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일(Whale)은 네이버(Naver)가 개발한 웹브라우저이다. 네이버 웨일(Naver Whale)이라고도 한다. 웨일(whale)은 '고래'라는 뜻으로서, 인터넷의 바다를 자유롭게 헤엄치는 고래라는 의미가 있다. 네이버 웨일의 로고는 고래 모양을 변형한 것이다.
개요
웨일은 구글 크롬을 잡기 위해 네이버가 출시한 PC 브라우저이다. 원래 자체적으로 개발한 ‘슬링’이라는 엔진이 있었지만 몇 가지 문제로 인해 구글의 크로미움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1] 2017년 네이버 웨일의 초반 점유율이 1%대에 미치며 시장 확대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2020년 점유율 6.4%를 기록하며 시장 3위로 뛰어올랐다.[2]
특징
인터넷 검색은 인터넷 익스플로러(IE)와 비교해 상당히 빠른 편이고, 악성 광고 차단 기능이 있다. 또한, 모바일과 PC를 연동하면 모바일에서 보고 있던 동영상, 뉴스, 문서를 이어서 볼 수 있다. 하지만 윈도우 7 이상의 운영체제에서만 지원이 가능하고, 비발디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한 흔적이 있다. 또한, 크로미움 엔진의 최신 버전 반영이 느리고, 공용 PC에는 대부분 깔려있지 않으며, 사이드바를 통한 멀티태스킹이 장점 중 하나지만, 카카오톡이 지원되지 않는다. 네이버 검색이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다. 메모리 점유율이 높고, 일부 크롬 앱을 사용할 수 없으며, 웨일 스토어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앱의 숫자는 아주 적다. 그리고 윈도 외에 맥 OS 용 버전도 있으며, IOS, 안드로이드, 리눅스용 정식 버전이 2017년에 발표되었다. 사용하지 않는 탭을 메모리에서 잠시 내려 사양이 낮은 컴퓨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1][3][4][5]
기능
화면을 분할하여 여러 페이지를 볼 수 있는 옴니태스킹, 웹 페이지의 내용 중 모르는 용어나 번역이 필요할 때, 해당 부분을 드래그하여 간단하게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퀵 서치, 크롬처럼 웹 페이지를 번역하는 기능인 사이트 번역, 문장을 지정하여 각 언어에 맞게 작동하여 음성을 들을 수 있는 TTS(Text-to-Speech), 팝업이 나타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팝업을 한 쪽으로 모아 열고 닫기 편하게 해주는 스마트 팝업, 주소창에 사이트 이름을 넣어 바로 이동이 가능한 기능, 브라우저의 자체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크롬의 확장 프로그램도 일부 사용이 가능한 기능, 브라우저의 테마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 있다.[1] 또한, 컴퓨터로 업무를 장시간 동안 하다 보면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웨일은 이 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다크 모드를 지원해준다. 다크 모드에는 두 가지 적용 범위가 있는데, 하나는 인터페이스에 적용, 다른 하나는 인터페이스와 웹 콘텐츠에 적용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에 적용하는 것은 웹 브라우저 내에 보이는 사이트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다크 모드로 적용하는 것이고, 인터페이스와 웹 콘텐츠에 적용하는 것은 인터페이스와 웹 콘텐츠 모두에 다크 모드로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레이아웃의 형태로 원하는 화면을 캡처할 수 있는 자체 캡처 기능이 있다. 기능별로 직접 지정, 영역 선택, 전체 페이지, 전체 화면 4가지의 종류가 있다. 별도의 캡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자체 기능으로 들어가 있어 편리하다. 한컴오피스나 뷰어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한글 문서(HWP)를 웨일 브라우저에 드래그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한글 뷰어 기능이 있다.[6]
비교
