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치식 상환
거치식 상환은 거치기간 동안 이자만 납부하고 거치기간이 끝나면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요[편집]
거치식 상환이란 일정 기간 동안 원금은 갚지 않고, 이자비용만 내는 거치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거치기간이 종료한 뒤, 원금 전액을 갚는 경우라면 만기일시상환과 완전히 동일하게 되므로, 이 경우를 가리키는 경우는 없다. 일반적으로 거치기간이 끝나고 나면 '원금균등분할상환' 또는 '원리금균등상환'으로 상환하게 된다. 즉, 이 두 상환 방식에 더해서 같이 사용될 수 있다. 거치식 상환의 장점은 이자를 적게 내는데 집중한다면 최선의 방법이며 단점은 거치 기간 동안에 이자만 낼 때는 부담이 별로 없지만, 거치 기간이 끝나서 원금과 이자를 같이 내야 할 시기가 그 부담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그리고 거치 기간 동안에 이자는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이자의 총합은 거치 기간 만큼 증가한다.[1]
여기서 거치는 '그대로 둔다'는 뜻이며, 기댈 거(据), 둘 치(置)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거치대(据置臺)라는 말의 거치가 바로 이 거치이다. 이런 거치가 경제용어로 사용되면 '일정한 기간동안 돈을 안 주고 꿀꺽한다.'라는 뜻이 된다. 예를 들어 거치식 예금이라는 게 있다고 하며 거치식 예금을 풀어쓰면 '예금은 예금인데 일정 기간동안 돈을 안 주고 꿀꺽하는 예금'이 된다. 쉽게 말해서 우리가 1년짜리 거치식 예금에 가입하면 1년 동안 돈을 찾을 수가 없게 되며 은행이 돈을 안 뱉어 내는 경우이다. 그 대신 언제든지 찾을 수 있는 예금보다 좀 짭짭한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진짜로 돈을 못 찾는 것은 아니며 이자를 포기하면 언제든지 찾을 수 있으니 너무 걱정은 안 해도 된다. 또한, 전기용어로 기기를 사용하는 장소의 기초 위에 고정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을 거치라 한다. 그리고 전자용어로는 일반적으로 비동기 사상에서 사상(事象)이 발생할 때마다 컴퓨터 CPU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처리에 시간적인 지연이 생기는 것(혹은 지연을 의도적으로 갖게 하는 것).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프로그램 구분으로의 거치 엔트리(거치 이그짓), 발생 사상의 거치 포스팅, 거치 재개시, 거치 보수, 거치 어드레스 지정이 포함된다.[2][3][4]
거치식 상환 방식[편집]
거치식 상환 방식은 대표적인 대출 상환 방식으로써 원금균등분할상환방식,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 등 다양한 세부적인 대출원금과 대출이자 상환 방식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거치식 상환 뜻과 개념을 비롯해 거치식 상환 방식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통해 거치식 상환을 이해하면 된다. 거치식 상환이란 일정기간 동안 대출이자만을 납부하다가 이자 납부 기간이 끝나면 대출원금과 대출이자를 다양한 대출상환방식에 의해 대출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대출상환 방식이다.
거치식 상환의 뜻에서 이야기한 대출이자만 납부하는 일정 기간이 바로 거치기간이라고 한다. 또 거치기간에서 거치란 대출원금을 상환하지 않고 일정 기간 동안 미뤄놓는 것을 뜻한다. 거치기간이란 대출원금을 납부하지 않고 미뤄놓는 기간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거치식 상환은 세부적으로 대출원금과 이자를 어떻게 상환하는지 그 세부적인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가진다. 거치식 상환 방식과 원금균등분할상환 방식과 결합하게 되면 거치식 원금균등분할상환 방식이 되며 거치식 상환 방식과 원리금균등분할상환 방식과 결합하게 되면 거치식 원리금균등분할상환 방식이 된다. 거치식 원금균등분할상환 방식은 줄여서 거치식 원금균등상환 방식이라 부르기도 한다. 또 거치식 원리금균등분할상환 방식은 줄여서 거치식 원리금균등상환방식이라 한다.
