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지저우구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톈진시 위치

지저우구(중국어: 蓟州区 jì zhōu qū)는 중국 톈진시 최북단에 위치해 있는 이다. [1][2][3][4]

개요

지저우구의 면적은 1,589.36㎢이며 인구는 795,516명(2020년)이다. 북부에는 만리장성이 지나간다. 해안가 이미지가 강한 톈진시와는 완전히 다른 이미지를 가진 곳이다.

지저우구는 과거에 어양(渔阳)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었으며, 원나라 대에 현 명칭으로 변경된다. 이 지역은 행정구역만 톈진시이고 실제로는 톈진시시가지 연담화는 물론, 생활권도 거의 겹치지 않으며, 오히려 지저우구 사람들은 베이징시와 더 강한 연담을 하고 있다. 그래서 교통환경도 톈진 시내보다는 베이징 시내로 들어가는 것이 훨씬 편하다. 실제로 지저우는 원래 베이징시미윈구핑구구와 같은 행정구역이었다.

또한 지저우구는 인구는 많지만 도시화 율이 높지 않은 중국 특성 때문에 그런 것으로, 실제로는 그냥 농촌이라 인구가 베이징시 혹은 톈진시 시내로 지속적으로 유출되고 있다.

톈진은 중국 중앙정부 직할시로서 성급 정부가 아닌 중앙정부가 직접 통제 관리하는 독특한 행정구조의 도시이다. 현재 중국 직할시는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톈진(天津), 충칭(重慶) 4개이다. 이 4개 직할시는 성이 아닌 중앙의 직속이기 때문에 중국의 다른 일반 도시들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자치권과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자율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이들 직할시들은 경제적 측면에서 다른 도시들에 비해 더 많은 통제권을 부여받아 혁신적인 제도 도입의 측면에서도 좀 더 유연성을 보인다.[5]

자연환경

해안 평야 지대인 톈진시에서 몇 안 되게 높은 이 존재하는 곳으로, 지저우구 북부에는 옌산산맥(燕山山脉)이 지나가며 해발고도가 평균 1,000m정도 산들이 잇따라 이어져있다. 대부분 반건조 기후(BSk)지역에 속하며 동아시아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뚜렷한 4계절,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기온과 강수량이 특징이지만, 차별점은 시베리아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바람이 많이 불고 매우 건조한 겨울이다. 월평균 기온은 1월 -3.1℃, 7월 평균 기온은 26.8℃로 기온의 연교차가 30℃가량 나타나며 연평균 기온은 13℃를 기록한다. 봄은 굉장히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어 고비사막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래폭풍이 도시를 덮치기도 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500~550mm로 7월과 8월에 반 이상이 집중되며 도시의 일부는 습한 대륙성기후가 나타나는 곳도 있다.

매년 5.22cm 가라앉고 있다. "가장 빠르게 가라앉는 도시는 중국 톈진으로 연 5.22㎝씩 침하 중으로 분석됐다. 침하 면적이 가장 넓은 도시는 중국 상하이시로 연 2㎜ 이상 침하된 지역이 서울 전체 면적의 3배 가량인 1,706㎢에 이르렀다. 연구팀 논문은 미국지구물리학회(AGU)가 발간하는 학술지 <지구물리연구회보>(GRL) 최근호에 실렸다.[6]

역사

톈진은 역사적으로 수나라 시기 베이징-항저우 대운하 건설 후 남운하와 북운하가 교차하는 곳으로 이름을 얻기 시작했다. 특히 톈진은 운하 북쪽에 위치하여 하천과 해상교통의 편리함으로 중요성을 얻어 더욱 발전할 수 있었다. 한 무제 시기의 염전 조성 이후 당나라 시기에는 소금창고가 세워지며 국가의 주요 지역으로 변모했다. 당나라 중기 이후에는 남쪽의 곡식과 비단을 북쪽으로 수송하는 중요 교차로로 활용되기도 했다.

1404년까지 "직고(直沽)" 로 불리었으나 영락황제에 의해 "천진(天津)"으로 개명되었다. "천진(天津)"은 글자 뜻 그대로 "하늘의 나루"인데 이는 황제(하늘의 아들)이 이곳으로 들어왔다 하여 붙여진것이다. 황제는 실제로 그의 조카로부터 왕좌를 빼앗기 위한 출정도중에 톈진에 왔으며 이후로는 베이징의 항구가 되어 이곳에 여러 무역상들이 오기도 하였다. 청나라 때는 이곳에 천진위(중국어 정체자: 天津衛)로 불리는 성채가 설립되어 군사거점이 되었다.

1725년 현으로 승격되었으며 1731년 톈진 부로 되었다. 1856년, 홍콩에 등록된 중국인 소유의 배가 영국깃발을 달고 해적질과 아편밀수를 한다고 의심받는 배로 단속되었다. 중국은 그들 12명을 체포하고 투옥하였다. 1858년 5월 영국과 프랑스는 이에 대응하여 톈진에 함대를 보냈다.

같은 해 6월에 두 번째 아편전쟁으로 인해 톈진조약이 이루어지고, 1860년 황제의 승인에 의해 톈진은 정식적으로 개항되었다. 톈진에 외국인들의 존재는 “천진교회사건”을 일으켰다.