단순하게 웨일과 크롬, 인터넷 익스플로러(IE) 창을 열어뒀을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메모리를 가장 많이 차지하고, 그다음은 크롬, 웨일 순으로 메모리를 차지한다.[3] 네이버 웨일은 구글 크롬을 기반으로 개발했기 때문에 크롬과 속도나 메모리 사용량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구글 크롬에서는 볼 수 없는 각종 기능이 네이버 웨일에 추가된 것이 큰 강점이지만, 인터넷 브라우저의 핵심인 속도는 구글 크롬과 별다른 차이가 없기 때문에 차별화가 부족하다.[7] 크롬에서는 브라우저 화면을 반반으로 나누었지만, 웨일에서는 하나의 창에서 두 개의 화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롬 브라우저에서는 툴바를 설치해야 했지만, 웨일 브라우저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할 때 자주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능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8]
각주
- ↑ 1.0 1.1 1.2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whale Browser)〉, 《티스토리》, 2017-10-11
- ↑ 조성준 기자, 〈네이버 웨일, 점유율 6.4%...웹 브라우저 시장서 일 낼까?〉, 《이투데이》, 2020-06-22
- ↑ 3.0 3.1 현재는없다, 〈네이버웨일 브라우저, 장,단점, 크롬 IE와 비교, 이벤트 진행중)〉, 《티스토리》, 2019-10-12
- ↑ 〈웨일 브라우저 사용 후기 및 장단점(feat. 크롬)〉, 《티스토리》, 2020-10-07
- ↑ 초심......!!! 〈크롬보다 낫다?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특징과 장단점〉, 《티스토리》, 2020-07-12
- ↑ soulshine,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특징과 7가지 기능)〉, 《Useful Guide》, 2020-10-15
- ↑ 〈구글 크롬과 익스플로러 네이버웨일 비교〉, 《티스토리》, 2017-03-30
- ↑ 〈웨일브라우저 후기, 크롬에서 갈아타기〉, 《티스토리》, 2019-11-08
참고자료
-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whale Browser)〉, 《티스토리》, 2017-10-11
- 조성준 기자, 〈네이버 웨일, 점유율 6.4%...웹 브라우저 시장서 일 낼까?〉, 《이투데이》, 2020-06-22
- 현재는없다, 〈네이버웨일 브라우저, 장,단점, 크롬 IE와 비교, 이벤트 진행중)〉, 《티스토리》, 2019-10-12
- 〈웨일 브라우저 사용 후기 및 장단점(feat. 크롬)〉, 《티스토리》, 2020-10-07
- 초심......!!! 〈크롬보다 낫다?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특징과 장단점〉, 《티스토리》, 2020-07-12
- soulshine,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특징과 7가지 기능)〉, 《Useful Guide》, 2020-10-15
- 〈구글 크롬과 익스플로러 네이버웨일 비교〉, 《티스토리》, 2017-03-30
- 〈웨일브라우저 후기, 크롬에서 갈아타기〉, 《티스토리》, 2019-11-08
같이 보기
이 웨일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개발 :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데이터, 솔루션, 보안, 하드웨어, 컴퓨터, 사무자동화, 인터넷 □■⊕, 모바일, 사물인터넷, 게임, 메타버스, 디자인
|
|
인터넷
|
PC통신 • 그누텔라 • 네트워크 • 다크넷 • 다크웹 • 딥웹 • 무선인터넷 • 슈퍼피어 • 스타링크 • 아르파넷 • 아이투피(I2P) • 엑스트라넷 • 오버레이 네트워크 • 오투오(O2O) • 오프라인 • 온라인 • 온오프라인 • 유선인터넷 • 인터넷 • 인트라넷 • 초고속 인터넷 • 토어(토르) • 표면웹 • 프리넷 • 피투피(P2P) • 하이브리드 피투피(P2P) • 홈네트워크
|
|
인터넷 기술
|
ARP • DNS • FTP • G-클라우드 • HTTP • HTTPS • IPFS • IPv4 • IPv6 • IRC • IRI • ISBN • LDAP • MOIP • OpenSSL • OSI 7 계층 • RFC • RFID • SFTP • SOAP • SSH • SSL • SSO • TCP • TCP/IP • TLS • UCI • UDP • URI • URL • URN • VoIP • 강화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 • 검색 • 검색엔진 • 게이트웨이 • 경계 경로 프로토콜 •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 • 다운로드 • 데몬 •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 백엔드 • 사물인터넷 • 서버 • 서버-클라이언트 • 서브넷마스크 • 세션 • 스트리밍 • 식별자 • 아이피(IP) • 업로드 • 에듀테크 • 온프레미스 •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 • 유비쿼터스 • 인터넷 기술 • 자율시스템 • 정보기술 • 정보통신 • 채팅 • 챗봇 • 최단경로 우선 프로토콜(OSPF) • 쿠키 • 크롤링 • 클라이언트 • 키워드 • 텔넷 • 토폴로지 • 트래픽 • 패킷 • 포털 • 포트 • 프런트엔드 • 프로토콜 • 프록시 • 해시태그
