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티베트고원

위키원
(청장 고원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티베트고원
티베트고원 지리

티베트고원 또는 청장고원(티베트어: བོད་ས་མཐོ།, 중국어: 青藏高原, qīng cáng gāo yuán, 영어: Tibetan Plateau 또는 Qing-Zang Plateau)은 동아시아의 고원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자치구와 칭하이성, 인도 카슈미르의 라다크 지역에 걸쳐 있다. 남북으로 1,000km, 동서로 2,500km 가량되며 평균 고도는 4,500m이다. 세계의 지붕이라고도 불리며 넓이는 250만 km²로 세계에서 가장 높고 가장 큰 고원이다.[1]

개요[편집]

티베트고원은 남쪽은 히말라야산맥, 서쪽은 카라코람산맥, 북쪽은 쿤룬산맥과 치롄산맥, 동쪽은 헝돤산맥 등 높은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티(Ti)는 '높은', 베트(bet)는 보호티아(Bohotia)가 와전된 것으로 '고지의 보호티아족'에서 지명이 유래된다. 시짱 고원이라고도 한다. 고원 지대이므로 강수량이 적어 툰드라 기후가 나타난다. 동쪽과 남쪽의 일부 지역에 삼림이 있을 뿐이며, 곳곳에 많은 빙식호가 있는 지형적 특색을 보인다. 중국에서는 칭하이성(청해성)과 티베트 자치구(시짱 자치구, 서장 티베트자치구) 사이에 있다 하여 칭짱고원(青藏高原, 청장 고원)으로 부른다. 넓은 의미에서 티베트 고원은 근처의 파미르 고원까지 포함한다. 총 면적은 대한민국의 약 27배로 중국 측의 티베트 고원 지역이 대한민국의 24배 정도 되며, 나머지는 타 국가에 위치한다. 중국, 인도, 파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네팔, 부탄의 7개국에 걸쳐 있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고원이다. 고원의 남부는 에베레스트 산, 서부는 K2봉, 북부는 무즈타그아타 등 쿤룬산맥의 고봉으로 둘러싸였다. 동부는 황하와 양쯔강 등이 빠져나가는 곳으로 비교적 다른 방향에 비해 고도가 낮다. [2]

티베트고원은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대략 5,500만 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이 고원은 산맥과 소금 호수가 분포한 고원의 건조, 스텝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한 해 평균 강수량은 100mm에서 300mm로, 강수량의 대부분은 우박을 이룬다. 유목민들은 고원의 남부 및 동부 경계의 한 해 6개월가량 서리가 내리는 목초지에서 유목 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고원의 북부과 북서부에 위치한 외딴 커커시리 지역에 이르기까지 북서부로 갈수록, 고원의 고도가 높아지며, 기온이 떨어지며, 토질이 척박해짐을 알 수 있다. 이 지역 평균 고도는 5,000m(16,500 ft)가 넘으며, 대기 속 산소량은 해수면 산소량의 60%에 맞먹으며, 한 해 평균 영하 4'C의 기온을 나타내며, 최저 기온은 영하 40'C까지 떨어진다. 커커시리는 이러한 극한의 환경으로 인하여, 전 아시아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희박하며 전 세계적으로 남극과 북쪽의 그린란드 다음인 세 번째로 인구 밀도가 희박한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티베트고원의 북서부 지역은 타림 분지와 경계를 이루는 쿤룬산맥에, 북동쪽은 고비 사막과 경계를 이루는 치롄산맥과 맞닿아, 고원의 남부 지역은 히말라야 기슭을 통해 뻗어있는 브라마푸트라강 계곡과 인도의 광활한 갠지스 평야로 둘러싸여 있다. 한편, 고원의 동부과 남동부 지역은 살윈강, 메콩강을 비롯한 쓰촨 분지 서쪽의 창장 삼림 계곡과 산 상류의 산등성이를 마주하며, 서쪽은 카슈미르 북쪽에 위치한 융단과 같은 카라코람 고개의 능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범위와 지형[편집]

티베트고원은 남북 거리 약 1,000㎞, 동서 거리 약 2,500㎞로, 약 2,500,000㎢에 달하는 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중국 면적의 약 1/4 되는 넓이로, 라싸를 비롯한 티베트자치구의 전체, 칭하이성 전체, 쓰촨성 서부, 쿤룬산맥 이남의 위구르 일부, 간쑤성 서남부 등 중국 여러 성에 걸쳐 있으며, 서쪽으로는 카슈미르의 아크사이친까지 뻗어있다. 윈난성 서북부를 통해 윈구이 고원과 연결된다. 비교적 낮은 위도에 위치한다는 사람들의 인식과 달리 티베트고원은 북위 28~40도 사이의 중위도에 위치한다. 고원의 북부는 무려 평양보다 위도가 높다. 지형은 크게 나누어, 북티베트(藏北, 짱베이) 고원, 히말라야 산지, 남티베트(藏南, 짱난) 골짜기, 동티베트(藏东, 짱둥) 고산 협곡 네 부분으로 나뉜다. 중국에서는 고원 서북부의 가장 높고 혹독한 지대는 따로 창탕 고원이라고 부른다.

