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 (위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같이 보기)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위키백과]] | * [[위키백과]] | ||
+ | {{로고 수정 필요}} | ||
{{인터넷|검토 필요}} | {{인터넷|검토 필요}} |
2024년 5월 31일 (금) 22:03 기준 최신판
팬덤(Fandom)은 미디어위키 엔진 기반의 무료 위키 서비스 사이트다. 이전 명칭 위키아(Wikia)에서 2019년에 이름을 변경했다.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TV 프로그램, 음악, 라이프스타일 등에 특화되었다. 이름 그대로 팬들을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아사달] 스마트 호스팅 |
개요[편집]
팬덤은 팬덤 사(Fandom, Inc.)에서 운영하는 무료 위키 사이트다. 위키미디어 재단을 설립했던 지미 웨일스(Jimmy Wales)와 안젤라 비즐리(Angela Beesley)가 2004년에 설립했다. 팬덤은 팬들의 요구 사항을 완벽하게 충족하기 위해 위키피디아를 지원하는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된 새로운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이 생기기 전까지, 팬들은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TV 쇼, 영화 또는 게임의 지식이나 세계로 깊이 빠져들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위키피디아에서 스타워즈의 '루크 스카이워커' 페이지를 방문한 팬들은 '마크 해밀'(Mark Hamill)에 대해서만 알게 될 것이다. 팬들은 영화 속 캐릭터인 루크가 실제 사람인 것처럼, 그리고 그들이 스타워즈 세계관의 나머지 부분을 파헤칠 수 있는 장소를 원했다. 만약 위키피디아가 '백과사전'이라면, 팬덤은 라이브러리의 나머지 부분, 즉 모든 가상세계에 대한 정보가 담긴 깊은 저장소이다. 사이트 가입자에 한해 도메인을 할당받아 위키를 창설할 수 있지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폐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팬덤은 사이트 개설 15년 만에 80개 이상의 언어로 25만 개 위키에 4천만 개 이상의 콘텐츠 페이지를 포함하고 있다. 팬덤에서 다뤄지는 모든 콘텐츠들은 GFDL,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등의 자유 라이선스로 배포되어야 한다. 또한 미디어위키와 리눅스 서버에서 운용되고, 이들이 공동체를 지탱하고 있다. 영어를 주요 언어로 지원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한국어를 포함한 187개의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 상당히 유용하고 방대한 사이트임에도 불구하고 언어 장벽과 문법의 어려움 탓에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상당히 낮았으나, 한국어판이 나오면서 한국어 위키를 제작(포켓몬 위키 등)하거나 해외 위키에서 자료들을 긁어오는 사례도 많아졌다. 그래도 인지도가 아주 높지는 않고,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한국인 이용자들도 상당히 적다. 그래서 유명한 위키들만 한국어 위키가 있고, 아직까지 영문으로 되어 있는 위키가 많다. 대한민국 내 위키 사이트 중 가장 성격이 유사한 사이트인 나무위키와 다른 점은, 나무위키는 위키 안에 여러가지 문서가 있지만 팬덤은 사이트 안에 여러 개의 위키가 들어 있고, 또 그 위키 안에 문서가 들어 있다는 점이다. 또, 자체적으로 개발한 블로그, 사용자 페이지, 메시지 담벼락, 포럼, 채팅 등의 부가 기능을 통해 이용자 간의 교류가 가능하다.[1][2][3]
역사[편집]
팬덤의 설립 당시의 이름은 위키시티스(Wikicities)였다. 그러다 2006년 3월 27일에 이름을 위키아(Wikia)로 변경했다. 그 후 많은 투자가로부터 고액의 투자를 받아, 특히 시리즈B 단계에서 아마존으로부터 1,000만 달러의 출자를 받았다. 그 밖에 이토 조이치, 미치 케이퍼, 마크 앤드리슨 등으로부터 출자되었다. 이후 2017년 엔터테인먼트 뉴스 사이트의 이름으로 팬덤(Fandom)이라는 브랜드를 창설했고, 2019년에 위키아도 팬덤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2014년 8월 28일 시리즈 D 펀딩을 확보한 팬덤 파워드 바이 위키아는 아마존, 배스머 벤처 파트너스, 인스티튜서널 벤처 파트너스의 투자를 받고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으로의 글로벌 확장에 힘을 실을 수 있게 되었다. 2014년 10월 16일 본격적인 한국어 서비스를, 2014년 11월 18일 베트남어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8년에는 미국 사모펀드 회사인 텍사스퍼시픽그룹(TPG) Capital(TPG Capital, TPG캐피탈)에 매각했고, 인수된 지 얼마 안 되어 이름이 팬덤으로 바뀌었다.[3][2]
특징[편집]
