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대륙
남극대륙(南極大陸)은 지구의 최남단에 있는 대륙으로, 한가운데 남극점이 있다.
역사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북반구에 있는 넓은 땅덩어리와 균형을 이루려면 남쪽 어딘 가에 큰 대륙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15세기 최초의 항해 일주를 한 포르투갈의 마젤란(Ferdinand Magellan)을 비롯해 많은 탐험가가 전 세계 바다를 일주했지만, 남극 대륙을 발견하지는 못했다. 1820년 러시아의 파비안 고틀리에프 폰 벨링스하우센(Fabian Gottlieb von Bellingshausen)이 지금의 '프린세스 아스트리드 코스트' 연안에 발달해 있는 빙붕(氷棚, 남극 대륙을 뒤덮은 얼음을 타고 흘러 내려와 바다 위로 퍼지며 평평하게 얼어붙은 것)을 목격하면서 남극 대륙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으로 기록됐다.
1911년 노르웨이의 아문젠(Roald Amundsen)은 마침내 남극점에 도달했고, 남극점을 정복하기 위해 '세기의 대결'을 벌인 스콧(Robert Falcon Scott) 일행은 그보다 한발 늦게 도달한 뒤 베이스캠프로 돌아오는 도중에 모두 얼어 죽었다.
백색의 대륙, 남극은 지구상 어느 곳보다 늦게 인간의 발길을 허락한 대륙이다. 연평균 기온 영하 55℃. 가장 따뜻한 달이 영하 30℃,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영하 70℃, 여름엔 밤이 두 시간 안팎인 백야가 계속되다가, 겨울엔 반대로 밤만 20시간 넘게 지속되는 '극지'가 바로 남극이다.
그러나 남극은 석유는 물론이고, 남극 횡단산맥의 석탄매장량만 해도 1천500억t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과 함께 구리, 크롬, 백금, 니켈, 아연, 은, 주석, 금, 철 등이 상당량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잠재적 가치가 무궁무진한 곳이다. 특히 남극새우(크릴)는 미래 식량자원으로서 세계 각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 연구의 중심지이자 극한지역 연구를 위한 초석이다. 그야말로 자원의 보고이자 미래 연구의 중심지인 것이다.[1]
자연환경
남극대륙은 대부분 남극권 이남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에는 남극해가 있다. 면적은 약 14,000,000㎢로서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이어 다섯 번째로 큰 대륙이며 남극보다 면적이 넓은 나라는 러시아가 유일하다.
면적은 한반도의 약 60배로서 지구 전체 육지면적의 약 10%에 달할 정도로 광활하며, 남극 전체표면의 약 98%는 평균 두께 2,160m의 만년빙으로 덮여 있고 지구상 담수의 약 90%가 이곳에 얼음 형태로 보존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만일 기상이변 등으로 이 얼음이 모두 녹는다면 지구 해수면이 약 60~80m 정도 상승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남극지방은 지형적으로 북극지방과는 정반대로 바다로 둘러싸인 대륙으로서 바람이 아주 거세고 계절별로 온도교차가 심하여 내륙 고원지대는 겨울철에 영하 70℃까지 기온이 내려가기도 한다.
남극의 생태계는 작은 외부의 자극에 의해서도 쉽게 파괴될 가능성이 큰데, 이는 남극지역의 생물들이 열악한 자연적 환경 때문에 다른 지역의 생물에 비하여 번식력이 제한적일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남극 해양생물들이 크릴을 주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남극지방은 사하라 사막보다도 연 강수량이 적은 곳이어서 낮은 기온과 함께 물질의 자연적인 순환이 매우 느리게 이루어지고 있어 자연환경이 한번 파괴되면 원상회복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남극대륙에는 인간이 정착한 거주지는 없으며, 다만 한 해에 1000명에서 5000명 정도 사람이 산재한 연구 기지에서 생활하고 있다.
