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플랫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leejia1222 (토론 | 기여) (새 문서: '''E-플랫폼''' {{전기자동차|토막글}}) |
leejia1222 (토론 | 기여)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파일:e-플랫폼.jpg|썸네일|300픽셀|'''e-플랫폼'''(e-platform)]] |
+ | [[파일:비야디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야디]]'''(比亚迪)]] | ||
− | {{전기자동차| | + | '''e-플랫폼'''(e-platform)은 [[중국]]의 [[전기자동차]] 및 [[베터리]] 제조사인 '''[[비야디]]'''(BYD)에서 개발한 [[전기자동차 플랫폼]]이다. |
+ | {{:자동차 배너|중국}} | ||
+ | |||
+ | ==발전== | ||
+ | ===초기=== | ||
+ | 2018년 4월 비야디는 33111로 대변되는 전기차 모듈화 기술체계 e-플랫폼을 발표했다. 33111은 동력장치 핵심 부품([[전기모터]], [[ECU]], [[변속기]]) 통합모듈, 전력시스템(DC-DC 변환기, 충전기, 전력분배장치) 통합모듈, 1개 PCB 기판, 1개 스마트컨트롤 스크린, 1개 고성능 배터리를 지칭한다.<ref>김환용 편집위원,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912221258538546f806fa96c5_1/article.html?md=20191227082840_U (글로벌-Biz 24) 중국, 전기차 미·일·유럽 추월 '부푼 꿈']〉, 《글로벌이코노믹》, 2019-12-27</ref> 따라서 e-플랫폼은 구동모터, 모터 컨트롤러, 변속기, 차량 컨트롤러, 배터리관리시스템, DC 컨버터, 온보드 충전기 및 고전압 배전 모듈을 포함한 여덟 개의 모듈이 조합되어 효율성과 안전성, 거주성이 탁월하며 스마트화도 용이하다는 것이 특징이다.<ref>이상원 기자,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525 테슬라 제친 中 전기차 업체 BYD, 일본시장 진출 현대차와 전기차 맞대결]〉, 《엠투데이》, 2022-07-22</ref> 비야디는 e-플랫폼을 통해 차체 중량과 체적을 기존 대비 25% 이상 줄이고 출력을 20% 높이는 등 전기차 성능을 크게 개선했다.<ref>노철중 기자, 〈[http://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21 중국 전기차가 몰려온다…‘인해전술’로만 폄훼할 수 없는 까닭]〉, 《인사이트코리아》, 2019-10-18</ref> | ||
+ | |||
+ | ===e-플랫폼 3.0=== | ||
+ | 2021년 4월 비야디가 상하이모터쇼에서 공개한 e-플랫폼 3.0은 [[블레이드 배터리]]와 [[차체]]를 통합시킨 800 볼트의 전기차 플랫폼이다. [[테슬라]](Tesla)가 [[4680 배터리]]를 차체와 하나로 만드는 아이디어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덕분에 차체의 비틀림강성은 40,000 Nm/°를 기록했다.<ref>김선웅 기자, 〈[http://www.autoview.co.kr/content/article.asp?num_code=76727&news_section=review&pageshow=1 부품만 바꿔 장착해도 업그레이드 완료, BYD 하이바오]〉, 《오토뷰》, 2022-05-16</ref> e-플랫폼 3.0에서 양산되는 배터리가 모드 블레이드 배터리라는 점이 특징이다. 양산 가능 전기차의 스팩은 제로백 2.9초 1회 충전 주행 가능거리는 1000km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 동급 차량과 비교해 에너지 소모가 10% 줄고 겨울철 주행 거리도 10%가량 늘 전망이다.<ref>안호현 전문기자, 〈[http://www.infostock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5630&replyAll=&reply_sc_order_by=I ‘BYD’, 블레이드배터리로 전기차 경쟁력 높아진다]〉, 《인스탁데일리》, 2021-04-23</ref> e-플랫폼 3.0을 기반으로 설계 예정인 차량으로 [[씰]](Seal)과 [[돌핀]](Dolphin) 그리고 [[하이바오]]가 있다.<ref>엠에스리,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4265656&memberNo=28844427 CTB (Cell-to-body) 배터리 구조를 적용한 BYD(비야디) Seal]〉, 《네이버 포스트》, 2022-08-07</ref> | ||
