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구장
당구장(撞球場)은 사람들이 당구 경기를 즐기기 위해 설계된 실내 시설이다. 여기에는 당구 테이블, 공, 큐 등의 장비와 더불어 게임 환경을 최적화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들이 포함된다. 당구장은 스포츠, 오락, 사교 활동의 중심지로 기능하며, 다양한 유형의 당구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세[편집]
당구대는 평범한 일반인이 구매하기에는 좀 비싸고 덩치도 크며, 보관하기에도 마땅치 않으므로, 당구대와 큐대, 당구공 등을 구비하고, 돈을 지불하여 당구를 칠 수 있게 하는 장소이다. 대개 3구, 4구를 칠 수 있는 당구대가 구비되어 있는 편이다. 포켓볼 다이도 있긴 하지만, 이 쪽은 없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당구장은 다른 체육 시설과는 달리, 손님이 입장하면 음료를 인당 한 잔 무료로 내어 주는 문화가 있다. 보통 작은 쟁반에 담겨 나오는데, 점포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체로 종류는 냉커피, 콜라, 사이다, 아이스티, 주스, 헛개차 등이 있으며 특히 '당구장의 냉커피' 는 꽤 암묵적으로 유명한 듯 하다.
당구가 남자 한정으로 국민 운동에 가깝다 보니, 군대에서도 시설이 좋은 부대의 경우 당구대를 볼 수 있다. 대체로 가격과 유지 보수 등의 문제로 인해 대대는 좀 무리고, 적어도 사단급은 가야 볼 수 있다.
원래 PC방처럼 실내 흡연이 가능한 장소였지만, 법이 개정되면서 실내 흡연은 금지되었다. 흡연하다 적발될 경우 과태료 10만원이 부과되므로 실내 흡연부스와 같은 지정 장소에서 피우도록 하자. 간혹 아예 공간을 두 종류로 분리해서, 한쪽에서는 담배를 피우며 당구를 칠 수 있고, 다른 쪽은 금연 구역으로 지정해서 운영하는 곳도 있었으나 당구장 자체를 전면 금연구역으로 지정한 이후에는 흡연 부스를 따로 설치하게 되었다.
과거에 인식이 안 좋았기 때문에 청소년이 가기 어렵거나 가면 안 되는 곳, 밤 10시 이후에는 애들은 못 가는 곳 등 이런저런 풍문이 떠돌기도 한다. 하지만 엄연히 체육시설로써 기능하기 때문에 청소년도 얼마든지 출입이 자유롭다. 다만 자칫 성인들과 마찰이 생길 수도 있기에 일부는 포켓볼을 즐기는 것을 권장하기도 한다.[1]
역사적 배경[편집]
- 기원
15세기: 당구는 원래 유럽에서 귀족과 왕족을 위한 실외 스포츠로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잔디밭 위에서 클럽과 공을 사용해 놀이를 즐겼으며, 점차 실내에서 즐길 수 있도록 변형되었고 실내 테이블과 당구공이 등장했다.
초기 모습은 귀족의 저택 내부나 궁전 내 방이었다. 장식적인 테이블과 럭셔리한 장비가 배치되어 단순한 스포츠라기보다는 사교 활동에 가까웠다.
17 ~ 18세기: 귀족 전용 스포츠
- 당구는 주로 프랑스, 영국, 스페인 같은 유럽 국가에서 상류층 사이에 퍼졌다. 고급 목재로 만든 테이블에 촛불이나 오일 램프 같은 기본적인 조명 사용했으며 왕족이나 귀족들이 주로 참여하던 개인 시설로 운영 되었다.
대표적 장소
- 프랑스: 루이 14세와 나폴레옹이 당구를 즐긴 것으로 유명하다.
- 영국: 찰스 1세가 당구 애호가였으며, 귀족 사이에 인기가 많았다.
19세기: 당구장의 대중화
- 산업혁명: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당구 테이블과 장비가 대량 생산되기 시작했다. 제작 비용이 낮아져 중산층도 당구를 즐길 수 있었다. 상업적인 당구장이 등장하며 대중들에게 문을 열었고, 당구장은 카페, 술집과 결합해 여가와 오락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발전하였다. 게임의 규칙과 포맷이 표준화되었고, 테이블 크기와 공의 재료도 규격화되었고, 저렴한 당구공(셀룰로이드 등)과 합성 소재의 큐가 등장하였다.
대중화의 중심지
- 미국: 19세기 중반부터 당구장은 상업시설로 큰 성공을 거두며, 대형 체인 당구장도 생겨났다.
- 유럽: 프랑스와 영국에서 시작된 캐롬과 포켓볼이 보급되었다.