1870년 6월 톈진의 프랑스 선교사에 의해 지어진 교회에서 아이들을 유괴한다는 소문이 일어나면서 21일 교인들과 비교인들간의 충돌이 일어난다. 격노한 주민들은 교회와 근처 프랑스 영사관을 불태우고 후에 프랑스와 그 외 서양 6개국은 청나라 정부에게 사건에 대한 배상금을 요구한다.

1927년 톈진은 중국의 자치제로 설립되었지만, 1937년 7월 30일 중일전쟁으로 일본에게 함락되었다.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톈진은 일본에게 점령되었다.

1946년 12월 베이징대 여학생이 미군에게 성폭행 당한 사건을 계기로 1947년 1월1일 톈진에서 수천 명의 학생들의 시위운동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1947년 6월 미군대는 철수하게 되었다.

톈진은 1949년 1월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점령당하고 격전이 치러졌고, 공산주의자들의 지배아래 1958년부터 1967년까지를 제외하고는 중국의 지방자치체로 남아있었다.

2016년 6월을 기해 시할구로 개편되기 이전에는 지현(중국어 간체자: 蓟县, 정체자: 薊縣, 병음: Jì Xiàn)이었다.

교육

  • 톈진체육학원 운동 및 문화예술학원(天津体育学院运动与文化艺术学院)
  • 톈진대학 런아이학원(天津大学仁爱学院)
  • 톈진체육학원(天津体育学院)
  • 톈진의과대학 임상의학원(天津医科大学临床医学院)
  • 톈진체육직업학원(天津体育职业学院)
  • 톈진석유직업기술학원(天津石油职业技术学院)

교통

톈진빈하이국제공항

톈진 도심으로부터 동쪽으로 13km 떨어져 있다. 중국 최초의 민간항공사인 오케이 에어웨이즈(奥凯航空公司;Okay Airways)의 허브 공항이며, 베이징서우두국제공항[北京首都國際空港]에 이어 중국 북부에서 2번째로 큰 공항이다. 주요 항공화물 기지가 있으며, 총면적은 비행기 40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에이프런(apron)까지 포함하여 40만㎢이다. 2007년 새로운 터미널이 완공되었고 활주로는 너비 75m, 길이 3,600m로 확장되었다.

상하이·우한[武漢]·시안[西安]·선전[深圳]·서울 등으로 가는 39개 중국·해외 노선이 운항되며 주요 국제항공노선은 대한항공과 아시아항공이 인천국제공항으로 운항하는 노선, 일본의 전일본공수(全日本空輸)과 일본항공(Japan Airlines)이 나고야-시부야로 운항하는 노선이다.[7]

만리장성

만리장성은 중국의 성벽 유적이며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중국의 역대 왕조들이 북방 유목민족의 침공을 막기 위해 세운 성벽으로 장성(長城)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진(秦)나라 시황제(始皇帝) 때에 처음 건립되었다고 전해지지만, 오늘날 남아 있는 성벽은 대부분 15세기 이후 명나라 때에 쌓은 것이다. 길이가 서쪽의 간쑤성 자위관에서 동쪽의 허베이성 산하이관까지 2,700㎞에 이른다. 지형의 높낮이 등을 반영하면 실제 성벽의 길이는 6,352km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문화유산으로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인류 최대의 토목공사’라고 불리며 2007년에는 세계 7대 불가사의 가운데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9년 중국의 국가문물국(國家文物局)은 만리장성의 동쪽 끝을 기존의 산하이관에서 랴오닝성 단둥시의 후산으로 변경하며, 만리장성의 전체 길이를 종래의 6,352km에서 8,851km로 수정해서 발표했다. 곧 명나라 때에 후금의 침공을 막기 위해 산하이관 동쪽으로 랴오닝성의 진저우, 안산, 랴오양, 선양, 푸순을 거쳐 후산에 이르는 지역에 장성을 연장해서 쌓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2012년에는 명나라 때의 장성만이 아니라 진ㆍ한 등 역대 왕조에서 세워진 장성들을 모두 포함하면 전체 길이가 21,196km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 국가문물국의 주장은 만주가 예로부터 중국의 일부였음을 강조하려는 정치적 필요에서 비롯된 것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후금과의 대립 과정에서 이 지역에 요새가 세워진 것을 장성의 연장으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이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랴오닝성 지역에서 복구 작업을 벌이면서 과거 연(燕)나라와 고구려(高句麗) 시대의 유적들을 파괴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학계에서는 후산을 고구려 때의 박작성(泊灼城) 유적지로 보고 있는데, 중국이 만리장성의 일부임을 내세우기 위해 이곳에 후산장성을 새로 만들면서 고구려의 유적지를 훼손한 점을 비판하고 있다.[8]

지도

동영상

각주

  1. 지저우구 (톈진시)〉, 《위키백과》
  2. 지저우구〉, 《나무위키》
  3. 톈진시〉, 《위키백과》
  4. 톈진시〉, 《나무위키》
  5. 두산백과: 톈진 도시구조 및 행정〉, 《네이버 지식백과》
  6. 두산백과: 톈진 기후와 자연환경〉, 《네이버 지식백과》
  7. 두산백과: 톈진빈하이국제공항〉, 《네이버 지식백과》
  8. 두산백과: 만리장성〉,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동아시아 같이 보기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지저우구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