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신위시

위키원
(신위 시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장시성 위치

신위시(중국어: 新余市 xīn yú shì)는 중국 장시성 중서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신위시의 면적은 3,177.68㎢이며 인구는 1,202,499명(2020년)이다. 난창시(南昌市)와 창사시(长沙市) 두 성회 도시의 중간, 난창(南昌)에서 남서쪽으로 약 135km 떨어져 있다. 저간철로(浙赣铁路, 절감철로)의 서단(西段)에 위치하고 있다.

시 인민 정부는 위수이구(渝水区, 유수구)에 소재하며 성회 난창시(南昌市, 남창시)로부터 150㎞ 거리에 있다. 행정구획은 위수이구(渝水区, 유수구)의 1개 시할구와 펀이현(分宜县, 분의현)의 1개 현(县)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내에는 신위대학교 (新余学院)가 있다.

주요 민족은 한족(漢族)이다. [3][4]

자연환경[편집]

신위시(新余市)의 지형은 장시성 지형도에 따라 간서(赣西) 중저산 및 구릉 지대에 속하며, 그중에서도 '평양-고안 침식·박식 구릉 분지'와 '간부(赣抚) 중류 하곡 계단 및 구릉 지역'의 중간 부분에 위치해 있다. 남쪽과 북쪽은 높고, 중앙은 낮고 평탄하며, 위안허(袁河)가 동서로 가로지르고 동쪽은 개방되어 있다. 기본적인 지형 유형으로는 저산, 고구릉, 저구릉, 구릉지, 계단지, 평원이 있다. 지형의 형성 원인은 침식 구조 지형, 침식·박식 지형, 용식·침식 지형, 퇴적 지형으로 나뉜다.

신위시 내의 산지는 대부분 경계 지역에 분포하며, 남부에는 무공산(武功山)과 구룡산(九龙山), 북부에는 몽산(蒙山), 서남부에는 대강산(大岗山)이 위치해 있다. 이 산들의 해발 고도는 5001000미터로, 인근 현들과의 경계선 또는 분수령을 형성한다. 산맥의 주된 방향은 북쪽에서 서남쪽으로 뻗어 있다. 지질 구조로 인해 대부분의 산들은 봉우리가 높고, 산세가 험준하며, 계곡이 깊다. 신위시 분의현(分宜县) 서남부에 위치한 대강산의 주봉은 해발 1,091.8미터로 신위시 내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며, 몽산의 주봉은 해발 1,004.5미터이다. 시 북서부 경계의 산지는 북쪽에서 서남쪽으로 뻗어 있으며, 인허(人和), 어리(欧里), 계수(界水)를 잇는 선을 따라 분포한다. 남쪽 산지의 상대 높이는 120200미터이다. 산맥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백장봉(百丈峰)까지 뻗어 있으며, 협강(峡江), 길안(吉安), 신간(新干) 등 현들과 산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신위시는 아열대 습윤 기후에 속하며, 사계절이 뚜렷하고 기후가 온화하며 일조량이 풍부하고 강수량이 많고 무상기가 긴 특징이 있다. 신위시의 연평균 기온은 17.7℃이며, 7월이 가장 더운 시기로 월평균 기온은 29.4℃, 극점 최고 기온은 40.0℃에 달한다. 1월은 가장 추운 시기로 월평균 기온은 5.4℃이며, 극점 최저 기온은 영하 7.2℃이다. 연평균 상대 습도는 80%이며, 3월에는 상대 습도가 84%까지 높아지지만, 7월에는 74%로 떨어진다.

신위시를 가로지르는 주요 하천은 위안허로, 간장(赣江) 수계에 속하며 동서로 흐른다. 신위시 내의 위안허 구간 길이는 116.9킬로미터이다. 위안허는 평양시 무공산 북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며, 평양시와 의춘시(宜春市)를 지나 분의현 양강향(洋江乡) 차전촌(车田村)에서 신위시로 들어오고, 위수구(渝水区) 신계향(新溪乡) 용미주촌(龙尾周村)에서 경계를 벗어나 장수시(樟树市) 장가산(张家山) 하부관(荷埠馆)에서 간장으로 합류한다. 시내의 작은 하천들은 대부분 남북으로 흐르며 위안허로 유입되고, 전체 수계는 잎맥 모양을 이룬다.

