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찹쌀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썸네일|'''찹쌀밥''' '''찹쌀밥'''은 찹쌀로 지은 밥을 말한다. '''찰밥'''이라고도 한다. == 개요 == 찹쌀밥은 찹쌀...) |
(차이 없음)
|
2024년 12월 24일 (화) 15:19 기준 최신판
찹쌀밥은 찹쌀로 지은 밥을 말한다. 찰밥이라고도 한다.
개요[편집]
찹쌀밥은 찹쌀을 넣고 지은 밥을 의미한다. 찹쌀만 넣고 짓는 게 없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팥을 넣고 짓기 때문에 팥밥을 찰밥이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지역에 따라서 대추, 기장, 조, 밤, 검은콩 등의 오곡을 섞어 소금으로 간을 해서 만든 오곡밥도 찰밥이라고 부르는 모양이다.[1]
특징[편집]
찹쌀이 들어갔기 때문에 당연히 일반적인 밥에 비해 찰기가 훨씬 강하며 포만감이 더하다. 식감은 쫀득함이 강하게 느껴진다. 흔히 말하는 '밥에 기름이 좔좔 흐른다'는 상태의 최정점인 형태이다. 씹다 보면 느껴지는 찰기가 장난이 아니기에 좋아하는 사람은 많이 찾기도 한다.
이렇게 찰밥이 매우 쫀득한 이유는 녹말에 있다. 곡류의 녹말은 크게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으로 나눌 수 있다. 밥을 지을 때 흔히 이야기하는 '찰기'라는 끈적거림은 아밀로펙틴이 뜨거운 물에 용해된 이후에 생성되는 부산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멥쌀의 녹말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대략 3:7 비율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찹쌀의 녹말에는 아밀로오스가 존재하지 않고 모두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찹쌀은 일반적인 다른 곡류를 쪘을 때와 비교하여 압도적인 찰기를 지니게 된다.
전통적인 시루로 쪄 만들긴 하지만, 전기밥솥으로도 충분히 만들 수 있다. 여기서 밥을 할 때는 밥물을 비교적 적게 넣는 게 좋다. 아밀로펙틴이 가득한 찹쌀을 쓰기 때문에 밥물을 일반 밥을 할 때만큼 넣으면 진밥이 되기 때문이다.[1]
파생되는 밥[편집]
찰밥은 말 그대로 찹쌀을 사용한 밥을 통틀어서 이야기하는데, 일반적으로 찹쌀만 넣지 않고 다른 재료도 함께 넣는다. 그래서 찰밥은 그 범위가 넓다. 흔히 볼 수 있는 팥을 넣은 팥밥, 찹쌀이 들어가는 오곡밥, 견과류나 고구마 등을 넣은 밥으로 나뉜다. 그리고 어쨌든 찹쌀이 들어가면 찰밥이 되기 때문에 이들의 구분은 매우 모호하다. 잘 모르는 사람들은 약밥과 착각하기도 한다. 이 역시 찹쌀로 만들기 때문에 헷갈리는 것이다. 일단 구글링을 해보면 대부분 팥은 반드시 넣는다.[1]
먹는 나라/지역[편집]
오키나와어로는 찹쌀밥을 카시치(カシチー)라고 부른다. 또 카시치라고 부르는 명절도 있다. 음력 6월 25일은 6월 카시치(六月カシチー)라는 명절이며, 찹쌀밥을 지어 올려 히누칸에게 수확을 감사한다. 또 음력 8월 10일은 8월 카시치(八月カシチー)라는 명절로, 똑같이 찹쌀밥을 지어 올리지만, 이날은 건강을 기원한다. 동남아시아에는 찰밥에 코코넛 밀크를 끼얹고 망고와 곁들이는 요리가 있다.[1]
먹는 때[편집]
옛날부터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을 즐겨 먹었고, 이 중 찹쌀이 있기에 정월대보름에 찰밥을 먹는 풍습으로 전해졌다. 정월대보름과 찰밥은 삼국유사의 신라 소지왕에서 까마귀가 모반을 미리 알려준 것에 보답하기 위해 까마귀밥으로 찰밥을 준비한 것이 유래라고 한다.