거치식 원금균등상환 방식 또는 거치식 원리금균등상환 방식 모두 거치식 상환 방식을 대출상환 방식의 근간으로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거치식 상환 방식은 거치기간 동안 대출원금을 상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만기일시상환 방식처럼 대출원금 상환 부담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만기일시상환 방식의 경우 대출만기일에 대출원금과 대출이자 일부를 모두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대출상환 시 비교적 부담이 있다. 하지만 거치식 상환 방식의 경우 대출원금 상환 역시 원금균등상환 방식 또는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에 의해 분할 상환할 수 있게 되므로 대출원금 상환 시 부담이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거치식 상환방식을 근간으로 하지 않은 비거치식 상환 방식을 근간으로 한 비거치식 원금균등상환 방식이나 비거치식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에 비해 다소 높은 대출이자가 발생하게 된다. 대출이자율과 대출원금에 따라 거치식 상환 방식은 비거치식 상환 방식 보다 대출이자 계산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거치식 상환 방식과 원금균등분할상환 방식을 결합한 거치식 원금균등분할상환 방식의 대출 계산 예제를 살펴보면 대출금 1000만 원에 거치기간 2년을 포함한 5년 동안 연 5% 이자를 내는 조건의 대출이 있다고 가정한다. 1000만 원 대출 시 총 이자 대출이자는 1,770,833원이며 거치식 상환을 근간으로 한 거치식 원금균등분할상환 방식이기 때문에 거치기간 월 납부금액과 상환기간 동안 월 납부금액이 다르다.
거치기간 월 납부금액은 41,667원이며 상환기간 중 첫 번째 원리금 상환 금액은 319,444원이다. 대출만기 시점의 납부금액은 278,935원이며 상환기간 중 첫 번째 원리금 상환 금액이 대출만기 시점의 납부금액이 크다. 그 이유는 거치기간 후 원금과 이자 납부 기간동안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대출원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대출이자 역시 줄어들기 때문이다. 물론 거치기간 후 대출원금 및 대출이자 납부기간에 납부하는 대출원금은 원금균등분할상환 방식에 따라 동일하다. 대출원금은 동일하게 분할 납부하지만 대출이자는 대출원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점점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5]
거치식 상환 방식의 장단점[편집]
거치식 상환 방식은 거치기간 동안 이자만 납부하고 거치기간이 끝나면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거치식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이고 6개월 거치 24개월 납부 총 30개월이라고 보며 6개월 동안은 이자만 납부한다. 7개월 차부터 30개월 차까지 원리금균등상환방식이 적용되어서 원금과 이자를 갚아 나가게 되는 것이다.
장점[편집]
소득이 적거나 원리금 균등상환이 곤란할 때 편리하며 주택담보대출처럼 대출 금액이 큰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즉, 거치식상환방식의 장점은 소득이 적을때나 지금은 여유가 없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자금이 풀린다던지 할때 유용하다. 또 주택담보대출처럼 대출금액이 클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단점[편집]
이자가 높으며 거치기간 동안은 우너금이 그대로 있어 상환 부담이 있다. 즉, 단점은 역시 거치기간이 포함되기 때문에 이자가 높다. 또 거치기간 동안 원금은 그대로 있기 때문에 상환에 대한 부담도 본인의 몫인 것으로 어떻게 쓰냐에 따라 다른 것이라고 생각된다. 거치식상환방식은 주로 결합되어 쓰이는데 거치식 원금균등분할상환, 거치식 원리금균등분할상환처럼 상환하기 전 거치기간을 줌으로써 이용하는 사람은 거치기간 동안 여유를 준다. 대신 이자는 그만큼 높다는건 잊지 마셔야할 항목이다.[6]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거치식 상환〉, 《나무위키》
- 〈거치란?〉, 《경제신문읽는법》
- 〈거치〉, 《전기용어사전》
- 〈거치〉, 《전자용어사전》
- 해피쿠스, 〈거치식상환 방식 뜻 개념〉, 《이코노와이드》
- G.yong, 〈거치식상환 방식 이란 뭘까?〉, G.yong, 2017-04-28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