+ | |||
+ | ==특징== | ||
+ | ===직접화=== | ||
+ | e플랫폼의 가장 핵심적인 이념은 집적화다. 집적화란 구성 부분을 설계에서부터 제조, 시험, 운용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하나의 단위로 취급하는 상태로 결합하여 기기, 회로 등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데, 주로 [[반도체]] 기술에 사용된다. 집적화는 원가 절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부피와 품질 저하를 줄이고 [[연료]] 소모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저렴한 가격의 성능 좋은 전기차를 만들 수 있다.<ref>방대연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528486619238440&mediaCodeNo=257&OutLnkChk=Y 초저가 1천만원대 SUV 전기차 나왔다..BYD EV360]〉, 《이데일리》, 2018-06-04</ref> | ||
+ | |||
+ | {{각주}} | ||
+ | |||
+ | ==참고자료== | ||
+ | * 방대연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528486619238440&mediaCodeNo=257&OutLnkChk=Y 초저가 1천만원대 SUV 전기차 나왔다..BYD EV360]〉, 《이데일리》, 2018-06-04 | ||
+ | * 노철중 기자, 〈[http://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21 중국 전기차가 몰려온다…‘인해전술’로만 폄훼할 수 없는 까닭]〉, 《인사이트코리아》, 2019-10-18 | ||
+ | * 김환용 편집위원,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912221258538546f806fa96c5_1/article.html?md=20191227082840_U (글로벌-Biz 24) 중국, 전기차 미·일·유럽 추월 '부푼 꿈']〉, 《글로벌이코노믹》, 2019-12-27 | ||
+ | * 안호현 전문기자, 〈[http://www.infostock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5630&replyAll=&reply_sc_order_by=I ‘BYD’, 블레이드배터리로 전기차 경쟁력 높아진다]〉, 《인스탁데일리》, 2021-04-23 | ||
+ | * 이상원 기자,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525 테슬라 제친 中 전기차 업체 BYD, 일본시장 진출 현대차와 전기차 맞대결]〉, 《엠투데이》, 2022-07-22 | ||
+ | * 엠에스리,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4265656&memberNo=28844427 CTB (Cell-to-body) 배터리 구조를 적용한 BYD(비야디) Seal]〉, 《네이버 포스트》, 2022-08-07 | ||
+ | |||
+ | ==같이 보기== | ||
+ | * [[비야디]] | ||
+ | * [[전기자동차 플랫폼]] | ||
+ | |||
+ | {{전기자동차|검토 필요}} |
2022년 9월 14일 (수) 18:29 기준 최신판
e-플랫폼(e-platform)은 중국의 전기자동차 및 베터리 제조사인 비야디(BYD)에서 개발한 전기자동차 플랫폼이다.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
발전[편집]
초기[편집]
