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징먼시

위키원
Liqingli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0월 24일 (목) 15:34 판 (새 문서: {{동아시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중국 위치''']] 썸네일|300픽셀|'''[[후베이성 위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징먼시(중국어: 荆门市 jīng mén shì)는 중국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징먼시의 면적은 12,404㎢이며 인구는 2,596,927명(2020년)이다. 징먼은 샹양에서 남쪽으로 90km, 이창에서 동북으로 60km, 우한에서 서북쪽으로 200km 떨어져 있고 그 지명은 형주로 가는 관문이라는 뜻으로 지어졌다. 징먼이라는 이름은 이곳이 고대에 "징저우(荊州)의 관문(门)" 역할을 하던 데에서 유래하였다.

시 인민 정부는 둥바오구(东宝区, 동보구)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둥바오구(东宝区, 동보구), 둬다오구(掇刀区, 철도구)의 2개 시할구(市辖区)와 중샹시(钟祥市, 종상시)의 1개 현급시, 사양현(沙洋县), 징산현(京山县, 경산현)의 2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대부터 샹양시징저우시를 잇는 교통의 요지로서 번영하였고 남송 대에는 주희의 라이벌이던 유학자 육상산이 룽취안 서원(龙泉书院)을 지어 강의하기도 하였다.

서원은 현재도 남아 있어 징먼을 대표하는 관광지이며 그외에 매년 국화 박람회가 열린다. 한편, 한수이와 장강 사이의 저지대에 입지한 징먼은 아직도 홍수의 위협에서 자유롭지 않아 장마철마다 대피 훈련을 벌인다.

이 지역에 속한 둬다오구(掇刀区)는 과거 장판파 전투가 있었던 장판파였다.

남송(南宋) 시대에는 육상산(陸象山)이 징먼군의 장관으로 부임하여 크게 치적을 쌓았다고 전해지는데 그가 학문을 가르쳤던 룽취안서원(龍泉書院)의 유적이 남아 있다. 교육기관에 중·소학교 400개가 있다. 문화재에 샹산(象山), 퀘싱각(魁星閣), 황세총(黃歇塚), 둥산보탑(東山寶塔), 룽취안서원(龍泉書院) 등이 있다.[3][4]

자연환경[편집]

징먼시는 아열대 몬순 기후에 속한다. 연평균 기온은 16.7℃, 연평균 강수량은 961.8mm이다. 징먼시는 지역에 따라 기온과 강수량이 큰 차이를 보이며, 북부에서 남부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기온이 점차 상승하고 강수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강수는 주로 5월부터 9월 사이에 집중되며, 이 기간 동안 연평균 강수량의 60%에서 70%가 발생한다. 주요 장마철은 6월에서 8월 사이로, 이때 연평균 강수량의 40%에서 50%를 차지한다. 또한, 강수량은 몬순 순환에 따라 연도별 및 연중 변동이 크다.

2023년 징먼시의 평균 기온은 17.7℃로, 역사상 가장 높은 기록을 세웠으며, 연평균 강수량은 825.8mm로 평년보다 14.1% 적었다. 특히 여름철 강수량은 33.3% 줄어들었다. 한 해 동안 가장 자주 불었던 바람 방향은 북서풍(NNW), 북풍(N), 서북풍(NW)이었다. 연초에는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고 강수량이 뚜렷하게 적었다. 봄철에는 두 번의 꽃샘추위와 다섯 번의 강한 대류 현상이 발생했고, 여름철에는 6월 16일에 장마가 시작되어 7월 10일에 종료되었으며, 장마 기간은 22일 동안 지속되었다. 장마의 강도는 약했으나 지역적으로 강수 강도가 높고 극단적인 현상이 나타났다. 장마가 끝난 뒤에는 무더운 날씨가 이어졌고, 가을철에는 폭우와 긴 장마가 잦아 대부분의 지역에서 강수량이 많았다. 겨울에는 안개, 스모그, 한파, 냉해가 발생하였다.

