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계획도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도시는 자연적으로 발생하고 성장하는 경우가 많으나, '''계획도시'''는 정치·경제·산업입지 등의 이유로 새로운 도시를 계획하기도 하고...)
(차이 없음)

2023년 3월 24일 (금) 11:14 판

도시는 자연적으로 발생하고 성장하는 경우가 많으나, 계획도시는 정치·경제·산업입지 등의 이유로 새로운 도시를 계획하기도 하고, 대도시 가까이 임해공업지구나 뉴타운(새로운 교외주택지)을 건설하는 등의 부분적인 계획을 행하기도 한다.

기록으로 전해지는 최초의 계획도시는 그리스의 밀레토스이다. 설계는 기원전 4세기 경에 되었으나 완성된 것은 서기 2세기 경이다. 밀레토스는 고대 그리스의 식민지로 계획된 도시였는데 도시의 설계도가 오늘날까지도 전해오고 있다. 더불어 이 밀레토스를 계획한 히포다모스는 도시계획과 도시의 격자형 가로체계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밀레토스 이전에도 계획도시는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일부 도시에서도 격자형 가로체계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고대 이집트피라미드 건설 시에도 노동자 캠프의 용도로 일종의 임시적인 도시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양에서도 당나라 장안성과 같이 질서정연한 바둑판식 정(井)자형 계획도시가 있었고 이 당제의 영향을 받아 백제사비성, 신라서라벌, 일본헤이안쿄 등이 바둑판식 방리를 갖춘 계획도시로서 건설 혹은 개조되었다. 한국은 고려왕조부터 풍수지리의 영향을 받아 칼 같이 자르는 격자형 도시계획보다는 자연지형을 거스르지 않는 쪽으로 변화해 고려의 개경이나 조선한양은 이런 계획도시적 특성이 비교적 두드러지진 않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조선의 정조시대의 수원화성이 치밀한 사전 계획 하에 만들어진 계획도시로써 이는 정치적 군사적 상업적인 면의 목적으로 둔 체계적인 위성 도시로써의 도시계획과 더불어 화성성역의궤와 같이 화성의 축성 및 건설 과정 및 기타 제반 사항들을 모두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계획개발 면에서 볼 때 수원 화성은 한국역사 최초의 근대적인 계획도시로 볼 수 있다.

계획도시 종류

  • 경제자유구역: 국외 투자자본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끌어오고는 싶은데, 전국적인 규제 완화 및 경제 개방이 어려울 때 정부에서 특정 구역을 지정하여 이 지역에 대해 규제완화 및 경제개방을 실시하여 적극적으로 국외자본과 기술을 끌어오기 위한 경제 전문 특별 구역이다. 20세기 후반 중국상하이와 선전에 경제특구를 설치하여 급속도로 발전하는 것을 본 한국 정부가 이를 모방해, 대규모 도시계획에 따른 신도시를 조성하여 이 신도시를 통해 외자를 끌어서 발전해보자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 기업도시: 산업입지와 경제활동을 위하여 민간 기업이 주도적으로 개발한 특정 산업 중심의 자급자족형 복합 기능도시이다. 예를 들면 원주기업도시, 충주기업도시, 영암·해남기업도시, 태안기업도시 등이다.
  • 뉴타운: 구도심 개발을 위한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재정비 촉진사업이다.
  • 도시개발사업: 계획적인 도시개발이 필요한 지역에 주거, 상업, 산업, 유통, 정보통신, 생태, 문화, 보건 및 복지 등의 기능이 있는 단지 또는 시가지를 조성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 보금자리주택: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주택 정책의 핵심이 되었던 공공 주택 공급 사업이다. 2008년 9월 19일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도심공급 활성화 및 보금자리 주택 건설방안을 발표했으며, 기존의 '국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보금자리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법으로 전부 개정하여 이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 신도시: 자연 발생으로 성장한 도시가 아니라 처음부터 계획적, 인공적으로 건설한 도시를 말한다. 계획도시의 일종이다.
  • 택지지구: 본래 주거 가능한 지역이 아니거나 낙후한 토지를 활용하여 주거 생활이 가능한 택지를 조성하여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을 수용하여 기업·대학·연구소·공공기관 등의 기관이 서로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혁신여건과 수준 높은 주거·교육·문화 등의 정주(定住)환경을 갖추도록 개발하는 미래형도시(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3호)이다. 구체적으로는 산·학·연·관 연계를 통한 혁신을 창출하는 혁신거점도시, 지역별 테마를 가진 개성있는 특성화도시, 누구나 살고 싶은 친환경 녹색도시, 학습과 창의적 교류가 가능한 교육·문화도시를 표방한다.

참고 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계획도시 문서는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