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후이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후이즈'''(whois)는 인터넷의 통신망에 관한 정보 제공 서비스이다. 인터넷의 자원과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행정 조직인 네트워크 정보...)
 
잔글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후이즈'''(whois)는 [[인터넷]]의 통신망에 관한 정보 제공 서비스이다. 인터넷의 자원과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행정 조직인 네트워크 정보 센터(NIC)가 관리하고 있는 통신망에 관한 정보 제공 [[서비스]]로, 후이즈 명령을 사용하면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으로부터 이용자 등 그 통신망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
'''후이즈'''(Whois)는 [[인터넷]]의 통신망에 관한 정보 제공 서비스이다. 인터넷의 자원과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행정 조직인 네트워크 정보 센터(NIC)가 관리하는 통신망에 관한 정보 제공 [[서비스]]로, 후이즈 명령을 사용하면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으로부터 이용자 등 그 통신망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
 
 +
{{:인터넷 배너|도메인}}
  
 
==개요==
 
==개요==
후이즈 서비스는 국가 [[인터넷주소]](도메인, IP주소/AS번호) 관리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공하는 인터넷주소의 등록, 할당 정보 검색 [[서비스]]이다. [[인터넷]]에서의 유일성 보장을 위한 인터넷주소의 등록, 할당 정보를 제공하고, 인터넷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해당 인터넷주소의 네트워크와 관리자 정보를 국제적으로 공유한다. [[네트워크]] 장애에 대한 신속한 대처, 피싱, 스팸, 해킹 등 인터넷주소와 관련된 문제 발생 시 대응한다.<ref>〈[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kor/service/whatiswhois.do WHOIS 서비스란?]〉, 《한국인터넷진흥원》</ref>
+
후이즈 서비스는 국가 [[인터넷주소]](도메인, IP주소/AS 번호) 관리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공하는 인터넷주소의 등록, 할당 정보 검색 [[서비스]]이다. [[인터넷]]에서의 유일성 보장을 위한 인터넷주소의 등록, 할당 정보를 제공하고, 인터넷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해당 인터넷주소의 네트워크와 관리자 정보를 국제적으로 공유한다. [[네트워크]] 장애에 대한 신속한 대처, 피싱, 스팸, 해킹 등 인터넷주소와 관련된 문제 발생 시 대응한다.<ref>〈[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kor/service/whatiswhois.do WHOIS 서비스란?]〉, 《한국인터넷진흥원》</ref>
 
 
후이즈 검색은 인터넷상에서 장애 등의 발생 시 이의 처리를 위하여 도메인이름 등록인과 연락처, 국내 IP 주소의 사용기관과 연결 ISP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무작위로 후이즈 검색을 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안정화를 위해 해당 IP에 대해 접근 거부 설정을 할 수 있다.<ref>〈[https://web.archive.org/web/20120508203902/http://whois.kisa.or.kr/kor/popup/whois.jsp WHOIS 검색이란?]〉, 《웨이백머신》</ref>
 
  
 +
후이즈 검색은 인터넷상에서 장애 등의 발생 시 이의 처리를 위하여 도메인 이름 등록인과 연락처, 국내 IP 주소의 사용기관과 연결 ISP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무작위로 후이즈 검색을 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안정화를 위해 해당 IP에 대해 접근 거부 설정을 할 수 있다.<ref>〈[https://web.archive.org/web/20120508203902/http://whois.kisa.or.kr/kor/popup/whois.jsp WHOIS 검색이란?]〉, 《웨이백머신》</ref>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IP등록관리시스템에서는 주소 할당신청 시에 신청자가 정보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공개’와 ‘부분공개’ 중에 선택할 수 있으며, 부분공개를 선택할 경우 후이즈 조회 시 기관 상세주소 및 담당자명, 담당자 전화번호가 공개되지 않는다. <ref name="백서">라영선, 후이즈 서비스 이용 통계 및 3.20 해킹사고 전후 이용량 분석 한국인터넷진흥원 백서 - https://www.kisa.or.kr/uploadfile/201307/201307242019097114.pdf</ref>
 +
 
