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미국 시스코사에서 1980년대 중반에 개발한 사유 프로토콜이다. 약자를 따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또는 IGRP 라우팅 프로토콜이라 부르기도 한다.[1]
개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의 하나로, RI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든 시스코사의 프로토콜로,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이 아니기 때문에 시스코사의 장비만 사용 가능하다. 메트릭 값을 결정짓는 주요인으로는 대역폭과 지연이 있다. 최대 255 홉 카운트로 기본 값은 100이며, 90초에 한 번씩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 해야 한다. 대역폭(Bandwidth)은 속도를 의미하며 단위는 Kbps를 사용한다. 회선을 통해 개통하거나 통신 속도를 하드웨어적으로 맞춰주는 값이 아니라 최적 경로를 찾는 프로토콜이 참고하기 위한 값이다. 대역폭은 각 인터페이스에서 설정할 수 있고, 기본 값은 1.544Mbps다. 지연(Delay)은 경로를 통해서 도착할 때까지의 지연되는 시간으로 단위는 마이크로 초(Micro Second)를 사용한다. 회선 상에 트래픽이 없을 때를 가정하고 제공되는 수치다. 1~16,777,215사이의 숫자로,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에 연결되어 있는 회선의 종류와 설정된 대역폭 값에 따라 지연 값을 계산하도록 되어 있다. 수동으로 지연 값을 넣어줄 수는 있지만 다른 메트릭 요인을 바꾸는 것이 더 유용하기 때문에 대부분 기본 값으로 사용한다. 부가적인 용인으로는 신뢰성, 부하, MTU가 잇다. 신뢰성은 케이블이나 전용선 등 전송매체를 통해 패킷을 보낼 때 생기는 에러율을 나타내는 수치로, 목적지까지 제대로 도착한 패킷과 에러가 발생한 패킷의 비율로 단위는 0~255 사이의 정수로 표시되며 숫자가 클수록 신뢰성이 높아지며 자동으로 계산되어지는 값이다. Keepalive를 이용해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의 신뢰도를 측정한다. 부하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 경로에 어느 정도의 부하가 걸리고 있는지 측정하는 값으로, 단위는 1/255에서 255/255 사이의 값으로, 분자의 숫자가 클수록 부하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은 경로의 최대 전송 유닛의 크기를 말하는 것으로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이 값들을 공식에 대입하여 하나의 메트릭으로 병합하고, 각 메트릭을 비교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특징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은 경로 결정에 홉 카운트만을 사용하지만,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은 주로 대역폭과 지연을 이용해 경로를 선택한다. 15개로 제한되어있던 홉 카운트를 최대 255개까지 확장하여 확장성을 증가시켰다. ASN(Autonomous System number)을 사용하지 않는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과는 달리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은 ASN을 사용해야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라우터 사이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없다. 중간 규모의 네트워크에 적합하고, 다양한 요소를 메트릭 요인으로 사용한다. 또한 비용이 동일하지 않은 경로를 6개까지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수렴 시간이 빠르고 운영 및 설정이 간단하다. 다중경로 라우팅을 지원하고 시스템 리소스가 적다. 그러나 국제 표준이 아니기 때문에 시스코 장비 외의 장비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AS 번호를 필요로 하는 클래스풀 라우팅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2] 클래스풀 라우팅 프로토콜로, 서브넷 마스크를 위한 공간이 없어, 동일한 클래스 A, 클래스 B, 클래스 C, 네트워크 안의 모든 세브네트워크 주소들이 인터페이스에 구성된 서브넷 마스크와 동일한 서브넷 마스크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한다. 이는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Variable Length Subnet Mask, VLSM)를 사용할 수 있는 클래스 없는 라우팅 프로토콜과 대비된다.[3]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과 달리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받지 않고, 직접 IP 서비스를 받는다.
