Sender_DID: 발신인의 DID, Identity 블록체인에 등록되어 있음
  • Receiver_DID: 수신인의 DID, Identity 블록체인에 등록되어 있음
  • Token_Amount: 전송 토큰 수량
  • Sign_Sender(x): 발신자의 개인키를 사용한 디지털 서명 기능
  • Hash_Value: [Digital_Currency_ID, Sender_DID, Receiver_DID, Token_Amount]의 입력값에서 해시함수의 해시값
  • x || y : 문자열 x와 y의 Concatenation operation (연결 작업)

합의 프로토콜 (Consensus Protocol)

무이메타블록체인의 컨센서스 프로토콜은 PBFT(실용 비잔틴 장애 허용)와 PoS(Proof of Stake)의 조합이다. 뱅크 노드만이 내장된(Built-in) 블록체인의 컨센서스에 참여한다.

뱅크 노드들은 내장된 블록체인과 모든 디지털 화폐의 블록체인의 블록 제안자(Block Proposer) 및 검증자(Endorser)가 될 수 있다. 모바일 노드는 신규로 생성된 디지털 화폐의 컨센서스에 검증자로서 참여할 수 있다. 디지털 화폐 컨센서스의 경우 뱅크 노드만이 리더가 되거나 블록 제안자가 될 수 있다.

리더 노드는 보유 지분, 이전(previous)수행 능력 , DID의 해시 값,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기준으로 선택 되어 지며, 한번에 1명의 블록 제안자만 선출된다. 따라서 포크의 가능성이 없으며 블록이 과반수를 얻으면 제안된 블록이 실행되고 확정된다.

리더는 블록을 제안하고 다른 노드들은 블록을 검증한다. 먼저 검증한 사람이 먼저 인센티브를 받는 룰을 기반으로 다수결로 블록을 확정 한다. 모든 뱅크 노드와 모바일 노드는 Identity 블록체인상에 DID를 등록해야 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상에 얼마나 많은 뱅크 노드가 존재하는지 항상 확인이 가능하다. 가장 빨리 검증한 절반의 내역만이 카운트되고 블록안에 포함되어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

리더 노드는 거래를 직렬화(Serialize)하기 위해 시리얼라이저로써 역할도 한다. 리더 노드는 블록 보상과 거래 수수료를 받으며, 검증자 또한 다수의 투표안에 해당 노드의 검증내역이 포함되는 경우 보상을 받는다.

블록체인 상에 5초 동안 아무 전송 내역이 없을 때 리더가 거래없음을 선언하고 블록은 생성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류 중인 거래가 있을 때 리더는 즉시 블록을 제안한다. 리더는 5초 동안 다수의 복수의 블록을 제안할 수 있으나 블록 제안을 실패하거나 5초 이내에 블록없음 선언을 하지 못 할 경우 리더 노드가 맡겨놓은 자금은 몰수된다.

컨센서스프로토콜1.PNG

Event Sourcing원장과 Summary 원장 (Event Sourcing Ledger (Blockchain) and Summary Ledger)

무이메타블록체인은 트랜잭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두 개의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Event Sourcing Ledger이다. 이것은 일반적인 블록체인 원장이며, 블록의 해시 체인 형태로 저장된다. 이러한 형태의 저장방법의 문제점은 현재 유저들의 계좌 잔고를 계산하기 위해서 모든 블록체인 데이터를 추적해야 된다는 점이다. 블록체인 스타일의 데이터 저장소는 보안성이 뛰어나지만 연산, 통신, 데이터 관점에서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뱅크 노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블록 생성 후 각 사용자의 계좌 잔액을 계산하고 summary ledger에 계좌 잔액을 저장한다. 뱅크 노드는 Event Sourcing Ledger와 Summary Leder 모두를 포함한다. Summary Ledger 데이터는 이를 생성한 뱅크 노드에 의해 서명되며 저장될 모바일 노드에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모바일 노드는 각 블록이 확정된 후 각 계좌의 잔액 업데이트를 받는다.

제네시스 블록 리베이싱 (Rebasing of Genesis Block)

매 100블록마다 뱅크 노드는 체크포인트에 동의한다. 체크포인트에서는 각 사용자의 계정 잔액이 계산되어지며, 이 정보는 각 디지털 화폐의 제네시스 블록에 업데이트되며, 모든 사용자의 새로운 계좌 잔액이 해당 디지털 화폐의 새로운 제네시스 블록이 된다. 이를 제네시스 블록의 "리베이싱"이라고 한다.