==주요 서비스==
 
==주요 서비스==
 
===후이즈 공개 API===
 
===후이즈 공개 API===
11번째 줄: 13번째 줄:
 
===후이즈 접근거부 IP 조회===
 
===후이즈 접근거부 IP 조회===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후이즈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의 대량 쿼리를 시도하는 경우, 해당 IP주소에 대한 접근 제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정당한 사유로 후이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근 제한 해지를 원할 경우 whoisquery@nic.or.kr로 '후이즈 서비스 접근 제한 해제 요청' 메일을 보내면 된다.<ref>〈[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kor/service/denyIp.do WHOIS 접근거부 IP 조회]〉, 《한국인터넷진흥원》</ref>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후이즈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의 대량 쿼리를 시도하는 경우, 해당 IP주소에 대한 접근 제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정당한 사유로 후이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근 제한 해지를 원할 경우 whoisquery@nic.or.kr로 '후이즈 서비스 접근 제한 해제 요청' 메일을 보내면 된다.<ref>〈[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kor/service/denyIp.do WHOIS 접근거부 IP 조회]〉, 《한국인터넷진흥원》</ref>
 +
 +
==IP주소 추적에 관한 오해==
 +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IP주소를 할당하고 관리하는 인터넷주소 관리기관이다. 국내 IP주소는 할당 체계에 따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에게 할당하며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는 가입자에게 IP주소를 재할당한다. 후이즈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IP주소 할당 정보는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등록한 정보로,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후이즈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범위 이상의 정보를 보유하지 않는다. IP주소 추적 자료는 통신자료와 통신사실 확인 자료로 통신자료 제공 절차(전기통신사업법 제 83조), 통신사실 확인 자료 제공 절차(통신비밀보호법 제 13조) 법률 등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서 수사기관 등이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에게 요청한 경우에만 확인이 가능하다.<ref>〈[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kor/service/ipTrace.do IP 주소 추적에 관한 오해]〉, 《한국인터넷진흥원》</ref>
 +
 +
==로그분석을 통한 이용행태 분석==
 +
후이즈 서비스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2013년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의 후이즈 서버 로그를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항목은 월별 이용량과 일평균 이용량, 조회방법별 이용량, 시간대별 이용분포, 조회 대상별 이용분포와 이용 주체별 이용분포 및 상위 20위이다.
 +
===월별 이용량 및 일평균 이용량===
 +
후이즈 조회 건수 조사결과 2013년 1사분기(3개월) 동안 총 73,091,995건의 질의가 있었다. 월별 이용량은 아래 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일평균건수는 812,133건으로 나타났다. 일평균건수를 기준으로 보면 하루 기준 초당 약 9건씩 질의가 발생하는 수치이다.<ref name="백서"></ref>
 +
:{|class=wikitable width=600
 +
|+<big>'''2013년 월별 이용량 및 일평균 이용량'''</big>
 +
!align=center|구분
 +
!align=center|건수
 +
!align=center|일평균건수
 +
|-
 +
|align=center|1월
 +
|align=center|24,368,895
 +
|align=center|786,093
 +
|-
 +
|align=center|2월
 +
|align=center|21,940,965
 +
