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월과세

위키원
Junwoen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8월 9일 (수) 11:21 판 (새 문서: '''이월과세'''<!--이월 과세->(移越課稅)는 배우자나 직계존비속에게 증여한 후 부동산제3자에게 매도하는 경우, 증여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월과세 (1억 원-250만 원) X35%-1,490만 원(누진공제)= 19,225,000 + 1,922,500 = 21,147,500원

또 세법 검토없이 위와 같은 사례에서 아들이 타인에게 상가를 매각하고 내야할 세금은 (장기보유특별공제 무시-가정)

  • 1.4억-1억 = 4천만 원 --> (4천만 원-250만 원) X15%-108만 원(누진공제)= 4,545,000 + 454,500 = 4,999,500원

세금의 차액은 약 1600만 원정도이며 세금이 확 줄어든다는 이런 생각으로 상가를 매각한 후 5백만 원 정도 세금을 납부하고 1년쯤 지나 세무서에서 세금납부 통지가 온다.

사례 2

남편 아내에게 증여 타인에게 매매
2005.12. 취득 2013년 12월 2017년 5월
1억 원 6억 원 8억 원
  • 아내의 양도차익 계산
가. 일반적인 경우 : B의 양도차익=8억 원 - 6억 원 = 2억 원
나. 이월과세 대상 : B의 양도차익=8억 원 - 1억 원 = 7억 원

원래 증여받은 부동산 등을 양도 시 취득가액은 증여가액(6억 원)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사례의 경우 B는 이월과세 대상이 되어 취득가액을 증여자(A)의 취득가액(1억)으로 하여 양도차익을 계산하므로 7억 원의 양도차익이 발생한다. 상속증여세법에서는 배우자에게 증여 시 6억 원까지는 세금이 없다. 이에 부동산 등을 배우자 등에게 증여하는 방법으로 양도소득세를 회피하는 사례가 발생하자, 소득세법에서 이를 막기 위해 이월과세라는 규정을 만들게 된 것이다. 이월과세가 적용되는 부동산 등은 토지, 건물 및 시설물 이용권이다. 유의해야 할 점은 증여를 받은 후 이혼(사망원인제외)을 하여 배우자 관계가 소멸하였다 하더라도, 증여일로부터 5년 이내에 양도하면, 이월과세 대상이다. 그리고 이월과세 대상이 되면 납세의무자는 수증자이지만, 부당행위계산 부인대상이 되면 증여자가 납세의무자이다.

위 사례처럼 직접 양도하는 때와 증여 후 양도하는 경우 세금 차이가 발생하므로 세법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이 종종 실수하는 때도 있다. 해당 세법은 당초 증여자가 과도한 양도소득세를 피하고자 배우자 등에게 일시 증여한 후 타인에게 양도하는 때에는 당초 증여자가 증여하지 않았을 경우를 가정하여 양도소득세를 산출하는 것으로 세금회피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물론 위의 사례와 달리 세금이 줄어드는 예도 있다. 부모가 자녀 등에게 증여한 자산을 자녀가 매우 급한 사정으로 단기간에 양도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1년 이내 양도 시 50%, 2년 이내 양도 시 40%로 중과세되는데 이러한 경우는 취득 시점을 부모가 취득한 때로 보기 때문에 상기 법령이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는 각각의 사례마다 판단이 필요하다.

소득세법 제97조의 2 (양도소득의 필요경비 계산 특례)

​① 거주자가 양도일부터 소급하여 5년 이내에 그 배우자(양도 당시 혼인관계가 소멸된 경우를 포함하되, 사망으로 혼인관계가 소멸된 경우는 제외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 또는 직계존비속으로부터 증여받은 제94조제1항제1호에 따른 자산이나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산의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양도가액에서 공제할 필요경비는 제97조제2항에 따르되, 취득가액은 그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의 취득 당시 제97조제1항제1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한다. 이 경우 거주자가 증여받은 자산에 대하여 납부하였거나 납부할 증여세 상당액이 있는 경우에는 제97조제2항에도 불구하고 필요경비에 산입한다.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사업인정고시일부터 소급하여 2년 이전에 증여받은 경우로서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나 그 밖의 법률에 따라 협의매수 또는 수용된 경우

2. 제1항을 적용할 경우 제89조제1항제3호 각 목의 주택[같은 호에 따라 양도소득의 비과세대상에서 제외되는 고가주택(이에 딸린 토지를 포함한다)을 포함한다]의 양도에 해당하게 되는 경우

3. 제1항을 적용하여 계산한 양도소득 결정세액이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하고 계산한 양도소득 결정세액보다 적은 경우[1]

이월과세 제도의 변화

이월과세 제도의 기간이 5년에서 10년으로 바뀌는데, 이번 세제개편안에 포함된 내용으로, 배우자 등에게 증여를 통한 양도세 회피 방지가 개정 이유이다. 납세자 입장에서는 달가운 소식이 아니다. 5년도 사실 짧은 기간은 아니기 때문에 사전 준비를 통해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월과세 기간이 10년으로 변경되면 증여를 하더라도 부동산 매도 타이밍을 잡는 것이 더 어려워져 사실상 증여 후 매도로 얻는 장점이 많이 줄어들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증여 계획이 있는 사람이라면 2022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이번 세제개편안에 포함된 이월과세 기간의 변경은 2023년 증여분부터 적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제개편이 진행되기 전인 2022년 내에 증여한 경우에는 기존의 이월과세 기간인 5년을 적용받을 수 있다. 시기를 미루다가는 양도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에 맞춰 적정한 타이밍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상황은 2023년부터 달라지며 증여로 인한 취득세 과세표준도 시가 인정액으로 변경된다. 시가 인정액이란, 말 그대로 시가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라는 뜻이다. 증여재산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금액에 시가가 우선 적용되는 것처럼, 증여재산을 평가한 금액과 동일하게 가겠다는 뜻이다. 따라서 2023년부터는 시가 10억 원, 공시가격 6억 원인 아파트의 경우 시가 10억 원에 대해 취득세를 납부해야 한다. 이미 법안은 통과됐고 2023년부터 시행된다. 아파트 시가가 10억 원이고 공시가격은 6억 원, 전용면적이 85㎡ 초과라고 한다면, 2022년에 증여를 했을 경우 4% 증여 취득세율을 곱해 2000만 원의 취득세가 나온다. 그러나 2023년부터 취득세 과세표준이 변경되면 시가 10억 원을 기준으로 계산해 4000만 원의 취득세를 납부해야 한다. 몇 개월 사이에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 2배가량 높아짐을 알 수 있다.[2]

동영상

각주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B.84.A4.EC.9D.B4.EB.B2.84_.EB.B8.94.EB.A1.9C.EA.B7.B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D.8F.AC.EB.B8.8C.EC.8A.A4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이월과세 문서는 부동산 정책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