또한 팥밥의 하위 개념이라고 볼 수 있어서 생일날 찰밥과 미역국을 먹는 풍습 역시 지금도 남아있다. 이때는 찰밥을 먹는 이유가 생일을 맞은 사람을 괴롭히려 오는 귀신을 쫓아내는 것이기 때문에, 생일날에 먹는 찰밥에는 웬만하면 팥은 반드시 들어간다.[1]
지역별 찹쌀밥[편집]
한국
찹쌀밥, 나미밥(糯米-), 나미반(糯米飯) 등으로 불린다. 씻어서 물에 불린 자포니카 찹쌀을 시루에 쪄서 짓는 밥이다. 멥쌀을 섞어 짓기도 하며, 이때는 밥을 가마솥 등에 짓기도 한다.
- 약밥: 찹쌀을 물에 불려 시루에 찐 다음, 꿀이나 흑설탕, 참기름, 대추, 간장, 밤, 황밤 등을 넣어 다시 시루에 찐 밥이다.
- 오곡밥: 찹쌀에 기장, 찰수수, 검정콩, 붉은팥의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 지은 밥이다. 음력 정월 보름에 지어 먹는다.
- 찰밥: 찹쌀과 팥, 밤, 대추, 검은콩 등을 섞어서 지은 밥이다.
- 혼돈반: 찹쌀에 붉은팥과 밤, 대추, 곶감 등을 넣어서 지은 밥이다.
동아시아
일본에서는 찹쌀밥이 시라무시(일본어: 白蒸し)라 불린다. 중화권에서는 찹쌀밥이 눠미판(중국어 간체자: 糯米饭, 정체자: 糯米飯, 병음: nuòmǐfàn), 노마이판(광둥어: 糯米飯, 월병: no6 mai5 faan6) 등으로 불린다.
- 상차우노마이판(生炒糯米飯): 랍메이, 광둥식 찹쌀볶음밥이다.
- 세키한(赤飯): 팥을 넣어 지은 일본식 팥밥·찹쌀밥이다.
- 팔보반(八寶飯): 연밥, 대추 등 여덟 가지 열매를 얼음사탕과 섞어 넣고 지은 중국식 찹쌀밥이다.
동남아시아
라오스와 태국에서는 찹쌀밥이 각각 카우 니아우(라오어: ເຂົ້າຫນຽວ)와 카오 니아오(태국어: ข้าวเหนียว)라 불린다. 인디카 찹쌀을 "후앗"이라 불리는 찜기에 쪄서, "띱카우/끄라띱"이라 불리는 대나무 통에 담아 보관하고 먹는다.[2] 이 찹쌀밥이 라오스의 국민 음식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베트남에서는 찹쌀밥이 껌 넵(베트남어: cơm nếp)이라 불린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찹쌀밥이 나시 풀룻(인도네시아어: nasi pulut)이라 불린다.
- 껌 람: 베트남의 찹쌀 코코넛 대통밥이다.
- 끄랄란: 캄보디아의 찹쌀 코코넛 대통밥이다.
- 르망(lemang): 해양 동남아시아의 찹쌀 코코넛 대통밥·쿠에이다.
- 쏘이(xôi): 베트남식 찹쌀밥 요리이다.
- 카오 니아오 마무앙(ข้าวเหนียวมะม่วง): 태국의 망고 찹쌀밥 요리이다.
- 카오 람/카우 람: 태국과 라오스의 찹쌀 코코넛 대통밥이다.[2]
기타[편집]
맛없는 묵은쌀로 밥을 지을 때 찹쌀을 조금 섞어 주면 다 죽어가는 밥맛을 소생시킬 수 있다. 이때 찹쌀과 멥쌀의 비율은 1:4~1:3 정도가 좋다. 이래도 맛이 없으면 그 쌀은 밥 짓는 용도로는 실격이니 방앗간에 맡기어 가래떡을 뽑아 먹으면 된다. 오곡밥이 오만 잡곡을 섞어 넣고도 밥이 되는 이유가 찹쌀이나 차조가 베이스로 들어가 부족한 찰기를 받쳐주기 때문이다. 많은 세월이 흘러 등장한 인스턴트 밥, 햇반으로도 찰밥을 먹을 수 있다.[1]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