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삼서이보구

위키원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1월 21일 (목) 10:48 판 (지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홍콩 위치

삼서이보구(중국어: 深水埗区 shēn shuǐ bù qū)는 중국 홍콩 구룡반도 서부에 위치해 있는 구다. [1][2][3][4]

개요[편집]

삼서이보구의 면적은 9.48km²이며 인구는 405,869명(2016)이다. 가우룽의 삼서이보(深水埗, Sham Shui Po), 청사완(長沙灣, Cheung Sha Wan), 라이지곡(荔枝角, Lai Chi Kok), 스톤커터스아일랜드(옹쉰자우)(昂船洲, Stonecutters Island)를 포함한다. 홍콩에서 가장 가난한 구이고 인구 중 노동자의 비율이 높으며 주민의 수입이 가장 낮고 교육 수준도 4번째로 낮다.

삼서이보구는 일찍이 1950년대와 1960년대부터 인구가 밀집한 구였다. 18개 구 중에서 세대 수입이 가장 낮고 65세 이상의 노년층 비율이 가장 높다. 새로운 이민자의 비율 또한 매우 높다. 라이지곡의 메이푸 신촌은 1966년에 세워진 홍콩 최초의 대형 민간 주택단지이다. 가우룽싱구와 달리 삼서이보구는 대부분 주거지구이다. 구룡 반도에서 민주파가 강세를 보이는 지역구이다.

삼서이보구는 초기 시절의 항구와 시장에서 공업과 상업 중심지, 그리고 오늘날의 주거 및 상업 지역으로 변모하며 홍콩의 역사를 고스란히 품은 곳이다. 이곳은 과거와 현대가 어우러진 독특한 공간으로, 홍콩의 다원적이고 활기찬 사회를 상징하는 지역이다. 지하철, 철도, 고속도로가 발달해 있어 홍콩 전역을 편리하게 연결한다. [5][6]

자연환경[편집]

삼서이보구는 지리적으로 북쪽으로는 사틴 사자산 교야공원과 맞닿아 있고, 동쪽은 MTR 동철선이 경계를 이룬다. 남쪽은 계한가(界限街)에, 서쪽은 해안에 접해 있으며 앙선주(昂船洲)를 포함한다. 이곳은 구룡 지역의 초기 주요 공업 및 교통 중심지로, 홍콩의 도시 변화와 발전을 증명하는 지역이다.

홍콩은 중국 남부의 온대 하우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 Cwa) 특성을 지니고 있다. 홍콩의 여름은 따뜻한 남서풍과 가끔씩 오는 소나기와 뇌우 등의 영향으로 대체로 덥고 습하다. 태풍은 여름에 가장 자주 발생하며 때때로 홍수와 산사태를 일으킨다. 겨울은 온화하며 초반에는 화창하나 대체로 2월부터 흐려지며, 가끔 발생되는 한랭전선은 북쪽에서 강하고 차가운 바람을 가져온다.

홍콩에서 가장 온화한 계절은 봄과 가을으로, 봄 기간은 날씨가 변덕스러우며, 가을은 일반적으로 맑고 건조하다. 강설은 극히 드물며, 대개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발생한다. 홍콩은 인접한 중국 대륙의 공업 지대에서 계절적인 대기 오염의 영향으로, 겨울에 굉장히 높은 수준의 미세먼지를 기록한다.

최한월인 1월 평균기온은 약 16℃, 평균최고기온 19℃, 평균최저기온 14℃ 정도로 한국 수도권의 10월 초 날씨와 비슷하며, 최난월인 7월 평균기온은 약 29℃, 평균최고기온 32℃, 평균최저기온 27℃ 정도로 일본 오사카와 비슷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2,400㎜인데 5월부터 9월까지 집중되는 편이다.

