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둥청구

위키원
(동청구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둥청구(중국어: 东城区 dōng chéng qū)는 중국 베이징시 중심에 위치해 있는 이다.[1][2][3][4] 한자어 발음으로는 동성구라고 부른다.

개요[편집]

둥청구의 면적은 41.84㎢이며 인구는 916,000명(2010년)이다. 시청구와 더불어 베이징시 내지 중국의 핵심 지역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베이징시에서 가장 작은 구로 산하에는 17개의 주민센터, 177개의 지역사회가 있다. 둥청구는 수도 핵심 기능구역, '4개 업무(당중앙과 정군 지도기관의 업무, 국가의 국제교류 업무, 과학기술과 교육발전을 위한 업무, 국민의 생활 개선을 위한 업무)' 기능의 주요 수용구역으로서 중앙정부와 베이징시의 전략적 의사 결정과 배치를 심도 있게 관철 및 실시하여, 경제 발전의 전반적으로 안정을 유지하고 구조 조정 추진을 심화하고 사회 민생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국면을 이루었다.

둥청구는 수도 핵심 기능구역으로서 전국의 정치중심, 문화중심과 국제교류 중심의 핵심적인 수용구역이다. 또한 역사적 문화 명승지 보호의 중점 지역이며 국가 수도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창구이다.

2010년 7월 1일 충원구(崇文区)를 흡수했고 2019년 1월 11일 이전까지는 시청 소재지였으며. 자금성 천안문광장, 중국국가박물관, 왕푸징 등 중국의 유명 관광지들 및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인민법원 본원과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인민검찰원 등의 중앙정부기구도 둥청구에 존재한다.

시청구가 인민대회당과 중난하이를 비롯한 중국의 핵심 정치기구들이 모여있는 정치 1번지라면, 여기는 천안문 광장자금성이 위치한 전통적인 베이징의 핵심지역이라고 볼 수 있는 곳이다. 또한 베이징역이 둥청구에 있어 베이징시의 교통 허브로써의 역할도 하고 있다. 여담으로, 베이징역 남부에는 베이징성 성곽이 일부 남아있다.

현재 시청구와 함께 베이징시에서 크게 인구가 감소중인 구 중 하나로, 2010년부터 10년간 시 인구의 22%인 210,424명이 빠져나갔다. 이는 도심지이니만큼 집값은 크게 오르는데 집은 낡아 생활여건이 그닥 좋지가 않아 도심 공동화현상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거기에 시청구와는 다르게 둥청구는 면적도 좁고 후퉁(胡同)의 수가 시청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아 개발여건도 좋지 않아서 이를 쉽게 막지를 못 하고 있다.

중국 구중에서 면적당 가격이 두번째로 높은 구로 주택매매가 평당 평균이 7천 4백만원에 달한다.

둥청구에는 26개 국가 중앙 각 부(部)와 위원회, 12개 국가 부급 공공기관, 8개 군급이상 주둔지 부대기관, 10개 중앙기업 본부가 집중되어 있다. 베이징호텔, 국제호텔, 리쥔(勵駿)호텔, 리징(麗晶)호텔 등을 비롯한 높은 성급 호텔이 32개가 있는데 그중 5성급 호텔은 18개로 베이징시 전체의 30%에 가까이 차지하고 있다. 회의시설 총면적은 5만 5000 m2에 달하고, 그중 1000명 이상을 수용 할 수 있는 장소가 3개로, 수많은 정치활동 업무를 보장하는 중요한 수용구역이다. 최근 몇 년동안 둥청구는 신중국 창립 70주년, 세계원예박람회 등 중대 행사의 보장 업무를 완성하였다.[5]

자연환경[편집]

위도는 북위 39°로 북한신의주시, 함흥시와 비슷하며 미국필라델피아, 튀르키예앙카라와 같은 위도에 있다. 내몽골 고비 사막이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황사의 피해가 심한 편이다. 기후는 추운 스텝 기후(Bsk)에 해당하여 일단 여름에는 엄청 덥고 비가 약간 내리며 겨울에는 춥고 건조하며 바람도 강하다. 냉대기후와 건조기후 중간에 있다고 봐도 된다.