티베트고원의 만년설이 녹아 흘러내린 하천은 여러 갈래로 흘러내려가는데, 북티베트 지역에서는 가장 높은 함수호인 남초(གནམ་མཚོ་, 나무춰 納木錯)를 비롯한 셀링초(སེར་གླིང་མཚོ, 써린춰 色林错) 등의 내륙호로 유입된다. 동티베트 지역에서 윈난 성을 거쳐 흐르는 세 강, 누강(살윈 강 상류), 란창강(메콩 강 상류), 진사강(양쯔강 상류)은 2003년 유네스코 중국의 자연유산으로 등록되었다. 남티베트에는 야를룽짱뽀 강(ཡར་ཀླུང་གཙང་པོ།, 야루짱부 강 雅鲁藏布江; 브라마푸트라강의 상류)이 야를룽짱뽀 협곡, 얌독윰초 호수(ཡར་འབྲོག་གཡུ་མཚོ་, 羊卓雍错 양줘융춰) 등을 거쳐 인도로 흘러간다. 서티베트에는 가장 높은 담수호인 마나사로와르 호(혹은 མ་ཕམ་གཡུ་མཚོ། 마팜윰초)가 있다. 이 중에 남초, 얌독윰초, 마나사로와르 호수가 유명하다.[3]

지질학[편집]

티베트고원은 신생대 초기(약 5500만 년 전)에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티베트고원이 형성되면서 상당한 기후 패턴의 변화가 있었으며, 아시아 열대 몬순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6월에서 10월에 걸친 인도 몬순 시기에 남쪽으로부터 불어오는 습한 열대 공기는 히말라야산맥에 막혀 비그늘을 만드는데, 이 때문에 인도 북부는 매우 습하게 되는 반면, 티베트고원 지역은 매우 건조하게 된다. 바람은 고원을 지나며 남아있던 습기를 모두 잃어버리며, 더욱 건조하게 되어 북쪽으로 이동하며 타클라마칸 사막이나 고비 사막을 만들게 된다. 세계적으로도 긴 강들이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는데, 장강, 황하, 인더스강, 사틀루즈강, 브라마푸트라강, 메콩강, 이라와디강, 살윈강 등이 포함된다. 이들 강들은 전 세계에서 유실되는 토양의 1/4을 침식하여 수송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빙하가 녹아 칭짱철도도 우려되다. 티베트고원은 몇 번 빙하의 지세와 침전물에 의한 빙하의 전진을 경험했다. 티베트고원은 오래전부터 암염(岩鹽)의 생산지로 유명하다.

문화[편집]

인류 문화에서 이룩한 가장 큰 진보 중 하나는 유목적 목축의 발달이다. 유목민의 적응은 생존을 위한 것으로, 그 지역에 적합하지 않은 곡식 대신에 목초지에서 가축류를 기르면서 이루어졌다. 유목민들은 지금도 티베트고원과 히말라야산맥 등지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들의 삶은 역사적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확산되었던 유목이 여전히 남아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기후[편집]

티베트고원 기후.jpg

온대 고산기후로 해발고도가 높은 곳에서는 툰드라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 앞서 언급한 빙식호가 많다. 북서쪽이 건조하고, 남동쪽으로 갈수록 습윤해진다. 지의류 등 높이에 따른 식생이 자라며, 티베트 모래여우, 우는토끼(새앙토끼), 야크 등의 동물이 서식한다.

기후변화[편집]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티베트 고원의 만년설 또한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지금 추세대로라면 2050년에는 티베트 설원의 2/3가 사라지고, 2100년에는 81%가 사라질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티베트 고원의 툰드라 지역이 점차 고산 온대초원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가축화되지 않은 야생 야크 또한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2016년 12월의 온난했던 한국 겨울 날씨도 이곳에서 날아온 고압대의 영향이라는 말이 있다. 2018년 동아시아 일대를 강타한 폭염도 이 티베트 기단이 북태평양 기단과 함께 열돔 현상을 일으킨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교통[편집]

109번 국도가 티베트 고원을 종단하여 연결하고, 219번 국도와 318번 국도가 티베트 고원의 동서 지역을 연결한다. 이 국도는 전근대 시기 때부터 이용된 도로였으며, 2000년대 들어 대대적인 개량공사를 통해 모두 포장되었다. 의외로 노면 포장 상태가 꽤나 좋은 편이며, 급커브 구간의 안전 시설도 잘 정비되어 있는 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도로는 비포장상태이며, 주요 도로를 제외하고선 지도에 나오지 않는 도로도 많다. 이 때문에 이 지역을 차량으로 여행하는 경우, 현지 사정에 정통한 인물과 함께 가야 한다.