역대 최고기온만 놓고 보자면 북쪽에 있는 중국 대륙(본토)와 한국, 일본의 도시보다 평균 대략 5℃ 가량 더 낮다. 즉 여름철 평균기온 자체는 한국보다 높지만 연중 최고기온이 35℃를 넘는 해는 생각보다 드문 편이었으나 요즘 지구온난화 때문에 많이 더워지는 추세이다. 단 습도가 매우 높아 체감온도는 대구광역시 이상이다. 애초 7월 평균기온 자체가 30℃에 육박한다. 공식 역대 최고기온이 36.6℃다. 일단 해안도시여서 바다가 열 창고 역할을 해주기도 하고, 대외적인 인식과 달리 구름이 많아 흐린 날이 많고 연간 일조량이 적기 때문이다. 이 두 요인이 겹쳐 동절기에도 미미한 일교차가 하절기에는 1°C에도 못 미치는 기염을 토한다고도 하는데 그것보단 크다. 덕분에 이슬점도 밤낮에 따른 변동이 없고, 수증기는 바다에서 꾸준히 공급되므로 습도의 변동 역시 미미하다. 따라서, 5~9월 홍콩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평균 기온이 섭씨 28℃, 습도 80% 이상을 유지한다.

종합해보면 4-11월의 길고 무더운 여름과 12-3월의 짧고 서늘한 겨울의 두 계절로 나눠진다고 볼 수 있다. 5-10월 사이 다섯 달 정도는 태풍이 흔히 내습하며 그 덕에 홍콩의 해안지대는 여기저기 태풍 대피소인 타이푼 셸터(Typhoon Shelter)가 조성되어 있다. 홍콩 국제공항도 지하에 태풍 대피소를 둘 정도로 태풍이 흔하다. 한국에서 부산이나 여수, 제주도 등 남부 지방에 사는 사람들이 여름에서 초가을 사이 태풍에 자주 시달리는 것과 똑같다.[33] 10월 태풍은 한국에선 진짜 드물게 남부 지방으로 오지만 홍콩에선 11월 초까진 태풍에 대해 마음을 놓지 못하며 가끔 2017년 하토 및 2018년 망쿳 등 슈퍼태풍이 관통해 피해가 커지기도 한다.

태풍이 자주 내습해서 홍콩의 태풍 경보 시스템은 일본과 함께 아주 잘 되어 있는 편이다. 5단계로 나누어져 1호는 유의, 3호는 경계, 8호는 위험, 9호와 10호는 초위험경보이다. 8호경보가 발령되면 식당 등 상점도 문을 닫으며 직장은 쉬거나 재택근무, 학교는 휴교로 돌린다. 홍콩 버스, 홍콩 트램 등 지상 교통수단이 경보 발령 2시간후에 운영을 종료하는 대신 MTR는 계속 운행한다. 홍콩 국제공항은 항공기 이착륙이 무조건 금지되지 않지만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대부분 태풍의 위력이 8호경보의 수준에서 그치지만 풍속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면 9호경보가 발령된다. 이때 MTR지상구간에서 운행하고 있는 열차들도 다음 역에 도착하는 즉시 운행을 중단하고 경우에 따라 발이 묶인 승객들의 휴식공간으로 역대합실이나 열차를 개방한다. 10호경보는 보기 드문 편이었으나 지구온난화로 인해 점점 잦아지고 있다. 홍콩 반환 이후에 총 5번을 발령했는데 각각 1999년 태풍 요크, 2012년 태풍 빈센트, 2017년 태풍 하토, 2018년 태풍 망쿳, 2023년 태풍 사올라이다.

역사[편집]

홍콩이 영국에 할양되기 전인 1830년대 처음 홍콩에 온 영국인은 홍콩이 척박한 땅이었다고 했지만, 이미 홍콩에는 중국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 사당, 사원. 밭, 집이 있었고 사업을 하거나 그 외 일상적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커뮤니티를 이루어 거주하고 있었다. 원나라 시기에 홍콩은 농부, 어부, 해적, 송나라의 귀족 등 다양한 사람들이 거주하는 곳이었고, 명나라 때는 광동과 푸젠(福建) 사람들이 구룡으로 이주하기도 했다.

