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도메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 등장 배경 ==
 
== 등장 배경 ==
1970년대까지 인터넷은 몇몇 호스트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작은 규모였고, ARPAnet에 연결된 호스트에 대한 이름과 주소의 매핑(mapping)은 hosts란 파일을 이용하였다. 그 후 ARPAnet은 TCP/IP로 전환하게 되었고 네트워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호스트 수의 증가로 host.txt의 파일 크기가 증가하고, 이를 수용하기 위한 traffic도 증가하게 되었다. 네트워크가 증가함에 따라 ARPAnet은 워크 스테이션을 가진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가 되었고, 로컬 네트워크의 관리자는 자신들의 호스트 이름과 매핑 주소가 SRI-NIC의 host.txt 파일로 바뀌는데 인터넷의 규모가 커짐과 함께 점점 더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자 로컬네임구조(Local Name Structure)를 요청하게 되었다. 또한 Application들이 점차 복잡해짐으로써 일반적인 이름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결국 ARPAnet은 host.txt를 대신할 방법에 대해 논의하게 되었고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존 포스텔과 폴 모카페트리스(Paul V. Mockapetris)에 의해 1984년 도메인과 도메인네임 시스템이 설계되기에 이르렀다.
+
1970년대까지 인터넷은 몇몇 호스트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작은 규모였고, ARPAnet에 연결된 호스트에 대한 이름과 주소의 매핑(mapping)은 hosts란 파일을 이용하였다. 그 후 ARPAnet은 [[[TCP/IP]]로 전환하게 되었고 네트워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호스트 수의 증가로 host.txt의 파일 크기가 증가하고, 이를 수용하기 위한 traffic도 증가하게 되었다. 네트워크가 증가함에 따라 ARPAnet은 워크 스테이션을 가진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가 되었고, 로컬 네트워크의 관리자는 자신들의 호스트 이름과 매핑 주소가 SRI-NIC의 host.txt 파일로 바뀌는데 인터넷의 규모가 커짐과 함께 점점 더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자 로컬네임구조(Local Name Structure)를 요청하게 되었다. 또한 Application들이 점차 복잡해짐으로써 일반적인 이름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결국 ARPAnet은 host.txt를 대신할 방법에 대해 논의하게 되었고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존 포스텔과 폴 모카페트리스(Paul V. Mockapetris)에 의해 1984년 도메인과 도메인네임 시스템이 설계되기에 이르렀다.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도메인네임은 전 세계적으로 고유하게 존재하여야 하기에 공통적으로 정해진 인터넷주소 체계가 있으며 임의로 변경하거나 생성할 수 없다. 인터넷의 모든 도메인은 “.” 또는 루트(Root)라 불리는 도메인네임 이하에 나무를 거꾸로 위치시킨 역트리(Inverted Tree) 구조로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루트도메인 아래의 단계를 1단계 도메인 또는 최상위 도메인(TLD, Top Level Domain)이라고 부른다. 일반적 최상위 도메인인 gTLD와 국가 최상위 도메인인 ccTLD가 있고, 차상위 단계를 2단계 도메인(SLD, Second Level Domain)이라 부르며 이것은 기관의 성격을 나타낸다. 3단계에서는 aaa, bbb, nic, netpia 등 도메인 신청자가 원하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고, 최상위 도메인네임(TLD: Top Level Domain)은 gTLD, ccTLD 등이 존재하며 각각 일정한 관례에 따라 만들어지고 운영된다. <ref>popo23s, <[http://blog.naver.com/popo23s/50035476288 도메인 네임의 발생 및 역사]>, 《네이버 블로그》, 2008-09-23</ref>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도메인네임은 전 세계적으로 고유하게 존재하여야 하기에 공통적으로 정해진 인터넷주소 체계가 있으며 임의로 변경하거나 생성할 수 없다. 인터넷의 모든 도메인은 “.” 또는 루트(Root)라 불리는 도메인네임 이하에 나무를 거꾸로 위치시킨 역트리(Inverted Tree) 구조로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루트도메인 아래의 단계를 1단계 도메인 또는 최상위 도메인(TLD, Top Level Domain)이라고 부른다. 일반적 최상위 도메인인 gTLD와 국가 최상위 도메인인 ccTLD가 있고, 차상위 단계를 2단계 도메인(SLD, Second Level Domain)이라 부르며 이것은 기관의 성격을 나타낸다. 3단계에서는 aaa, bbb, nic, netpia 등 도메인 신청자가 원하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고, 최상위 도메인네임(TLD: Top Level Domain)은 gTLD, ccTLD 등이 존재하며 각각 일정한 관례에 따라 만들어지고 운영된다. <ref>popo23s, <[http://blog.naver.com/popo23s/50035476288 도메인 네임의 발생 및 역사]>, 《네이버 블로그》, 2008-09-23</ref>
47번째 줄: 47번째 줄:
 