사막 바로 아래 있어서 극단적으로 건조하며 연교차도 매우 크다. 전 세계를 통틀어 인구 천만에 준하거나 그 이상급의 메갈로폴리스 중 서울과 함께 연교차가 가장 큰 도시이다. 대륙 동안 기후와 사막 기후가 섞인 형태이기 때문인데 5월부터 최고기온 40도를 찍는 경우가 흔하다. 반대로 겨울은 서울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춥다. 여름에도 비가 잘 오지 않을 정도인데다 겨울에는 아예 사막 수준으로 매우 건조해서 실제 최고-최저기온은 서울을 능가할 정도로 연교차가 크지만, 체감 연교차는 서울에 못 미친다. 또한 여름에 열사병 위험이 있으며, 겨울에는 꽤 추운 날씨임에도 대구광역시나 부산광역시에 비견될 정도로 눈이 오지 않는다.

또한 한국, 일본과 다르게 봄철의 극값과 평균 기온 모두 가을철보다 높게 나타나며 상반기(3월 이후)에는 기온 상승 폭이 매우 크고 하반기(8월 이후)에는 하강 폭이 매우 크다.

1981년-2010년 기준 최한월 1월의 평균 기온은 -3.1℃이다. 최난월 7월 평균 기온은 26.7℃이며, 연 평균 기온은 13.2℃로 숫자만으로는 한국의 남부 내륙지역과 비슷하다. 21세기 들어 가장 심한 한파는 2021년 1월 7일의 -19.7℃이고, 그 다음에는 2016년 1월 23일, 영하 17.4℃였으며 최고기온은 -11.0℃에 불과했다.

폭염은 더 심한데 5월부터 폭염 수준 더위가 찾아오기 시작하고 한여름엔 40도 이상 올라가기도 한다. 2017년 7월 14일 아프리카에서 온 관광객이 베이징의 더위에 탈진한 일도 있었는데, 당시 온도계는 무려 42.5도를 나타냈다. 다만 습기가 별로 없다 보니 견딜 만한 편이다. 1951년 이후 기록된 역대 최저기온은 -27.4도이며 역대 최고기온은 41.9도이다. 물론 이는 베이징 시내 중심부의 기온이며 외곽 지역인 화이러우구 등은 겨울철 영하 30도까지도 떨어지는 등 기온편차가 심하다. 이는 도심 열섬현상이 원인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체감 온도는 비슷하거나 덜하지만 건조기후의 영향으로 단순 최고-최저 기온 수치로는 서울을 능가하는 연교차를 자랑한다.

연간 강우량은 500~560㎜이다. 생장기의 농업용수 수요치는 200~300㎜가 부족하다. 재해성기후로 남부는 가뭄과 황사 등이 많이 발생하는 편이고, 서북쪽 산간 지역은 여름에 흙·모래·돌이 섞인 물사태가 쉽게 발생한다. 겨울에 춥지만 워낙 건조하다보니 눈이 아예 안 오며 차량 통행도 많은 데다 베이징 외곽에 잔뜩 자리한 공장들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각하다. 황사와 대기오염 때문에 공기가 매우 안 좋다.

2013년 1월에 들어 사상 최악의 스모그가 발생해 베이징을 뒤덮었다. 스모그가 뒤덮었다지만 사진만 보면 안개로 뒤덮인 것처럼 보이는 것이 미묘하다. 이 대기오염 등이 문제로 지적되자 2008 베이징 올림픽 때에는 아예 올림픽 기간 동안 베이징 근교 공장 올 스톱이라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어쩌겠는가, 정부에서 닫으라고 했다. 덕분에 공장 노동자들은 8월 내내 유급휴가를 받았다. 현재는 정상회담/엑스포 등 국가 중요 행사가 열리면 닫아라 공장을 시전한다. 그리고 이렇게 중국의 국가 주요행사가 베이징에서 개최되면 이후로 3일에서 1주일간은 서울 공기도 덩달아 깨끗해지는 경향이 있다.