20세기: 스포츠로의 진화
- 세계 대전 이후: 여가와 오락의 역할이 커지면서 당구장이 대중 스포츠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당구는 국제적인 스포츠로 인정받으며 프로 리그와 대회가 개최되었다. 유명 선수들이 당구장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대중적 인기를 끌었다.
전문적인 테이블과 조명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청결 관리와 안전 장비 확보하므로 당구장의 외관과 내부는 더 세련되고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변모하였다.
당구장 구성 요소[편집]
- 당구 테이블
- 규격: 전통적인 포켓 당구(풀) 테이블은 보통 9피트 (약 2.7m) 크기로, 이보다 작은 크기의 테이블은 7피트나 8피트로 나뉜다.
- 재질: 일반적으로 버치나 메이플 같은 고급 목재로 만든 테이블 상판 위에 울 소재의 천(클로스)이 깔려 있다.
- 공이 구르는 표면과 사이즈가 정확하게 맞춰져야 하므로, 테이블의 높이는 매우 중요하다.
- 큐(Queue)
당구에 사용하는 큐(막대기)는 길이가 140~150cm 정도로, 목재로 제작된 것이 일반적이다. 큐의 한쪽 끝은 돌기 형태로 다루며, 팁(tip)을 통해 당구 공을 친다. 큐를 선택할 때 무게, 길이, 재질 등이 매우 중요하며,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한다.
- 당구공
당구는 여러 종류의 공을 사용하며, 포켓 당구와 3쿠션 당구 등 종류에 따라 공의 크기와 색상이 다를 수 있다.
- 포켓 당구 공: 15개의 공과 1개의 화이트 공을 사용한다. 각 공은 번호와 색상이 매칭되어 있으며, 보통 솔리드(단색)과 스트라이프(줄무늬) 종류로 나뉜다.
- 3쿠션 공: 총 3개의 공을 사용하며, 주로 하얀 공, 빨간 공, 흰색 공이 주요한 요소로 사용된다.
- 포켓 및 벽
- 당구 테이블의 각 모서리에는 공이 들어갈 수 있는 포켓이 있으며, 기둥(이라 불리는 벽)이 내구성 있게 제작돼 공이 튕길 때 적절한 반응을 제공한다.
- 기타 시설
- 많은 당구장은 대기 공간, 음료/스낵을 제공하는 카페 공간 혹은 바 공간을 갖추고 있다.
- 최신 당구장에서는 디지털 점수판을 사용하거나 방음시설을 갖추기도 하며, TV 모니터, 음악 등 기타 장식적 요소들도 많다.
역할과 중요성[편집]
당구장은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장소를 넘어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역할을 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된다:
- 사회적 공간
- 당구장은 사람들과 어울리고 새로운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장소로, 커뮤니티 형성에 기여한다. 많은 사람들이 당구장에서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며 관계를 형성한다.
- 운동과 레크리에이션
- 기술 연마
- 당구장은 당구 실력을 향상시키고 연습할 수 있는 이상적인 장소다.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다양한 수준의 플레이어들이 모여 기술을 연마하고, 서로의 경기 스타일을 배우며 성장할 수 있다.
- 문화적 상징
- 당구장은 특정 문화와 시대를 대표하는 장소로서, 많은 영화, 문학,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배경으로 사용되곤 한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은 당구를 더욱 특별하고 매력적인 스포츠로 만든다.
당구장 유형[편집]
- 전통적인 당구장
- 전통적인 당구장은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당구 테이블을 갖추고 있으며, 기본적인 당구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소이다. 여기에선 주로 포켓볼, 스누커, 캐롬 당구 등의 다양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전통적인 당구장은 대부분 의자와 테이블, 음료 자판기 등이 마련되어 있어 편리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 고급 당구장
- 고급 당구장은 보다 쾌적하고 고급스러운 환경을 제공하는 당구장이다. 고급 인테리어와 높은 품질의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부 고급 당구장은 바, 라운지, 레스토랑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어, 손님들이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게 한다.
- 스포츠 센터 내 당구장
- 스포츠 센터나 피트니스 클럽 내에 위치한 당구장이다. 다양한 운동 시설과 함께 당구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회원제 운영으로, 회원들은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며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 게임 및 오락 복합시설 내 당구장
- 다양한 게임 및 오락 시설과 함께 있는 당구장이다. 볼링, 다트, 아케이드 게임 등 여러 가지 오락 요소들이 함께 제공된다. 가족 단위나 친구들과 함께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주말이나 휴일에 인기가 많다.
- 교육 및 훈련 당구장
- 당구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당구장이다.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다양한 수준의 당구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곳이다. 당구 강사나 코치가 상주하여 개인 레슨이나 그룹 레슨을 제공하며, 당구 대회도 열리는 경우가 많다.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당구장〉, 《나무위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