|
|
이메일
|
IMAP • POP3 • SMTP • 계정메일 • 네이버 메일 • 다음 메일 • 센드메일 • 스팸 • 스팸메일 • 스팸필터링 • 아웃룩 익스프레스 • 야후 메일 • 웹메일 • 이메일 • 지메일 • 카카오 메일 • 한메일 • 핫메일
|
|
웹
|
KWCAG • WCAG • 서핑 • 시맨틱 웹 • 오프라인 웹 • 웹 • 웹 1.0 • 웹 2.0 • 웹 3.0 • 웹개방성 • 웹서비스 • 웹접근성 • 웹접근성 인증마크 • 웹주소 • 웹표준 • 웹호환성 • 피드
|
|
웹사이트
|
BBS • GNB • LNB • UI/UX • 게시판 • 관리자 사이트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누리집 • 대시보드 • 드롭다운 메뉴 • 랜딩 템플릿 • 랜딩 페이지 • 리더보드 • 마이홈피 • 메뉴 • 모달창 • 미니홈피 • 방명록 • 배너 • 사용자 경험(UX)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섹션 • 왼쪽메뉴 • 웹기획 • 웹사이트 • 웹페이지 • 인터페이스 • 쪽지 • 커뮤니티 • 탑메뉴 • 탭메뉴 • 템플릿 • 팝업 • 페이지 • 페이지뷰 • 햄버거 메뉴 • 호버 • 홈페이지 • 화면
|
|
웹브라우저
|
넷스케이프 • 모자이크 • 브라우저 • 브레이브 브라우저 • 블록체인 브라우저 • 사파리 • 삼성인터넷 • 스윙 • 엣지 • 오시리스 • 오페라 • 웨일 • 웹브라우저 • 인터넷 익스플로러(IE) • 크롬 • 파이어폭스 • 판도브라우저
|
|
인터넷 서비스
|
구글 • 구글 미트 • 구글챗 • 구글 행아웃 • 깃허브 • 네아로 • 네이버 • 네이버 웹툰 • 네이버 카페 • 넷플릭스 • 다음 • 라이코스 • 레진코믹스 • 메일루 • 멜론 • 바이두 • 바이트댄스 • 비트토렌트 • 빌리빌리 • 빙 • 소리바다 • 스포티파이 • 아마존 웹서비스(AWS) • 애플 • 야후 • 야후재팬 • 얀덱스 • 에버노트 • 에어비앤비 • 왓챠 • 웹소설 • 웹툰 • 유튜브 • 인스타툰 • 인터넷 서비스 • 인터넷카페 • 잼라이브 • 줌 • 카카오 • 카카오 웹툰 • 카카오페이지 • 탑툰 • 텐센트 • 팟캐스트 • 패스 • 페이오니아 • 페이팔 • 해시넷 • 화상통화 • 화상회의
|
|
인터넷쇼핑
|
11번가 • 그립 • 네이버 쇼핑 • 네이버 쇼핑 라이브 • 라이브방송 • 라이브커머스 • 모바일쇼핑 • 스쉐라이브 • 스타일쉐어 • 아마존 • 알리바바 • 오픈마켓 • 옥션 • 온라인쇼핑 • 위메프 • 이베이 • 인터넷쇼핑 • 인터파크 • 전자상거래 • 지마켓 • 징동닷컴 • 카카오 쇼핑 • 카카오 쇼핑 라이브 • 커머스 • 쿠팡 • 쿠팡 라이브 • 타오바오 • 티몬
|
|
소셜 네트워크
|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구글 블로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 디시인사이드 • 링크드인 • 마이크로블로그 • 맞팔 • 브런치스토리 • 블로그 • 소셜 네트워크 • 엑스 (트위터) • 웨이보 • 인스타그램 • 트루스소셜 • 티스토리 • 팔로우 • 페이스북 • 플리커 • 핀터레스트
|
|
메신저
|
골프메신저 • 님버즈 • 대화방 • 두레이 • 디스코드 • 딩톡 • 라인 • 라인웍스 •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 메신저 • 버디버디 • 스냅챗 • 스노우 • 스카이프 • 슬랙 • 아이씨큐(ICQ) • 왓츠앱 • 웹메신저 • 위챗 • 잔디 • 직톡 • 카카오워크 • 카카오톡 • 카톡방 • 큐큐(QQ) • 탱고 • 텔레그램 • 틱톡 • 페이스북 메신저 • 플로우
|
|
도메인
|
네임서버 • 다국어도메인 • 도메인 • 레지스트라 • 레지스트리 • 아이피 • 인터넷주소 • 인터넷키워드 • 한글인터넷주소 • 후이즈
|
|
호스팅
|
메일호스팅 • 서버호스팅 • 웹호스팅 • 코로케이션 • 클라우드 • 클라우드 네이티브 • 파킹 • 포워딩 • 호스팅
|
|
위키
|
구스위키 • 나무위키 • 노스모크 • 더위키 • 디시위키 • 리그베다위키(엔하위키) • 리브레위키 • 미디어위키 • 바다위키 • 백괴사전 • 아이티위키 • 알파위키 • 엔하계 위키 • 요다위키 • 우만위키 • 위키 • 위키낱말사전 • 위키독스 • 위키문법 • 위키문서 • 위키문헌 • 위키미디어재단 • 위키백과 • 위키스 • 위키엔진 • 위키원 • 위키원드 • 위키트리 • 위키휴가 • 제이위키 • 제타위키 • 중국위키 • 팬덤(위키아) • 한국어 위키백과 • 한국위키미디어협회 • 항공위키
|
|
인터넷 사용자
|
가입 • 가입자 • 강퇴 • 계정 • 관리자 • 네트워크 관리자 • 네티즌 • 누리꾼 • 대기자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 등록자 • 디지털 원패스 • 로그아웃 • 로그인 • 방문자 • 방장 • 블로거 • 블록체인 관리자 • 비회원 • 사용자 • 사이트 관리자 • 서버관리자 • 시삽 • 시스템 관리자 • 아이디(ID) • 운영진 • 웹관리자 • 웹마스터 • 유튜버 • 접속자 • 차단 • 최고관리자 • 탈퇴 • 탈퇴자 • 회원 • 회원제 • 휴면 • 휴면계정
|
|
인터넷 단체
|
IANA • ICANN • W3C • 다르파 •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