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합천군

위키원
jonahkim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3월 16일 (수) 10:57 판 (새 문서: '''합천군'''<!--합천군-->(陜川郡)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다. 가야면에는 세계문화유산장경판전과 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합천군(陜川郡)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다. 가야면에는 세계문화유산장경판전세계기록유산팔만대장경이 있는 해인사가 있다.

개요

  • 행정 단위: 대한민국 경상남도 군
  • 면적: 983.47km²
  • 인구: 42,935명 (2021년)
  • 시청 소재지: 합천읍 동서로 119 (합천리 337)
  • 군수: 문준희(국민의힘)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s://www.hc.go.kr/main.web

지도

역사

합천읍 교동, 대양면 대목리의 석기류 출토와 합천다목적댐 건설시 유적발굴 결과 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속하였으며 부족국가로는 대량국(합천지방), 초팔혜국(초계지방), 사이기국(삼가지방)이 있었다. 특히 대병면(창리, 하금, 대지), 야로면(금평, 월광), 삼가면(양전)등 해당 지역에 많은 고분이 있으며, 쌍책면 성산리 옥전고분 발굴로 미루어 볼때 강력한 지배세력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됨.
  • 서기 1~2세기경 합천에 산재해 있던 부족국가들이 차례로 대가야국에 영속되었다.
  • 가야의 일원인 다라국이 합천지방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 562년 (신라 24대 진흥대왕 23년) 가야국 멸망으로 신라에 귀속되어, 백제의 침공을 막기 위하여 대야주(대량주)가 설치되고 도독부를 두어 군사적으로 강력한 요지인 대야성(大耶城)을 구축하였다.
  • 642년 (신라 선덕대왕 11년) 의자왕의 명을 받은 윤충은 대야성을 함락시키고 주민 1천여 명을 사로잡아 백제의 서부 지역 고을에 나누어 살도록 했는데, 이때 대야성 성주로서 성이 함락되자 처자와 더불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김품석과 그 아내 고타소랑은 신라의 유력자였던 김춘추(金春秋)(훗날의 태종무열대왕)의 사위와 딸이었다.
  • 757년 (신라 35대 경덕대왕 16년 12월) 합천을 주(州)에서 군(郡)으로 강등시켜 강양군으로 개칭하였다.
  • 803년 (신라 40대 애장대왕 3년) 순응대사, 이정대사 해인사 창건.
  • 1018년 (고려 현종 9년) 강양군을 합주로 승격시키고, 12속현(거창현, 함양현, 산음현, 가조현, 신번현, 초계현, 야로현, 가수현, 삼기현, 단계현, 안음현, 이안현)을 두어 지군사로 하여금 다스리게 하였다.
  • 1334년 (충숙왕 3년) 현인 정순기, 변우성의 공적으로 초계현이 초계군으로 승격되고 지군사를 두었다.
  • 1373년 (공민왕 22년) 삼기현에 감무를 두어 다스리게 하였으며, 별칭 마장이라 하였다.
  • 1413년 (태종13년)지방행정구역의 개편에 따라 9개면으로 축소되었음.
  • 1893년 군청이전 (야로면 야로리->합천읍 합천리 789번지)
  • 1896년 (고종33년) 13도제로 바꾸면서 경상남도 합천군으로 되었다.

지리

합천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의 산간내륙 지대로, 경상남도의 서북부에 위치하며 동남쪽으로는 창녕군, 의령군과 서쪽으로는 거창군, 산청군과 접하며, 북쪽으로는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에 접하고 있다. 동부를 제외하고는 높고 험한 산지가 중첩하며, 동부는 낙동강이 스쳐 흐르고 있다. 북쪽의 도계에 솟아있는 유명한 가야산(1,430m)줄기를 본맥으로 하여 크고 작은 산들이 많이 파생하고 있으며, 매화산(954.1m)과 거창군계의 비계산(1,125.7m), 두무산(1,083.4m), 오도산(1,133.7m) 그리고 산청군계의 황매산(1,108m)이 위치하고 있으며 악견산, 금성산, 허굴산, 의룡산과 북부의 가점산, 미숭산, 두무산 남쪽 군계의 자굴산, 미타산 등의 준봉이 중첩기립하여 제각기 정기를 자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크고 작은 수많은 지맥이 북부에서 동남으로 향하여 경사는 완만하나 높고 낮은 산맥이 첩첩으로 이어져 들판은 협소하다.

합천의 주요 수계 중 낙동강의 지류로서 본군 관내를 관류하는 직할하천 황강거창군 덕유산에서 발원, 여러 계수를 합하여 봉산면에서 남으로 꼬부라져 합천읍에 이르러서는 군 중심부를 관류하면서 율곡면에서 사행한 뒤 청덕면 적포리에서 낙동강 본류에 합류하고, 지방하천인 회천은 가야산에서 발원하여 가야, 야로, 묘산면을 지나 경상북도 고령군을 거쳐 덕곡면으로 이어지고 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관류하는 황강은 17개읍면 중 6개면을 남북으로 관통하므로 강의 흐름에 따라 행정지역과 생활권이 분할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강폭은 넓으나 수심은 얕은 편이다.

기후

내륙에 위치한 관계로 한서의 차가 심한 편이다. 2005년 기준 기상개황을 살펴보면 연평균 기온은 13.5˚C, 최저기온은 -14.8˚C, 최고기온은 37.0˚C이다. 강수량은 1,119.6mm이며, 이중 75% 정도가 6월, 7월, 8월에 집중되고 있으며, 때로는 집중호우로 풍수해를 입기도 한다.

행정 구역

합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6면 구성되어 있다.

  • 합천읍(陜川邑)
  • 봉산면(鳳山面)
  • 묘산면(妙山面)
  • 가야면(伽倻面)
  • 야로면(冶爐面)
  • 율곡면(栗谷面)
  • 초계면(草溪面)
  • 쌍책면(雙冊面)
  • 덕곡면(德谷面)
  • 청덕면(靑德面)
  • 적중면(赤中面)
  • 대양면(大陽面)
  • 쌍백면(雙栢面)
  • 삼가면(三嘉面)
  • 가회면(佳會面)
  • 대병면(大幷面)
  • 용주면(龍洲面)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합천군 문서는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