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우란차부시

위키원
Liqingli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9월 14일 (토) 15:05 판 (새 문서: {{동아시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중국 위치''']] 파일:네이멍구자치구 위치.png|썸네일|300픽셀|'''[[네이멍구자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우란차부시(중국어: 乌兰察布市 wū lán chá bù shì)는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중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3][4]

개요

우란차부시의 면적은 54,473.6㎢이며 인구는 1,706,328명(2020년)이다. 행정 중심은 지닝구로 예전에는 현급시였다. 서쪽으로 후허하오터시, 북쪽으로 몽골, 북동쪽으로 시린궈러맹, 동쪽으로 허베이성, 남쪽으로 산시성 (산서성)과 접한다.

18개 민족이 거주하며, 그 중에 몽골족[蒙古族]이 3.5%를 차지한다. 시(市)의 행정공서(行政公署)는 지닝(集寧)에 있다. 우란차부라는 지명은 청(淸)나라 때인 1632년부터 불러온 이름이다.

울란차브의 서부는 현재는 사라진 쑤이위안성의 일부였다. 중부 다칭산(大靑山) 지대는 반농반목 지역으로, 감자가 유명하며, 남부에서는 유채·콩·호마(胡麻)·사탕무 등을 산출한다. 북부는 중국의 유명한 목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면양(綿羊)·산양(山羊)·말·소·낙타 등이 많이 사육한다. 공업으로 채광(석탄·철)·기계·축산물가공 등이 발달하였다.

주요 교통로 징바오철도(京包鐵道)·지얼철도(集二鐵道)·지퉁철도(集通鐵道)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며, 교육기관으로 중학교·소학교 159개와 전문학교 9개가 있다. 문화유적으로 지닝전역(集寧戰役) 유적과 신석기시대 유적, 커리멍고성(克里孟古城) 유적 등이 있다. 진러우위이(金鏤玉衣) 거란족 여자시체(契丹女屍)를 발굴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시인민정부는 지닝구(集宁区, 집녕구) 오란차부(乌兰察布) 대가(大街)에 위치하며 행정구획은 지닝구(集宁区, 집녕구)의 1개 시할구(市辖区), 펑전시(丰镇市, 풍진시)의 현급시와 줘쯔현(卓资县, 탁자현), 화더현(化德县, 화덕현), 상두현(商都县, 상도현), 싱허현(兴和县, 흥화현), 량청현(凉城县, 량성현)의 5개 현, 차하얼우익전기(察哈尔右翼前旗, 찰합이우익전기), 차하얼우익중기(察哈尔右翼中旗, 찰합이우익중기), 차하얼우익후기(察哈尔右翼后旗, 찰합이우익후기), 쓰쯔왕기(四子王旗, 사자왕기)의 4개 기로 이루어져 있다.[5] [6]

자연환경

주요 하천으로 황허강(黃河)·융딩강(永定河)이 흐르며, 연평균온도는 5℃, 연강우량은 150~400mm이다.

역사

조나라 및 진나라 운중군(云中郡), 대군(代郡), 안문군(雁门郡) 소속이었으며 한나라 시기 흉노족과 영유권을 놓고 숱하게 다툰 지역이다.

탁발선비(拓跋鲜卑)의 본거지이기도 하였으며, 이후에도 계속 북방민족인 튀르크, 여진족, 몽골족 등이 거주하였다.

청나라 대에 몽골 정복을 하면서 중국으로 편입되었으며, 중화민국시기 쑤위안성(绥远省) 및 치하얼성(察哈尔省) 소속으로 들어간다.

2003년 12월 1일 울란차브맹에서 시로 승격되었다.

교통

우란차부 지닝 공항(乌兰察布集宁机场)이 있으며, 국내선 전용이다.

주요 역으로 우란차부역(乌兰察布站)과 지닝난역(集宁南站)이 있으며, 우란차부역은 징바오고속철도(京包客运专线)가, 지닝난역은 징바오철도(京包铁路), 지퉁철도(集通铁路), 지얼철도(集二铁路)가 지나간다.

지닝난역이 있으니만큼 지닝역(集宁站)도 있는데 해당 역은 현재 화물열으로 사용된다.

관광

황허강

황허강의 길이는 5,464km, 유역면적 75만 2443㎢이다. 칭하이성(靑海省) 바옌카라산맥(巴顔喀拉山脈)의 야허라다쩌산(雅合拉達澤山:5,442m)에서 발원하는 웨구쭝례거(約古宗列渠)가 원류로서, 싱쑤해(星宿海) 및 어링호(鄂陵湖)·자링호(札陵湖)를 거친 하류를 가리킨다.

