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서버-클라이언트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버-클라이언트(server-client) 구조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 부분과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열람하는 클라이언트 부분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조를 말한다.

구조[편집]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1:N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즉, 한 대의 서버에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한다.

대부분의 인터넷 웹 사이트는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네이버, 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등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수의 사용자들이 개인 PC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서버의 경우 하루 24시간, 1년 365일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반면 클라이언트의 경우 필요할 때만 켜서 인터넷에 접속하면 된다.

구성[편집]

서버[편집]

서버(server)란 통신망 상에서 다른 컴퓨터에 대하여 회선, 디스크 장치 등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관리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를 말한다. 서버는 그 역할에 따라 웹(Web) 서버, 와스(WAS) 서버, 디비(DB) 서버 등이 있다. 가기.png 서버에 대해 자세히 보기

클라이언트[편집]

클라이언트(client)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시스템에 연결된 PC스마트폰 등 사용자 측을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을 서버에 전달하기 위해 웹브라우저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웹브라우저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마이크로소프트 엣지(Edge), 구글 크롬(Chrome), 애플 사파리(Safari), 모질라 파이어폭스(Firefox), 오페라(Opera) 등이 있다. 모바일 전용 웹브라우저에는 삼성 인터넷(Samsung Internet) 등이 있다.

장단점[편집]

장점[편집]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는 매우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이다.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열람·복사·수정·관리하는 데이터를 여러 곳에 분산시키지 않고 단일한 중앙 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의 유일성과 통일성을 보장할 수 있다. 탈중앙 분산 저장 방식에 필요한 합의 알고리즘이 필요 없다. 중앙 서버만 관리하면 되므로 분산 저장 방식에 비해 네트워크 구성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든다.

단점[편집]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는 해킹 공격과 디도스랜섬웨어 공격 등에 취약하다. 모든 중요 데이터가 중앙 서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해커가 중앙 서버에 침투하여 데이터를 위변조할 경우 모든 클라이언트들에게 잘못된 정보가 전달된다. 이를 방어하기 위해 방화벽, 웹 방화벽, 침입탐지시스템(IDS), 침입방지시스템(IPS) 등 다양한 보안 제품을 설치하고,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별도의 저장장치에 백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간다.

대안[편집]

중앙 서버를 두지 않고 데이터를 여러 곳에 분산 저장하는 피투피(P2P) 방식을 이용할 경우 기존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피투피(P2P)란 Peer to Peer의 약자로서, 인터넷으로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나 파일을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이다. 음악 파일 공유를 위한 냅스터(Napster), 소리바다 등과 동영상 파일 공유를 위한 토렌트(Torrent),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더리움,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 분산 버전 관리(DVC) 시스템 등은 피투피 기반으로 운영된다.

각주[편집]

  1. 이동 제이보스(JBoss)는 와일드플라이(WildFly)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서버-클라이언트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