알고리즘 중앙은행 (Algorithmic Central Bank)

각 디지털 화폐에는 알고리즘 중앙 은행 역할을 하는 뱅크 노드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있어야 한다. 이 ACB 뱅크 노드는 디지털 화폐의 가치를 지원하기 위해 담보 자산을 제공하고 화폐의 순환량을 제어하여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 비율을 제어한다. 통화 증식 모델에서 ACB 뱅크 노드는 상업 은행(Commercial Bank) 노드에 의한 증식 비율을 제한하기 위해 부분 지급 준비율을 결정한다. 상업 은행 노드는 통화 증식 생성을 위한 담보 자산을 통해 중앙은행 노드의 예금 잔고를 증명할 수 있다.

활용 사례

중앙 은행 디지털 화폐 (CBDC)

무이메타블록체인의 가장 유용한 응용 영역은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발행이다. 뱅크 노드의 구조를 활용하여 무이메타블록체인은 M2 화폐 발행 모델을 지원한다. 시중 은행은 중앙은행M1 기준 통화 자산을 기반으로 무이메타블록체인에서 M2 통화를 다이나믹하게 생성할 수 있다. 소버린월렛 사용자는 CBDC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 풀 노드를 통해 CBDC 운영에 참여할 수 있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은 부분지급준비금(Fractional Reserve) 은행 모델을 지원한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을 통해 발행된 디지털 화폐 간의 아토믹 스왑이 가능하며 이러한 교환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실행된다.

무이메타블록체인만의 독특한 체인코드 구조와 신원 기반 계좌 시스템을 통해 특별한 통화 정책도 구현할 수 있다. CBDC의 리디노미네이션온체인에서 수행 할 수 있는데, 온체인(On-Chain)에서 리디노미네이션을 수행하는 데 드는 비용은 새로운 지폐를 발행하고 구 화폐를 회수·폐기하는 데 드는 비용의 일부에 불과하다.

무이메타블록체인의 체인코드로 기본소득이나 재난지원금의 지급 또한 가능하다. 기본소득에 관련된 체인 코드를 작동시켜 모든 시민의 계좌 잔액을 늘릴 수 있고, 또, 이용자의 신원을 기반으로 적격 사용자를 선정하거나 VC(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를 제시해 본인이 돈을 받을 수 있음을 증명할 수 있다.

CBDC1.PNG

디지털 증권 거래소 (Digital Stock Exchange)

무이메타블록체인은 신원 기반의 디지털 증권거래소를 구축하는 데 완벽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무이메타블록체인상에서 기업 주식을 쉽게 발행할 수 있으며, 신원 기반 전송 방식이기 때문에 토큰화된 주식의 전송은 사실상 소유권의 이전을 의미한다. 또한 무이메타블록체인의 Identity 블록체인은 종이 문서 기반 공증의 필요성을 없앤다.

무이메타블록체인상에서 다양한 자산을 토큰화 할 수 있으며, 토큰화된 자산의 소유권과 사용자의 신원간 직접적인 연계가 있기 때문에, 토큰 전송을 통해 소유권 이전을 간소화 시킬 수 있다.

자산 등록 블록체인(Asset Registration Blockchain)을 사용하면 토큰화된 자산과 물리적 자산 사이의 연결고리의 오라클 문제가 성립 될 수 있으며, Identity 블록체인상의 퍼블릭 DID와 법인으로부터 발행된 VC(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를 통해 법적·물리적 소유 여부도 검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지털화된 주식이나 자산을 P2P 방식으로 거래할 때, 무이메타블록체인은 디지털 주식과 디지털 통화의 아토믹 스왑을 제공한다. 디지털화된 주식은 이용자의 신분과 결합되기 때문에 주식 거래와 동시에 소유권 이전 통지 및 세금 납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주주등록, 주주증명서 발급, 정부에 대한 세금신고, 세금납부 등의 필요성이 없어진다.