Contry Code Top Level Domain
 
Contry Code Top Level Domain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은 각 국가별로 별도의 등록관리기관에서 관리하며, 도메인의 종류, 자격 등의 정책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ISO에서 규정한 ISO 3166-1 국가코드 표준을 기준으로 각 국가마다 할당된 최상위 도메인으로 두 글자를 사용한다. 예외적으로 영국은 코드는 두 글자지만 표준이 아닌 문자 .uk를 사용한다.  
+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은 각 국가별로 별도의 등록관리기관에서 관리하며, 도메인의 종류, 자격 등의 정책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ISO에서 규정한 ISO 3166-1 국가코드 표준을 기준으로 각 국가마다 할당된 최상위 도메인으로 두 글자를 사용한다. 예외적으로 영국은 코드는 두 글자지만 표준이 아닌 문자 .uk를 사용한다.
  
 
=== 국제화 도메인 네임(IDN) ===
 
=== 국제화 도메인 네임(IDN) ===
56번째 줄: 56번째 줄:
 
=== 신규 일반 최상위 도메인(NgTLD) ===
 
=== 신규 일반 최상위 도메인(NgTLD) ===
 
New generic top-level domain
 
New generic top-level domain
2008년 ICANN이 처음 발표한 것으로, 특정 기업이나 기관의 신청으로 개설된 최상위 도메인이다.
+
 
 +
2008년 [[ICANN]]이 처음 발표한 것으로, 특정 기업이나 기관의 신청으로 개설된 최상위 도메인이다.
 +
 
 +
== 주의점 ==
 +
도메인 등록시 주의해야할 점
 +
 
 +
1. 문자[A-Z][a-z], 숫자[0-9] 또는 하이픈[-]의 조합으로만 표현되어야 한다.
 +
2. 영문자의 대, 소문자의 구별이 없다.
 +
3. 한글 도메인은 .kr/.com/.net/.org만 가능하다.
 +
4. 하이픈(-)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다. 길이는 최소 2자에서 최대 63자까지 가능하다. (단, pe.kr은 3자 이상) 하이픈(-)외 기호를 사용할 수 없다.
 +
5. 전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Unique) 주소여야 하므로 이미 등록된 도메인은 등록할 수 없다.
  
 
{{각주}}
 
{{각주}}

2020년 7월 28일 (화) 10:16 판

도메인(domain)이란 문자로 나타낸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말한다.

개요

도메인(Domain) 또는 도메인 네임(Domain Name)으로 불리며 인터넷 주소인 IP(예:192.168.12.2)는 너무 길고 복잡하여 사람이 기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이 인식하기 쉬운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도메인 이름(예:hash.kr)을 등록하고, 네임서버를 통해 IP 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도메인 이다. '도매인'이 아니라 '도메인'이 올바른 표기법이다.

최상위 도메인 이름에는 .com, .net, .org, .kr, .cn, .jp 등이 있다. 영문 도메인은 영어 알파벳 26자와 아라비아 숫자 10개 및 옆줄(hyphen)의 조합으로 구성한다. 다국어 도메인(multilingual domain)은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등 세계 여러 나라의 언어로 표시한 도메인이다.

등장 배경

1970년대까지 인터넷은 몇몇 호스트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작은 규모였고, ARPAnet에 연결된 호스트에 대한 이름과 주소의 매핑(mapping)은 hosts란 파일을 이용하였다. 그 후 ARPAnet은 [[[TCP/IP]]로 전환하게 되었고 네트워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호스트 수의 증가로 host.txt의 파일 크기가 증가하고, 이를 수용하기 위한 traffic도 증가하게 되었다. 네트워크가 증가함에 따라 ARPAnet은 워크 스테이션을 가진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가 되었고, 로컬 네트워크의 관리자는 자신들의 호스트 이름과 매핑 주소가 SRI-NIC의 host.txt 파일로 바뀌는데 인터넷의 규모가 커짐과 함께 점점 더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자 로컬네임구조(Local Name Structure)를 요청하게 되었다. 또한 Application들이 점차 복잡해짐으로써 일반적인 이름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결국 ARPAnet은 host.txt를 대신할 방법에 대해 논의하게 되었고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존 포스텔과 폴 모카페트리스(Paul V. Mockapetris)에 의해 1984년 도메인과 도메인네임 시스템이 설계되기에 이르렀다.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도메인네임은 전 세계적으로 고유하게 존재하여야 하기에 공통적으로 정해진 인터넷주소 체계가 있으며 임의로 변경하거나 생성할 수 없다. 인터넷의 모든 도메인은 “.” 또는 루트(Root)라 불리는 도메인네임 이하에 나무를 거꾸로 위치시킨 역트리(Inverted Tree) 구조로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루트도메인 아래의 단계를 1단계 도메인 또는 최상위 도메인(TLD, Top Level Domain)이라고 부른다. 일반적 최상위 도메인인 gTLD와 국가 최상위 도메인인 ccTLD가 있고, 차상위 단계를 2단계 도메인(SLD, Second Level Domain)이라 부르며 이것은 기관의 성격을 나타낸다. 3단계에서는 aaa, bbb, nic, netpia 등 도메인 신청자가 원하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고, 최상위 도메인네임(TLD: Top Level Domain)은 gTLD, ccTLD 등이 존재하며 각각 일정한 관례에 따라 만들어지고 운영된다. [1]

