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맷손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맷손

맷손은 매통이나 맷돌을 돌리는 손잡이를 말한다. 길게 맷돌손잡이라고도 부른다. 맷손을 '어이' 또는 '어처구니'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으나, 정확한 말은 아니다.

맷돌[편집]

맷돌은 곡물을 갈아서 가루로 만드는 용구이다.

위·아래 두짝으로 구성되며, 아래짝 가운데에는 중쇠(숫쇠라고도 한다.)를, 위짝에는 암쇠를 박아 끼워서 서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ㄱ'자 모양의 맨손(손잡이)은 위짝 구멍에 박으며 칡이나 대나무로 테를 메워 고정시키기도 한다.

위짝에는 곡식을 집어넣는 구멍이 있으며, 아래짝 위에는 곡물이 잘 갈리도록 하기 위하여 판 홈이나 구멍이 있다. 오랫동안 써서 이 홈이 메워지면 매죄료장수를 불러 쪼아주어야 한다. 그러나 현무암으로 만든 고석매는 구멍이 충분히 뚫려 있어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

또 풀매라고 하여 고운 돌로 조그맣게 만든 것도 있다. 아래짝은 아예 매판에 붙여 만들며, 갈려진 물질이 흘러 떨어지도록 주둥이가 달린 채 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맷돌은 모시나 명주에 먹일 풀을 쑤기 위한 쌀을 갈 때, 또는 잣죽이나 깨죽의 원료를 만들 때 쓴다.

강원도 산간에서는 통나무로 만든 나무맷돌을 쓰기도 하고, 제주도에서는 네 사람이 함께 돌리는 대형맷돌을 쓰기도 한다. 맷돌에 곡물을 갈 때에는 큰 함지에 맷돌을 앉히고 두 사람이 마주 앉아 한 사람은 곡물을 위짝 구멍에 떠 넣고, 한 사람은 위짝을 돌리면서 간다.

특히, 마주앉은 두 사람의 호흡이 잘 맞아야 맷돌질이 쉽고 효율적이며, 곡물이 알맞게 잘 갈린다. 맷돌에는 이를 올려놓고 쓰는 얕은 전이 달리도록 짚으로 결은 맷방석과 큰 통나무를 파서 만든 매함지, 매판에 맷돌을 앉힐 때 고이는 맷돌다리 등이 필요하다.

맷손과 어처구니[편집]

맷돌을 돌릴 때 꼭 필요한 것이 맷돌의 손잡이이다. 이 맷돌의 손잡이를 '맷손'이라고 부른다.

이 '맷손'이라는 말은 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나 국립국어원표준국어대사전 등 대부분의 정통사전에 정식으로 등재되어 있는 말이며, 실제로도 사용하고 있는 말이다.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맷돌의 얼개에 대해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다.

"맷돌은 돌로 아래짝 위짝을 같은 크기로 만들고, 아래짝에는 한가운데에 수쇠, 위짝에는 암쇠를 끼워 매를 돌릴 때 벗어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위짝에는 매를 돌리는 맷손을 박는 홈과 곡식을 넣는 구멍을 낸다."

여기는 맷돌의 손잡이를 '맷손'이라고 하고 있다.

​이 '맷손'이라는 말은 국어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맷손'이 다음과 같이 풀이되어 있다.

맷-손01[매쏜/맫쏜] 「명사」매통이나 맷돌을 돌리는 손잡이.

인터넷에는 이 맷돌 손잡이가 어이라거나 어처구니라는 주장이 널리 퍼져 있는데, 이는 어떤 문헌적, 학문적 근거도 없는, 얼토당토않은 가짜 정보이다. 그런데도 이 가짜 정보를 영화 '베테랑'을 비롯해 여러 종의 창작 동화들, 신문 방송, 어린이 대상 학습서, 00 편지 등의 대량 메일 등에서, 아무런 확인 과정도 거치지 않고 '어처구니를 아십니까?'하며 무책임하게 퍼뜨리는 것은 정말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특히 이러한 가짜 정보가 자라나는 아이들을 오염시켜서는 안 될 것이다.

어처구니는 국어 사전에는 '엄청나게 큰 사람이나 사물'로 풀이되어 있을 뿐, 맷돌과는 아무런 연관성도 없다.[1]

각주[편집]

  1. 어처구니의 진실, 〈맷돌 손잡이를 아십니까〉, 《네이버 블로그》, 2021-05-22

참고자료[편집]

  • 맷손〉, 《네이버 국어사전》
  • 맷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맷손 문서는 기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