|align=center|783,606
 +
|-
 +
|align=center|3월
 +
|align=center|26,782,135
 +
|align=center|863,940
 +
|-
 +
|align=center|총합
 +
|align=center|73,091,995
 +
|align=center|812,133
 +
|}
 +
 +
===조회 방법별 이용량===
 +
후이즈 검색 조회 방법은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웹 질의 방식, 명령어 입력 방식, 공개 API 이용 방식이다.
 +
; 웹 질의 방식
 +
후이즈 서비스 웹페이지에서 도메인, IP주소 등을 직접 입력하여 결과를 조회하는 방식이다.
 +
; 명령어 입력 방식
 +
명령어 입력창에 후이즈 명령어와 옵션, 대상을 입력하여 질의하는 방식이다. 반복적인 질의나 자동화된 질의를 위해서 스크립트를 작성하거나 별도 프로그래밍과 병행하여 질의하게 된다.
 +
; 공개 API 이용 방식
 +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공하는 후이즈 공개 API를 이용하여 질의하는 방식이다. 명령어 입력방식과 마찬가지로 질의가 반복되거나 별도 프로그램과 병행하고 싶을 경우, 또는 이용하는 기관의 목적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고, 커스터마이징하고 싶을 때 이용할 수 있다. 후이즈 공개 API 이용등록을 위해서는 사용자 식별키를 발급받아야 하고, 일련의 과정에 따라 사용자 식별키를 인증받은 후 후이즈 검색 공개 API를 이용할 수 있다.
 +
; 결과
 +
:{|class=wikitable width=600
 +
|+<big>'''2013년 1분기 조회 방법별 이용량'''</big>
 +
!align=center|구분
 +
!align=center|건수
 +
!align=center|백분율
 +
|-
 +
|align=center|명령어 입력방식
 +
|align=center|47,203,754
 +
|align=center|64.58%
 +
|-
 +
|align=center|공개 API
 +
|align=center|22,073,227
 +
|align=center|30.20%
 +
|-
 +
|align=center|웹 질의 방식
 +
|align=center|3,815,014
 +
|align=center|5.22%
 +
|-
 +
|align=center|총합
 +
|align=center|73,091,995
 +
|align=center|100%
 +
|}
 +
이 결과를 보면 인터넷 사용자들이 웹을 통해 직접 질의하는 수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명령어 입력방식과 공개 API 이용방식처럼 자동화된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질의를 합친 비율이 94.7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시스템관리자나 네트워크 관리자, 또는 프로그래머 등 IT 전문가들이 후이즈를 주로 이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
===시간대별 이용분포===
 +
하루 중 언제 후이즈 검색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지를 알기 위해 시간대별 이용현황을 분석한다. 후이즈 질의는 특정 시간대에 집중되지 않고 비교적 하루 동안 골고루 분포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근무 시간대의 질의량이 비근무 시간대보다 높게 나왔다.<ref name="백서"></ref>
 +
:{|class=wikitable width=600
 +
|+<big>'''2013년 하루 시간대별 이용량'''</big>
 +
!align=center|시간대
 +
!align=center|건수
 +
!align=center|백분율
 +
|-
 +
|align=center|01시~03시
 +
|align=center|7,426,630
 +
|align=center|10.16%
 +
|-
 +
|align=center|03시~06시
 +
|align=center|5,977,093
 +
|align=center|8.18%
 +
|-
 +
|align=center|06시~09시
 +
|align=center|8,192,389
 +
|align=center|11.21%
 +
|-
 +
|align=center|09시~12시
 +
|align=center|11,167,016
 +
|align=center|15.28%
 +
|-
 +
|align=center|12시~15시
 +
|align=center|11,115,934
 +
|align=center|15.21%
 +
|-
 +
|align=center|15시~18시
 +
|align=center|10,718,790
 +
|align=center|14.66%
 +
|-
 +
|align=center|18시~21시
 +
|align=center|9,653,389
 +
|align=center|13.21%
 +
|-
 +
|align=center|21시~24시
 +
|align=center|8,840,754
 +
|align=center|12.09%