한편, 중국 정부에선 티베트 지역에 대한 영향력 확대 및 인접 국가와의 접촉에 대비하기 위해 티베트 고원에도 한국의 고속도로에 해당하는 고속공로를 건설하고 있다. 109번 국도의 노선과 비슷한 고속공로(G6)를 건설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109번 국도를 확장, 개수하는 것이 아니라 왕복 4차로로 아예 신선을 건설하고 있다. G6 고속공로는 2021년 8월 23일 정식 개통했다. 기존 109번 국도로는 거얼무에서 라싸까지 12시간에서 20시간 이상이 걸렸는데, G6 고속도로로는 동일 구간이 6시간 내외밖에 소요되지 않는다. 특히, 라싸에서 나취까지는 협곡과 고갯길이 많아 통행이 불편했으나, 고속공로는 거대한 교각과 터널로 이 구간을 통과해 교통 편의도 크게 향상됐다. 이와 함께, 동서를 횡단하는 G4-218 고속공로도 2030년대에 완공하여 개통할 예정이다. 관련 홍보자료를 보면 칭짱철도를 건설하며 고원 지역의 거대 토목공사 기술력을 갖췄다고 자신하는 듯하다. 2006년 7월 티베트고원을 칭하이성 시닝시부터 라싸를 잇는 칭짱철도(青藏铁路)가 개통되었다. 쓰촨성 청두에서 티베트자치구 라싸를 잇는 총연장 1,629km의 촨짱철도를 2009년 9월에 착공하여 2026년을 목표로 건설 중에 있지만 티베트 지형의 악 조건 때문에 2030년대가 되어서야 완공이 된다는 소식도 있다.

관련 뉴스[편집]

  • 2022년 11월 14일 중국이 올해 수자원 개선 사업에 9211억 위안(한화 171조원)을 투입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경기 부양을 위해 중국 정부가 올해 수자원 인프라 건설에 대규모 자금을 쏟아부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중국이 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국가라는 점과 기후변화로 인해 물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이 수자원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우선 중국은 서고동저(西高東低) 지형을 가진 국가다. 이 때문에 남북, 또는 북남으로 흐르는 큰 강이 없다. 중국이 시도 때도 없이 운하를 파는 이유다. 후변화로 해발 5000∼6000m 높이 티베트 및 주변 고원의 빙하가 녹는 것도 문제다. 중국 주요 강 대부분이 티베트고원에서 발원, 동쪽으로 흐른다. 티베트고원에서 시작된 물줄기는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와 동남아시아로도 흐른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도 아시아의 급수탑이 위기에 처해 있다면서 티베트 및 주변 고원 빙하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SCMP는 티베트고원 및 주변 산악지역은 아시아 10대 강(양쯔강, 황허강, 갠지스강, 메콩강 등)의 발원지이며 인구 20억 명의 물줄기라고 보도했다. SCMP는 중국 과학자들이 10월 '네이처 리뷰 지구와 환경'에 게재한 논문을 인용하여 지구 온난화로 티베트고원 동토가 빠른 속도로 녹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질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고 전했다.[4]
  • 2016년 9월 8일 오전, 열차의 기적소리를 따라 칭하이(靑海)성 시닝(西寧)시에서 벨기에 안트베르펜으로 향하는 화물열차가 서서히 출발했다. 이로써 칭짱(靑藏)고원을 지나는 최초의 중국-유럽 간 열차가 정식으로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중국-유럽 간 열차는 이날 시닝을 출발 간쑤(甘肅)를 지나, 아라산(阿拉山)를 통해 카자흐스탄, 러시아, 폴란드, 독일을 거쳐 최종 목적지인 벨기에 제2도시 안트베르펜에 다다른다. 총 여정은 9,838km로 12일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 열차에 실린 44개의 컨테이너 내 주요 상품은 칭하이 특산품인 티베트 양탄자와 구기자이다. 현재, 중국은 이미 충칭(重慶), 정저우(鄭州), 우한(武漢), 시안(西安) 등 16개의 도시에서 유럽 도시로 향하는 컨테이너 화물열차를 개통한 바 있다.[5]

지도[편집]

동아시아 국가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티베트고원〉, 《위키백과》
  2. 티베트 고원〉, 《네이버 지식백과》
  3. 티베트 고원〉, 《나무위키》
  4. 조영신 선임기자, 〈중국 티베트 빙하가 녹는다〉, 《아시아경제》, 2022-11-14
  5. 홍성현, 〈칭짱고원 최초 ‘중국-유럽 간 열차’ 개통〉, 《인민망》, 2016-09-12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티베트고원 문서는 세계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