역사[편집]

기원전 1000년 경 춘추전국시대의 나라 중 하나인 연(燕)의 수도인 계(薊)가 오늘날 베이징(北京)이 있는 곳에 건립되었다. 이후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가 중국을 통일 한 후 계성은 주(州)가 되었고 삼국 시대에는 공손찬과 원소가 보유하다가 조조의 위나라에게 함락되었다 936년 현재 베이징을 포함한 북부의 넓은 영토를 거란의 요(遼)에게 대부분 정복되었다. 938년에 요는 지금의 베이징을 정복하여 한족들을 유린한 다음 두 번째 수도를 건립했고 그것을 남쪽의 수도라는 뜻인 남경(南京)으로 불렀다. 1125년 여진의 금(金)왕조는 요를 합병하고 1153년 동북의 회령에서 이곳으로 천도하여 중앙수도라는 뜻의 중도(中都)라고 개칭했다.

1215년에 몽골이 1267년에 북쪽에서 상도(上都)를 건설했다. 중국의 전 지역을 정복하기 위한 준비로 원(元)왕조의 시조 쿠빌라이 칸은 베이징보다 북쪽에 칸발리크 (汗八里, Khanbaliq)(위대한 칸의 거주지라는 뜻) 혹은 대도(大都)를 건설하여 수도를 삼았고 이 위치는 마르코 폴로의 이야기 속에 'Cambuluc'로써 잘 나타나 있다.

1368년 원의 멸망 후 도시는 명(明)조에 의해 다시 재건되었고 순천(順天)지사 관저가 도시의 주위 지역에서 설립되었다. 1403년 이 곳이 수도인 난징(南京)보다 북쪽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베이징(北京)으로 개명한 뒤 남경에서 북경으로 천도를 단행하였다. 북경은 또한 경사(京師)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이는 단순히 수도라는 뜻이다. 명나라 시기 동안 전통적인 베이징의 구획이 확립되었다. 자금성과 천단 등의 건축물이 1406년에서 1420년대 사이에 건설되었다. (현재의 천안문(중국어 정체자: 天安門)은 1651년에 마지막으로 재건된 것이다.) 1644년, 만주족의 청나라가 베이징을 점령한 뒤 베이징을 유린하였고 베이징은 청의 통치 기간 동안 중국의 수도로 남게 되었다.

1911년, 신해혁명을 일으킨 혁명 정부는 베이징은 만주족의 수도라는 주장으로 난징을 수도로 정하고자 하였다. 의 치열한 대화 끝에 베이징은 난징과 같이 수도로서의 역할을 잃지 않을 수 있었다.

1916년 중국은 지방 군벌들의 내전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으며, 각자 베이징을 차지하기 위해 싸움을 벌였다. 1928년, 국민당 정부는 북부의 군벌을 소탕하고, 난징을 공식적인 중화민국의 수도로 정한 뒤, 베이징을 북부의 평화 또는 북부의 평화를 회복시켰다는 뜻의 베이핑(北平)으로 개칭하여 베이징의 상징적인 의미를 떨어뜨렸다. 이후 일본제국이 베이징을 정복하였다.

제2차 중일전쟁 당시인 1937년 7월 29일, 베이징(베이핑)이 일본 제국에게 정복된 기간 동안 도시는 그 이전의 이름인 베이징으로 개명되었고, 일본 제국에 의해 많은 한족들이 강간되었다. 이 곳에 일본에게 점령된 화북의 일부 한인들이 설립한 괴뢰정부인 중화민국임시정부(中華民國臨時政府)가 들어서게 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미국에 패전하게 되고, 한편으로 소련이 만주 지역을 점령하는 등과 같은 영향에 따라 베이징의 이름은 다시 베이핑으로 바뀌었다.

1949년 1월 31일, 공산당 세력은 베이핑으로 무혈입성 하였고, 같은 해 10월 1일, 베이징에서의 중화인민공화국 설립을 발표하였다.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중국어 정체자: 中國人民政治協商會議)에서 베이핑은 공산 정권의 수도로 확정되었고, 이름도 다시 베이징으로 개명되었다.)