추위에 적응한 동식물만이 남극에 사는데 여기에는 펭귄, 물개, 지의류(地衣類)의 식물, 그리고 여러 종류의 조류(藻類)가 있다. 나무는 전혀 없고 꽃 피는 식물은 두 종류만 있다.
현재 남극 수역의 주요 해양생물 자원으로는 크릴, 파타고니아 이빨고기, 별오징어, 그리고 게 등이 있다.
남극조약
남극조약(南極條約)은 남극대륙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 정한 조약이다. 남극조약과 관련 협정을 묶은 남극조약체제(南極條約體制)는 지구에서 유일하게 사람이 살지 않는 대륙인 남극에 관한 규정이다. 미국과 소련을 비롯한 12개 나라가 모여 체결했다. 남극의 평화적 이용, 과학 조사와 교류의 허용, 영유권 주장 금지, 군사 행동의 금지 등을 담고 있다. 남극조약은 냉전이 시작된 이후에 처음으로 맺어진 군비 규제 협정이다.
남극조약은 1959년 12월 1일 워싱턴에서 체결하였으며, 1961년 6월 23일부터 그 효력을 발휘했다. 1957년/1958년의 국제지구관측의 해를 맞아 남극에서 활동 중인 12개 나라를 미국이 초청한 회의에서 조약이 논의되었다. 이때 초대받은 나라는 남아프리카 연방・노르웨이・뉴질랜드・미국・벨기에・소비에트 연방・아르헨티나・영국・오스트레일리아・일본・칠레・프랑스이다.
남극조약 조문은 모두 14개 항으로 구성되었다. 주된 내용은 남극에 대해 어떠한 영유권도 항구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내용이며, 그 밖에도 남극 지역에서의 핵실험을 금지하는 조항과 남극 지역에 대한 평화적인 이용, 그리고 남극 지역에서 채굴되는 모든 자원을 연구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다는 내용(조난 시에는 예외)이 들어가 있다. 그러나, 남극조약의 자문 회원국 중에서 남극 지역의 일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나라가 있는데, 영국(영국령 남극 지역), 프랑스(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 뉴질랜드(뉴질랜드령 남극 지역), 노르웨이(퀸모드랜드),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 칠레(칠레령 남극 지역),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령 남극)등이 있다. 이들 국가의 영유권 주장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대체로 국제 사회에서 인정되지 않는 분위기다. 브라질도 남극대륙 일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남극조약에 따른 국제 사회의 비판을 의식하여 공식적으로 이 주장을 확실시하지는 않았다.
- 회원국
매년 '남극조약 자문 회의'를 통해 남극 지역의 운영과 관리를 논의하고 있다. 남극조약 가입 53개 나라 중 29개 나라가 이 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 자문 회원국이라고 하며, 처음 조약에 가입한 12개 나라 이외에 남극에서 과학 활동을 벌이고 있는 17개 나라를 포함한다.
나머지 24개 나라는 비자문 회원국이다.
우리나라는 1985년 민간단체의 남극관측탐험이 성공하자, 1986년 남극조약 가입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당시 남극조약 협의당사국들의 규정으로는, UN회원국은 원하면 자동으로 남극조약에 가입할 수 있었지만 우리는 UN회원국이 아니었으므로, 당사국 전원의 찬성을 얻어야만 가입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가 가입신청을 하자 소련과 중공 등의 나라들은 북한과 동시가입을 제안했고, 이는 1978년부터 남빙양조사와 크릴조업 등의 업적이 있는 우리로선 받아들이기 힘든 제안이었다. 그러나 남극조약 협의당사국들을 상대로 한 설득과 미국의 중재로 1986년 11월 28일 세계에서 33번째로 남극조약에 가입하였고, 1989년에는 남극조약 당사국 자격도 획득했다. 북한은 1987년 35번째로 가입했다.