위안허는 신위시 내에서 17개의 지류가 있으며, 주요 지류로는 탑전강(塔前江), 계수하(界水河), 주우강(周宇江, 즉 획강), 천수강(天水江), 공목강(孔目江), 뇌비강(雷陂江), 안화강(安和江), 백양강(白杨江), 진가강(陈家江, 즉 판교강), 몽하(蒙河), 요가강(姚家江), 남안강(南安江), 양교강(杨桥江), 봉양하(凤阳河), 신지하(新祉河), 원갱하(苑坑河), 배원하(陂源河) 등이 있다. 신위시의 수자원 총량은 59.5395억 입방미터이며, 그중 25.4368억 입방미터가 외부에서 유입된다. 지표수의 주요 원천은 하천 유량이며, 일부는 산에서 솟아나는 샘물이다. 시내 대부분 지역의 유량은 750~900밀리미터 사이에 있으며, 전반적으로 서북부 지역이 동남부보다 많고, 산악 지역이 위안허 하류 평원 지역보다 많다. 양교강 수계가 가장 높으며, 일반적으로 850밀리미터 이상이다. 남안구 수계는 가장 낮아서 약 780밀리미터이며, 다른 지역은 약 800밀리미터이다. 시 전체 평균 유량은 800밀리미터이며, 유량의 지역적 분포는 고르지 않다. 또한 유량의 연도 내 분포 역시 불균등한데, 이는 하천 유량이 주로 강수량에 의해 보충되기 때문이다. 다년간 평균 강수량은 1600밀리미터로, 계절적 변동이 크다.

시 전체의 지하수 평균 저장량은 8.79억 입방미터이며, 그중 개발 가능한 양은 3.44억 입방미터이다. 이는 주로 이완암 지하수와 용암형 지하수에 분포한다.

산림의 총 축적량은 311.55만 입방미터이다. 그중 삼나무가 우세한 수종으로 축적량이 146.64만 입방미터로 전체의 56.81%를 차지하며, 소나무는 주로 마위송(木松)으로 80.46만 입방미터, 전체의 31.18%를 차지한다. 활엽수는 30.99만 입방미터로 전체의 12.01%를 차지한다. 주요 수종으로는 삼나무와 소나무 외에도 동백나무, 장나무, 느티나무, 참나무, 버드나무, 자작나무, 회화나무, 상수리나무, 오동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뽕나무, 오리나무, 유동나무 등이 있다. 수종 구성은 "6 삼나무, 3 마위송, 1 활엽수"로 요약될 수 있다.

신위시에는 37종 이상의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표범, 늑대, 호랑이, 승냥이, 여우, 멧돼지, 호저, 산토끼, 산양, 노루, 고슴도치, 물소, 흑사슴, 원숭이, 오소리 등이 있다. 조류로는 뻐꾸기, 독수리, 제비, 참새, 기러기, 솔개, 매, 원앙, 왜가리, 야생닭, 야생오리, 꿩, 두견새, 꾀꼬리, 까마귀, 까치, 백학, 때까치, 딱따구리, 올빼미 등이 흔히 보인다.

어류로는 잉어, 뱀장어, 메기, 붕어, 황어, 큰머리 잉어, 백련어, 황어, 대구, 풀잉어, 뱀장어, 미꾸라지 등 다양한 종이 서식한다. 연체동물로는 자라, 거북, 게, 조개, 달팽이, 새우, 천산갑 등이 있으며, 파충류로는 살모사, 금환사, 은환사, 대나무살무사, 바둑판살모사, 녹색살모사, 흙뱀 등 10여 종이 자주 보인다.

