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웹개방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환경과 전세계 4위에 달하는 스마트폰 보급률로 정확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는 훌륭한 정보 환경에서 살고 있다. 그만큼 좋은 정보들에 정확하게 접근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검색이 정확히 이뤄지지 않는 정보들은 쓸모없는 정보와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가 싶겠지만, 이것이 바로 현재 우리나라 인터넷 환경이 직면한 상황이다. 우리는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검색하며 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제한적인 검색이 이뤄지고 있다. 그 이유는 검색엔진 배제선언에 있다. 일반적으로 검색로봇이 웹사이트의 정보를 수집하는 알고리즘에서 검색엔진 배제선언을 하게 되면, 웹사이트에 검색로봇의 접근을 막아 정보를 수집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2011년에 행정안전부, 현 행정자치부에서 검색로봇 배제 표준 적용방법 가이드라인을 배포했다. 웹 개방성의 수준을 체계적으로 강화해 개인정보와 같은 중요 정보는 검색할 수 없도록 하고, 필요한 자료는 효율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만드는 가이드라인이지만, 대부분의 웹 사이트에서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비율이 낮다.<ref>써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some_&logNo=220706992710&categoryNo=27&parentCategoryNo=0 (최신 웹 기술 사례) 웹 개방성의 이해와 필요성]〉, 《네이버 블로그》, 2016-05-11</ref> 단순히 검색엔진에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웹사이트 내의 내용을 모두 찾을 수 있으면, 웹 개방성이 높은 것으로, 해당 웹사이트에 일일이 접속해 원하는 내용을 찾아야 하면 웹 개방성이 낮은 것으로 간주한다. 국내의 웹 개방성은 낮은 편으로, 국내의 대학교, 학술/연구기관은 정보접근을 완전 차단하여 검색으로 정보를 찾을 수 없게 해뒀다. 정보를 얻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특성 상 양질의 정보가 있더라도 얻기 힘들다.<ref>강일용, 〈[https://it.donga.com/13450/ 여전히 형편없는 국내 웹개방성... 대학, 연구기관 78%가 검색 제한]〉, 《아이티동아》, 2013-03-11</ref> 이처럼, 웹 개방성이 낮으면 양질의 자료가 있더라도 검색으로 자료를 찾을 수 없기에 검색으로 나온 자료만을 사용하거나, 양질의 자료를 얻고싶다면 일일이 다 뒤져서 정보를 찾아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동반한다. 그러므로 웹 개방성을 높혀 양질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환경과 전세계 4위에 달하는 스마트폰 보급률로 정확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는 훌륭한 정보 환경에서 살고 있다. 그만큼 좋은 정보들에 정확하게 접근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검색이 정확히 이뤄지지 않는 정보들은 쓸모없는 정보와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가 싶겠지만, 이것이 바로 현재 우리나라 인터넷 환경이 직면한 상황이다. 우리는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검색하며 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제한적인 검색이 이뤄지고 있다. 그 이유는 검색엔진 배제선언에 있다. 일반적으로 검색로봇이 웹사이트의 정보를 수집하는 알고리즘에서 검색엔진 배제선언을 하게 되면, 웹사이트에 검색로봇의 접근을 막아 정보를 수집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2011년에 행정안전부, 현 행정자치부에서 검색로봇 배제 표준 적용방법 가이드라인을 배포했다. 웹 개방성의 수준을 체계적으로 강화해 개인정보와 같은 중요 정보는 검색할 수 없도록 하고, 필요한 자료는 효율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만드는 가이드라인이지만, 대부분의 웹 사이트에서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비율이 낮다.<ref>써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some_&logNo=220706992710&categoryNo=27&parentCategoryNo=0 (최신 웹 기술 사례) 웹 개방성의 이해와 필요성]〉, 《네이버 블로그》, 2016-05-11</ref> 단순히 검색엔진에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웹사이트 내의 내용을 모두 찾을 수 있으면, 웹 개방성이 높은 것으로, 해당 웹사이트에 일일이 접속해 원하는 내용을 찾아야 하면 웹 개방성이 낮은 것으로 간주한다. 국내의 웹 개방성은 낮은 편으로, 국내의 대학교, 학술/연구기관은 정보접근을 완전 차단하여 검색으로 정보를 찾을 수 없게 해뒀다. 정보를 얻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특성 상 양질의 정보가 있더라도 얻기 힘들다.<ref>강일용, 〈[https://it.donga.com/13450/ 여전히 형편없는 국내 웹개방성... 대학, 연구기관 78%가 검색 제한]〉, 《아이티동아》, 2013-03-11</ref> 이처럼, 웹 개방성이 낮으면 양질의 자료가 있더라도 검색으로 자료를 찾을 수 없기에 검색으로 나온 자료만을 사용하거나, 양질의 자료를 얻고싶다면 일일이 다 뒤져서 정보를 찾아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동반한다. 그러므로 웹 개방성을 높혀 양질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 웹 개방성 평가 목적 및 기대효과 ==
+
== 웹 개방성의 필요성 ==
 +
 
 +
 
 +
=== 웹 개방성 평가 목적 및 기대효과 ===
 
웹에 공개된 정보는 높은 사회, 경제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자산으로 합리적인 정보 공개가 필요.
 
