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개미
일개미(영어: worker Ant, ergate)는 개미과에서 생식 개체를 제외한 암컷들은 모두 개미이다. 갓 우화한 일개미들은 집 밖으로 나가기 이전까지 여왕개미 시중들기, 여왕개미가 낳은 알을 탁아실로 옮기기, 알을 타액으로 닦아 살균하기, 애벌레에게 음식 먹이기, 번데기에서 우화한 다른 개미들 꺼내주기 등의 일을 한다. 한동안 집안일을 하다가 나이가 차면 바깥 활동을 시작한다.[1]
개요[편집]
일개미는 생식을 제외한 모든 일을 처리한다. 개미는 사회성을 가지며 보통 생식계급인 여왕개미와 수개미, 노동계급인 일개미로 나누어져 있다. 다만, 이 계급이 모든 종에게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일개미 중 병정개미가 있는 종, 여왕개미 없이 생식 가능한 일개미로 이루어진 종, 여왕개미가 있다 하더라도 여러 마리의 여왕개미가 한 군체에 함께 있는 종이나 다른 종의 개미를 노예로 부리는 종 등 다양한 종류만큼이나 생활양식 역시 다양하다. 일개미는 사회성 곤충으로 주로 채이, 집짓기, 집수리, 집안의 알, 유충, 번데기, 다른 구성원을 돌보는 역할을 하는 암컷의 개체이다. 산란하는 개체도 있지만 그 알은 영양란(trophic egg)이며, 미발달된 채 여왕 또는 유충에 먹이가 된다. 흰개미는 암수 유충이 있어서 가짜 일개미라고도 한다. 이것의 발육이나 성숙은 여왕의 페로몬 등에 의해서 억제되지만, 집안의 상황이 변하면 병정개미로 분화하거나 생식샘이 성숙하여 대용 생식자가 되기도 한다. 보통 복안은 없다. 단물과 꽃의 꿀을 저장하고 다시 토해내어 생리적으로 꿀개미 역을 하기 위하여 탄력성인 주머니를 갖고 있는 일개미도 있다. 일개미들 중 일부는 특수한 형태로 자라나 특별한 임무를 맡기도 한다. 꿀단지개미와 병정개미 역시 일개미의 일종이다. 일꾼개미들 중 일부는 덩치가 큰 일개미들이 잎을 나를 때 작은 일개미들이 잎에 붙어서 다니는데 이는 무임승차가 아니라 개미에 기생하는 파리가 식량 수송대에게 알을 낳지 못하도록 쫓아내는 호위 역할이다. 그물등개미를 비롯한 일부 개미들은 여왕개미 없이 일개미들이 알을 낳는데 서열이 높은 녀석들만이 알을 낳을 수 있다. 일개미들의 이런 헌신적인 봉사와 희생은 여왕개미가 내뿜는 특수한 물질(여왕물질)의 영향도 있는데, 이 물질은 일개미들의 여성성을 억제하여 생식기능을 못하게 만든다. 그런데 여왕개미의 방이 구석진 곳에 위치해있다든지, 일개미가 어쩌다 여왕개미가 있는 곳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갔다든지 해서 '여왕물질'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 일개미가 따로 알을 낳기도 한다. 그래봐야 수개미밖에 낳지 못한다. 그래서 개미를 사육하던 중 여왕이 죽었거나 애초에 일개미들만 사육했다면 일개미들이 단체로 알을 까서 수개미들이 떼거지로 탄생하는 진풍경을 볼 수도 있다. 일개미들은 생식을 제외한 모든 일을 처리하며 이러한 의미에서 열심히 일하는 사람을 일개미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약간 비뚤어진 관점에서는 일만 하는 사람으로도 비유된다.[2]
구조[편집]
개미는 팔꿈치(L자) 모양으로 생긴 더듬이와 후늑막분비선(metapleural gland)들과 마치 매듭을 지은 듯한 배자루마디가 두 번째 배 부분에서의 강한 긴축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곤충과 뚜렷하게 다른 모습을 보인다. 머리, 중절부(mesosoma)와 후절부(metasoma), 배자루마디 뒤쪽에 나온 배 부분, 이렇게 세 부분으로 개미의 몸을 나눈다. 배자루마디(petiole)은 형태에 있어 그것의 중절부(흉부가 첫 번째 배 부분에 추가되어있다)와 배자루마디 뒤쪽의 배 부분(gaster) (배자루마디 안에 있는 배의 부분) 사이에 좁은 허리를 지니고 있다. 배자루마디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매듭들을 지닐 수 있다.