둥청구는 2010년 7월 충원구(崇文区, 숭문구)를 흡수합병하였다. 구정부는 장산가도(景山街道)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이전 10개 가도에서 17개 가도로 확대되었다.[6]

산업[편집]

2019년에 둥청구의 지역 생산총액은 전년 동기대비 6% 증가한 2910억 4000만 위안에 달하였고,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동기대비 8% 증가한 189억 7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사회고정자산투자는 동기대비 8.8% 하락한 262억 8000만 위안에 달했고, 건축, 설치공사 투자액은 동기대비 6.9% 늘어난 75억 4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시장의 총소비액은 동기대비 6.2% 증가한 2405억 8000만 위안, 사회소비재 총매출액은 동기대비 5% 늘어난 1105억 2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경제를 중심으로, 문화 경제를 특색으로, 본부 경제를 버팀목으로 하는 산업 최첨단 발전 배치가 형성됐다. 2019년, 제3차 산업의 증가치는 경제 총량의 97%를 차지한 2822억 9000만 위안으로 베이징시에서 1위에 올랐다. 본사 기업이 343개 있고, 세계 500대와 중국 500대 기업이 각각 5곳과 13곳이 있다.

현재, 둥청구는 '2개의 축, 1개의 비즈니스 발전 벨트, 2개의 단지'의 공간 배치를 형성하였다. 2019년에 중관춘(中關村) 둥청단지에는 하이테크 기업 1068개가 있으며, 토지 및 노동 평균 생산율은 모두 중관춘 '1개의 국가급 독자적 혁신 시범구와 16개의 단지'에서 1위를 차지했다. 2019년에 둥청단지의 규모이상 하이테크 기업의 총수입은 동기대비 11.5% 늘어난 2900억 위안을 기록했다. 또한 단지내 평균 생산율은 베이징시의 1위를 등극한 481억 위안/㎢ 에 달하며, 노동 평균 생산율은 1인당 322만 위안을 기록해 베이징시에서 2위를 차지했다.

현재 둥청구 각 유형의 종합 및 특색 상가는 12개가 있고, 상업 건축면적은 120만 m2를 웃돌았다. 그중 중국 유명 상가 2개, 중국 특색상가 1개, 시급 특색 상가가 8개가 있다. 둥청구에는 66개의 전통 상점, 80개의 브랜드가 있는데 그중 퉁런탕(同仁堂), 취안쥐더(全聚德), 이팡(便宜坊), 두이추(都壹處) 등 중국 전통 상점 브랜드는 24개가 있다. 80개 브랜드의 평균 연령은 150년인데 그중 100년 이상의 전통 상점 브랜드가 48개로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그들의 평균 연령은 217년이다.

문화 및 생활[편집]

둥청구는 국가 공공문화 서비스 체계 시범구로서 공공문화시설의 기준 도달률이 100%이다. 인민예술극장, 바오리(保利)극장 등 34개의 전문극장이 있고, 베이징시 전체 예술류 극장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난뤄구샹(南鑼鼓巷) 희극 전시공연 시즌, 중국 어린이 연극 축제, 베이징 청년 연극 축제, 전국 연극 우수 신규작품 전시공연, 공자묘 국자감 국학문화축제, 전국곡예만담 신작 전시공연 등 활동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둥청구에는 2중학교, 5중학교, 징산(景山)학교 등 베이징시 시범 고등학교 12개, 스가(史家)초등학교, 푸쉬(府學)초등학교, 광명초등학교 등 61개 초등학교, 제1 유치원, 제5유치원 등 21개 시급 시범유치원을 포함한 약 200개의 교육기관이 있다. 둥청구는 국가 기초교육 종합개혁 시범구, 베이징시 교육 선진지역, 의무교육 우수자원 범위가 97%에 달하며, 2019년 신규 학전교육 학위는 2100여 개로, '국가의무교육 기본 균형구현(區縣)'의 칭호를 취득하였다.