강화된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
강화된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은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를 기반으로 한 개방형 라우팅 프로토콜로, 약자를 따서 EIGRP라고 부르거나, 강화 내부 경로 제어 통신 규약이라고도 부른다. 클래스 없는 라우팅의 사용을 허용하고, 대역폭과 지연을 위해 24비트를 지원했던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보다 8비트를 더 지원하여 32비트가 할당된다. 홉 수는 256 개,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보다 빠른 수렴 속도를 가진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하는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이나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과 달리 변경 사항이 발생할 경우에만 업데이트를 보낸다. 링크상태 라우팅 기능을 사용하여 DUAL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의 대역폭 요구량보다 적은 양의 대역폭을 요구하고, 내부 게이트웨이의 관리 거리가 100인 반면, 강화된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의 경로는 행정 거리가 90이다.[4]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이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개발 :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데이터, 솔루션, 보안, 하드웨어, 컴퓨터, 사무자동화, 인터넷 □■⊕, 모바일, 사물인터넷, 게임, 메타버스, 디자인
|
|
인터넷
|
PC통신 • 그누텔라 • 네트워크 • 다크넷 • 다크웹 • 딥웹 • 무선인터넷 • 슈퍼피어 • 스타링크 • 아르파넷 • 아이투피(I2P) • 엑스트라넷 • 오버레이 네트워크 • 오투오(O2O) • 오프라인 • 온라인 • 온오프라인 • 유선인터넷 • 인터넷 • 인트라넷 • 초고속 인터넷 • 토어(토르) • 표면웹 • 프리넷 • 피투피(P2P) • 하이브리드 피투피(P2P) • 홈네트워크
|
|
인터넷 기술
|
ARP • DNS • FTP • G-클라우드 • HTTP • HTTPS • IPFS • IPv4 • IPv6 • IRC • IRI • ISBN • LDAP • MOIP • OpenSSL • OSI 7 계층 • RFC • RFID • SFTP • SOAP • SSH • SSL • SSO • TCP • TCP/IP • TLS • UCI • UDP • URI • URL • URN • VoIP • 강화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 • 검색 • 검색엔진 • 게이트웨이 • 경계 경로 프로토콜 •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 • 다운로드 • 데몬 •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 백엔드 • 사물인터넷 • 서버 • 서버-클라이언트 • 서브넷마스크 • 세션 • 스트리밍 • 식별자 • 아이피(IP) • 업로드 • 에듀테크 • 온프레미스 •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 • 유비쿼터스 • 인터넷 기술 • 자율시스템 • 정보기술 • 정보통신 • 채팅 • 챗봇 • 최단경로 우선 프로토콜(OSPF) • 쿠키 • 크롤링 • 클라이언트 • 키워드 • 텔넷 • 토폴로지 • 트래픽 • 패킷 • 포털 • 포트 • 프런트엔드 • 프로토콜 • 프록시 • 해시태그
|
|
이메일
|
IMAP • POP3 • SMTP • 계정메일 • 네이버 메일 • 다음 메일 • 센드메일 • 스팸 • 스팸메일 • 스팸필터링 • 아웃룩 익스프레스 • 야후 메일 • 웹메일 • 이메일 • 지메일 • 카카오 메일 • 한메일 • 핫메일
|
|
웹
|
KWCAG • WCAG • 서핑 • 시맨틱 웹 • 오프라인 웹 • 웹 • 웹 1.0 • 웹 2.0 • 웹 3.0 • 웹개방성 • 웹서비스 • 웹접근성 • 웹접근성 인증마크 • 웹주소 • 웹표준 • 웹호환성 • 피드
|
|
웹사이트
|