다른 곤충처럼, 개미는 외골격과 하나의 몸 전체를 덮어 보호해주는 하나의 외피와 근육에 붙는 점을 갖고 있다. 곤충은 폐가 없어서, 산소와 이산화탄소 같은 기체는 소위 공기구멍이라고 불리는 작은 판막을 따라 그들의 외골격을 지나간다. 또한 곤충은 피를 담아두는 닫힌 혈관이 부족하다. 대신에 그들은 몸의 맨 위쪽을 따라 길고 좁으며 관통되어 있는 관("복대동맥":dorsal aorta라고 불린다)을 지녔고, 그것은 심장과 같은 역할을 하며, 머리에 피림프(haemolymph:무척추 동물의 혈액)를 펌프처럼 퍼올려 주어서 인체 내의 체액을 순환시켜준다. 개미의 신경계는, 다리 끝까지 뻗어 있는 여러 개의 신경절과 가지로 이루어졌으며 몸의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배신경(ventral nerve cord)으로 구성된다.
개미 머리에는 많은 감각 기관이 있다. 다른 곤충들처럼, 개미는 작은 렌즈같은 낱눈이 수없이 달려있는 겹눈을 지니고 있다. 개미의 눈은 움직임에 매우 민감하지만, 가만히 있는 것을 볼때 상이 모자이크처럼 흐리다. 몇몇 개미들은 세 개의 작은 홑눈을 머리 꼭대기에 달고 있으며, 홑눈은 빛의 밝기를 파악하는 능력과 극성을 지니고 있다. 척추동물과 비교해보면, 대부분의 개미들은 시력이 좋지 못하며 땅 밑에 사는 종류 중 몇몇은 시력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에 있는 불독개미와 같은 일부 개미는 좋은 시력을 지니고 있다. 두 개의 더듬이도 머리에 붙어 있다. 이 기관은 화학 물질을 감지하며 공기의 흐름과 진동을 느낀다. 개미는 자기들 끼리 더듬이를 마주 대면서 신호를 보내거나 받기도 한다. 개미 머리에는 두 개의 큰턱이 있다. 개미는 그 턱을 이용하여 음식을 옮기거나 물체를 움직이게 하고, 또 적에게서 자신을 방어한다. 일부 종류의 개미는 입 안에 작은 주머니(infrabuccal chamber)를 갖고 있다. 그 주머니를 다른 개미나 그들의 애벌레에게 주는 것도 가능하다.
모두 다리가 여섯 개인 절지동물인 곤충에 속하는 개미의 다리는 가슴 중앙에 붙어있다. 각각의 다리 끝에는 갈고리 모양의 발톱이 두개가 있어, 개미는 그것을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에 매달리거나 표면을 따라 기어오를 수 있다. 대부분의 여왕개미와 수개미들은 날개를 갖고 있다. 여왕개미는 혼인비행을 한 이후에 날개를 잃어버리며, 눈에 보이는 돌출부가 사라지면 여왕개미로서 구별된 모습을 드러낸다. 일부 종에는 날개 없는 여왕개미와 수개미가 나타나기도 한다.
개미의 후절부에는 생식과 호흡과 배설을 담당하는 중요한 내부 기관들이 있다. 여러 종의 일개미는 알을 낳는 기관이 침으로 변형되어, 그 침을 약탈자를 굴복시키고 자신들의 둥지를 지켜내는 데 사용한다.[3]
사냥과 채집[편집]
연령이 찬 능숙한 일개미들은 개미집 밖에서 먹이를 찾는다. 먹을 것을 발견한 개미는 먹이를 물고 집으로 돌아오는데, 먹이가 커서 혼자 옮기기 벅차면 먹이의 일부를 가지고 땅바닥에 페로몬 길을 남기며 개미집으로 돌아온다. 동료 일개미들은 이 페로몬 길을 따라가 큰 먹이를 나누어 수송하는데, 먹을 것이 없으면 마지막으로 먹이를 옮기는 개미는 더 이상 페로몬을 남기지 않으며 이 페로몬은 휘발성이 강하여 금방 사라지기 때문에 다른 개미가 헛걸음할 일은 거의 없다.