가축으로는 돼지, 소, 양, 닭, 오리, 거위, 토끼 등이 있으며, 돼지는 주로 간서지방의 두터운 흑돼지와 혼합종이 많다. 소는 경작용 소, 육우, 젖소로 나뉘며, 경작용 소에는 황소와 물소가 포함된다. 황소는 간동북 지역의 금강, 고안 소 품종이고, 물소는 호수 주변 물소에 속한다.[5]

역사[편집]

기원전 3천년 무렵의 신석기 유적이 발굴되었다. 춘추시대에는 초나라와 오나라의 격전장이었다.

한대에는 예장군에 속했다가 손오 시절에 신설된 안성군 (安城郡) 하에 신유현 (新諭縣)이 현 시가지에 설치되었다. (267년) 신유현은 위안허의 옛 이름인 유허 (위수이)에서 비롯되었고, 위수이구 지명으로 남아있다.

남북조 시대에 신유현의 인구는 5만에 달하였다. 그러다 수나라 대인 589년 인근 원주 (袁州) 의춘현에 병합되었다가 598년 복구되었다. 607년에는 의춘군에 속하였다.

당나라 대인 621년 신유현은 폐지되고 그 동북쪽에 시평현 (始平县), 서남쪽에 서오주 (西吴州)가 설치되었다. 다만 624년 서오주가 폐지되며 신유현은 다시 복구되었고, 742년에는 유(諭)자가 실수가 잦다는 이유로 유(喻)자로 대체되었다.

송대인 992년 신여현은 임강군 (临江军)에 편성되었고, 원대인 1295년에는 임강도 소속 신유주 (新喻州)로 승격되었다.

명청대에는 다시 신유현으로 돌아가 임강부 (临江府)에 속하였다.

중화민국기에 신유현은 1912년 장시성 직속, 1914년 루링도, 1926년 장시성 직속, 1932년 장시제8행정구, 1935년 장시제2행정구에 편성되었다.

한편 1차 국공내전 당시 장시 소비에트에 의해 1930년 5월에는 상목원촌에 소비에트 정부가 세워져 1934년 10월까지 유지되었다. 1932년 3월에는 인근 샤장현과 합병하여 신샤현 (新峡县)을 이루기도 하였다.

1949년 7월 14일 인민해방군이 진주하였고, 1957년 기존 유자를 여 (余)자로 바꾸어 현제에 이른다. 위안저우전구, 의춘전구에 속했던 신위현은 1960년 대약진운동의 일환인 철강 산업 육성과 함께 신위시로 승격되었다. 비록 1963년 철강 산업의 부진으로 다시 현으로 격하되었으나 1983년 다시 시로 승격되었다. 2001년에는 신위 하이테크 경제개발구가 설치되었다. 2013년에는 충주시와 우호교류 의향서를 체결하였다.

산업[편집]

철강 산업이 크게 발전하였으며 장시성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그밖에 건설 자재, 석탄, 식자재 등의 산업이 이루어진다. 장시성에서 1인당 GDP가 제일 높은 도시이며, 난창 등의 다른 도시들이 발달한 현재도 상위권 다툼에서 밀리지 않고 있다. 이는 신위시가 성내 철강 산업의 중심지이고 신재생 에너지와 전자산업을 전문적으로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난창시에 있는 공항인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 이용객의 70%가 신위를 목적지로 한다는 말도 있을 정도이다.

교통[편집]

위역에는 이춘과 잉탄간 후쿤철도, 신위북역에는 난창과 이춘 간의 후쿤고속철도가 다닌다. 공항은 없고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을 이용한다.

관광[편집]

베이후 공원, 신위 낙원 (바오스 공원 抱石公园)의 푸바오스 기념관과 장시항전박물관(江西省抗战博物馆), 서쪽 외곽의 셴뉘후 호(仙女湖) 등이 있다. 출신 인물로는 20세기 동양 산수화의 대가 푸바오스(傅抱石, 1904 ~ 1965년)가 유명하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신위시〉, 《위키백과》
  2. 신위시〉,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신위시〉,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신위〉, 《네이버 지식백과》
  5. 新余市〉,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신위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