우리나라의 남극 진출
우리나라의 남극 진출은 1978년 남극해에서 크릴새우를 조사한 것이 시작이었다. 수산청이 출어 경비의 반을 부담하기로 해 처음으로 남빙양의 크릴을 시험 조업하러 떠난 남북수산은 1978~1979년에 걸친 어한기에 남극 엔더비 랜드와 월크스 랜드 근해에서 크릴 511t을 어획했다. 어획량은 많지 않았으나 남극으로 내딛은 첫 번째 발자국이었다는 데 의미가 있었다.
우리나라는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1986년 남극조약에 가입해 국제사회에 진출하려는 의욕에 차 있었다. 1985년 11월 16일부터 12월 10일까지 민간단체인 한국해양소년단연맹이 두 팀으로 나누어 남극탐험에 나섰다. 이때 한국해양연구소에서 두 사람의 연구원이 참가해 킹조지 섬에서 3주를 머물며 외국기지 건설에 대한 조사와 킹조지 섬의 자연환경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우리의 남극기지건설에 대비한 준비였다. 한편 함께 떠난 해양소년단연맹이 위촉한 전문 등산인들은 1985년 11월 29일 남극 최고봉인 빈슨 메시프(Vinson Massif, 4,897m) 등정에 성공했다. 세계에서 여섯 번째였다.
다음 해인 1987년 초 신년업무보고에서 외무부가 남극 연구의 중요성과 기지건설의 필요성을 보고하자 대통령의 지시로 3월에 해양연구소에 극지연구실이 설치되어 남극연구와 관련 업무를 전담하게 되었다. 해양연구소에서는 과학자들과 기술자, 대사관 참사관으로 구성된 답사반을 4월 23일부터 5월 7일까지 킹조지 섬에 보내 기지를 세울 후보지를 답사케 했다.
이후 남극기지 건설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는데, 기지의 설계와 감리는 현대엔지니어링이 맡고, 건설자재와 장비운반은 현대중공업이, 건설은 현대건설이 맡았다. 8월 말 인천에서 건물 짓는 연습을 하고, 10월 6일 'HHI 1200'호에 자재와 장비들을 싣고 울산을 떠났다. 건설선은 12월 15일 킹조지 섬에 도착, 다음 날 기공식을 가졌다. 공사는 남극의 여름기간을 이용해 지어야 하기 때문에 휴일 없이 아침 7시부터 밤 10시까지, 때로는 새벽 2시까지도 일했다. 그 결과 2개월 하루 만인 1988년 2월 17일 서울로부터 1만 7,240km 떨어진 킹조지 섬 바톤 반도의 남위 62°17', 서경 58° 47' 해안에 남극세종기지가 준공되었다. 당시 남극에는 미국, 러시아, 영국, 일본 등 세계 14개 국의 과학기지가 진출해 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 40년이나 늦었지만, 세계에서 18번째로 남극 상주기지를 가진 나라가 된 것이다.
2014년 2월 12일 남극에 세종기지를 지은 지 26년 만에 우리나라는 '장보고 과학기지'를 준공했다. 두 번째 남극기지이자 남극대륙 내륙에 지은 첫 기지이다. 이로써 종래의 남극의 세종기지는 해양환경, 연안생태, 연안기반 연구에 집중하고, 장보고기지는 빙하, 운석, 오존층, 기상관측 등 대륙기반 연구의 전진 기지로 활용하게 된 것이다. 장보고기지의 완공으로 우리나라는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칠레, 아르헨티나, 호주, 인도 등에 이어 세계에서 열 번째로 남극에 두 개 이상의 상설기지를 보유한 국가가 됐다.
각주
참고자료
- 〈남극〉, 《위키백과》
- 〈남극조약〉, 《위키백과》
- 〈관광지로서의 남극 대륙〉, 《에듀넷》
- 〈남극소개〉, 《외교부》
- 〈남극세종기지〉, 《행정안전부국가기록원》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