보통 개미는 유기물질이라면 가리지 않고 섭취한다. 살아있는 곤충이나 동물을 통째로, 혹은 토막내서 가져가는 것은 기본이다. 곤충이나 동물의 시체, 식물의 씨앗이나 열매, 잎, 땅에 떨어진 과자나 사탕, 설탕 등의 단것, 밥, 떡, 튀김 부스러기 등 걸어가서 채집할 수 있는 곳의 유기물은 이것저것 모두 가져다가 먹이로 삼는다.
개미는 벌처럼 설탕이나 과자류를 좋아하기도 하는데, 사실 가장 좋아하는 건 지방과 단백질이다. 개미들이 지나다니는 곳에 식용유 몇 방울만 떨어뜨리고 다음 날이 되면 그곳은 개미 천국이 된다.
사냥을 할 때는 정말 호전적인 부류가 아닌 이상 주로 개미들도 물어뜯어 죽일 수 있을 정도로 연약하고 공격력 없는 부드러운 살을 가진 구더기같은 애벌레류나 지렁이 같은 환형동물, 달팽이 같은 연체동물류가 주로 먹이가 된다.
군대개미같은 호전적인 종은 전투능력이 있는 거미나 지네, 사마귀, 딱정벌레, 전갈 같은 강한 절지류들은 물론이고 심지어 도마뱀이나 개구리, 쥐같은 작은 동물들까지도 산채로 사냥해 뜯어 먹어치우고 나른다. 다만 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사람이나 커다란 짐승을 순식간에 먹어치우는 건 과장이다.
종류에 따라서는 특정한 음식물을 선호한다. 예를 들면 씨앗을 선호하는 짱구개미이다.
병정개미[편집]
일개미 중 일부는 덩치가 다른 개체에 비해 커지고 머리와 큰 턱이 매우 크게 발달하여 전투에 특화된 형태를 띄는데 이들을 특별히 병정개미(Major)라고 부른다. 병정개미들은 다른 개미 군체를 포함한 외부와 전투 시 무력을 담당하며 일개미들의 식량 수송 경로를 호위하는 역할도 한다. 즉 사람으로 따지면 군대 역할을 한다.
무력에 특화가 되어 있지만 일개미의 역할을 못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일개미를 모두 제거하는 실험을 해보면 아쉬운 대로 일개미의 업무를 한다. 다만 일의 효율이 일개미에 비해 매우 떨어진다. 일본왕개미처럼 평소에도 병정개미가 일하러 자주 나가는 종도 있다.
일부 병정개미는 훨씬 더 큰 머리를 지니거나 혹은 납작하고 단단한 머리를 지닌다. 이들은 개미집의 입구를 자신의 머리로 틀어막고 보초를 서는 일종의 문지기 역할을 하는데, 정찰이나 채집을 나갔다가 돌아온 일개미가 이들의 머리를 더듬이로 두드려 열어달라는 신호를 보내면 비켜서 들여보내 주고, 다른 굴에서 온 개미들에게는 절대 비켜주지 않는다. 개미집끼리 전쟁이 벌어졌을 때에도 이들은 자신의 집 입구를 꽉 틀어막고 적군에게는 절대 열어주지 않는다. 음식은 동료 일개미들이 먹여준다.
일개미에 비해 크고 튼튼해 말 그대로 국력에 크게 기여하는 병정계급이지만 탄생시키는 데에는 일개미의 몇 배나 되는 자원이 들어간다. 특히 왕국의 규모가 크지 않으면 병정개미 수가 적은 편인데 먹이를 구할 손이 부족할 판에 전투 및 방어나 먹이 저장 등 일개미에 비해 일 효율이 떨어지는 병정개미를 생산할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공격을 자주 받는 경우가 아니라면 당장 비효율적인 병정개미를 잘 생산하지 않는다.
극동혹개미, 혹개미는 머리가 몸의 반을 차지할 정도로 발달해서 크고 강력한 턱으로 적군을 펜치마냥 절단해대는 기행을 선사하기도 한다. 이러한 병정들을 특별히 '골리앗개미', 혹은 '골리앗병정'(Supermajor)이라고도 칭한다.
서로 다른 종의 개미 둘이 이동경로가 겹치면 병정개미들이 길을 구분해 헷갈리지 않게 하기도 한다.[4]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일개미(생명과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 ↑ 〈일개미(농업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 ↑ 〈개미〉, 《위키백과》
- ↑ 〈개미〉,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 〈일개미(생명과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 〈일개미(농업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 〈개미〉, 《위키백과》
- 〈개미〉, 《나무위키》
같이 보기[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