1839년 시작된 제1차 중영전쟁이 영국의 승리로 끝나면서 1842년 난징조약으로 인해 청나라는 홍콩섬을 영국에 할양했다. 중영전쟁은 '아편전쟁'이라고도 불리는데, 영국의 아편 밀무역으로 청에 급속히 확산된 아편 중독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청나라는 아편 금지령을 내렸지만, 영국이 무역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아편 밀무역을 시도하면서 은의 대량 유출과 아편 중독 현상이 심각해졌다. 청나라가 아편 밀무역을 제지하면서 이에 반발한 영국이 전쟁을 일으켰다.

이후 1857년 수출 부진을 빌미로 영국이 제2차 중영전쟁을 일으켰다. 난징조약으로 청나라와의 교역을 통해 이익을 얻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예상보다 성과가 부진하자 다시 무력을 쓴 것이다. 청나라가 또다시 패배하면서 1860년에는 1차 베이징조약에 따라 구룡이 영국에 할양되었다. 1898년에는 영국이 2차 베이징조약을 통해 99년 동안 신계 지역을 조차하였다. 50여 년에 걸쳐 홍콩섬, 구룡, 신계 등 지금의 홍콩을 구성하는 세 지역이 모두 영국의 관할권이 된 것이다. 1941년 일본이 아시아∙태평양 전쟁을 계기로 홍콩을 점령하면서 1945년까지 약 3년 8개월 동안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던 기간을 제외하면 홍콩은 156년 이상 영국의 식민지였다.

영국의 식민지배 아래에서 홍콩은 항구도시로서 경제적으로 번영했고 상업과 금융의 중심지가 되었다. 경제적 번성은 정치적 무관심을 낳기도 했지만, 영국의 식민지배에 저항하는 움직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1967년 5월부터 12월까지 발생한 시위, 파업, 암살, 폭파 등을 통칭하는 67폭동은 영국 식민정부에 반대하는 대규모 반정부 폭동이었다. 처음에는 노동쟁의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격렬한 양상으로 진행되면서 식민정부 비판까지 나아갔다. 50여 명 이상이 사망한 대규모 폭동은 홍콩의 공산주의자들이 연루되었지만, 대중의 지지를 얻지는 못한 그들만의 폭동이었다. 홍콩의 학생단체는 폭력의 중단을 호소하고, 식민정부에게 지원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1960년대 홍콩은 중국의 대약진운동으로 인해 발생한 대기근으로 피난민이 몰려들어 인구가 급증하면서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다. 거주공간의 부족, 열악한 노동환경, 극심한 빈부격차 등으로 인해 홍콩은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었다.

1960년대 이후 홍콩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며 삼서이보구는 주요 공업 기지로 성장했다. 이에 따라 많은 인구가 유입되며 1990년대까지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구역으로 자리 잡았다.[7]

산업[편집]

삼서이보구는 한때 섬유, 의류, 금속 가공 등 다양한 산업의 중심지였으나, 산업 활동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현재는 상당 부분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류 도매, 전자 시장, 그리고 주거 지역으로 유명하며, 독특한 상업적 특색을 갖추고 있다. 유명한 압료가(鴨寮街, 전자 거리), 황금 컴퓨터 상가, 고등 컴퓨터 센터 등이 이 지역에 위치하며, 전자 제품 구매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구룡 서부 센터는 주요 쇼핑몰로, 쇼핑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공간이다. 이곳에는 홍콩 최초의 실내 롤러코스터도 설치되어 있다.

교통[편집]

  • 홍콩 지하철 쿤통선: 섹깁메이역
  • 홍콩 지하철 췬완선: 삼수이포역, 청사완역, 라이치콕역, 메이푸역
  • 홍콩 지하철 뚱충선: 남청역
  • 홍콩 지하철 서철선: 메이푸역, 남청역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삼서이보구〉, 《위키백과》
  2. 삼수이포구〉, 《나무위키》
  3. 홍콩〉, 《위키백과》
  4. 홍콩〉, 《나무위키》
  5. 중국행정구획총람: 심수보구〉, 《네이버 지식백과》
  6. 深水埗区〉, 《百度百科》
  7. 두산백과: 홍콩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삼서이보구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