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 (통신)
전신(電信, electrical telegraph)은 문자나 숫자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전파나 전류로 보내는 통신을 말한다.
개요
전신은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할 내용을 보내는 통신 방법 중의 하나다. 우편보다 빠르게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모스 부호를 이용하는 방법, 텔레타이프 단말을 이용한 기계 전신 등이 있다. 전보도 원래 전신 기술을 이용해 행해진 통신서비스였다. 기계 전신은 디지털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여러 가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으로 발전했지만, 이것들은 보통 전신이라고 하지 않는다. 중국의 이통사 차이나텔레콤의 약자이자 땐신(電信)의 간체 표기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최초의 전기 통신 수단인 전신, 전화의 발명은 산업 사회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모스 부호와 전신기를 활용했으며 그 시대엔 전신사들이 현재의 통신기기 역할을 했다. 게다가, 지금의 전화국들은 전신전화국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전신을 활용한 통신체계 중에는 전보가 있다. 그리고 통신의 혁명을 일으킨 전신은 1세기 가까이 사회에 존재하다가, 결국 후신인 전화를 비롯한 기타 통신 수단에게 넘기고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는 사실상 종료했다. 이제는 가끔 근성 있는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취미로 하는 정도에 그칠 뿐. 정기교신이 매주 토, 일요일에 아마추어 무선 밴드인 7.010Mhz 근처에서 오전 9시경에 이뤄지고 있어서 수신이 가능하다.[1][2]
유선전신
유선전신(Wire Telegraphy, 有線電信)은 전선을 통하여 전신 신호를 먼 곳까지 전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유선에 의한 전신 통신 방식의 총칭이다. 직류, 음성 주파, 초가청(超可聽), 가청하(可聽下) 등의 전신 방식이 있다. 교류 전신은 일반적으로 반송 전신이라 불린다.[3]
유선통신(Wired communication, 有線通信)은 전송로(傳送路)에 도선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통신을 말한다. 반송 통신이라고도 한다. 무선통신에 대한 말로, 전기 또는 광신호로 변환한 정보를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의 통신 선로를 전송 매체로 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송 매체가 폐공간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공간 전파(空間傳播)에 비해 외란(外亂)에 좌우되기 어려워 안정한 통신이 가능하다. 전송 매체의 전송 손실을 등화(等化)하는 중계기를 전송 매체 도중에 배치하여 장거리의 전송을 한다.
설치하는 데 큰 비용이 드는 약점이 있으나, 무선통신에 비하여 안정된 고품질의 전송로가 보장되고, 도중에서 분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종래 국내통신은 모두 유선전송로에 의존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시내통신은 유선, 시외통신은 무선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전송로에는 나선(裸線), 시내 및 시외 케이블, 반송(搬送)케이블, 동축케이블, 해저케이블(동축케이블과 중계증폭기의 결합)·광섬유케이블 등이 있다.
유선통신은 송·수신 양자가 전선로로 연결되고, 그것에 의하여 신호가 매개되는 전기통신을 총칭한다. 대표적인 것은 전신·전화인데, 하나의 송신에 대하여 다수의 수신을 원칙으로 하는 무선통신과는 달리 송·수 1:1의 통신이 원칙인 것이 유선통신방식이다.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송로의 일부에 무선을 포함하는 경우도 많고, 따라서 방송국·교환국 등과 단말수신자(端末受信者:가입자)가 유선전송로로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유선통신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4][5]
전신기
전신기(電信器, elegraph)는 전신을 보내는 통신장비로, 처음엔 유선이었으나 나중엔 무선으로 바뀌었다. 손잡이처럼 생긴 부분을 누름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런 신호의 통신 언어를 모스 부호라고 했고, 모스 부호를 모르는 사람은 이를 바로 알아들을 수 없었기 때문에 교육과 숙련이 필요했다. 그 탓에 숙련도가 중요했고 모스 부호에 익숙한 전신기사는 1분에 몇 단어를 송수신할 수 있느냐로 판가름 났다. 19세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에선 빈번하게 등장한다. 무선통신이 없던 시절엔 군대도 전부 전신으로 긴급연락을 했고 공문서는 이동에 시간이 한참 걸렸다. 전자문서가 발달한 현재는 이럴 일이 없지만 이 시절의 통신대는 모두 풍선이나 전신기를 사용했다.
이렇게 보낸 메시지들은 전보로 표시되었다. 한국에선 20세기 중반까지도 전화나 우편 시스템이 미약한 경우가 많아 전보를 쓰기도 했는데 전보는 꼭 전신만 아니고 전화로 보내기도 했다. 영화 인디펜던스 데이에서 외계인에게 지구 여러 나라의 군대가 총 반격을 할 때 외계인에게 도청되지 않게 전신기로 모스 부호를 보내 연락하는 장면이 나온다. telegraph라는 단어는 사실 전신기 이전부터 존재했었다.
모스 전신기가 개발되기 전인 1793년 프랑스의 클로드 샤프(Claude Chappe)는 불을 피워야 한다는 봉화의 단점을 개선한 세마포어 통신(semaphore telegraph) 시스템을 개발했다. 움직일 수 있는 목제 신호기가 설치된 등대를 10~15km 거리마다 세우고 신호기의 움직임에 알파벳을 배당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으로, 나폴레옹 1세가 이를 채택한 후 전신기가 보급되는 1840년대까지 서유럽 전역에 널리 보급되어 통신망으로 활용되었다. 로스차일드 가문이 워털루 전투 결과를 이 시스템으로 미리 알아서 주가 조작을 했다던지, 소설 몽테크리스토 백작에서도 백작이 복수를 위해 이 시스템 신호수를 매수하여 거짓 정보를 주식시장에 흘리는 묘사가 나온다. 그래서 이 시대를 다룬 소설에서 telegraph라는 단어가 나오면 모스 전신기가 아니라 이 세마포어 통신기를 묘사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6]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 〈전신〉, 《네이버 국어사전》
- 〈전신〉, 《나무위키》
- 〈전신〉, 《위키백과》
- 〈유선 전신〉, 《전기용어사전》
- 〈유선 통신〉, 《전자용어사전》
- 〈유선통신〉, 《두산백과》
- 〈전신기〉, 《나무위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