웹에 공개된 정보는 높은 사회, 경제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자산으로 합리적인 정보 공개가 필요.
 
웹사이트의 정보 접근성 향상과 정보 개방에 대한 정보 제공자 측의 인식 제고 및 개선이 목적
 
웹사이트의 정보 접근성 향상과 정보 개방에 대한 정보 제공자 측의 인식 제고 및 개선이 목적

2020년 7월 30일 (목) 13:48 판

웹 개방성(Web Openness)이란 웹에 공개된 정보에 이용자가 아무런 제약 없이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웹사이트의 정보를 자유롭게 공개ㆍ공유하여 정보의 투명성과 개방성이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개요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환경과 전세계 4위에 달하는 스마트폰 보급률로 정확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는 훌륭한 정보 환경에서 살고 있다. 그만큼 좋은 정보들에 정확하게 접근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검색이 정확히 이뤄지지 않는 정보들은 쓸모없는 정보와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가 싶겠지만, 이것이 바로 현재 우리나라 인터넷 환경이 직면한 상황이다. 우리는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검색하며 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제한적인 검색이 이뤄지고 있다. 그 이유는 검색엔진 배제선언에 있다. 일반적으로 검색로봇이 웹사이트의 정보를 수집하는 알고리즘에서 검색엔진 배제선언을 하게 되면, 웹사이트에 검색로봇의 접근을 막아 정보를 수집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2011년에 행정안전부, 현 행정자치부에서 검색로봇 배제 표준 적용방법 가이드라인을 배포했다. 웹 개방성의 수준을 체계적으로 강화해 개인정보와 같은 중요 정보는 검색할 수 없도록 하고, 필요한 자료는 효율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만드는 가이드라인이지만, 대부분의 웹 사이트에서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비율이 낮다.[1] 단순히 검색엔진에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웹사이트 내의 내용을 모두 찾을 수 있으면, 웹 개방성이 높은 것으로, 해당 웹사이트에 일일이 접속해 원하는 내용을 찾아야 하면 웹 개방성이 낮은 것으로 간주한다. 국내의 웹 개방성은 낮은 편으로, 국내의 대학교, 학술/연구기관은 정보접근을 완전 차단하여 검색으로 정보를 찾을 수 없게 해뒀다. 정보를 얻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특성 상 양질의 정보가 있더라도 얻기 힘들다.[2] 이처럼, 웹 개방성이 낮으면 양질의 자료가 있더라도 검색으로 자료를 찾을 수 없기에 검색으로 나온 자료만을 사용하거나, 양질의 자료를 얻고싶다면 일일이 다 뒤져서 정보를 찾아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동반한다. 그러므로 웹 개방성을 높혀 양질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웹 개방성의 필요성

웹 개방성 평가 목적 및 기대효과

웹에 공개된 정보는 높은 사회, 경제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자산으로 합리적인 정보 공개가 필요. 웹사이트의 정보 접근성 향상과 정보 개방에 대한 정보 제공자 측의 인식 제고 및 개선이 목적 정보 개방에 대한 공공과 민간 기업 등 정보 제공자 측의 인식 개선과 참여 공유 투명성 제고 정보 공개로 사용자의 합리적인 정보 활용도 향상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 측면에서의 웹 정보 접근성 향상 효율적인 웹 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이를 통한 비용 절감 효과 기대 향상된 각 웹사이트의 정보 제공으로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웹 서비스를 선도 개방된 정보를 사회ㆍ경제적 가치가 높은 자산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경제적 효과 창출

웹 개방성 지수

웹 개방성 지수란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해 웹 발전연구소에서 최초로 개발한 평가모형으로, 웹사이트의 검색엔진 접근 차단, 특정 페이지 접근 차단, 페이지별 정보 수집 거부 등을 평가해 점수화한 것이다.

각주

  1. 써미, 〈(최신 웹 기술 사례) 웹 개방성의 이해와 필요성〉, 《네이버 블로그》, 2016-05-11
  2. 강일용, 〈여전히 형편없는 국내 웹개방성... 대학, 연구기관 78%가 검색 제한〉, 《아이티동아》, 2013-03-11

[1]

참고 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웹개방성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1. 스마트인컴, 〈10명 중 9명이 쓰던 '파란 인터넷'이 몰락하고 있다는데, 이유가..〉, 《네이버 포스트》, 2019-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