징먼시의 동북부에 위치한 종샹시(钟祥市)와 징산현(京山县)은 대부분 다홍산(大洪山) 남쪽 기슭에 있으며, 지질적으로는 습곡 단층 산지로, 고생대와 중생대의 탄산염암, 쇄설암, 원생대 변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북부의 둥바오구(东宝区) 지역은 주로 페름기와 트라이아스기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남부의 한강(汉江) 양안에 위치한 종샹시와 징산현 일부, 사양현(沙洋县) 대부분 지역은 신생대 침강 분지에 속한다.

징먼시는 양쯔 지층구에 속하며, 지층의 분포는 구조에 의해 통제되며 뚜렷한 규칙성을 보인다. 동부는 백악기와 제3기의 붉은 쇄설암층이 대규모로 분포하고, 서부에는 시루리안계의 쇄설암층이 퇴적되어 있다. 서북부에는 캄브리아기와 트라이아스기의 탄산염암이 분포하며, 남부 및 하곡 지역에는 제4기 느슨한 퇴적물이 쌓여 있다. 지층 발달이 매우 잘 이루어져 있으며, 선캄브리아기부터 신생대까지의 지층이 모두 노출되어 있다.

징먼시는 징산(荆山) 잔맥과 다홍산 남쪽 기슭에 위치하며, 남부는 장한 평원에 속한다. 지형은 산지, 구릉, 언덕지대, 평원 및 호수지대로 나뉘며, 구릉과 언덕지대가 주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지형은 "삼산이수오분전(三山两水五分田)"이라 불리며, 동서북 삼면이 높고 중남부는 낮아 남쪽으로 개방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최고 지점은 종샹시 커뎬전(客店镇)의 자이궁옌(斋公岩)으로, 해발 1050m에 이른다. 서북부의 둥바오구 지역은 바산(大巴山)이 보캉(保康)과 난장(南漳)으로 연장되며 형성된 징산 잔맥으로, 해발이 1000m 이하로 낮아진다.

중남부 한강 양안의 종샹시, 징산현, 사양현의 대부분 지역은 신생대 침강 분지에 속하며, 강과 호수의 퇴적으로 인해 평원 호수 지대가 형성되었다. 가장 낮은 지점은 사양현에 위치한 창후(长湖) 호수 바닥과 징산현 융룽전(永隆镇)의 판자완허(潘家湾河) 강바닥으로, 해발 27m에 불과하다. 이 지역은 지세가 평탄하고, 토양이 비옥하며, 호수가 많고 하천이 그물처럼 얽혀 있어 징먼시의 주요 곡물 및 면화 생산지로 자리잡고 있다.

징먼시(荆门市)의 대표적인 토양은 황갈토(黄棕壤)로, 수직적인 토양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시 전체 토양은 크게 논토(水稻土), 황갈토, 자색토(紫色土), 석회토(石灰土), 조토(潮土) 등 다섯 가지로 분류되며, 대부분은 제4기 점토 모질물에서 유래했다. 이 중 논토, 황갈토, 자색토, 석회토 네 가지가 시 전체 토지 면적의 96% 이상을 차지한다. 징먼 북부의 저산지대는 석회암과 황갈토가 발달해 있으며,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산은 용식 현상으로 인해 산 정상에 석회암 골과 돌출부가 많고 일부 지역에는 깊은 석회암 동굴이 형성되어 있다. 산지의 토양은 주로 바위 틈새에 분포하며, 토양의 깊이는 일정하지 않고, 수원이 부족한 편이다. 사암과 셰일이 주를 이루는 저산지대는 수분과 토양을 잘 보존하고, 용탈 작용이 강해 황갈토로 발달했다. 징먼 북부의 구릉지대는 약 534㎢에 이르며, 전체 면적의 32%를 차지한다. 이 지역은 주로 자색토와 사암, 셰일로 이루어져 있다. 징먼 남부의 고지대는 황갈토 외에 논으로 개간된 지역이 많아, 인공적으로 조성된 논토가 형성되었다. 징먼 동남부 평원과 호수 지역은 광범위한 조토 지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산림 토양은 황갈토, 자색토, 석회토가 주를 이루며 토양의 종류가 다양하고, 품질이 좋으며 등급도 높은 특징을 보인다.