 +
|-
 +
|align=center|총합
 +
|align=center|73,091,995
 +
|align=center|100%
 +
|}
 +
 +
===조회 대상별 이용분포===
 +
사용자들이 후이즈 검색으로 정보를 얻고 싶어 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조회대상을 IP주소, 영문 도메인, 한글 도메인으로 구분한다. 조회 대상별 이용현황을 보면, IP주소에 대한 문의가 62.51%, 영문 도메인 33.32%, 한글 도메인이 1.04%를 보였다. IP주소에 대한 질의가 도메인 질의보다 2배가량 많다. 후이즈 서비스를 통해 주로 IP주소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도메인과 한글 도메인에 대한 질의를 합한 도메인 주소에 대한 질의는 34.36%로 나타났다.<ref name="백서"></ref>
 +
:{|class=wikitable width=600
 +
|+<big>'''2013년 1분기 조회대상별 이용량'''</big>
 +
!align=center|구분
 +
!align=center|건수
 +
!align=center|백분율
 +
|-
 +
|align=center|IP주소
 +
|align=center|45,687,705
 +
|align=center|62.51%
 +
|-
 +
|align=center|영문도메인
 +
|align=center|24,356,309
 +
|align=center|33.32%
 +
|-
 +
|align=center|한글도메인
 +
|align=center|760,265
 +
|align=center|1.04%
 +
|-
 +
|align=center|에러/기타
 +
|align=center|2,287,716
 +
|align=center|3.13%
 +
|-
 +
|align=center|총합
 +
|align=center|73,091,995
 +
|align=center|100%
 +
|}
 +
 +
===가장 많이 질의한 IP주소의 상위 20위===
 +
후이즈 이용고객들이 가장 많이 질의한 IP주소 상위 20위 정보이다. 해당 IP를 보유하고 있는 등록기관 기준으로 보면 국내 주요 ISP 3사 중에서는 KT의 IP주소가 1위, LG U+의 IP주소가 14위, SKB의 IP주소가 19위로 나타났다.<ref name="백서"></ref>
 +
:{|class=wikitable width=600
 +
|+<big>'''2013년 1분기 후이즈 검색대상 IP부문 상위 20위'''</big>
 +
!align=center|NO
 +
!align=center|IP
 +
!align=center|해당 IP 등록기관
 +
!align=center|건수
 +
!align=center|비고
 +
|-
 +
|align=center|1
 +
|align=center|***.87.161.***
 +
|align=center|KT
 +
|align=center|192,235
 +
|align=center|KORNET
 +
|-
 +
|align=center|2
 +
|align=center|**.249.77.**
 +
|align=center|구글(미국)
 +
|align=center|189,555
 +
|align=center|
 +
|-
 +
|align=center|3
 +
|align=center|***.154.142.***
 +
|align=center|KT
 +
|align=center|176,969
 +
|align=center|KORNET
 +
|-
 +
|align=center|4
 +
|align=center|***.95.199.***
 +
|align=center|149011901<br>(Central Employment Information Management Agency)
 +
|align=center|150,919
 +
|align=center|
 +
|-
 +
|align=center|5
 +
|align=center|**.249.77.**
 +
|align=center|구글(미국)
 +
|align=center|127,662
 +
|align=center|리스트내 중복(2)
 +
|-
 +
|align=center|6
 +
|align=center|***.50.169.***
 +
|align=center|차이나 유니콤(중국)
 +
|align=center|103,487
 +
|align=center|
 +
|-
 +
|align=center|7
 +
|align=center|**.251.108.**
 +
|align=center|Internap Network Services Corporation(미국)
 +
|align=center|91,499
 +
|align=center|
 +
|-
 +
|align=center|8
 +
|align=center|***.103.55.***
 +
|align=center|사용자 할당정보 없음
 +
|align=center|87,245
 +
|align=center|IP관리대행자 KT
 +
|-
 +
|align=center|9
 +
|align=center|**.249.77.***
 +
|align=center|구글(미국)
 +
|align=center|86,807
 +
|align=center|리스트내 중복(3)
 +
|-
 +
|align=center|10
 +
|align=center|***.63.15.***