토큰화된증권1.PNG

스테이블 코인, 토큰화된 자산, 메타블록체인 버전의 암호화폐

무이메타블록체인은 담보 자산 블록체인과 신뢰 할 수 있는 주체가 발급하는 디지털 인증서를 통해 스테이블 코인과 토큰화된 자산을 생성 할 수 있는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한다. MUI는 신원 기반 토큰 전송을 제공하며 FATF(Financial Action Task Force)의 권고를 완벽히 준수한다. 기존 금융기관들이 금, 석유, 기타 금융통화 등 다양한 자산으로 뒷받침하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이메타블록체인으로 많은 암호화폐의 비용 및 성능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비트코인 담보자산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비트코인의 메타블록체인 버전인 "메타-비트코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메타-비트코인은 사용자간 거래시 혹은 다른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메타-비트코인을 받은 상점에서는 이를 발행한 뱅크 노드에 메타-비트코인을 청구해 오리지널 비트코인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100% 보증을 받게 된다.

전망

무이메타블록체인의 체인 코드의 온체인 거버넌스 메커니즘으로 무이메타블록체인의 다양한 부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팀은 향후 프로토콜과 체인 코드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할 것이다.

아이덴티티 블록체인과 결합한 온라인 투표 프로토콜이 무이메타블록체인 위에 안전한 투표 구현으로 이어진다.

화폐의 디지털화는 디지털 통화 의사결정의 새로운 기회를 열어준다. 뱅크 노드는 금융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금전적 결정을 내리는 초기 형태의 알고리즘 중앙은행이다. 중앙 뱅크 노드에서 연합 학습 알고리즘(Federated Learning Algorithm)을 적용하고 많은 모바일 노드들에서 분산형 모델을 수집하고 학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사

  • 2019년 2월, USC Viterbi School of Engineering와 MOU 체결
  • 2019년 5월, The Turin Polytechnic University와 MOU 체결
  • 2019년 6월, 우즈베키스탄 법인 설립
  • 2020년 1월, SWN(Sovereign Wallet Network) Global 설립
  • 2020년 5월, MoonPay 파트너쉽 체결
  • 2020년 7월, 메타블록체인 Yellow Paper
  • 2020년 10월, 무이메타블록체인 테스트넷 출시
  • 2021년 1월, 무이메타블록체인 메인넷 출시

특허

  • 10-2020-0110742, Blockchain System that includes Bank Nodes each having separate Ledgers for Identity, Digital Currency and other function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2020
  • 10-2020-0066895, 10-2020-0066902, 10-2020-0066908, e-Wallet, Server Performing the e-Wallet, and Atomic Swapping Method of Different Blockchain Tokens using the Server, 2020
  • 10-2020-0035777, e-Wallet and Atomic Swapping method of Two Different Blockchain Tokens using the e-Wallet, 2020
  • 10-2020-0017717, Operation Method of Blockchain Currency Remittance Service System and Electronic Wallet for Currency Remittance, 2020
  • 10-2019-0007975,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Performing. Security Function and Corresponding Application, 2019
  • SG 11201804011V / JP 2018-547246, Device for SelfDefense Security based on System Environment and User Behavior Analysi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2018
  • KR 10-1951201,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Performing Security Function and Corresponding Application, 2016
  • KR 10-1905771, PCT/KR2017/000204 Self Defense Security Server with Behavior and Environment Analysi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2016
  • 10-2016-0032906, Method of Securing Application using Self-Protection, 2016
  • 10-2015-0189743, Method for Managing Digital Contents and Method for Viewing Digital Contents using Application, 2015
  • KR 10-1694947, Method of Operating Chatting Application, Chatting Server, and Chatting System, 2015
  • KR 10-1596479, PCT/KR/2016/000887 Secure Chat Method using Distributed Key Exchange Protocol and Self-Defense Security, 2015
  • KR 10-1664391, Meeting Management Method Using Application and Operation Server, 2015
  • KR 10-1594317, Method of Operating Package Application including SelfDefense Security Modul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Package Application, 2014
  • KR 10-1591503, Package Application Including Self Defense Security Module and Method Thereof, 2014
  • KR 10-1594317, Package Application Including Self Defense Security Module and Method Thereof, 2014
  • KR 10-2013-0088161, Method to Give Authority for PC Use and Module, Server, System Thereof, 2013
  • KR 10-2012-0114957, Method to Manage Secure Log-in of Mobile Application, 2012
  • KR 10-2011-0097147, Method to Control Access to PC, and Module, Server, System Thereof, 2011
  • US 12/674,345, Software Security Method and its Devices, 2010
  • KR 10-0911345, Method and Devices to Promote Contents Security, 2009
  • KR 10-0855328, Method and Devices to Promote Software Security, 2008
  • KR 10-0770245, Method to Distribute DRM Contents and its System, 2007
  • KR 10-0746689 / JP 2007-304211, Method and Device to Play DRM Contents, 2007
  • KR 10-0775876 / CHN 200680007675.2, Method to Exchange Digital Data, 2007
  • KR 10-0692964, Operational Method of Virtual Disk and its Recording Media, 2007
  • US 11/114,690 / JP 2005-128545, Transaction Method of Digital Data and System Thereof, 2005
  • 10-2005-0475479, Operation Method and System of Digital Data, 2005
  • JP 2003-505785, Security System for Exchange of Digital Data, 2004
  • 10-2004-0447293, Filtering System and its Principles for Protecting Web Advertisement, 2004