징먼시는 장한 평원에서 광물 자원이 풍부하게 분포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의 비금속 광물은 종류가 다양하고 매장량이 풍부하며,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시 전역에서 금속, 비금속, 에너지, 수기 자원 등 50여 종의 광물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후베이성에서 발견된 총 137종 광물 중 약 36.5%에 해당한다. 현재 개발 및 이용 중인 주요 광물 자원으로는 인회석, 시멘트용 석회암, 규석, 백운암, 중정석, 건축 자재용 석회암 등 16종이 있다.

징먼시의 지열 자원도 풍부하다. 현재 네 곳의 지열 자원이 확인되었으며, 징먼 중심 도시 지역에 한 곳, 징산현(京山) 한 곳, 종샹시(钟祥) 두 곳에서 발견되었다. 이 지역의 지열수 온도는 26~60℃에 이르며, 하루 최대 8000톤 이상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곳도 있다. 예를 들어 징먼 중심지의 스리파이(十里牌) 지열수는 수온이 52℃에 이르며, 하루 3200톤 이상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징먼시의 광물 자원에 대한 종합 계획(2021~2025년)에 따르면, 주요 자원으로는 석탄 9332.2만 톤, 인광석 57765.8만 톤, 석고 141380.1만 톤, 시멘트용 석회암 141096.7만 톤, 건축 자재용 석회암 36455.2만㎥ 등이 있다.

시 전역에는 약 300종 이상의 육상 야생 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 중 포유류 20종, 파충류 20종, 양서류 20종, 조류 200종 이상이 포함된다. 보호 등급에 따라 국가 1급 보호 동물로는 중화구사오리(中华秋沙鸭) 등 10종이 있으며, 국가 2급 보호 동물로는 홍복금계(红腹锦鸡) 등 60종이 있다. 주요 서식지는 저산지대, 구릉지대, 습지 지역이다. 2023년 기준 징먼시의 산림 자원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시의 산림 면적은 644.2만 묘에 이르며, 그 중 숲 면적은 545.43만 묘로 산림율은 29.47%에 달한다. 산림 총적재량은 2718.63만㎥이다. 또한, 시에는 186과 927속 2323종의 관다발 식물이 자생하며, 이 중에는 29과 53종의 희귀 및 멸종 위기 보호 식물이 포함되어 있다.[5]

역사[편집]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징먼시 관내에 취자링(屈家岭), 징자청(荆家城), 마자환(马家垸) 등의 신석기 유적이 남아있다.

상나라 때 이 지역에 권(权)이라는 나라가 세워졌고, 주나라 때 권나라는 주나라의 제후국으로 편입된다.

주 무왕 때 무왕의 동생인 희갑(姬甲)은 이 권나라 근처에 나(那)를 건국하였고, 역시 주나라의 제후국으로 활동하였다. 이 권나라와 나나라는 모두 초무왕에게 멸망한다.

한동안 역사에 등장하지 않다가 한나라가 여기에 당양현(当阳县)을 설치하였는데 장판파와 장비의 장판교가 있었던 곳이다. 삼국시대에는 위와 오의 경계선 위에 있었고 이후로는 주로 남조의 영역이었다가 수나라의 통일 이후 당나라 때 형문현(荆门县)으로 개칭시키면서 오늘날의 징먼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된다.

이 징먼현은 1983년까지 개칭되지 않고 계속 사용되다가 1983년에 징먼시가 설치되면서 사라진다.

산업[편집]

특산물은 귀구(鬼臼)·황정(黃精) 등의 약초류이다. 한수이강에는 사양대교(沙洋大橋)가 있으며 수운도 발달되었다. 부근에 벼농사, 밀, 목화, 참깨 등의 농산물이 산출되며, 비행기 제작, 제유, 화학, 전력, 전자, 건축자재, 기계, 방직 등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교통[편집]

자오류철도(焦柳鐵道), 싱사철도(荊沙鐵道), 207번 국도가 있으며, 자오지철도(焦枝鐵道) 유역이다. 이 지대는 한수이강(漢水)과 양쯔강(揚子江) 사이에 낀 저지대로서, 옛날에는 운몽택(雲蒙澤)의 북서부를 차지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현재도 제방으로 둘러싸인 논이 많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징먼시〉, 《위키백과》
  2. 징먼시〉,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징먼시〉,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징먼〉, 《네이버 지식백과》
  5. 荆门市〉,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징먼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