칭하이성 남동부를 동류하여 쓰촨성(四川省) 경계에 이르고 지스산맥(積石山脈) 동단을 굽어 간쑤성(甘肅省) 남부로 들어가 북서류하여 다시 칭하이성으로 들어간 다음 시닝(西寧) 남쪽을 동류, 류자샤(劉家峽)의 협곡을 지나 간쑤성 란저우(蘭州)에 이르러 북동으로 유로를 바꾸고, 닝샤후이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의 인촨(銀川) 동쪽을 지나 네이멍구 자치구 오르도스 지방으로 들어간다.

다시 바오터우(巴頭) 부근을 동류한 다음 산시성(山西省) 허취현(河曲縣) 부근에서 남하하여 퉁관(潼關) 부근에서 또다시 동으로 진로를 바꾸어 싼먼샤(三門峽)를 거쳐 산시·허난성(河南省) 경계를 흘러 황토고원(黃土高原)을 관통하여 화베이평야(華北平野)로 들어가 산둥성(山東省) 컨리현(墾利縣)에서 보하이만(渤海灣)으로 들어간다.

황허강 중·하류는 중국 문명의 요람지(搖籃地)로서 이름 높다. 유역에는 산시성 란톈현(藍田縣)에서 발견된 란톈원인(藍田原人)의 유적을 비롯한 채도(彩陶) ·흑도기(黑陶期)와 은(殷)나라의 유물이 수없이 발견되었고 그 밖에 역대 왕조의 사적도 무수히 남아 있다.

황허강은 흘러내리는 토사에 의해서 화베이평야의 대부분을 형성한 만큼, ‘물 1말에 진흙 6되’라고 할 정도로 유수(流水) 중에 포함된 진흙의 양이 많아서 1년에 13억 8000만 t의 진흙이 하류로 운반되고 있어 토사 함유량으로는 세계 제일이다.

진흙이 많기 때문에 하구의 해안선이 3년 동안 10km나 전진하고 있으며, 하상(河床)의 상승 또한 빨라 천정천(天井川)이 되어 난류(亂流)하였다. 이따금 제방을 파괴하여 북쪽으로 하이허강[海河]에서 남쪽으로 화이허강(淮河)까지의 넓은 평야 위를 흐르면서 때때로 다른 하천의 유로를 빼앗아 유로를 바꾸며 흘렀다. 따라서 과거 3,000년 동안 범람과 제방의 파괴는 1,500회 이상, 하도(河道)의 변천은 26회에 이르고 특히 큰 하도 변화도 9회나 되며 그 피해도 막대하였다.

1938년 중일전쟁 당시 일본군의 추격을 저지하기 위해 국민정부군이 허난성(河南省) 화위안커우(花園口:鄭州市 부근)의 제방을 파괴했을 때에는 피해자 1250만 명, 사망자 9만 명에 달하였다.

유역은 반건조지역에 속하는데, 집중호우형으로 비가 내려 수해가 극심한 반면, 연강수량은 적어 한발의 피해도 크다. 일찍이 십년구한(十年九旱:10년 중 9년은 가물다)이라고 할 정도로 물과 가뭄의 피해가 모두 격심하였다. 1955년 중국정부는 ‘황허강의 수해를 근절하고 황허강의 수리를 개발하는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국영공사로 황허강 중류부에 계단상의 댐을 건설하였다.

그리고 진흙의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는 황토고원지대의 수토보유(수토 유실 방지) 공사를 확대 실시하여 황허강의 물을 맑게 하고 홍수를 없애는 동시에 발전(發電)·관개(灌漑)·주운(舟運)에 이용하는 대사업에 착수하였다. 이는 제1기 공사 완성까지 50년 이상을 필요로 하는 대공사이다.

그 결과, 황허강의 홍수조절 기능은 강화되고, 관개 효과도 높아지고 있다. 하구부에는 광대한 국영농장과 공장이 건설되어 있다. 그러나 황허강의 유량을 모두 사용하더라도 화베이 지방의 관개에 필요한 수량(水量)에는 미치지 않으므로 양쯔강 이남 하천의 물을 북으로 공급하는 남수북조(南水北調)계획도 추진되고 있다.[7]

지도

동영상

각주

  1. 우란차부시〉, 《위키백과》
  2. 우란차부시〉, 《나무위키》
  3. 내몽골 자치구〉, 《위키백과》
  4. 내몽골 자치구〉, 《나무위키》
  5. 두산백과: 우란차부〉, 《네이버 지식백과》
  6. 중국행정구획총람: 우란차부시〉, 《네이버 지식백과》
  7. 두산백과: 황허〉,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동아시아 같이 보기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우란차부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