각주

  1. Seokgu Yun, Sovereign Wallet Co.,Ltd., “Blockchain System that includes Bank Nodes each having separate Ledgers for Identity, Digital Currency and other function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20-0110742, 2020
  2. Mehrdad Kiamari, Bhaskar Krishnamachari, Muhammad Naveed, and Seokgu Yun, “Blizzard: Distributed Consensus for Mobile Devices using Online Brokers”, I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2020
  3. Martin Martinez, Arvin Hekmati, Bhaskar Krishnamachari, and Seokgu yun, “Mobile Encounter-based Social Sybil Control”, In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Defined Systems (SDS-2020), 2020
  4. Martin Martinez, Arvin Hekmati, Bhaskar Krishnamachari, Seokgu Yun, “Mitigating Mobile Device-based Sybil Attacks using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nd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In IEEE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2021
  5. Gavin Wood. “Ethereum: A Secure Decentralized Generalized Transaction Ledger”, In https://ethereum.github.io/yellowpaper/paper.pdf, September 2020
  6. Elli Androulaki, Artem Barger, Vita Bortnikov, et al., “Hyperledger Fabric: A Distributed Operating System for Permissioned Blockchains”, In https://arxiv.org/abs/1801.10228, April 2018
  7. Gennady Medvinsky and B. Clifford Neuman. “NetCash: A design for practical electronic currency on the Internet”. In Proceedings of the First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November 1993
  8. B. Clifford Neuman and Gennady Medvinsky, “Requirements for Network Payment: The NetCheque Perspective”, In Proceedings of IEEE COMPCON’95, March 1995