BBS • GNB • LNB • UI/UX • 게시판 • 관리자 사이트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누리집 • 대시보드 • 드롭다운 메뉴 • 랜딩 템플릿 • 랜딩 페이지 • 리더보드 • 마이홈피 • 메뉴 • 모달창 • 미니홈피 • 방명록 • 배너 • 사용자 경험(UX)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섹션 • 왼쪽메뉴 • 웹기획 • 웹사이트 • 웹페이지 • 인터페이스 • 쪽지 • 커뮤니티 • 탑메뉴 • 탭메뉴 • 템플릿 • 팝업 • 페이지 • 페이지뷰 • 햄버거 메뉴 • 호버 • 홈페이지 • 화면
|
|
웹브라우저
|
넷스케이프 • 모자이크 • 브라우저 • 브레이브 브라우저 • 블록체인 브라우저 • 사파리 • 삼성인터넷 • 스윙 • 엣지 • 오시리스 • 오페라 • 웨일 • 웹브라우저 • 인터넷 익스플로러(IE) • 크롬 • 파이어폭스 • 판도브라우저
|
|
인터넷 서비스
|
구글 • 구글 미트 • 구글챗 • 구글 행아웃 • 깃허브 • 네아로 • 네이버 • 네이버 웹툰 • 네이버 카페 • 넷플릭스 • 다음 • 라이코스 • 레진코믹스 • 메일루 • 멜론 • 바이두 • 바이트댄스 • 비트토렌트 • 빌리빌리 • 빙 • 소리바다 • 스포티파이 • 아마존 웹서비스(AWS) • 애플 • 야후 • 야후재팬 • 얀덱스 • 에버노트 • 에어비앤비 • 왓챠 • 웹소설 • 웹툰 • 유튜브 • 인스타툰 • 인터넷 서비스 • 인터넷카페 • 잼라이브 • 줌 • 카카오 • 카카오 웹툰 • 카카오페이지 • 탑툰 • 텐센트 • 팟캐스트 • 패스 • 페이오니아 • 페이팔 • 해시넷 • 화상통화 • 화상회의
|
|
인터넷쇼핑
|
11번가 • 그립 • 네이버 쇼핑 • 네이버 쇼핑 라이브 • 라이브방송 • 라이브커머스 • 모바일쇼핑 • 스쉐라이브 • 스타일쉐어 • 아마존 • 알리바바 • 오픈마켓 • 옥션 • 온라인쇼핑 • 위메프 • 이베이 • 인터넷쇼핑 • 인터파크 • 전자상거래 • 지마켓 • 징동닷컴 • 카카오 쇼핑 • 카카오 쇼핑 라이브 • 커머스 • 쿠팡 • 쿠팡 라이브 • 타오바오 • 티몬
|
|
소셜 네트워크
|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구글 블로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 디시인사이드 • 링크드인 • 마이크로블로그 • 맞팔 • 브런치스토리 • 블로그 • 소셜 네트워크 • 엑스 (트위터) • 웨이보 • 인스타그램 • 트루스소셜 • 티스토리 • 팔로우 • 페이스북 • 플리커 • 핀터레스트
|
|
메신저
|
골프메신저 • 님버즈 • 대화방 • 두레이 • 디스코드 • 딩톡 • 라인 • 라인웍스 •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 메신저 • 버디버디 • 스냅챗 • 스노우 • 스카이프 • 슬랙 • 아이씨큐(ICQ) • 왓츠앱 • 웹메신저 • 위챗 • 잔디 • 직톡 • 카카오워크 • 카카오톡 • 카톡방 • 큐큐(QQ) • 탱고 • 텔레그램 • 틱톡 • 페이스북 메신저 • 플로우
|
|
도메인
|
네임서버 • 다국어도메인 • 도메인 • 레지스트라 • 레지스트리 • 아이피 • 인터넷주소 • 인터넷키워드 • 한글인터넷주소 • 후이즈
|
|
호스팅
|
메일호스팅 • 서버호스팅 • 웹호스팅 • 코로케이션 • 클라우드 • 클라우드 네이티브 • 파킹 • 포워딩 • 호스팅
|
|
위키
|
구스위키 • 나무위키 • 노스모크 • 더위키 • 디시위키 • 리그베다위키(엔하위키) • 리브레위키 • 미디어위키 • 바다위키 • 백괴사전 • 아이티위키 • 알파위키 • 엔하계 위키 • 요다위키 • 우만위키 • 위키 • 위키낱말사전 • 위키독스 • 위키문법 • 위키문서 • 위키문헌 • 위키미디어재단 • 위키백과 • 위키스 • 위키엔진 • 위키원 • 위키원드 • 위키트리 • 위키휴가 • 제이위키 • 제타위키 • 중국위키 • 팬덤(위키아) • 한국어 위키백과 • 한국위키미디어협회 • 항공위키
|
|
인터넷 사용자
|
가입 • 가입자 • 강퇴 • 계정 • 관리자 • 네트워크 관리자 • 네티즌 • 누리꾼 • 대기자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 등록자 • 디지털 원패스 • 로그아웃 • 로그인 • 방문자 • 방장 • 블로거 • 블록체인 관리자 • 비회원 • 사용자 • 사이트 관리자 • 서버관리자 • 시삽 • 시스템 관리자 • 아이디(ID) • 운영진 • 웹관리자 • 웹마스터 • 유튜버 • 접속자 • 차단 • 최고관리자 • 탈퇴 • 탈퇴자 • 회원 • 회원제 • 휴면 • 휴면계정
|
|
인터넷 단체
|
IANA • ICANN • W3C • 다르파 •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