 +
|align=center|브레인넷
 +
|align=center|83,050
 +
|align=center|
 +
|-
 +
|align=center|11
 +
|align=center|***.126.63.*
 +
|align=center|KT
 +
|align=center|79,854
 +
|align=center|공개용 DNS서버
 +
|-
 +
|align=center|12
 +
|align=center|***.229.145.**
 +
|align=center|사용자 할당정보 없음
 +
|align=center|72,345
 +
|align=center|IP관리대행자 KT
 +
|-
 +
|align=center|13
 +
|align=center|***.145.31.***
 +
|align=center|사용자 할당정보 없음
 +
|align=center|68,261
 +
|align=center|IP관리대행자 KT
 +
|-
 +
|align=center|14
 +
|align=center|***.97.192.***
 +
|align=center|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align=center|67,403
 +
|align=center|
 +
|-
 +
|align=center|15
 +
|align=center|**.249.77.***
 +
|align=center|구글(미국)
 +
|align=center|65,314
 +
|align=center|리스트내 중복(4)
 +
|-
 +
|align=center|16
 +
|align=center|**.249.77.***
 +
|align=center|구글(미국)
 +
|align=center|65,221
 +
|align=center|리스트내 중복(5)
 +
|-
 +
|align=center|17
 +
|align=center|**.249.77.*
 +
|align=center|구글(미국)
 +
|align=center|59,927
 +
|align=center|리스트내 중복(6)
 +
|-
 +
|align=center|18
 +
|align=center|***.149.12.***
 +
|align=center|대우조선해양(주)
 +
|align=center|56,766
 +
|align=center|
 +
|-
 +
|align=center|19
 +
|align=center|***.212.39.***
 +
|align=center|SK Broadband(주)
 +
|align=center|55,861
 +
|align=center|
 +
|-
 +
|align=center|20
 +
|align=center|***.229.145.**
 +
|align=center|사용자 할당정보 없음
 +
|align=center|54,193
 +
|align=center|IP관리대행자 KT
 +
|}
 +
 +
===이용 주체별 이용분포===
 +
후이즈 검색을 주로 누가 이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용 주체들을 공공, 민간, 교육, 금융 4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한다. 카테고리별 분류를 위해서는 분류기준(검색어)을 등록기관명에 포함하는 경우로 기준으로 삼았다. 공공기관 업체 검색어로는 군청, 구청, 군수, 시의회,  도의회, 시청, 경찰, 파출소, 지구대가 있고, 민간 업체 검색어로는 5개 타 카테고리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전체이고, 교육 업체 검색어로는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대학교, 도서관, 교육청, 전문학교, 학원이 있고, 금융 업체 검색으로는 은행, 보험, 금융, 증권이 있다.
 +
:{|class=wikitable width=600
 +
|+<big>'''2013년 1분기 이용 주체별 이용량'''</big>
 +
!align=center|구분
 +
!align=center|건수
 +
!align=center|백분율
 +
|-
 +
|align=center|공공
 +
|align=center|402,530
 +
|align=center|0.56%
 +
|-
 +
|align=center|민간/개인
 +
|align=center|71,622,135
 +
|align=center|97.99%
 +
|-
 +
|align=center|교육
 +
|align=center|1,025,963
 +
|align=center|1.40%
 +
|-
 +
|align=center|금융
 +
|align=center|41,205
 +
|align=center|0.06%
 +
|-
 +
|align=center|기타
 +
|align=center|162
 +
|align=center|0.00%
 +
|-
 +
|align=center|총합
 +
|align=center|73,091,995
 +
|align=center|100%
 +
|}
 +
이용 주체별 이용현황 분석 결과, 민간분야 질의가 97.99%로 1위, 교육분야가 1.4% 2위, 공공분야가 0.56% 3위를 차지했다. 분석 결과, 민간분야 질의가 대다수를 차지하므로 향후 후이즈 이용행태 분석시 ‘민간’ 항목을 더욱 세밀하게 분류할 필요가 있다.<ref name="백서"></ref>
 +
 