최초의 도메인은 1985년 3월 15일에 등록된 심볼릭스닷컴(Symbolics.com)이다.

종류

도메인은 크게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 국제화 도메인 네임(IDN), 신규 일반 최상위 도메인(NgTLD)으로 나뉜다.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Generic Top Level Domain

인터넷 초창기부터 사용된 도메인으로 com, .net, .org, .kr, .cn, .jp 등 6개의 최상위 도메인을 만들어 사용했다. 국제인터넷주소 총괄기관인 ICANN에서 생성결정, 등록정책 등을 정하여 운영한다.

.aero - 항공 회사 .arpa - 도메인 시스템의 기술적 하부 구조 (=Address and Routing Parameter Area) .asia - 아시아 지역을 대표 .biz - 사업 .cat - 카탈로니아 언어/문화 .com - 영리 목적의 기업이나 단체 .coop - 조합 .edu - 미국의 4년제 이상 교육기관. 최근에 다른 나라에도 .edu 도메인이 개방되었다. .gov - 미국의 연방 정부 조직 .info - 정보 관련 (무제한) .int - 국제 조약 등으로 만들어진 국제 기관 .jobs - 취업 관련 사이트 .mil - 미국의 군사 조직 .mobi - 휴대 장치를 위한 사이트 .museum - 미술관과 박물관 .name - 개인 사용자 .net -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관 .org - 비영리 기관, 혹은 다른 gTLD에 해당하지 않는 단체. .pro - 회계사, 의사, 변호사 등의 전문가 .tel - 전화 네트워크와 인터넷 사이의 연결을 관장하는 서비스 .travel - 여행사, 항공사, 호텔[2]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

Contry Code Top Level Domain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은 각 국가별로 별도의 등록관리기관에서 관리하며, 도메인의 종류, 자격 등의 정책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ISO에서 규정한 ISO 3166-1 국가코드 표준을 기준으로 각 국가마다 할당된 최상위 도메인으로 두 글자를 사용한다. 예외적으로 영국은 코드는 두 글자지만 표준이 아닌 문자 .uk를 사용한다.

국제화 도메인 네임(IDN)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

아스키 코드(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 인코딩)가 아닌 다른 문자를 포함하는 도메인 이름으로, 다국어 도메인 또는 자국어 도메인이라고도 부른다. .으로 구분되는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나야나.com, 나야나.kr 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ICANN 관리하에 각 레지스트리들이 등록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한국 인터넷진흥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ICANN 관리하에 각 레지스트리들이 등록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한국 인터넷진흥원에서 관리한다. [3]

신규 일반 최상위 도메인(NgTLD)

New generic top-level domain

2008년 ICANN이 처음 발표한 것으로, 특정 기업이나 기관의 신청으로 개설된 최상위 도메인이다.

주의점

도메인 등록시 주의해야할 점

1. 문자[A-Z][a-z], 숫자[0-9] 또는 하이픈[-]의 조합으로만 표현되어야 한다. 2. 영문자의 대, 소문자의 구별이 없다. 3. 한글 도메인은 .kr/.com/.net/.org만 가능하다. 4. 하이픈(-)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다. 길이는 최소 2자에서 최대 63자까지 가능하다. (단, pe.kr은 3자 이상) 하이픈(-)외 기호를 사용할 수 없다. 5. 전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Unique) 주소여야 하므로 이미 등록된 도메인은 등록할 수 없다.

각주

  1. popo23s, <도메인 네임의 발생 및 역사>, 《네이버 블로그》, 2008-09-23
  2. 인터넷나야나 공식 Blog, <[도메인 종류 및 네임서버에 대한 정리 >, 《티스토리》, 2016.7.11
  3. 인터넷나야나 공식 Blog, <[도메인 등록 길라잡이 ccTLD와 gTLD의 차이점]>, 《티스토리》, 2016.12.8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도메인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