참고자료

한글
영문
  • CONNOR BLENKINSOP, 〈Exchange Says It’s One of the First Worldwide to Comply With Travel Rule〉, 《Cointelegraph》, 2020-02-21
  • Seokgu Yun, Sovereign Wallet Co.,Ltd., “Blockchain System that includes Bank Nodes each having separate Ledgers for Identity, Digital Currency and other function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20-0110742, 2020
  • Seokgu Yun, Sovereign Wallet Co.,Ltd., “e-Wallet, Server Performing the e-Wallet, and Atomic Swapping Method of Different Blockchain Tokens using the Server”, KR10-2020-0066895, KR10-2020-0066902, KR10-2020-0066908, 2020
  • Seokgu Yun, Sovereign Wallet Co.,Ltd., “e-Wallet and Atomic Swapping method of Two Different Blockchain Tokens using the e-Wallet”, KR10-2020-0035777, 2020
  • Seokgu Yun, Sovereign Wallet Co.,Ltd., “Operation Method of Blockchain Currency Remittance Service System and Electronic Wallet for Currency Remittance”, KR10-2020-0017717, 2020
  • Seokgu Yun, Sovereign Wallet Co.,Ltd.,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Performing Security Function and Corresponding Application”, KR10-2101614, KR10-1951201, KR10-1951201, 2019, 2016
  • Seokgu Yun, Sovereign Wallet Co.,Ltd., “Device for Self-Defense Security based on System Environment and User Behavior Analysi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ngapore 11201804011V, Japan 2018-547246, 2018
  • Seokgu Yun, Sovereign Wallet Co.,Ltd., “Self Defense Security Server with Behavior and Environment Analysi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05771, PCT/KR2017/000204, 2016
  • Seokgu Yun, Sovereign Wallet Co.,Ltd., “Method of Securing Application using Self-Protection”, KR10-2016-0032906, 2016
  • Seokgu Yun, Sovereign Wallet Co.,Ltd., “Secure Chat Method using Distributed Key Exchange Protocol and Self-Defense Security”, KR10-1596479, PCT/KR/2016/000887, 2015
  • Mehrdad Kiamari, Bhaskar Krishnamachari, Muhammad Naveed, and Seokgu Yun, “Blizzard: Distributed Consensus for Mobile Devices using Online Brokers”, I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2020
  • Martin Martinez, Arvin Hekmati, Bhaskar Krishnamachari, and Seokgu yun, “Mobile Encounter-based Social Sybil Control”, In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Defined Systems (SDS-2020), 2020
  • Martin Martinez, Arvin Hekmati, Bhaskar Krishnamachari, Seokgu Yun, “Mitigating Mobile Device-based Sybil Attacks using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nd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In IEEE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2021
  • David Chaum, Amos Fiat, and Moni Naor. “Untraceable Electronic Cash”. In Proceedings of the 8th Annual International Cryptology Conference on Advances in Cryptology. CRYPTO '88. London, UK, UK: Springer-Verlag, 1990, pp. 319-327. ISBN: 3-540-97196-3. URL: http://dl.acm.org/citation.cfm?id=646753.704915
  • Gennady Medvinsky and B. Clifford Neuman. “NetCash: A design for practical electronic currency on the Internet”. In Proceedings of the First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November 1993
  • B. Clifford Neuman and Gennady Medvinsky, “Requirements for Network Payment: The NetCheque Perspective”, In Proceedings of IEEE COMPCON’95, March 1995
  • Satoshi Nakamoto.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In: Consulted 1 (2008), p.2012
  • Gavin Wood. “Ethereum: A Secure Decentralized Generalized Transaction Ledger”, In https://ethereum.github.io/yellowpaper/paper.pdf, September 2020
  • Leonard Adleman, Rolfe R. Schmidt. “Designing Money [Extended Abstract]”. In https://adleman.usc.edu/aurum-digital-currency/, March 2018
  • Friedrich Von Hayek. “The Denationalization of Money: An Analysis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ncurrent Currencies”, The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Third Edition, 1990
  • Ittay Eyal, Adem Efe Gencer, Emin Gun Sirer, Robbert van Renesse, “Bitcoin-NG: A Scalable Blockchain Protocol”. In Proceedings of the 13th USENIX Symposium on Networked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March 2016
  • Jing Chen, Silvio Micali, “Algorand: A secure and efficient distributed ledger”, In arXiv report http://arxiv.org/abs/1607.01341, May 2017
  • Team Rocket, Maofan Yin, Kevin Sekniqi, Robbert van Renesse, Emin Gun Sirer, “(Avalanche) Scalable and Probabilistic Leaderless BFT Consensus through Metastability”, In arXiv report https://arxiv.org/abs/1906.08936, Aug 2020
  • L.M Goodman, “Tezos – a self-amending crypto-ledger White paper”, In https://tezos.com/static/white_paper-2dc8c02267a8fb86bd67a108199441bf.pdf, September 2014
  • Leemon Baird, Mance Harmon, and Paul Madsen, “Hedera: A Public Hashgraph Network & Governing Council”, In https://www.hedera.com/hh-whitepaper-v2.0-17Sep19.pdf, September 2019
  • Ethan Buchman, Jae Kwon, and Zarko Milosevic, “(Tendermint) The latest gossip on BFT consensus”, In http://arxiv.org/abs/1807.04938, November 2019
  • Elli Androulaki, Artem Barger, Vita Bortnikov, et al., “Hyperledger Fabric: A Distributed Operating System for Permissioned Blockchains”, In https://arxiv.org/abs/1801.10228, April 2018
  • The Financial Action Task Force, “12-Month Review of The Revised FATF Standards on Virtual Assets and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In https://www.fatf-gafi.org/publications/fatfrecommendations/documents/12-month-review-virtual-assets-vasps.html, July 2020
  • Marek Palatinus, Pavol Rusnak, Aaron Voisine, and Sean Bowe, “BIP39: Mnemonic code for generating deterministic keys”, In https://github.com/bitcoin/bips/blob/master/bip-0039.mediawiki , September 2013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무이메타블록체인 문서는 암호화폐 종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