팬덤은 사이트 가입자에 한해 도메인을 할당받아 개별적으로 위키를 운영할 수 있는 호스팅 서비스다. 다만 한 번 위키를 만들면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고는 폐쇄할 수 없다. 위키백과나 리브레위키, 나무위키처럼 한 사이트에 분야를 막론하고 정보를 모은 백과사전 형식이 아니라, 분야별로 세분화되어 수만, 수십만 개의 개별적인 위키들이 따로 존재한다. 포털 역할을 하는 팬덤 중앙 커뮤니티가 존재하지만, 사실상 개개의 위키는 별개의 사이트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를 테면 포켓몬 위키(한국어), TYPE-MOON 위키(영어), FINAL FANTASY WIKI(일본어) 등으로, 각 작품별·테마별로 위키들이 구축되어 있다. 위키가 많은 만큼 각각 규칙도 다르다. 위키백과처럼 사담을 토론장에 쓰고, 문서에 공식에서 공지한 정보만을 기입하는 엄격한 원칙의 위키가 있다. 엄격한 종류로 버츄얼 유튜버 위키가 있다. 라이선스는 개별 위키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을 경우 CC BY-SA 3.0 Unported를 사용한다. 각 위키에서 메뉴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최근 바뀜의 접근이 쉽지 않다.[4]
분야[편집]
엔터테인먼트[편집]
엔터테인먼트는 TV 프로그램과 영화, 애니메이션 분야로 나뉘어 있다. 엔터테인먼트 계열에서 대표적인 위키로는 스타워즈 시리즈의 '우키피디아'(Wookieepedia)와 릭 라이어던의 판타지 신화 창작물 책 시리즈를 다루는 '라이어던위키'가 있다. 이름이 있는 애니메이션이라면 나무위키보다도 더 자세히 서술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팬덤은 대체로 한 분야만 다루기 때문에 엔진 같은 경우는 각 위키로 치면 나무위키에 미치지는 않는다. 그런데 대부분 어떤 분야의 팬이라면 팬덤에 더 많이 방문하게 되어서 디테일은 나무위키보다 대체로 더 많다. 해외에서는 일본 만화 혹은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한국 만화 혹은 웹툰 관련 설정이 정리된 사이트를 구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이 사이트에 위키를 만들어 정리하는 유저들이 종종 있다. 2010년대 후반부터는 웹소설이 웹툰화되는 경우가 많아져서, 한국의 웹소설 팬덤 영어 위키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다만, 해외에서는 웹툰이 더 유명하다보니 여전히 웹소설보다는 웹툰 위키가 더 많다. 사용자의 자율성이 높으며 서양권 만화 및 애니메이션 팬덤이 자주 모이는 특성 때문에 핑크퐁, 야채극장 베지테일과 같은 유아 애니메이션에 대한 위키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다만, 유아용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어린이 관련 위키는 어린이 보호를 위해 2024년 2월 23일부터는 이메일 인증을 한 계정만 위키를 만들 수 있게 정책이 바뀌었다. 케이팝 위키와 K힙합 위키도 있다.[3]
게임[편집]
게임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게이밍 위키를 가장 많이 사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엔터테인먼트나 라이프스타일과 관련된 자료는 한국 사이트에서도 충분히 구할 수 있지만, 게임과 관련된 체계적인 자료는 팬덤 위키보다 좋은 사이트가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나무위키에서도 게임 분야의 문서 안에 이 위키의 링크가 걸린 경우가 많다. 한국판 위키 중 한국에서 제일 유명한 곳은 포켓몬에 대해 정리한 '포켓몬위키'로 1만 개 이상의 문서 수를 자랑한다. 단독 게임 타이틀을 다루는 주요 게이밍 위키로는 문서 7천 개 이상의 부족전쟁에 대해 서술하는 부족전쟁 위키가 잘 알려져 있다. 단독 게임 타이틀을 다룬 위키로는 한국어 전체 위키 사이트 중 최대 규모다. 그 외에 문서 수 4천 개 이상의 마비노기에 대해 서술하는 마비노기 위키, 문서 수 3천 개 이상의 메이플스토리에 대해 서술하는 메이플스토리 위키, 문서 수 2천 개 이상의 모두의 쿠키에 대해 서술하는 모두의쿠키 위키, 소드걸스에 대해 서술하는 소드걸스 위키 등이 존재한다. 배틀그라운드를 서술하는 PUBG 위키 등도 있다. 게임 페이지에는 그 게임과 관련된 거의 모든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를 들어, 아이템에 대해 세세하게 무기·방어구·물약 등을 분야별로 나눠 각 효과를 전부 서술해 정리하기도 한다. 미션이나 퀘스트의 경우, 목표와 전략 심지어는 버그성 혹은 얌체 플레이와 그에 따른 유튜브 영상도 실려 있다. 버그나 오류의 종류나 대처법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게임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3]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about us〉, 《fandom》
- 〈팬덤 (웹사이트)〉, 《위키백과》
- 〈FANDOM〉, 《나무위키》
- 〈팬덤 (위키 서비스)〉, 《리브레위키》
같이 보기[편집]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