{{각주}}
 
{{각주}}
  
19번째 줄: 324번째 줄:
 
* 〈[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kor/service/denyIp.do WHOIS 접근거부 IP 조회]〉, 《한국인터넷진흥원》
 
* 〈[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kor/service/denyIp.do WHOIS 접근거부 IP 조회]〉, 《한국인터넷진흥원》
 
* 〈[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kor/openkey/keyCre.do WHOIS OpenAPI]〉, 《한국인터넷진흥원》
 
* 〈[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kor/openkey/keyCre.do WHOIS OpenAPI]〉, 《한국인터넷진흥원》
 +
* 〈[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kor/service/ipTrace.do IP 주소 추적에 관한 오해]〉, 《한국인터넷진흥원
 +
* 라영선, 후이즈 서비스 이용 통계 및 3.20 해킹사고 전후 이용량 분석 한국인터넷진흥원 백서 - https://www.kisa.or.kr/uploadfile/201307/201307242019097114.pdf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5번째 줄: 332번째 줄:
 
* [[도메인]]
 
* [[도메인]]
 
* [[네트워크]]
 
* [[네트워크]]
 +
 +
{{인터넷|검토 필요}}

2024년 3월 19일 (화) 22:52 기준 최신판

후이즈(Whois)는 인터넷의 통신망에 관한 정보 제공 서비스이다. 인터넷의 자원과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행정 조직인 네트워크 정보 센터(NIC)가 관리하는 통신망에 관한 정보 제공 서비스로, 후이즈 명령을 사용하면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으로부터 이용자 등 그 통신망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아사달 도메인 가로 배너 (since 1998).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아사달] 믿을 수 있는 도메인 회사

개요[편집]

후이즈 서비스는 국가 인터넷주소(도메인, IP주소/AS 번호) 관리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공하는 인터넷주소의 등록, 할당 정보 검색 서비스이다. 인터넷에서의 유일성 보장을 위한 인터넷주소의 등록, 할당 정보를 제공하고, 인터넷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해당 인터넷주소의 네트워크와 관리자 정보를 국제적으로 공유한다. 네트워크 장애에 대한 신속한 대처, 피싱, 스팸, 해킹 등 인터넷주소와 관련된 문제 발생 시 대응한다.[1]

후이즈 검색은 인터넷상에서 장애 등의 발생 시 이의 처리를 위하여 도메인 이름 등록인과 연락처, 국내 IP 주소의 사용기관과 연결 ISP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무작위로 후이즈 검색을 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안정화를 위해 해당 IP에 대해 접근 거부 설정을 할 수 있다.[2]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IP등록관리시스템에서는 주소 할당신청 시에 신청자가 정보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공개’와 ‘부분공개’ 중에 선택할 수 있으며, 부분공개를 선택할 경우 후이즈 조회 시 기관 상세주소 및 담당자명, 담당자 전화번호가 공개되지 않는다. [3]

주요 서비스[편집]

후이즈 공개 API[편집]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사용자의 후이즈 검색 편의를 위해 공개 API를 제공하고 있다. 후이즈 공개 API를 이용하려면 먼저 사용키를 발급받아야 하고, 발급받은 사용키는 타인에게 양도가 불가능하며, 1년간 이용이 없을 시 해당 사용키는 삭제 처리된다. 신청할 때, 수집 및 이용 목적으로 사용자 키 발급, 후이즈 서비스 관련 각종 공지를 하기 위해서 전자우편을 수집한다. 보유 및 이용 기간은 후이즈 공개 API 서비스 제공 기간까지이다.[4]

후이즈 접근거부 IP 조회[편집]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후이즈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의 대량 쿼리를 시도하는 경우, 해당 IP주소에 대한 접근 제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정당한 사유로 후이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근 제한 해지를 원할 경우 whoisquery@nic.or.kr로 '후이즈 서비스 접근 제한 해제 요청' 메일을 보내면 된다.[5]

IP주소 추적에 관한 오해[편집]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IP주소를 할당하고 관리하는 인터넷주소 관리기관이다. 국내 IP주소는 할당 체계에 따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에게 할당하며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는 가입자에게 IP주소를 재할당한다. 후이즈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IP주소 할당 정보는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등록한 정보로,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후이즈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범위 이상의 정보를 보유하지 않는다. IP주소 추적 자료는 통신자료와 통신사실 확인 자료로 통신자료 제공 절차(전기통신사업법 제 83조), 통신사실 확인 자료 제공 절차(통신비밀보호법 제 13조) 법률 등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서 수사기관 등이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에게 요청한 경우에만 확인이 가능하다.[6]

로그분석을 통한 이용행태 분석[편집]

후이즈 서비스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2013년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의 후이즈 서버 로그를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항목은 월별 이용량과 일평균 이용량, 조회방법별 이용량, 시간대별 이용분포, 조회 대상별 이용분포와 이용 주체별 이용분포 및 상위 20위이다.