둥청구는 누적 576개의 의료보건기관이 있는데 이에는 셰허(協和)병원, 베이징병원, 둥런(同仁)병원 등 9개의 3급병원이 포함된다. 병상은 12,099개이고, 상주인구 1천 명당의 병상 수는 13.78개에 달하고, 베이징시 평균 수준의 2배 이상이다. 1인당 기대수명은 84.31세에 달하고 보건사업발전 종합평가는 베이징시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둥청구는 '전국 중의약 특색 지역 보건 서비스 시범구', 1차 '국가 중의약 발전 종합개혁 시범구'와 국가급 '의료 및 양로 결합' 시범 기관으로 확정되었고 '전국 양로서비스 시범 기관'의 칭호를 받았다. 둥청구에는 6개의 종합의료연합체, 6개 전문의료연합체가 형성되어, 전국 '도시 의료 연합체 건설 시범 도시'로 선정되었다. 둥청구 제1인민병원이 타지 이전 프로젝트가 착공되고 둥청구 장애인 종합 서비스센터가 이미 운영에 들어섰다.

둥청구는 잇따라 '전국 문명 지역' 4관왕, '전국 쌍융(雙擁,군대를 옹호하고 군인가족을 우대하는 것과 군대는 정부를 옹호하고 국민을 사랑하는 것을 말함) 모범 지역' 7관왕, '전국 조화지역건설 시범구'와 '전국 평안건설 선진구'를 획득하였고, 처음으로 '1만 미터 단원 네트워크 도시 관리 모델(萬米單元網格城市管理模式)'과 '도시 종합 관리법 모델' 경험을 전국에 보급했다. 2환 도시의 녹지대, 명나라 성벽 유적지 공원 등 일련의 환경 건설 정품공정을 구축하여, 화북 지역 가운데 유엔으로부터 '국제 정원 도시'의 칭호를 수여받은 첫 곳이다. 베이징시에서 가장 먼저 도시 공간의 여백을 남기고 녹색 생태 공간을 확대하는 프로젝트 3년 행동계획을 출범하여, 2019년에는 안더(安德) 도시 삼림 공원과 옌둔(燕墩) 공원 건설을 마무리하였으며, 샤오웨이(校尉) 골목 서쪽, 샹허위안(香河園) 등 13개 포켓 파크를 조성하여 '가든(정원) 둥청' 건설을 지속적으로 심화하고 있다.

관광[편집]

둥청구는 고궁(故宮, 자금성), 톈탄(天壇), 대운하 옛 물길 위허(玉河)구간 등 3개 세계급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31개 국가 무형 문화재, 33명 국가 무형 문화유산의 상속 계승인이 있다. 또 움직일 수 없는 문화재가 356곳이 있는데 이는 베이징 역사문화거리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었고, 보호 면적이 가장 큰 지역이며, 옛 수도의 역사문화유적이 운집되는 지역이다. 여기에 황실 문화, 불교 문화, 국학 문화, 유교 문화, 상업 문화, 민속 문화, 회관 문화들이 어우러져 빛을 내고 있다. 둥청구는 관광자원이 풍부하여 A급 관광구 12곳이 있으며, 그중에 4A급 관광구 6곳, 5A급 관광구 2곳을 보유하는 세계 유명 문화관광 명소이다. 연간 관광객 수는 9000만 명을 초과한 둥청구는 베이징시의 관광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해외 관광객 수는 110만 명을 돌파하여 베이징시의 1/4를 차지한다. '디탄(地壇) 문화 묘회(廟會) 세계행' '황성 국제 관광 축제', '첸먼(前門) 역사문화 축제' 등 브랜드 활동을 통해 둥청의 국제적 영향력을 향상시켰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둥청구 (베이징시)〉, 《위키백과》
  2. 둥청구(베이징시)〉, 《나무위키》
  3. 베이징시〉, 《위키백과》
  4. 베이징시〉, 《나무위키》
  5. 둥청구 소개〉, 《베이징시 인민정부》
  6. 중국행정구획총람: 둥청구〉,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둥청구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