2018년 4월 비야디는 33111로 대변되는 전기차 모듈화 기술체계 e-플랫폼을 발표했다. 33111은 동력장치 핵심 부품(전기모터, ECU, 변속기) 통합모듈, 전력시스템(DC-DC 변환기, 충전기, 전력분배장치) 통합모듈, 1개 PCB 기판, 1개 스마트컨트롤 스크린, 1개 고성능 배터리를 지칭한다.[1] 따라서 e-플랫폼은 구동모터, 모터 컨트롤러, 변속기, 차량 컨트롤러, 배터리관리시스템, DC 컨버터, 온보드 충전기 및 고전압 배전 모듈을 포함한 여덟 개의 모듈이 조합되어 효율성과 안전성, 거주성이 탁월하며 스마트화도 용이하다는 것이 특징이다.[2] 비야디는 e-플랫폼을 통해 차체 중량과 체적을 기존 대비 25% 이상 줄이고 출력을 20% 높이는 등 전기차 성능을 크게 개선했다.[3]
e-플랫폼 3.0[편집]
2021년 4월 비야디가 상하이모터쇼에서 공개한 e-플랫폼 3.0은 블레이드 배터리와 차체를 통합시킨 800 볼트의 전기차 플랫폼이다. 테슬라(Tesla)가 4680 배터리를 차체와 하나로 만드는 아이디어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덕분에 차체의 비틀림강성은 40,000 Nm/°를 기록했다.[4] e-플랫폼 3.0에서 양산되는 배터리가 모드 블레이드 배터리라는 점이 특징이다. 양산 가능 전기차의 스팩은 제로백 2.9초 1회 충전 주행 가능거리는 1000km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 동급 차량과 비교해 에너지 소모가 10% 줄고 겨울철 주행 거리도 10%가량 늘 전망이다.[5] e-플랫폼 3.0을 기반으로 설계 예정인 차량으로 씰(Seal)과 돌핀(Dolphin) 그리고 하이바오가 있다.[6]
특징[편집]
직접화[편집]
e플랫폼의 가장 핵심적인 이념은 집적화다. 집적화란 구성 부분을 설계에서부터 제조, 시험, 운용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하나의 단위로 취급하는 상태로 결합하여 기기, 회로 등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데, 주로 반도체 기술에 사용된다. 집적화는 원가 절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부피와 품질 저하를 줄이고 연료 소모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저렴한 가격의 성능 좋은 전기차를 만들 수 있다.[7]
각주[편집]
- ↑ 김환용 편집위원, 〈(글로벌-Biz 24) 중국, 전기차 미·일·유럽 추월 '부푼 꿈'〉, 《글로벌이코노믹》, 2019-12-27
- ↑ 이상원 기자, 〈테슬라 제친 中 전기차 업체 BYD, 일본시장 진출 현대차와 전기차 맞대결〉, 《엠투데이》, 2022-07-22
- ↑ 노철중 기자, 〈중국 전기차가 몰려온다…‘인해전술’로만 폄훼할 수 없는 까닭〉, 《인사이트코리아》, 2019-10-18
- ↑ 김선웅 기자, 〈부품만 바꿔 장착해도 업그레이드 완료, BYD 하이바오〉, 《오토뷰》, 2022-05-16
- ↑ 안호현 전문기자, 〈‘BYD’, 블레이드배터리로 전기차 경쟁력 높아진다〉, 《인스탁데일리》, 2021-04-23
- ↑ 엠에스리, 〈CTB (Cell-to-body) 배터리 구조를 적용한 BYD(비야디) Seal〉, 《네이버 포스트》, 2022-08-07
- ↑ 방대연 기자, 〈초저가 1천만원대 SUV 전기차 나왔다..BYD EV360〉, 《이데일리》, 2018-06-04
참고자료[편집]
- 방대연 기자, 〈초저가 1천만원대 SUV 전기차 나왔다..BYD EV360〉, 《이데일리》, 2018-06-04
- 노철중 기자, 〈중국 전기차가 몰려온다…‘인해전술’로만 폄훼할 수 없는 까닭〉, 《인사이트코리아》, 2019-10-18
- 김환용 편집위원, 〈(글로벌-Biz 24) 중국, 전기차 미·일·유럽 추월 '부푼 꿈'〉, 《글로벌이코노믹》, 2019-12-27
- 안호현 전문기자, 〈‘BYD’, 블레이드배터리로 전기차 경쟁력 높아진다〉, 《인스탁데일리》, 2021-04-23
- 이상원 기자, 〈테슬라 제친 中 전기차 업체 BYD, 일본시장 진출 현대차와 전기차 맞대결〉, 《엠투데이》, 2022-07-22
- 엠에스리, 〈CTB (Cell-to-body) 배터리 구조를 적용한 BYD(비야디) Seal〉, 《네이버 포스트》, 2022-08-07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