월별 이용량 및 일평균 이용량[편집]

후이즈 조회 건수 조사결과 2013년 1사분기(3개월) 동안 총 73,091,995건의 질의가 있었다. 월별 이용량은 아래 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일평균건수는 812,133건으로 나타났다. 일평균건수를 기준으로 보면 하루 기준 초당 약 9건씩 질의가 발생하는 수치이다.[3]

2013년 월별 이용량 및 일평균 이용량
구분 건수 일평균건수
1월 24,368,895 786,093
2월 21,940,965 783,606
3월 26,782,135 863,940
총합 73,091,995 812,133

조회 방법별 이용량[편집]

후이즈 검색 조회 방법은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웹 질의 방식, 명령어 입력 방식, 공개 API 이용 방식이다.

웹 질의 방식

후이즈 서비스 웹페이지에서 도메인, IP주소 등을 직접 입력하여 결과를 조회하는 방식이다.

명령어 입력 방식

명령어 입력창에 후이즈 명령어와 옵션, 대상을 입력하여 질의하는 방식이다. 반복적인 질의나 자동화된 질의를 위해서 스크립트를 작성하거나 별도 프로그래밍과 병행하여 질의하게 된다.

공개 API 이용 방식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공하는 후이즈 공개 API를 이용하여 질의하는 방식이다. 명령어 입력방식과 마찬가지로 질의가 반복되거나 별도 프로그램과 병행하고 싶을 경우, 또는 이용하는 기관의 목적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고, 커스터마이징하고 싶을 때 이용할 수 있다. 후이즈 공개 API 이용등록을 위해서는 사용자 식별키를 발급받아야 하고, 일련의 과정에 따라 사용자 식별키를 인증받은 후 후이즈 검색 공개 API를 이용할 수 있다.

결과
2013년 1분기 조회 방법별 이용량
구분 건수 백분율
명령어 입력방식 47,203,754 64.58%
공개 API 22,073,227 30.20%
웹 질의 방식 3,815,014 5.22%
총합 73,091,995 100%

이 결과를 보면 인터넷 사용자들이 웹을 통해 직접 질의하는 수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명령어 입력방식과 공개 API 이용방식처럼 자동화된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질의를 합친 비율이 94.7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시스템관리자나 네트워크 관리자, 또는 프로그래머 등 IT 전문가들이 후이즈를 주로 이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대별 이용분포[편집]

하루 중 언제 후이즈 검색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지를 알기 위해 시간대별 이용현황을 분석한다. 후이즈 질의는 특정 시간대에 집중되지 않고 비교적 하루 동안 골고루 분포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근무 시간대의 질의량이 비근무 시간대보다 높게 나왔다.[3]

2013년 하루 시간대별 이용량
시간대 건수 백분율
01시~03시 7,426,630 10.16%
03시~06시 5,977,093 8.18%
06시~09시 8,192,389 11.21%
09시~12시 11,167,016 15.28%
12시~15시 11,115,934 15.21%
15시~18시 10,718,790 14.66%
18시~21시 9,653,389 13.21%
21시~24시 8,840,754 12.09%
총합 73,091,995 100%

조회 대상별 이용분포[편집]

사용자들이 후이즈 검색으로 정보를 얻고 싶어 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조회대상을 IP주소, 영문 도메인, 한글 도메인으로 구분한다. 조회 대상별 이용현황을 보면, IP주소에 대한 문의가 62.51%, 영문 도메인 33.32%, 한글 도메인이 1.04%를 보였다. IP주소에 대한 질의가 도메인 질의보다 2배가량 많다. 후이즈 서비스를 통해 주로 IP주소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도메인과 한글 도메인에 대한 질의를 합한 도메인 주소에 대한 질의는 34.36%로 나타났다.[3]

2013년 1분기 조회대상별 이용량
구분 건수 백분율
IP주소 45,687,705 62.51%
영문도메인 24,356,309 33.32%
한글도메인 760,265 1.04%
에러/기타 2,287,716 3.13%
총합 73,091,995 100%

가장 많이 질의한 IP주소의 상위 20위[편집]

후이즈 이용고객들이 가장 많이 질의한 IP주소 상위 20위 정보이다. 해당 IP를 보유하고 있는 등록기관 기준으로 보면 국내 주요 ISP 3사 중에서는 KT의 IP주소가 1위, LG U+의 IP주소가 14위, SKB의 IP주소가 19위로 나타났다.[3]

2013년 1분기 후이즈 검색대상 IP부문 상위 20위
NO IP 해당 IP 등록기관 건수 비고
1 ***.87.161.*** KT 192,235 KORNET
2 **.249.77.** 구글(미국) 189,555
3 ***.154.142.*** KT 176,969 KORNET
4 ***.95.199.*** 149011901
(Central Employment Information Management Agency)
150,919
5 **.249.77.** 구글(미국) 127,662 리스트내 중복(2)
6 ***.50.169.*** 차이나 유니콤(중국) 103,487
7 **.251.108.** Internap Network Services Corporation(미국) 91,499
8 ***.103.55.*** 사용자 할당정보 없음 87,245 IP관리대행자 KT
9 **.249.77.*** 구글(미국) 86,807 리스트내 중복(3)
10 ***.63.15.*** 브레인넷 83,050
11 ***.126.63.* KT 79,854 공개용 DNS서버
12 ***.229.145.** 사용자 할당정보 없음 72,345 IP관리대행자 KT
13 ***.145.31.*** 사용자 할당정보 없음 68,261 IP관리대행자 KT
14 ***.97.19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67,403
15 **.249.77.*** 구글(미국) 65,314 리스트내 중복(4)
16 **.249.77.*** 구글(미국) 65,221 리스트내 중복(5)
17 **.249.77.* 구글(미국) 59,927 리스트내 중복(6)
18 ***.149.12.*** 대우조선해양(주) 56,766
19 ***.212.39.*** SK Broadband(주) 55,861
20 ***.229.145.** 사용자 할당정보 없음 54,193 IP관리대행자 KT

이용 주체별 이용분포[편집]

후이즈 검색을 주로 누가 이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용 주체들을 공공, 민간, 교육, 금융 4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한다. 카테고리별 분류를 위해서는 분류기준(검색어)을 등록기관명에 포함하는 경우로 기준으로 삼았다. 공공기관 업체 검색어로는 군청, 구청, 군수, 시의회, 도의회, 시청, 경찰, 파출소, 지구대가 있고, 민간 업체 검색어로는 5개 타 카테고리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전체이고, 교육 업체 검색어로는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대학교, 도서관, 교육청, 전문학교, 학원이 있고, 금융 업체 검색으로는 은행, 보험, 금융, 증권이 있다.

2013년 1분기 이용 주체별 이용량
구분 건수 백분율
공공 402,530 0.56%
민간/개인 71,622,135 97.99%
교육 1,025,963 1.40%
금융 41,205 0.06%
기타 162 0.00%
총합 73,091,995 100%

이용 주체별 이용현황 분석 결과, 민간분야 질의가 97.99%로 1위, 교육분야가 1.4% 2위, 공공분야가 0.56% 3위를 차지했다. 분석 결과, 민간분야 질의가 대다수를 차지하므로 향후 후이즈 이용행태 분석시 ‘민간’ 항목을 더욱 세밀하게 분류할 필요가 있다.[3]

각주[편집]

  1. WHOIS 서비스란?〉, 《한국인터넷진흥원》
  2. WHOIS 검색이란?〉, 《웨이백머신》
  3. 3.0 3.1 3.2 3.3 3.4 3.5 라영선, 후이즈 서비스 이용 통계 및 3.20 해킹사고 전후 이용량 분석 한국인터넷진흥원 백서 - https://www.kisa.or.kr/uploadfile/201307/201307242019097114.pdf
  4. WHOIS OpenAPI〉, 《한국인터넷진흥원》
  5. WHOIS 접근거부 IP 조회〉, 《한국인터넷진흥원》
  6. IP 주소 추적에 관한 오해〉, 《한국인터넷진흥원》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후이즈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